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기 지역 사회운동의 주도세력 변화와 그 함의

' 일제시기 지역 사회운동의 주도세력 변화와 그 함의'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
  • colonial modernity
  • local community
  • localresidents
  • social movement
  • traditionalauthority
  • 사회운동
  • 식민지 근대성
  • 전통적권위
  • 지역사회
  • 지역주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154 0

0.0%

' 일제시기 지역 사회운동의 주도세력 변화와 그 함의' 의 참고문헌

  • 「長興農民共濟會
    조선일보 [1924]
  • 兩團體 發起로 水害救濟會 組織, 警察은 기부금 모집 不許
    중외일보 [1930]
  • 한국 사회과학의 새로운 모색
    김동춘 창작과비평사 : 254 ~ [1997]
  • 지역전통과 정체성의 문화정치
    정근식 경인문화사 : 20 ~ 21 [2004]
  • 지방유지의 '식민지적' 삶
    지수걸 역사비평 (90) : 156 ~ 180 [2010]
  • 전남 장흥읍내에 불온 격문을 살포
    조선일보 [1935]
  • 장흥동학농민혁명사
    박맹수 [1992]
  • 장흥군지 : 600 ~ 620
  • 장흥군지 : 116 ~ 118
  • 일제하 농민조합운동 연구-1930년대 혁명적 농민조합운동
    지수걸 역사비평사 : 244 ~ 272 [1993]
  • 일제시기 충남 부여·논산군의 유지집단과 혁신청년집단
    지수걸 한국문화 (36) : 193 ~ 247 [2005]
  • 일제시기 지역주민운동의 전개과정 분석 ―장시를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허영란 역사문제연구 13 (1) : 213 ~ 249 [2009]
  • 박사
  • 일제시기 지역사회에서 전통적 권위질서의 지속과 변용 ―전남 장흥군 鄕校 校任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기 역사문제연구 13 (1) : 251 ~ 293 [2009]
  • 일제시기 모범부락의 내면과 그 기억 -전남 강진군 성전면 수양리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기 韓國史學報 (38) : 325 ~ 366 [2010]
  • 일제시기 면 단위 유력자의 구성과 지역정치 ―전남 長興郡 蓉山面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기 대동문화연구 (67) : 37 ~ 85 [2009]
  • 영회당사료집 : 175 ~ 181
    장흥군 [1999]
  • 역사와 현장
    이종범 남풍 : 199 ~ 202 [1990]
  • 역사와 현장
    한국현대사사료연구소
  • 식민지의 회색지대
    윤해동 역사비평사 [2003]
  • 식민지 근대의 패러독스
    윤해동 휴머니스트 : 89 ~ [2007]
  • 사회의 발견-식민지기 ‘사회’에 대한 이론과 상상, 그리고 실천(1910~1925)
    김현주 소명출판 [2013]
  • 밀매자 문제로 長興海苔組合紛糾
    중앙일보 [1932]
  • 맛질의 농민들
    이영훈 일조각 [2001]
  • 김재계의 독립운동 연구
    김기삼 장흥문화원 [1994]
  •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주역 왕재일에 관한 새 발굴 자료 연구
    진동혁 동양학 17 [1987]
  • 경계 허물기와 가로지르기 –일제 식민지 시기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기훈 역사학보 (215) : 43 ~ 72 [2012]
  • 靑盟委員等 十餘名檢束, 長興 南面을 中心하여서
    동아일보 [1932]
  • 靈巖農民 데모事件 28명 送局
    동아일보 [1932]
  • 長興의 諸講演
    조선일보 [1926]
  • 長興靑盟臨總
    조선일보 [1929]
  • 長興靑盟臨時大會禁止
    중외일보 [1930]
  • 長興靑盟定期大會, 禁止가 많았다
    중외일보 [1930]
  • 長興靑盟大會 지난 25일
    동아일보 [1930]
  • 長興靑盟大會
    조선일보 [1931]
  • 長興靑盟 委員會
    조선일보 [1931]
  • 長興靑年臨總
    조선일보 [1926]
  • 長興靑年도 解消
    조선일보 [1931]
  • 長興靑年討論會
    동아일보 [1922]
  • 長興靑年總會
    조선일보 [1925]
  • 長興靑年會討論
    동아일보 [1922]
