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렁덩덩신선비>와 「아메와카히코조시」의 친연성에 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김환희 2014년
' <구렁덩덩신선비>와 「아메와카히코조시」의 친연성에 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민족학
  • amewakahiko-zoshi
  • atu425thesearchforthelosthusband
  • atu425잃어버린남편탐색
  • cupidandpsyche
  • kurongdongdong-shinsonbi
  • shamanistmythsofchejuisland
  • 개미모티프
  • 건륙위설화
  • 고사기
  • 구렁덩덩신선비
  • 구전설화
  • 동물신랑
  • 뱀신랑
  • 비교연구
  • 아메와카히코조시
  • 일본서기
  • 제주도무속신화
  • 큐피드와프시케
  • 홍수설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26 1

0.0%

' <구렁덩덩신선비>와 「아메와카히코조시」의 친연성에 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의 참고문헌

  • 한중일 설화 비교연구
    최인학 민속원 [1999]
  • 한민족과 농경문화의 기원에 대한 비판적 소고
    안승모 인문연구논집 2 [1997]
  • 한국의 설화
    정인섭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7]
  • 한국구전설화집 13: 충남편 1
    박종익 민속원 [2005]
  • 한국구비문학대계 8-12: 경상남도 울산시, 울주군 편(1)
    정신문화연구원 [1984]
  • 한국구비문학대계 7-6: 경상북도 영덕군 편(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 한국구비문학대계 6-6: 전라남도 신안군 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 조선시대의 칠성탱화
    姜素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 조선설화집
    손진태 민속원 [2009]
  • 제주도전설
    진성기 백록 [1993]
  • 제주도무속자료사전
    현용준 [1980]
  •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한국 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장주근 [2013]
  • 제주도 무가
    현용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 전북민담
    최래옥 형설출판사 [1979]
  • 임석재전집 6 한국구전설화: 충청북도 편/ 충청남도 편
    임석재 평민사 [2003]
  • 일본의 '날개옷(羽衣)' 설화 고찰
    이선아 제주대학교 [2013]
  • 일본고전문학에 나타난 「사(뱀)」 연구 : 한일 설화문학의 비교연구를 위한 시론
    田阪正則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 역주 일본서기 2
    연민수 동북아역사재단 [2013]
  • 역주 일본서기 1
    연민수 동북아역사재단 [2013]
  • 구렁덩덩신선비와 외국 뱀신랑설화의 서사구조와 상징성에 대한 비교문학적 고찰
    김환희 동화와 번역 4 [2002]
  • 구렁덩덩시선비 설화와 큐비드사이키 설화와의 대비
    임석재 인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85]
  • 고사기
    노성환 민속원 [2009]
  • 고구려 고분벽화와 일본의 칠석설화
    노성환 일어일문학연구 64 (2) : 287 ~ 304 [2008]
  • 경북민담
    김광순 형설출판사 [1978]
  • 日本昔話事典
    稻田浩二 弘文堂 [1977]
  • 御伽草子集: 新潮日本古典集成 第34回
    松本隆信 新潮社 [1980]
  • 増訂 日本神話伝説の研究 2
    高木敏雄 乎凡社 [1974]
  • 中世小説七夕と先行文献の関係について
    勝俣 隆 長崎大学教育学部人文科学研究報告 54 [1997]
  • いまは昔むかしは今1 瓜と竜蛇
    網野善彦 福音館書店 [1989]
  • 박사
    ‘구렁덩덩신선비’ 설화 연구
    김경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7]
  • The Types of the Folktale: A Classification and Bibliography, FF Communications, No. 184, 1961
    Antti Aarne Suomalainen Tiedeakatemia [1973]
  • The Types of International Folktales: A Classification and Bibliography Based on the System of Antti Aarne and Stith Thompson, Vols 1-3, FF Communications No. 284-86
    Hans-Jörg Uther Academia Scientiarum Fennica [2004]
  • The Historic-Geographic Method: Past and Future
    Christine Goldberg Journal of Folklore Research 21 (1) : 1 ~ 18 [1984]
  • <구렁덩덩신선비 >의 전승 양상 연구
    최교연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구렁덩덩신선비 >의 신화적 성격
    서대석 고전문학연구 3 [1986]
  • (화계 박영만의) 조선전래동화집
    박영만 한국국학진흥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