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시조의 표현양태 변모과정 연구 -구술성과 문자성을 중심으로-

' 근대시조의 표현양태 변모과정 연구 -구술성과 문자성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n hwak
  • choinamseon
  • choiyoungneon
  • formula
  • leebeonggi
  • leeeunsang
  • leekwangsoo
  • literacy
  • modern sijo
  • orality
  • 구술성
  • 근대 시조
  • 문자성
  • 안확
  • 이광수
  • 이병기
  • 이은상
  • 정형구
  • 최남선
  • 최영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31 1

0.0%

' 근대시조의 표현양태 변모과정 연구 -구술성과 문자성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시의 시조화 방법에 대한 고찰
    정병욱 국어국문학 49․50合 [1970]
  • 한국문학통사 . 4
    조동일 지식산업사 : 278 ~ [1984]
  • 한국개화기 저항시가론
    박을수 아세아문화사 : 211 ~ [2001]
  • 한국 고전시가의 근대적 변전과정 연구
    박애경 소명출판 : 22 ~ [2008]
  • 한국 개화기 시가 연구
    김영철 새문사 [2004]
  • 칠언당음
    하지장 박이정 [2005]
  • 최영년의 고시조 연구와 그 의의
    이상원 한국언어문학 (58) : 83 ~ 106 [2006]
  • 최남선의 잡지 발간과 초기 근대문학의 재편-『소년』, 『청춘』의 문학사적 역할과 위상
    한기형 대동문화연구 11 (45) : 221 ~ 260 [2004]
  • 중국시가선
    왕유 을유문화사 : 105 ~ [2007]
  • 조선문단
    [1924]
  • 절대적 보편과 형상에 대한 신념 -김억의 언어 인식과 시학-
    구인모 현대문학의 연구 (45) : 243 ~ 273 [2011]
  • 작가의 탄생과 근대문학의 재생산 제도
    박헌호 소명출판사 : 81 ~ [2008]
  • 애국계몽기 시조의 제특질과 그 역사적 의의
    고미숙 어문논집 33 [1994]
  • 신민
  • 신문계
  • 시조와 한시의 갈래교섭 양상에 관한 연구사적 검토
    김석회 고전문학과 교육 2 [2000]
  • 시조는 혁신하자
    이병기 동아일보 [1932]
  • 소년
  • 별건곤
  • 무단통치기 문화정책의 성격-잡지신문계를 통한 사례 분석
    한기형 민족문학사연구 9 [1996]
  • 근대의 책 읽기
    천정환 푸른역사 : 111 ~ [2004]
  • 근대문학에서의 전통 형식 재생의 문제
    차승기 상허학보 17 : 30 ~ [2006]
  • 근대 시조담론 형성과정 연구 :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 시조 인식 변모를 중심으로
    배은희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2]
  •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월터 J. 옹 문예출판사 : 59 ~ [1995]
  •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 개화기시가연구
    권오만 새문사 : 137 ~ [1989]
  • 개화기 시조의 시적 형식에 대하여
    권영민 한국학보 15 [1979]
  • 개화기 시가의 수사법 연구 - 반복과 패러디 기법을 중심으로 -
    김영철 어문연구(語文硏究) 39 (3) : 257 ~ 284 [2011]
  • 自山安廓國學論著集
    여강출판사 [1994]
  • 漢詩의 時調化에 나타난 時調의 특성 硏究
    羅貞順 이화여자대학교 [1981]
  • 時調쟝르의 時代的 變貌와 그 意味
    羅貞順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 時調의 意的 構成
    이광수 동아일보 [1928]
  • 時調란 무엇인고
    이병기 동아일보 [1926]
  • 時調短型 芻議(一)
    이은상 동아일보 [1928]
  • 文士와 수양(修養)
    이광수 창조 (8) [1921]
  • 『동아일보』와 시조 정전
    강영미 한국시학연구 (33) : 123 ~ 148 [2012]
  • 『大韓民報』 시조에 나타난 계몽기 시가의 전환과 대응 양상⑴ -매체 변화와 내용 특성을 중심으로-
    조해숙 한국시가연구 26 : 79 ~ 112 [2009]
  • 20세기 초 시가의 새로운 소통 매체 출현과 그 의미
    고은지 어문논집 (55) : 37 ~ [2007]
  • 1920-30년대 시조의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이형대 한국시가문화연구 (21) : 265 ~ 293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