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어문학: 어문학에 대한 문화론적 혁신

' 문화어문학: 어문학에 대한 문화론적 혁신'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 crisis
  • culturallanguageliterature
  • innovationbasedonatheoryofculture
  • koreanlanguageliterature
  • livingc
  • newlanguageliterature
  • professionalismandpopularity
  • 문화론적혁신
  • 문화어문학
  • 미시사
  • 생활문화
  • 소통과협업
  • 신어문학
  • 실용주의
  • 위기
  • 융합적관점
  • 전문성과대중성
  • 지역 문화
  • 한국어문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49 0

0.0%

' 문화어문학: 어문학에 대한 문화론적 혁신' 의 참고문헌

  • 훈민정음을 활용한 조선시대의 인민 통치
    백두현 진단학보 (108) : 263 ~ 297 [2009]
  • 훈민정음과 국어연구
    이상혁 역락출판사 [2004]
  • 한문학과 미시사의 풍요로운 만남
    백승종 동양한문학연구 24 (24) : 5 ~ 24 [2007]
  • 한글이야기 1, 2
    홍윤표 태학사 [2013]
  • 한글을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문자생활
    백두현 서강인문론총 22 : 157 ~ 203 [2007]
  • 한글고문서의 연구 현황과 과제
    홍윤표 영남학 10 : 185 ~ 262 [2006]
  • 한글 편지로 본 조선시대 선비의 삶
    백두현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역락출판사 [2011]
  • 한글 문헌학
    백두현 미간 [2014]
  • 한국인의 문자생활사
    박창원 동양학 28 : 57 ~ 88 [1998]
  • 한국에서의 응용언어학 연구의 회과와 전망
    정동빈 한국응용언어학 (9-10) : 5 ~ 16 [1996]
  • 한국사시민강좌 8
    주명철 일조각 [1991]
  • 표현인문학
    정대현 생각의나무 [2000]
  • 치즈와 구더기:16세기 한 방앗간 주인의 우주관
    카를로 진즈부르그 문학과지성사 [2001]
  • 중세의 여성 지성과 문자의 관계
    이경하 여성문학연구 24 (24) : 31 ~ 55 [2010]
  • 조선후기 이중 언어 텍스트와 그에 관한 논의들
    안대회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4) : 203 ~ 232 [2006]
  • 조선후기 궁묘 제사 관련 한글문헌의 문헌적 특징
    김봉좌 국어사연구 (10) : 133 ~ 172 [2010]
  • 조선조 여성의 문자생활과 한글편지 −한글편짓글에 반영된 조선조 여성의식과 문화(1)
    김무식 인문학논총 14 (2) : 1 ~ 25 [2009]
  • 조선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
    이우성 진단학보 42 : 182 ~ 186 [1976]
  • 조선시대 한문과 한글의 위상과 성격에 대한 一考 - 心身寓言의 비교를 통하여 -
    정병설 한국문화 (48) : 3 ~ 20 [2009]
  • 조선시대 한글 문헌의 간행 경위와 배포 양상 연구-'소통'의 관점을 중심으로
    석주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57) : 43 ~ 70 [2010]
  • 조선시대 한글 문헌 간행의 시기별 경향과 특징
    이호권 한국어학 41 : 83 ~ 114 [2008]
  •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연구-한글 음식조리서와 여성 교육서를 중심으로-
    백두현 어문론총 (45) : 261 ~ 321 [2006]
  • 조선시대 생활사(상·하)
    안길정 사계절 [2000]
  • 조선시대 생활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우인수 역사교육론집 23・24 : 825 ~ 854 [1999]
  • 조선시대 생활사 2
    한국고문서학회 역사비평사 [2000]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2권
    한국역사연구회 청년사 [1996]
  • 조선시대 ‘문화공간-영남’에 대한 한문학적 독해
    정우락 어문론총 (57) : 323 ~ 354 [2012]
  • 전라도의 말과 문화
    이기갑 지식과 교양 [2013]
  • 전라도방언과 문화 이야기
    이태영 문예연구사 [2000]
  • 우리의 옛 문장부호와 교정부호
    이복규 고문서연구 9·10 : 457 ~ 482 [1996]
  • 영남지방 생활사 자료의 길잡이: 관료생활편
    영남문화연구원 경북대학교출판부 [2010]
  • 언어적 변천에 따른 지명 유형과 문화정치적 의의
    김순배 정신문화연구 34 (3) : 229 ~ 257 [2011]
  • 언어와 문화의 접촉 - 언어문화-
    성기철 한국언어문화학 1 (1) : 105 ~ 123 [2004]
  •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과 한글고문서의 연구 방법
    백두현 국어사연구 (10) : 41 ~ 72 [2010]
  • 어문생활사로 나아가는 열린 시야
    조동일 관악어문 28 : 69 ~ 90 [2003]
  • 어문생활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장희 영남학 (13) : 333 ~ 367 [2008]
  • 순원왕후의 한글편지
    이승희 푸른역사 [2010]
  • 사회사와 신문화사
    조한욱 서양사론 71 : 169 ~ 178 [2001]
  • 방언이야기
    국립국어원 태학사 [2007]
  • 문화인문학-인문학의 문화학적 기획
    이상엽 해석학연구 8 : 117 ~ 152 [2001]
  • 문화로 본 새로운 역사 : 그 이론과 실제
    린 헌트 소나무 [1996]
  • 문화란 무엇인가
    유태용 학연문화사 [1999]
  • 대구․경북지역어 연구 양상과 대구 문화
    김무식 어문론총 (55) : 9 ~ 34 [2011]
  • 다원주의적 문화 해석 : 체험주의적 접근
    노양진 철학연구 101 : 49 ~ 70 [2007]
  • 낙동강과 그 연안지역의공간 감성과 문학적 소통
    정우락 한국한문학연구 (53) : 173 ~ 213 [2014]
  • 근대인쇄문화의 도입과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김봉희 서지학연구 10 : 99 ~ 134 [1994]
  • 국어사 연구의 새로운 방향 설정을 위하여
    백두현 國語學 (47) : 3 ~ 38 [2006]
  • 국어사 문헌 자료의 문화 중층론적 연구 방법과 그 적용
    배준영 국어학회 제 40회 전국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 103 ~ 122 [2013]
  • 국어사 문헌 연구
    안병희 태학사 [2009]
  • 국어발전의 양상
    김광해 선청어문 24 : 123 ~ 146 [1996]
  • 국어문화사의 내용 체계화에 대한 연구
    閔賢植 국어교육 (110) : 9 ~ 268 [2003]
  • 광해군대(光海君代) 『동국신속삼강행실도』 편찬의 의의
    이광렬 한국사론 53 (정옥자선생정년기념) : 143 ~ 202 [2007]
  • 고려시대 기록문화 연구
    남권희 청주고인쇄박물관 [2002]
  • 韓國文獻學硏究
    류탁일 亞細亞文化社 [1989]
  • 『표현인문학』개요
    정대현 인문언어 1 : 67 ~ 76 [2001]
  • ‘문화론적 연구’의 현실 인식과 전망
    천정환 상허학보 19 : 10 ~ 36 [2007]
  • The North Region of Korea : History, Identity and Culture
    Paek Doohyeon A Center for Korea Studies Public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0]
  • CT 표준화 추진방안 연구
    함경수 [2006]
  • 17세기 상층여성의 국문생활에 관한 문헌적 고찰 - 여성 대상 傳狀文․碑誌文을 중심으로
    이경하 한국문학논총 (39) : 217 ~ 242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