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목적과 방향

논문상세정보
'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목적과 방향'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 broadcasting
  • internet
  • mass media
  • massmedialanguage
  • newspaper
  • 대중매체
  • 대중매체언어
  • 방송
  • 신문
  • 인터넷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180 0

0.0%

'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목적과 방향' 의 참고문헌

  • 휴대전화에 있어서의 행위선택의 한일 대조 연구 ―대우법의 새로운 형태―
    아라이 야스히로 사회언어학 19 (2) : 237 ~ 259 [2011]
  • 호모 모빌리쿠스―모바일 미디어의 문화생태학
    김성도 삼성경제연구소 [2008]
  • 한국과 중국의 통신 언어 호칭어 ‘님’과 ‘亲’(친)의 쓰임
    이정복 우리말글 58 : 127 ~ 150 [2013]
  • 한국과 미국 신문의 인용보도 방식 비교 -한미FTA 보도에 나타난 개입 양상-
    이영희 사회언어학 21 (1) : 185 ~ 213 [2013]
  • 한국 사회의 차별 언어
    이정복 소통 [2014]
  • 학교 현장에서의 인터넷 언어 사용 실태 연구
    윤여탁 국어교육학연구 (36) : 425 ~ 463 [2009]
  • 프레임 전쟁―보수에 맞서는 진보의 성공전략
    조지 레이코프 창비 [2007]
  • 폴리티컬 코렉트니스Political Correctness, 정의롭게 말하기
    박금자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 트위터의 소통 구조와 통신 언어 영역
    이정복 인문과학연구 37 : 235 ~ 270 [2011]
  • 트위터에서 트윗(tweet)의 특징과 유형 연구
    허상희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61) : 455 ~ 494 [2012]
  • 트위터란 무엇인가―다학제적 접근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 트위터 누리꾼들의 호칭어 사용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접근
    이정복 어문학 (114) : 143 ~ 174 [2011]
  • 통신언어에 나타난 역문법화 현상 고찰 - 접두사 ‘개-’의 용법을 중심으로 -
    강희숙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61) : 61 ~ 87 [2012]
  • 통신언어에 나타난 말줄임표의 의미와 기능
    김순자 한국어 의미학 35 : 1 ~ 21 [2011]
  • 통신 별명의 사회ㆍ문화론적 특성
    김인택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59) : 611 ~ 646 [2011]
  • 토크쇼 대화에 나타난 질문-응대의 전략 분석
    장민정 텍스트언어학 30 : 211 ~ 236 [2011]
  • 토론 댓글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다음 아고라의 토론 댓글을 중심으로-
    양명희 텍스트언어학 30 : 161 ~ 186 [2011]
  • 텔레비전 매체에서의 자동차 광고 언어에 나타난 표현 전략
    이철우 우리말연구 (30) : 63 ~ 86 [2012]
  • 텔레비전 뉴스방송의 텍스트유형학적 연구
    이성만 텍스트언어학 35 : 207 ~ 228 [2013]
  • 텍스트의 장르성과 시간 표현 교육 - 신문 텍스트에서 ‘-었었-’과 ‘-ㄴ 바 있-’의 선택을 중심으로 -
    제민경 텍스트언어학 34 : 179 ~ 206 [2013]
