고전시가의 문화론적 접근 -<농가월령가>를 중심으로

논문상세정보
' 고전시가의 문화론적 접근 -<농가월령가>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 booksonagriculture
  • connectionswithalmanacs
  • monthlyorder
  • nongbuga-typegasa
  • nonggawollyeongga
  • theoriesofculture
  • wollyeong-stylepoetry
  • 농가월령가
  • 농부가류 가사
  • 월령체시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26 1

0.0%

' 고전시가의 문화론적 접근 -<농가월령가>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트로이의 목마-문학 연구의 대중성과 자율성을 둘러싼 아포리아들
    손정수 문학동네 39 [2004]
  • 태촌집(泰村集)
    고상안 민족문화추진회 : 238 ~ [1990]
  • 추재(秋齋)의 기속(紀俗)에 대한 관심과 기록 —「歲時記」, 「上元竹枝詞」를 중심으로—
    김영죽 반교어문연구 (24) : 79 ~ 105 [2008]
  • 중인 김형수의 <농가월령가 > 한역과 그 의미-한역가 월여농가를 중심으로-
    길진숙 동양고전연구 6 : 137 ~ 168 [1996]
  • 조선후기 농촌공동체의 운영과 農夫歌類 歌辭
    신성환 우리어문연구 44 (44) : 177 ~ 207 [2012]
  • 조선후기 권농책의 추이와 실학
    최윤오 사학연구 (109) : 187 ~ 231 [2013]
  • 조선시대 전기 농서
    김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4]
  • 조선시대 농서(農書)의 전통과 <농가월령가 >의 구성 전략
    권정은 새국어교육 (97) : 451 ~ 475 [2013]
  • 조선 초 月令의 이해와 국가운영
    한정수 한국사상사학 (36) : 143 ~ 177 [2010]
  • 박사
  • 월여농가
    김형수 규장각 소장
  • 오륜대와 죽림 박주연의 문학
    엄경흠 동양한문학연구 15 : 145 ~ 180 [2001]
  • 순조대 초반 勸農策의 시행과 量田 추진
    염정섭 역사교육논집 (50) : 373 ~ 407 [2013]
  • 소당유고
    김형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동래지역 <農家月令12曲屛 > 2점을 통한 조선말기 경직도의 일 경향 연구
    이현주 문물연구 16 (16) : 109 ~ 136 [2009]
  • 농가월령가에 대한 고찰
    김기탁 한민족어문학 2 : 11 ~ 40 [1975]
  • 나수 이기원의 <농가월령 >에 대하여 : 216 ~ 224
  • 김형수의 월여농가 연구
    김명순 동방한문학 15 : 171 ~ 194 [1998]
  • 가사육종
    이상원 보고사 : 150 ~ 222 [2013]
  • 朝鮮 後半期 歲時風俗圖 硏究
    김현지 역사민속학 (43) : 133 ~ 171 [2013]
  • 寬谷 金起泓의 詩歌文學 硏究
    조지형 고려대학교 [2014]
  • 『京都雜志』 연구 - 저술 과정과 이본 검토 -
    김윤조 동양한문학연구 32 (32) : 183 ~ 206 [2011]
  • <농가월령가 >와 <월여농가(月餘農歌) >의 대비 고찰
    김석회 국어국문학 (137) : 109 ~ 127 [2004]
  • <농가월령가 >에 대한 텍스트 언어학적 고찰
    민현식 문학 한글 10 : 31 ~ 70 [1996]
  • <농가월령가 >에 대한 연구
    이상보 명지어문학 4 [1970]
  • <農家月令歌 > 창작 배경 연구 - 歲時記 및 農書, 家學, 詩名多識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김형태 동양고전연구 (25) : 7 ~ 30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