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기 읍·면협의회와 지역정치

' 일제시기 읍·면협의회와 지역정치'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
  • eupandmyeonsystem
  • eupcouncil
  • local community
  • localadministrationsystem
  • localpolitics
  • localresidents
  • myeoncouncil
  • publicness
  • 공공성
  • 면협의회
  • 읍·면제
  • 읍회
  • 지방행정제도
  • 지역사회
  • 지역정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709 0

0.0%

' 일제시기 읍·면협의회와 지역정치' 의 참고문헌

  • 六七年前부터 移轉을 計劃
    東亞日報 [1929]
  • 不知鹿死誰手의 枇峴 牛市 爭奮戰
    朝鮮日報 [1929]
  • 한국 지방제도·자치사연구(상)
    손정목 일지사 : 171 ~ 301 [1992]
  • 초계면 당국자에 여함, 시장 이전 문제로
    동아일보 [1936]
  • 지배와 자치-식민지기 촌락의 삼국면 구조
    윤해동 역사비평사 [2006]
  • 일제하 충남 서산군의 ‘관료󰠀유지 지배체제’
    지수걸 역사문제연구 10 : 72 ~ [1999]
  • 일제초기의 면 운영과 ‘조선면제’의 성립
    홍순권 역사와현실 23 [1997]
  • 일제시기 지역주민운동의 전개과정 분석 ―장시를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허영란 역사문제연구 13 (1) : 213 ~ 249 [2009]
  • 일제시기 지역사회와 식민지 공론장 -장시갈등을 중심으로-
    허영란 한국사연구 (161) : 349 ~ 381 [2013]
  • 일제시기 장시 연구: 5일장의 변동과 지역주민
    허영란 역사비평사 : 202 ~ 203 [2009]
  • 일제시기 장시 연구 - 5일장의 변동과 지역주민
  • 일제시기 언양 천도교계 지역엘리트의 사회운동
    정계향 울산대학교 [2011]
  • 일제시기 面職員의 존재형태와 해방 후 활동 - 울주군 상북면 사례 -
    홍은정 역사와 세계 35 : 229 ~ 283 [2009]
  • 우시장 문제로 면장 면협 배척, 면장 맘대로 이전한다
    동아일보 [1933]
  • 여주시화:시장이전 문제
    동아일보 [1933]
  • 시가지 개조를 둘러싼 지역주민의 식민지 경험-안성의 철도.시장.공원 그리고 지역주민
    허영란 역사문제연구 17 [2007]
  • 대저시장 위치, 면협의원들을 소집하고 2개소 설치를 결정
    동아일보 [1932]
  • 대저면시장 필경 양처로 분설, 면장 배척문제도 해결
    동아일보 [1932]
  • 기로에 선 촌락
    김민철 혜안 [2012]
  • 근현대 울산지역 장시 변동과 지역질서의 재편
    허영란 역사와경계 (81) : 63 ~ 104 [2011]
  • 고창시장 이전문제
    동아일보 [1938]
  • 面議會의 決定한 市場基地反對
    동아일보 [1929]
  • 面行政論(5)
    張勝源 朝鮮地方行政 10 (1) : 80 ~ [1931]
  • 面治の現狀と刷新改善の根本策
    HM生 朝鮮地方行政 10 (8) : 10 ~ [1931]
  • 面協議會員選擧に對する感想
    高武公美 朝鮮地方行政 10 (8) : 52 ~ 53 [1931]
  • 面制と邑面制との相違要點(二)
    朝鮮地方行政 10 (5) [1931]
  • 面制と邑面制との相違要點(一)
    朝鮮地方行政 10 (3) : 142 ~ 146 [1931]
  • 邑,面協議會員選擧を終りて
    泉崎三郞 朝鮮地方行政 10 (8) : 58 ~ 59 [1931]
  • 載寧公設市場 10월중에 개시
    동아일보 [1934]
  • 論山市場 問題 協議
    동아일보 [1922]
  • 自治制下最初の選擧を了りて
    金禮顯 朝鮮地方行政 10 (7) : 58 ~ [1931]
  • 自治制下最初の選擧を了りて
    萬壽生 朝鮮地方行政 10 (7) : 55 ~ [1931]
  • 自治制下最初の選擧を了りて
    朴在弘 朝鮮地方行政 10 (7) : 47 ~ 48 [1931]
  • 自治制下最初の選擧を了りて
    砂田又一 朝鮮地方行政 10 (7) : 52 ~ [1931]
  • 自治制下最初の選擧を了りて
    矢島衫造 朝鮮地方行政 10 (7) : 38 ~ [1931]