  • 지하철 廣告 言語의 誤用 실태와 개선 방안
    박덕유 새국어교육 (85) : 433 ~ 454 [2010]
  • 제품군에 따른 광고 언어의 사용 양상 - 라디오 광고를 중심으로
    김정우 우리어문연구 (44) : 333 ~ 360 [2012]
  • 정치인 팬 커뮤니티 분석 - '박사모'를 중심으로 -
    조국현 텍스트언어학 31 : 279 ~ 309 [2011]
  • 정치 관련 신문 언어의 변화 양상 -키워드와 명사 관련어를 통해 본 2000~2009년의 변화 양상-
    이영제 언어과학 19 (1) : 203 ~ 234 [2012]
  • 접두사의 준부사화 경향에 대한 고찰: 접두사 ‘개-’를 중심으로-
    홍달오 언어 39 (1) : 231 ~ 249 [2014]
  • 저품격 언어의 분석적 고찰-방송언어를 중심으로-
    박덕유 언어학 연구 (30) : 45 ~ 73 [2014]
  • 일한 양국어의 문장부호에 관한 대조 고찰 -신문을 중심으로-
    윤호숙 일본언어문화 (14) : 171 ~ 195 [2009]
  •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나타난 정보 지시 표현의 의미 연구
    박건숙 한국어 의미학 31 : 23 ~ 50 [2010]
  • 인터넷 통신에 나타난 정보 지시 표현의 언어학적 연구
    박건숙 국어교육 (131) : 281 ~ 309 [2010]
  • 인터넷 통신 언어의 확산과 한국어 연구의 확대
    이정복 소통 [2009]
  • 인터넷 통신 언어와 사회언어학 -‘한다요체’를 중심으로-
    이정복 우리말연구 (29) : 5 ~ 40 [2011]
  • 인터넷 통신 언어 실태와 세대 간 의사소통의 문제
    이정복 배달말 (49) : 29 ~ 69 [2011]
  • 인터넷 통신 공간의 여성 비하적 지시 표현
    이정복 사회언어학 18 (2) : 215 ~ 247 [2010]
  • 인터넷 토론 댓글의 방어 전략과 전략 선택 요인
    안태형 배달말 (49) : 71 ~ 94 [2011]
  • 인터넷 토론 게시판 댓글의 유형 연구
    안태형 우리말연구 (26) : 311 ~ 333 [2010]
  • 인터넷 언어의 종결어미 회피 현상 연구
    장경현 언어사실과 관점 31 : 171 ~ 194 [2013]
  • 인터넷 언어의 국어교육 내용 연구 -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
    송여주 국어교육 (133) : 233 ~ 258 [2010]
  • 인터넷 신문 표제어 제시 유형 연구-경성기사와 연성기사의 구분을 중심으로
    고주환 언어 39 (1) : 27 ~ 42 [2014]
  • 인터넷 사이트 방문자에 대한 호칭 실태 분석
    이정복 사회언어학 18 (1) : 1 ~ 29 [2010]
  • 인터넷 백과사전 <위키백과 > 문서의 텍스트성
    조원형 텍스트언어학 30 : 237 ~ 262 [2011]
  • 인터넷 댓글의 비방성에 대한 연구
    한성일 한말연구 (24) : 287 ~ 314 [2009]
  • 인쇄 광고 매체언어의 사용 양상 연구 -학원 광고를 중심으로-
    이지영 한국어 의미학 33 : 203 ~ 228 [2010]
  • 의사소통 행위로서 TV 방송 자막의 언어학적 고찰
    이성범 언어와 정보 사회 15 : 53 ~ 86 [2011]
  • 의사소통 도구로서의 트위터(Twitter)의 특징과 소통 구조에 관한 고찰
    허상희 우리말연구 (28) : 259 ~ 283 [2011]
  • 유머의 실현 방식 연구 - 코미디와 토크쇼의 비교를 중심으로
    윤진서 텍스트언어학 35 : 175 ~ 206 [2013]
  • 온라인 뉴스 텍스트의 비판적 이해 과정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행위이론’을 검증틀로-
    박지윤 텍스트언어학 31 : 103 ~ 122 [2011]
  • 온라인 게임 금칙어의 조어 방식에 관한 연구
    조경하 우리어문연구 (42) : 149 ~ 190 [2012]
  • 영어 통신어는 우리말 통신어와 어떻게 다를까?
