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행위로서의 글쓰기, <죽창곡>과 감군의 정서

논문상세정보
' 정치적 행위로서의 글쓰기, <죽창곡>과 감군의 정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 exileexperience
  • exilegasa(流配歌辭)
  • gamgun(感君)
  • jukchanggok&gt
  • leegeungik
  • yeongungasa(戀君歌辭)
  • 감군
  • 연군가사
  • 유배가사
  • 유배체험
  • 이긍익(李肯翊)
  • 죽창곡(竹?曲)&gt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232 0

0.0%

' 정치적 행위로서의 글쓰기, <죽창곡>과 감군의 정서' 의 참고문헌

  • 李肯翊과 『燃藜室記述』의 編纂
    이존희 진단학보 61 : 175 ~ 197 [1986]
  • 李匡贊의 시문비평에 대한 고찰
    박용만 고전문학연구 (28) : 411 ~ 440 [2005]
  • 한국인명대사전
    한국인명대사전편찬실 신구문화사 [1957]
  • 한국의 고전시가
    김대행 이화여대 출판부 [2009]
  • 한국소설의 이론
    조동일 지식산업사 [1994]
  • 한국고전시가작품론 2
    박일용 집문당 : 607 ~ 620 [1992]
  • 한국가사문학주해연구 16권
    임기중 아세아문화사 [2005]
  • 조선후기 당쟁사 연구
    이은순 일조각 [1988]
  • 조선시대의 유배생활
    정연식 인문논총 9 [2002]
  • 조선시대 유배가사의 흐름과 경향성 -특히 후기 유배가사의 특징적 면모에 주목하여-
    최현재 한국시가연구 33 : 63 ~ 93 [2012]
  • 조선시대 당쟁사 2
    이성무 동방미디어 [2000]
  • 조선 사대부가사의 미의식과 문학성
    최상은 보고사 [2004]
  • 이진유 家系 유배가사 연구
    노경순 반교어문연구 (31) : 101 ~ 127 [2011]
  • 박사
  • 영조조(英祖朝)의 유배가사 연구 - <속사미인곡 >과 <북찬가 >를 중심으로
    정흥모 국어문학 45 (1) : 107 ~ 128 [2008]
  • 여성화자 연군가사 연구
    김유경 숙명어문논집 1 : 81 ~ 110 [1998]
  • 듁창곡(竹牕曲) 小考
    최강현 어문논집 : 167 ~ 179 [1973]
  • 국문학개론
    김광순 새문사 [2003]
  • 공간을 중심으로 한 <북찬가(北竄歌) >의 새로운 이해와 접근
    최홍원 국어국문학 (167) : 165 ~ 194 [2014]
  • 고전시가 엮어읽기(하)
    최상은 태학사 : 285 ~ 305 [2003]
  • 고전시가 관계 치환의 교육 내용 연구 -남성 작자의 여성 화자 작품을 중심으로-
    최홍원 문학교육학 (28) : 605 ~ 640 [2009]
  • 거세된 언어와 사적 전언: 이광사의 유배체험과 글쓰기 방식
    박무영 한국문화연구 9 : 67 ~ 97 [2005]
  • <오륜가 >와 출처(出處)의 두 얼굴:주세붕의 <오륜가 >와 박인로의 <오륜가 >의 거리
    최홍원 국어국문학 (163) : 315 ~ 346 [2013]
  • 38년 7월 25일조, 동년 9월 6일조
  • 18세기 정치현실과 가사문학­ <別思美人曲 >과 <續思美人曲 >을 중심으로­
    고순희 어문학 78 : 185 ~ 210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