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기술에서의 체계 정합성 문제

' 문법 기술에서의 체계 정합성 문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어
  • case
  • caseparticle
  • complement
  • essentialadverbial
  • sententialcomponent
  • systematicconsistency
  • 격조사
  • 문장 성분
  • 보어
  • 체계정합성
  • 필수적부사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04 0

0.0%

' 문법 기술에서의 체계 정합성 문제' 의 참고문헌

  • 현행 학교문법에서 보어 설정의 문제점
    송창선 국어교육연구 (43) : 83 ~ 104 [2008]
  • 현대 한국어 조사의 연구Ⅰ
    고석주 한국문화사 [2004]
  • 한국어의 보어설정과 그 문형연구
    이광정 국어교육 37 : 95 ~ 114 [1980]
  •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이선웅 월인 [2012]
  • 한국어 문법론
    목정수 월인 [2003]
  • 학교문법에서의 보어 범주 재고
    조형일 국어교육연구 (21) : 225 ~ 245 [2008]
  • 학교 문법에서의 기본 문형 정립을 위하여
    박정규 한국언어문학 (83) : 5 ~ 36 [2012]
  • 표준중등말본
    정인승 신구문화사 [1949]
  •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연구원 두산동아 [1999]
  • 초급 국어 문법
    이희승 박문출판사 [1952]
  • 주격 보어에 관한 소고
    강명윤 생성문법연구 5 (2) : 391 ~ 417 [1995]
  • 이중주어 구문의 통사 구조
    임동훈 한국학보 19 : 31 ~ 64 [1997]
  • 이중주어 구문과 구-동사
    안명철 국어학 38 : 181 ~ 207 [2001]
  • 이른바 ‘이중 주어 구문’에 대한 비판적 고찰
    송창선 국어교육연구 (45) : 449 ~ 474 [2009]
  • 우리말의 보어 설정
    이정택 한말연구 (31) : 173 ~ 193 [2012]
  • 우리말본
    최현배 정음사 [1985]
  • 우리말 연구 서른아홉 마당
    최형강 태학사 : 381 ~ 399 [2005]
  • 우리말 연구 서른아홉 마당
    최형용 태학사 : 401 ~ 418 [2005]
  • 연세 한국어사전
  • 보충어의 판별 문제와 어휘부 처리에 대한 시론
    이은섭 어문학 (114) : 87 ~ 118 [2011]
  • 보어의 범위에 대한 연구사적 접근
    우형식 한어문교육 9 : 109 ~ 132 [2001]
  • 보어와 학교문법
    양명희 한국어학 32 : 167 ~ 192 [2006]
  • 보어에 관한 一考
    유형선 한국어학 9 : 181 ~ 203 [1999]
  • 보어 개념의 확장에 대하여-학교문법의 술어를 중심으로-
    김원경 이중언어학 (44) : 49 ~ 78 [2010]
  • 문법기술의 일관성과 간결성: 특히 학교문법의 부정문과 { - 게 }어미 처리를 중심으로
    김지홍 배달말교육 8 (1) : 43 ~ 78 [1990]
  • 문법 연구와 자료
    이홍식 월인 : 7 ~ 46 [1998]
  • 문법 기술에서의 ‘체계’에 대하여
    권재일 겨레어문학 11 : 1 ~ 18 [1987]
  • 국어의 보어와 보격에 대하여, 최명옥 선생 정년 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이선웅 태학사 : 777 ~ 804 [2010]
  • 국어의 보어에 대하여
    최호철 한국어학 2 (1) : 447 ~ 490 [1995]
  • 국어문장성분 분석의 원리와 절차
    송원용 개신어문연구 24 : 31 ~ [2006]
  • 국어문법론 Ⅰ
    임홍빈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5]
  • 국어문법론
    이익섭 학연사 [1983]
  • 국어 지정문과 존재문의 상관성
    김기혁 한글 (271) : 51 ~ 76 [2006]
  • 국어 보어의 특성과 범위 재론
    송복승 한국언어문학 (61) : 5 ~ 29 [2007]
  • 국어 보어에 대한 의미 구조론적 연구
    조경순 한국언어문학 47 : 685 ~ 704 [2001]
  • 국어 보어에 관한 연구
    최형기 언어학 8 (3) : 203 ~ 217 [2000]
  • 국어 보어 설정에 대한 재고
    성광수 국어국문학 64 : 95 ~ 101 [1974]
  • 국어 문장의 주성분 연구
    이홍식 월인 [2005]
  • 국어 문법의 탐구Ⅰ
    남기심 태학사 [1996]
  • 국어 문법에서의 ‘가’ 보어 설정 문제- 심리형용사 구문의 NP2를 중심으로 --
    유현경 어문론총 (52) : 1 ~ 28 [2010]
  • 국어 문법 연구
    민현식 역락 [2000]
  • 국어 ‘NP이’ 補語의 성격에 대한 고찰-中世國語 資料의 검토를 통하여-
    이영경 어문연구(語文硏究) 32 (3) : 137 ~ 163 [2004]
  • 교사용 지도서 고등 학교 문법
  •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 출판부 [2009]
  • 개정판 학교문법론
    이관규 월인 [2004]
  • 記述動詞와 主觀動詞 앞의 ‘가形 成分’의 통사적 기능-單一主語說 정립을 위하여-
    목정수 어문연구(語文硏究) 32 (4) : 37 ~ 62 [2004]
  • 格의 槪念과 分類
    이선웅 어문연구(語文硏究) 40 (3) : 7 ~ 32 [2012]
  • 新撰 朝鮮語法
    李奎肪 以語堂 [1923]
  • 大韓文典
    兪吉濬 同文館 [1909]
  • 修正 朝鮮文法
    安廓 滙東書館 [1923]
  • ‘아니다’ 구문에서 주격 보어의 격 실현
    송복승 배달말 (37) : 149 ~ 176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