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이념논쟁과 학문의 위기

논문상세정보
' 역사교과서 이념논쟁과 학문의 위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ntrmporaryhistory
  • gyohak-sa
  • history education
  • history textbook
  • the new right
  • 교학사
  • 냉전
  • 뉴라이트
  • 반공
  • 반소
  • 역사교과서
  • 역사교육
  • 현대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66 0

0.0%

' 역사교과서 이념논쟁과 학문의 위기' 의 참고문헌

  • 흔들리는 동맹
    세르게이 곤차라프 일조각 [2011]
  • 한국현대정당론 : 한국민주당연구 II
    심지연 창작과비평사 [1984]
  •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 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
    서중석 역사비평사 [1991]
  • 한국정치 어떻게 볼 것인가
    윤형섭 박영사 [2003]
  • 한국민주당연구 I
    심지연 풀빛 [1982]
  • 한국 역사 교과서인가, 아니면 일본 역사 교과서인가?―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일제강점기 서술 비판
    이준식 역사비평 (105) : 54 ~ 81 [2013]
  • 탈식민‧탈냉전‧민주주의에 대한 도전, ‘뉴라이트’ 『한국사』 교과서
    이신철 역사문제연구 30 : 7 ~ 50 [2013]
  • 총설
    이영훈 역사학보 171 [2001]
  • 역사교육에서 사실, 해석, 그리고 주체와 관점 : 2013년판 교학사한국사 교과서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양정현 역사와 교육 9 [2014]
  • 역사교육과 평화교육의 만남 −서독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현백 역사교육 80 [2001]
  • 역사가의 직업적 윤리 의식과 사회적 책임-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사태에 대한 고찰-
    조한욱 역사와 담론 (69) : 291 ~ 308 [2014]
  • 소군정은 실재했는가
    기광서 역사비평 (73) : 77 ~ 82 [2005]
  • 새로 쓰는 냉전의 역사
    게디스 사회평론 [2002]
  • 반민특위의 조직과 활동: 친일파청산과 그 좌절의 역사
    허종 선인 [2003]
  • 반민특위 연구
    이강수 나남출판 [2003]
  • 또 하나의 냉전
    권헌익 민음사 [2013]
  • 대구 10월항쟁 연구
    심지연 청계연구소 [1991]
  • 냉전적 역사 서술과 상처받은 자유주의―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현대사 서술 비판
    홍석률 역사비평 (105) : 82 ~ 103 [2013]
  • 냉전의 역사
    게디스 에코리브르 [2010]
  • 냉전연구의 새로운 시각과 관점
    노경덕 통일과 평화 3 (2) [2011]
  • 냉전사와 소련 연구
    노경덕 역사비평 (101) : 314 ~ 336 [2012]
  •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북한농업체제의 형성을 중심으로
    김성보 역사비평사 [2000]
  • 그들의 대한민국 역사
    이기훈 진보평론 58 [2013]
  • 교학사판 『한국사』의 논리와 책략
    지수걸 역사비평 (105) : 14 ~ 53 [2013]
  • 朝鮮終戰の記錄
    森田芳夫 巖南堂書店 [1979]
  • ‘빨갱이’의 탄생 : 여순사건과 반공국가의 형성
    김득중 선인 [2009]
  •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Cold War, Vol. 1-3
    Odd Ame Westa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 1945년 말 1946년 초 신탁통치 파동과 미군정 ―미군정의 여론공작을 중심으로―
    정용욱 역사비평 (62) : 287 ~ 322 [2003]
  • 10월인민항쟁 연구
    정해구 열음사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