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학계 반식민 역사학 정립 과정에서 실증사학의 위상 변화

' 한국사학계 반식민 역사학 정립 과정에서 실증사학의 위상 변화'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
  • historicism
  • japanesecolonialhistoriography
  • koreanhistoricalworld
  • positivisthistoriography
  • ranke
  • 랑케
  • 식민사학
  • 실증사학
  • 역사주의
  • 한국사학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202 0

0.0%

' 한국사학계 반식민 역사학 정립 과정에서 실증사학의 위상 변화' 의 참고문헌

  • 「論壇時評 朝鮮史硏究의 國際性 (四)
    全永植 조선중앙일보 [1935]
  • 「朝鮮初期 兩班硏究」 펴낸 李成茂교수
  • 歷史科學方法論 -󰡔이데-󰡕型에서 󰡔觀念形態型󰡕에
    鄭賢奎 조선일보 [1936]
  • 歷史敎育의 要諦
  • 歷史學의 硏究, 그의 黨派性과 방법론 (一), (二)
    洪起文 조선일보 [1935]
  • 현대한국사학사
    조동걸 나남출판 : 238 ~ [1998]
  • 현대 한국사학과 사관
    홍승기 일조각 : 41 ~ [1991]
  • 한국의 역사인식(하)
    이우성 창작과 비평사 : 538 ~ 539 [1977]
  • 한국사학의 현황과 전망
    한우근 한국학논집 2 [1982]
  • 한국사학의 방향
    이기백 일조각 : 118 ~ [1995]
  • 한국사학사의 연구
    강만길 을유문화사 [1985]
  • 한국사학사연구
    김철준 서울대출판부 : 138 ~ [1990]
  • 한국사학사론
    이기백 일조각 : 199 ~ 200 [2011]
  • 한국사의 진실을 찾아서
    이기백 한국사시민강좌 35 : 237 ~ [2004]
  • 한국사연구에 있어서의 사료와 실증
    이성무 한국사연구 : 177 ~ [1995]
  • 한국사신론 新修版
    이기백 일조각 : 3 ~ 5 [1990]
  • 한국사상의 재구성
    이기백 일조각 : 135 ~ [1991]
  • 한국사 인식과 역사이론
    방기중 김용섭교수 정년기념 한국사학논총 간행위원회 : 101 ~ 103 [1997]
  • 한국사
    이영호 한길사 : 181 ~ [1994]
  • 학문적 고투의 연속
    이기백 한국사시민강좌 4 : 164 ~ 165 [1989]
  • 초기 한국사학(韓國史學)의 오리엔탈리즘― 실증사학과 유물사학의 과학관과 민족사 인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
    박용희 이화사학연구 (32) : 35 ~ 54 [2005]
  • 창립에서 광복까지
    이병도 진단학보 57 : 221 ~ [1984]
  • 박사
  • 일진회의 문명화론과 친일활동
  • 박사
  • 일본·한국에 있어서의 한국사서술
    김용섭 역사학보 31 : 137 ~ [1966]
  • 일본 동양학의 구조
    스테판 다나카 문학과지성사 : 96 ~ [2004]
  • 이상백저작집 제1권
    이상백 을유문화사 : 4 ~ 8 [1978]
  • 이상백저작집
    이상백 을유문화사 : 521 ~ 522 [1978]
  • 이상백의 사회사 연구 -방법론적 검토를 중심으로
    김필동 사회와 역사 40 : 108 ~ 109 [1993]
  • 이병도와 김석형―실증사학과 주체사학의 분립
    김일수 역사비평 (82) : 96 ~ 125 [2008]
  • 이기백의 사학과 한국고대사 연구
    전덕재 한국고대사연구 (53) : 81 ~ 124 [2009]
  • 이기백사학과 민족문제
    김당택 역사학보 190 : 325 ~ [2006]
  • 월간중앙