  • 長興靑年會總會
    동아일보 [1922]
  • 長興靑年會 討論會 開催-現代의 要求는 物質이냐 精神이냐
    동아일보 [1922]
  • 長興靑年定期會
    조선일보 [1925]
  • 長興靑年同盟 委員會 禁止
    조선일보 [1930]
  • 長興靑年同盟 南興支部 設置大會
    조선일보 [1929]
  • 長興靑年 臨時總會
    조선일보 [1929]
  • 長興靑年 決議
    시대일보 [1925]
  • 長興靑年 新活動
    동아일보 [1926]
  • 長興郡 府東勞働靑年 創立
    동아일보 [1927]
  • 長興郡 古邑靑年會 夜學
    조선일보 [1928]
  • 長興郡 印岩里 勞働夜學 發展
    조선일보 [1929]
  • 長興邑에 檄文撒布
    동아일보 [1935]
  • 長興署俄然緊張
    동아일보 [1932]
  • 長興檢擧事件 秘社嫌疑인 듯
    동아일보 [1932]
  • 長興新興勞働 盛況-普校에 入學하지 못한 兒童을 위하여 講習會를 設立
    조선일보 [1928]
  • 長興新支 記念式 經過, 主要事項 討議 禁止
    중외일보 [1930]
  • 長興新幹支會 定期大會
    조선일보 [1929]
  • 長興新幹大會, 경찰이 금지
    조선일보 [1931]
  • 長興新幹 委員會
    조선일보 [1931]
  • 長興擁護同盟 지난 4일에 조직
    조선일보 [1928]
  • 長興天道敎靑年會 講演盛況
    동아일보 [1921]
  • 長興夜學對策講究 長興農民共濟會
    동아일보 [1926]
  • 長興夜學事件 執留判決, 被告 6명 전부
    조선일보 [1933]
  • 長興基靑夜學
    동아일보 [1926]
  • 長興商業同志會
    동아일보 [1930]
  • 長興 長平靑年의 美擧
    조선일보 [1929]
  • 重要事項을 決議한 長興靑年
    조선일보 [1925]
  • 農民共濟會 革新總會, 全羅農聯과 朝鮮農總에 加盟
    조선일보 [1926]
  • 讀書會 創立總會
    동아일보 [1926]
  • 謹告-장흥지국의 기자 선정
    조선일보 [1924]
  • 社告-전남 장흥분국
    시대일보 [1924]
  • 社告-장흥지국 국원 임용
    조선일보 [1925]
  • 社告-長興支局設置
    중외일보 [1930]
  • 社告-支局位置變更
    조선일보 [1928]
  • 民大發起人, 새로히 네곳에서
    동아일보 [1923]
  • 朝鮮饑饉 長興救濟會 發起會 組織
    조선일보 [1925]
  • 朝鮮總督府職員錄
    [1919]
  • 朝鮮總督府 官報
  • 朝鮮各道ニ於ケル優良面調査 : 39 ~ 40
  • 新幹長興會 定總
    동아일보 [1927]
  • 新幹長興支會
    동아일보 [1927]
  • 新幹會 長興支會 大會
    중외일보 [1927]
  • 數十餘名의 靑少年 檢擧, 가택을 수색하며 큰 법석, 長興署俄然緊張
    동아일보 [1932]
  • 康津小作爭議 15명 公判
    동아일보 [1932]
  • 寶城靑年 庭球遠征
    동아일보 [1921]
  • 家垈 팔아 會館을 유지한 朴東日氏 熱心
    조선일보 [1926]
  • 天道敎長興郡宗理院
    天道敎會月報 : 47 ~ 48 [1924]
  • 夜學赤化事件 長興에서 公判,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조선일보 [1933]
  • 在滿同胞擁護와 各地團體-長興의 對策, 義捐金 募集 決意
    조선일보 [1928]
  • 各洞에 農民夜學 설치, 赤化思想을 注入
    동아일보 [1932]
  • 南面 검거사건 6인 公判回附, 夜學을 통해 赤化宣傳
    조선일보 [1933]
  • 南興靑年同盟 創立期成會
    조선일보 [1929]
  • 兩靑年團 庭球大戰
    동아일보 [1922]
  • 全羅南道聯合雄辯大會
    동아일보 [1922]
  • 全南長興基靑 創立大會
    조선일보 [1929]
  • 全南の敎育と宗敎 : 19 ~
  • 3월1일 曉頭에 長興邑에 檄文 撒布, 내용 격렬한 삐라 數百枚
    조선중앙일보 [1935]
  • 19세기 후반~20세기 중반 동계와 마을자치 : 전남 장흥군 용산면 어서리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기 서울대 [2007]
  • 1920년대 전남지방의 청년단체와 청년운동―사회정치적 공간의 구성과 변화를 중심으로
    이기훈 역사문제연구 15 (2) : 171 ~ 208 [2011]
  • 1920,30년대 康津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박찬승 지방사와 지방문화 14 (1) : 151 ~ 202 [2011]
  • 1862년 농민항쟁
    망원한국사연구실 동녘 : 302 ~ 308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