    이진성 새국어생활 23 (1) : 70 ~ 88 [2013]
  • 여성화장품 상품명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2008년~2012년 TV 광고를 중심으로-
    박은하 사회언어학 21 (3) : 113 ~ 134 [2013]
  • 언어와 권력
    노먼 페어클러프 한국문화사 [2011]
  • 언어 혁명
    Crystal, D 울력 [2009]
  • 언론담화에서의 '준동(蠢動)(하다)'의 인지언어학적 분석
    김해연 담화와 인지 17 (3) : 89 ~ 109 [2010]
  • 언론 담화에 나타나는 ‘사회 지도층 인사’에 대한 비판 담화분석적 연구
    김해연 텍스트언어학 34 : 33 ~ 62 [2013]
  • 악성 댓글의 범위와 유형
    안태형 우리말연구 (32) : 109 ~ 131 [2013]
  • 신문광고 헤드라인에 대한 한・일 대조연구 -1990년대와 2000년대의 한국 중앙광고대상과 일본 광고電通상 수상작 중심으로-
    권익호 일본언어문화 (18) : 79 ~ 96 [2011]
  • 신문 언어의 오류 양상에 대한 고찰
    황경수 새국어교육 (87) : 353 ~ 374 [2011]
  • 신문 언어의 공공성 척도와 사례 분석
    양영하 한말연구 (28) : 115 ~ 140 [2011]
  • 신문 사설의 ‘안철수 담화’ 분석
    조국현 텍스트언어학 32 : 201 ~ 240 [2012]
  • 신문 사설에 나타나는 어휘 사용의 추이 -[물결 21 코퍼스]를 활용하여-
    김혜영 텍스트언어학 35 : 1 ~ 22 [2013]
  • 신문 매체 언어 연구와 국어과 교육
    허재영 사회언어학 17 (2) : 177 ~ 197 [2009]
  • 신문 기사 속의 직업명사와 관련어
    정유진 언어학 20 (2) : 145 ~ 170 [2012]
  • 시대변화에 따른 라디오 광고언어의 전략과 표현 양상 비교연구 ― 초창기 라디오광고와 2008~2009년도 라디오광고를 중심으로
    김정우 우리어문연구 19 (40) : 195 ~ 224 [2011]
  • 스마트폰 응용 프로그램 ‘청소년 은어 사전’에 오른 은어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
    전은진 사회언어학 20 (1) : 267 ~ 293 [2012]
  • 스마트폰 시대의 통신 언어 특징과 연구 과제
    이정복 사회언어학 20 (1) : 177 ~ 211 [2012]
  • 소셜 미디어의 소통 구조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 트위터, 미투데이 등의 마이크로 블로그를 중심으로 -
    손예희 국어교육 (133) : 207 ~ 231 [2010]
  • 서사 텍스트로서의 스토리 광고, 그 개념과 유형
    윤재연 사회언어학 21 (1) : 153 ~ 183 [2013]
  • 사회적 소통망(SNS)의 지역 차별 표현
    이정복 어문학 (120) : 55 ~ 83 [2013]
  • 사회언어학적 맥락으로 본 방송언어
    오새내 한국어학 51 : 31 ~ 55 [2011]
  • 사회언어학사전
  • 사회 방언과 국어교육
    이정복 국어교육 (142) : 47 ~ 78 [2013]
  • 비평적 담화분석 관점에서 살펴본 일제강점기 의거보도 연구 - 이봉창 의거를 중심으로 -
    구나경 텍스트언어학 34 : 63 ~ 101 [2013]
  • 비평적 담화분석 관점에서 살펴본 개화기 해외발행 민족지의 안중근 의거 보도
    구나경 텍스트언어학 33 : 213 ~ 260 [2012]
  • 비판적 담화분석과 텍스트 분석 - ‘준동(蠢動)하다’ 분석을 중심으로-
    김해연 텍스트언어학 30 : 17 ~ 44 [2011]
  • 방송의 문자정보 유형과 표현사례 연구
    조수선 동서언론 16 : 35 ~ 57 [2013]
  • 방송언어의 공공성 진단 기준
    김한샘 반교어문연구 (30) : 37 ~ 59 [2011]
  • 방송 언어의 비표준어 사용 실태 조사를 통한 정책적 제안 -주말 드라마 분석을 중심으로-
    조민하 사회언어학 21 (1) : 271 ~ 299 [2013]
  • 방송 언어의 공공성 기준에 관한 연구
    서은아 겨레어문학 (47) : 91 ~ 116 [2011]
  • 미디어의 이해
    마셜 맥루언 민음사 [2011]
  • 문제로서의 언어 1―사회와 언어
    김하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문자메시지는 언어의 재앙일까? 진화일까?