  • 우리 民族史의 性格
    이인영 學風 (창간) : 11 ~ [1948]
  • 올바른 歷史觀을 갖자
    朴炳培 동아일보 [1981]
  • 역사학의 세기 -20세기 한국과 일본의 역사학-
    김기봉 휴머니스트 : 298 ~ [2009]
  • 역사학에 있어서의 역사주의와 실증주의
    이희환 군산대학교 논문집 21 : 109 ~ [1995]
  • 역사가의 시간 –강만길 자서전-
    강만길 창비 : 197 ~ 204 [2010]
  • 역사가의 遺香 -두계이병도선생추념문집-
    진단학회 일조각 : 202 ~ [1991]
  • 실증사학의 벽을 넘어 새로운 역사 읽기 -한국고대사연구 100년 : 현재-쟁점
    이종욱 역사학보 170 : 312 ~ 314 [2001]
  • 실증사학의 반성과 전망
    이장우 한국사시민강좌 20 : 34 ~ [1997]
  • 식민사학과 반식민사학
    김기승 한국역사입문 3 : 420 ~ 421 [1996]
  • 식민사학과 민족사학의 관학아카데미즘
    김종준 소명출판 [2013]
  • 식민사학과 민족사학의 관학아카데미즘
  • 서인식전집 Ⅰ-역사와 문화
    차승기 역락 : 171 ~ [2006]
  • 서양사학사론
    이광주 법문사 : 253 ~ 259 [1977]
  • 새로운 歷史學의 課題
    이인영 鶴山李仁榮全集 4 : 364 ~ 367 [1998]
  • 사관이란 무엇인가
    김영한 청람 : 73 ~ [1985]
  • 백남운전집 4, 彙編
    백남운 이론과 실천 : 124 ~ [1991]
  • 반도적 성격론 비판
    이기백 한국사시민강좌 1 : 9 ~ 10 [1988]
  • 민족사학론의 반성 - <민족사학 >을 중심으로-
    강만길 창작과 비평 39 [1976]
  • 민족사의 전망
    한우근 민족사의 이념 대학술회의 [1977]
  • 문학과 지성 : 10 ~
    이기백 [1971]
  • 내가 겪은 二十世紀(16), 斗溪 李丙燾 博士
  • 나의 한국사 연구(이기백)
    이기백 韓國史學史學報 (1) : 229 ~ 247 [2000]
  • 근대교류사와 상호인식 Ⅲ : 1945년 전후
    박찬승 아연출판부 [2008]
  • 근대 한국사학의 발전 -두계선생과 이기백 교수의 대담(1)-
    이기백 서울평론 78 [1975]
  • 국사학의 성장과정과 그 방향
    김철준 한국의 민족문화: 그 전통과 시대성 1 : 266 ~ 267 [1978]
  • 과학적 한국사학을 위한 반성과 제의 -1979-1983년도 한국사학의 회고와 전망 총설-
    이기백 역사학보 104 : 137 ~ [1984]
  • 과학과 현대문화 -특히 과학 데이에 寄함
    서인식 동아일보 [1939]
  • 고병익·이기백의 학문과 역사연구
    민현구 한림대학교출판부 : 183 ~ [2007]
  • 고병익·이기백의 학문과 역사연구
    이기동 한림대학교출판부 : 126 ~ 136 [2007]
  • 경성제국대학 사학과의 자장(磁場)
    장신 역사문제연구 15 (2) : 45 ~ 83 [2011]
  • 鶴山 李仁榮의 역사의식
    김성준 국사관논총 84 : 135 ~ [1999]
  • 韓國文化를 생각한다. 내일의 座標를 위하여 (5) “歷史學의 社會科學化 시급”
  • 韓國學센터를 反對한다
  • 韓國古代史硏究 統一的인 古代史體系를 試圖
    李丙燾 동아일보 [1976]
  • 震檀學報 第三卷을 읽고
    金俊 조선중앙일보 [1935]
  • 陶南의 생애와 학문
    김명호 고전문학연구 (27) : 23 ~ 64 [2005]
  • 陶南雜識
    조윤제 을유문화사 : 380 ~ 381 [1964]
  • 鄭寅普論 (二)
    天台山 조선중앙일보 [1936]
  • 鄭寅普論 (三)
    天台山 조선중앙일보 [1936]
  • 鄭寅普論 (一)
    天台山 조선중앙일보 [1936]
  • 貴重한 鮮血로서 歷史를 創造!