  • 自治制下最初の選擧を了りて
    河村廉平 朝鮮地方行政 10 (7) : 42 ~ [1931]
  • 紛糾中에 잇는 牛市移轉 또 延期
    東亞日報 [1931]
  • 牛市場移轉한다고 北靑面長 排斥運動 決議 四個條를 郡當局에 陳情
    동아일보 [1927]
  • 牛市場移轉問題로 六十名 冒雨陳情
    朝鮮日報 [1929]
  • 牛市場移轉問題로 枇峴西部民이 道에 陳情
    朝鮮日報 [1929]
  • 枇峴牛市場移轉
    東亞日報 [1931]
  • 枇峴替馬市의 牛市移轉問題 」
    東亞日報 [1929]
  • 朝鮮自治權擴張と吾人の覺悟
    市野澤酉之助 朝鮮地方行政 10 (1) : 94 ~ 95 [1931]
  • 朝鮮自治權擴張と吾人の覺悟
    李殷民 朝鮮地方行政 10 (3) : 50 ~ 51 [1931]
  • 朝鮮自治權擴張と吾人の覺悟
    曹圭淑 朝鮮地方行政 10 (3) : 48 ~ [1931]
  • 朝鮮自治權擴張と吾人の覺悟
    朱源 朝鮮地方行政 10 (1) : 100 ~ [1931]
  • 朝鮮總督府 官報
  • 朝鮮地方制度の改正に就て
    今村武志 朝鮮地方行政 10 (1) [1931]
  • 改正地方選擧權者と其年齡
    戶張守治 朝鮮地方行政 10 (5) : 24 ~ [1931]
  • 改正地方制度實施に就て
    斎藤實 朝鮮地方行政 10 (5) : 1 ~ [1931]
  • 改正地方制度の實施に臨みて
    渡邊忍 朝鮮地方行政 10 (5) : 14 ~ 15
  • 府邑面雜誌
    覆面子 府邑面雜誌社 : 17 ~ [1932]
  • 府會,邑會竝に面協議會に就て
    河村雅亮 朝鮮地方行政 10 (7) [1931]
  • 府,邑會議員及面協議員の選擧を終りに
    鹿野宏 朝鮮地方行政 10 (8) : 45 ~ [1931]
  • 市街 露店移轉 市民들은 反對, 載寧面에 又一問題
    동아일보 [1934]
  • 市場規則取扱手續
    朝鮮總督府官報 (3355) [1923]
  • 密陽魚市 問題로 市民代表 陳情
    동아일보 [1931]
  • 場과 露店移轉은 載寧 商民 死活問題 面協議會 決意를 撤廢하라고 80대표가 郡面을 訪問
    동아일보 [1934]
  • 地方自治制最初の選擧を終りて
    阿部千一 朝鮮地方行政 10 (8) : 50 ~ [1931]
  • 地方自治制施行に際して
    兒玉秀雄 朝鮮地方行政 10 (5) [1931]
  • 地方自治制の第一步
    兒玉秀雄 朝鮮地方行政 10 (1) : 21 ~ [1931]
  • 地方自治に就て(二)
    富永文一 朝鮮地方行政 10 (10) : 31 ~ [1931]
  • 地方政治と自治體の議員
    富永文一 朝鮮地方行政 10 (5) : 16 ~ 17 [1931]
  • 地方制度の改正と其の將來
    今村武志 朝鮮地方行政 10 (5) : 12 ~ 13 [1931]
  • 問題 많은 枇峴 牛市場
    東亞日報 [1932]
  • 古道里新基地로 海南邑市場移轉
    동아일보 [1931]
  • 區長の費用辨償を增算し待遇を改善せよ
    安相千 朝鮮地方行政 10 (1) : 218 ~ [1931]
  • 仁甫市 확장계획
    조선일보 [1924]
  • 三陟農民千餘名 近德面事務所 襲擊破壞, 市日利用하야 大擧動騷
    동아일보 [1931]
  • 3ㆍ1운동의 지역성과 집단적 주체의 형성 - 경기도 안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
    허영란 역사와경계 (72) : 155 ~ 181 [2009]
  • 19세기 후반~20세기 중반 동계와 마을자치 : 전남 장흥군 용산면 어서리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기 서울대학교 [2007]
  • 1930년대 전반기 면 행정 강화정책과 면민들의 대응
    정미성 서울대학교 [2004]
  • 1930년대 일제의 지방지배와 면 행정
    김익한 한국사론 37 [1997]
  • 1920~1930년대 동래의 지방선거와 조선인 당선자들
    홍순권 한국근현대사연구 (52) : 109 ~ 144 [2010]
  • 1920년대 후반~1930년대 전반기 조선총독부의 면 재정 정비과정과 그 의미
    정미성 역사와 현실 56 (56) : 203 ~ 235 [2005]
  • 1920년대 일제의 지방지배정책과 그 성격
    김익한 한국사연구 93 [1996]
  • 1910년대 일제의 지방지배 정책-행정 구획 통폐합과 면제를 중심으로
    김익한 사회와역사 50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