    크리스털 알마 [2011]
  • 문법교육과 매체 언어 문화
    김은성 국어교육학연구 (37) : 5 ~ 36 [2010]
  • 매체 변화에 따른 언어 사용 방식의 변화
    박동근 새국어생활 23 (1) : 18 ~ 33 [2013]
  • 매스미디어가 텍스트와 신조어에 미치는 영향: 매개적 분기를 중심으로
    백승익 언어 39 (1) : 67 ~ 108 [2014]
  • 라디오 광고 언어의 문체 연구
    이종철 국어교육 (139) : 303 ~ 333 [2012]
  • 디지털 언어와 인문학의 변형
    김성도 경성대 출판부 [2003]
  • 도구 유입에 따른 어휘 의미 변화 - 컴퓨터 사용과 관련된 용어의 의미 변이를 중심으로 -
    박동근 사회언어학 19 (1) : 59 ~ 82 [2011]
  • 대학생들의 전자편지에 대한 화용론적 분석
    허상희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64) : 155 ~ 190 [2013]
  • 대학생들의 전자편지 제목 분석 -교수와 학생 간의 전자편지를 중심으로-
    허상희 우리말연구 (30) : 241 ~ 268 [2012]
  • 대중매체 언어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신문, 방송, 인터넷 통신 언어에 대한 최근 연구를 중심으로 -
    이선웅 어문학 (103) : 117 ~ 142 [2009]
  • 대중매체 언어 분석 방법론
    김병홍 우리말연구 (30) : 5 ~ 39 [2012]
  • 대중매체 담화 분석
    노먼 페어클러프 한국문화사 [2004]
  • 담론학과 언어분석―맥락ㆍ담론ㆍ의미
    김슬옹 한국학술정보 [2009]
  • 누리소통망의 의사소통 방식과 구조―트위터와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허상희 새국어생활 3 (1) : 53 ~ 69 [2013]
  • 누리소통망과 새말의 형성
    새국어생활 새국어생활 23 (1) : 34 ~ 52 [2013]
  • 누리소통망 서비스 확산과 소통 문화의 변화
    임영호 새국어생활 23 (1) : 3 ~ 17 [2013]
  • 국어학논총―최명옥 선생 정년 퇴임 기념
    이정복 태학사 : 319 ~ 351 [2010]
  •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방송언어 활용사 - 거시적 관점의 서술을 중심으로 -
    이선웅 한국언어문화학 8 (1) : 109 ~ 129 [2011]
  • 국어 담화에서의 ‘-는 것 같다’의 화용적 의미와 상호작용적 기능
    김해연 언어와언어학 (52) : 25 ~ 52 [2011]
  •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월터 옹 문예출판사 [1995]
  •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을 위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통신언어에 관한 일고찰
    김순임 일본어교육연구 (17) : 155 ~ 165 [2009]
  • 광고의 전략과 언어 표현 기법
    채완 언어와 정보 사회 15 : 87 ~ 119 [2011]
  • 광고 텍스트에 나타난 공손 전략 연구
    전정미 사회언어학 20 (2) : 401 ~ 423 [2012]
  • 광고 언어의 비진실성에 대한 화용적 접근
    이성범 언어와 정보 사회 18 : 167 ~ 198 [2012]
  • ‘형식명사+-요’ 구성에 관한 소고(小考) - 인터넷 통신 언어를 중심으로 -
    정한데로 언어와 정보 사회 13 : 37 ~ 65 [2010]
  • ‘막이래’의 담화 기능 연구- 트위터(Twitter) 언어를 중심으로 -
    최화니 텍스트언어학 32 : 241 ~ 264 [2012]
  • ‘-다는’인용과 인용명사의 사용 양상과 기능 -신문 텍스트에 나타난 인용을 중심으로-
    한송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9 : 447 ~ 472 [2013]
  • [X-남], [X-녀]류 통신언어의 어휘 형성과 사회적 가치 해석
    박동근 사회언어학 20 (1) : 27 ~ 56 [2012]
  • Using corpus linguistics in the study of media language: a case study of the use of democracy as binomials in US and South Korean newspaper corpora
    방민희 사회언어학 18 (1) : 77 ~ 103 [2010]
  • TV 화장품 광고에 반영된 여성과 남성에 대한 언어 태도의 차이
    이진성 사회언어학 19 (2) : 287 ~ 318 [2011]
  • TV 광고 언어의 통합적 해석
    채완 한국어 의미학 36 : 419 ~ 448 [2011]
  • TV 광고 언어의 논증적 의미 관계 양상
    이종철 국어교육 (129) : 209 ~ 238 [2009]
  • Speech Genres and Other Late Essays
    Bakhtin, M Univ. of Texas Press [1986]
  • SNS 메신저 ‘카카오톡’ 언어현상 연구
    최명원 텍스트언어학 33 : 469 ~ 495 [2012]
  • Gossip Talk and Participation during L2 On-line Chat
    김정연 사회언어학 17 (1) : 237 ~ 262 [2009]
  • Beyond Agendas: New Directions in communication research
    Bryant, J Greenwood Press [1993]
  • 21세기 미디어 연구의 패러다임
    장익진 한나래 : 58 ~ 92 [2000]
  • 21세기 미디어 연구의 패러다임
    조항제 한나래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