    朝鮮總督 南次郞 조선일보 [1939]
  • 統一院 주최 학술회의 결산 “民族主義 이념만이 同質性 회복의 열쇠”
  • 終章의 문턱서 되돌아본 60年代 (8), 學界 〔下〕, 國學
  • 科學의 黨派性=歷史性
    金洸鎭 청년조선 (창간) [1934]
  • 申丹齋學說의 批判
    홍기문 조선일보 [1936]
  • 獨立課程으론 絶對로 不許, 渡邊學務局長 談
  • 民族史를 肯定하기 위한 努力
  • 民族史觀과 國定敎科書
  • 朝鮮歷史敎授로 當局對某校 問題化
  • 朝鮮歷史學 硏究의 前進을 爲하여
    金洸鎭 조선일보 [1937]
  • 朝鮮歷史加增의 議
  • 朝鮮은 果然 누가 賤待하는가? (六) -安在鴻氏에게 答함-
    金南天 조선중앙일보 [1935]
  • 朝鮮硏究의 方法論
    신남철 청년조선 (창간) [1934]
  • 朝鮮文化論選集
    김영복 현대실학사 : 185 ~ [1997]
  • 朝鮮史 硏究의 方法論的 管見(上)
    金剛秀 조선일보 [1935]
  • 最近 朝鮮硏究의 業績과 그 再出發 二. 朝鮮學은 어떠케 樹立할 것인가
    신남철 동아일보 [1934]
  • 昨年朝鮮學界의 收穫과 趨勢一考(六)
    李淸源 조선중앙일보 [1936]
  • 昨年朝鮮學界의 收穫과 趨勢一考(七)
    李淸源 조선중앙일보 [1936]
  • 日本文化史序說
    西田直二郞 改造社 : 20 ~ 22 [1943]
  • 斗實餘摘
    이병도 박영사 : 195 ~ [1975]
  • 數年來 展開된 朝鮮의 點點相 論壇·評壇에 보내는 感想 二三(下)
    鄭蘆風 동아일보 [1934]
  • 延大·漢陽大 세미나서 활발한 方法論 모색 “韓國學 자료集大成이 先決과제”
  • 展望 國學硏究의 방향
    姜萬吉 동아일보 [1978]
  • 局外人의 一家言 3, 歷史哲學에의 關心 -分析으로부터 綜合에-(中)
    韓雪野 조선일보 [1937]
  • 局外人의 一家言 3, 歷史哲學에의 關心 -分析으로부터 綜合에-(上)
    韓雪野 조선일보 [1937]
  • 人間史에 置重한 「民族史學者」 -金庠基博士의 學問과 生涯人品
  • 主體바탕 開化分析, 韓㳓劤 著, 韓國開港期 商業연구
  • “모든 시대는 진리에 직결되어있다” -한국 역사학의 랑케, 이기백-
    김기봉 韓國史學史學報 (14) : 135 ~ 164 [2006]
  • “民族文化의 올바른 方向 제시를”
  • ‘내재적 발전론’ 역사인식의 궤적과 전망
    이영호 한국사연구 (152) : 239 ~ 272 [2011]
  • ‘근대의 위기’와 시간-공간 정치학 -교토학파 역사철학자들과 서인식
    차승기 한국근대문학연구 4 (2) [2003]
  • ‘국민교육헌장’의 사상적 배경과 철학자들의 역할 -국민윤리교육과 연계하여-
    김석수 역사문제연구 15 : 107 ~ 111 [2005]
  • 20세기 일본의 역사학
    가하라 게이지 삼천리 : 140 ~ 141 [2011]
  • 20세기 역사학, 21세기 역사학
    김인걸 역사비평사 : 31 ~ [2000]
  • 1930~40년대 홍기문의 역사연구
    정민영 충북대 [2011]
  • '李淸源氏著'朝鮮社會史讀本을 읽고 (一)
    金佑憲 조선중앙일보 [1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