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적 서사물로서 그래픽 노블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김성필 2014년
' 시각적 서사물로서 그래픽 노블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예술
  • comics
  • graphicnovel
  • visualnarrativepiece
  • 그래픽노블
  • 만화
  • 시각적서사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138 0

0.0%

' 시각적 서사물로서 그래픽 노블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활자 문학의 대안, 그림과 문자의 조합: 그래픽 노블에 관하여
    박신애 21세기 문학 (여름) [2008]
  • 해냄 클라시커 50 만화
    Andreas C. Knigge 해냄 [2005]
  • 유리의 도시
    David Mazzucchelli 미메시스 [2011]
  • 세계만화, 그 정체성과 다양성을 뒤집어보다
    조정래 비전코리아 [2007]
  • 세계만화
    성완경 생각의 나무 [2001]
  • 만화와 커뮤니케이션
    Randall P. Harrison 한나래 [2006]
  • 만화미학탐문
    백준기 다섯수레 [2001]
  • 만화기호학
    이수진 씨엔씨 레볼루션 [2004]
  • 동시대 문화의 이해를 위한 20세기 문화 지형도
    코디 최 안그라픽스 [2006]
  • 대홍수!
    Eric Drooker 다른 [2010]
  • 내러티브 관점에서 본 그래픽 노블의 매채확장[실은 매체확장] 적용사례 연구
    이승현 단국대학교 [2009]
  • 그래픽노블을 통한 다중문식성의 발달
    윤은자 영어영문학 56 (4) : 575 ~ 596 [2010]
  • 그래픽 노블의 정의
    김형석 월간 스크린 (310) [2007]
  • Not Funnies
    Charles McGrath The New York Times [2004]
  • Graphic No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