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초기의 여성 담론과 『(名媛)新女子寶鑑』

성민경 2014년
' 1920년대 초기의 여성 담론과 『(名媛)新女子寶鑑』'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
  • (名媛)新女子寶鑑
  • 1920s
  • 1920년대
  • femininediscourse
  • goodjudgmentofhumannature
  • interest
  • kimwon-geun
  • literatureandwomen
  • resourcefulness
  • shin-yeo-ja-bo-gam((名媛)新女子寶鑑)
  • wisemotherandgoodwife
  • yeo-hoon-seo(女訓書)
  • 김원근
  • 문학과여성
  • 여성 담론
  • 여훈서
  • 지감
  • 지모
  • 현모양처
  • 흥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708 0

0.0%

' 1920년대 초기의 여성 담론과 『(名媛)新女子寶鑑』' 의 참고문헌

  • 화혼양재와 한국근대
    윤소영 어문학사 : 114 ~ 145 [2006]
  • 현모양처론과 식민지 ‘국민’ 만들기
    홍양희 역사비평 52 : 364 ~ 374 [2000]
  • 한국한문기초학사 2
    심경호 태학사 : 798 ~ 823 [2012]
  • 한국의 근대적 문학 개념 형성과정 연구
    김동식 서울대 [1999]
  • 한국여성의 자기서사(1)
    박혜숙 여성문학연구 (7) : 323 ~ 349 [2002]
  •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전
    김찬기 소명출판 : 24 ~ [2004]
  • 중세의 여성 지성과 문자의 관계
    이경하 여성문학연구 24 (24) : 31 ~ 55 [2010]
  • 조선과 일본에서의 현모양처 사상에 관한 비교 연구 : 개화기로부터 1940년대 전반을 중심으로
    川本綾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 조선 후기 女性知人譚의 존재양상과 의의
    강영순 연민학지 3 : 196 ~ [1995]
  • 조선 후기 지식인의 일상과 문화
    김경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225 ~ 263 [2007]
  • 일제강점기의 한문학 연구의 성과
    이종묵 한국한시연구 (13) : 421 ~ 445 [2005]
  • 여성의 改鑄 ―근대 일본의 ‘女傳’이라는 언설
    히라타 유미 대동문화연구 (65) : 111 ~ 151 [2009]
  • 여성성의 재발견 : 이성, 지혜, 성공의 탈영토화
    최기숙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6) : 193 ~ 230 [2003]
  •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이경하 서울대 [2004]
  • 어우야담
    유몽인 돌베개 : 122 ~ [2006]
  • 신여성, 근대의 과잉
    김수진 소명출판 : 19 ~ 467 [2009]
  • 신여성
    연구공간 수유+너머 근대매체연구팀 한겨레문화출판사 : 11 ~ 303 [2005]
  • 식민지시기 ‘현모양처’론과 ‘모더니티’ 문제
    홍양희 사학연구 (99) : 299 ~ 338 [2010]
  • 동아일보
    [1937]
  • 동아시아의 국민국가 형성과 젠더
    하야카와 노리요 소명출판 : 15 ~ 400 [2009]
  • 동아시아의 국민국가 형성과 젠더
    가토 치카코 소명출판 : 85 ~ 91 [2009]
  • 난설헌이라는 소문에 접근하기
    홍인숙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7) : 125 ~ 160 [2003]
  • 가사노동담론과 한국근대가족: 1920, 30년대를 중심으로
    김혜경 한국여성학 15 : 155 ~ [1999]
  • 熙朝軼事
  • 漢文短篇의 敍事 構造에 있어서 ‘知鑑’話素
    현혜경 한국한문학연구 9·10 : 353 ~ [1987]
  • 淵泉集
  • 東溪集
  • 朝鮮女俗考
  • 於于野談
  • 新生
  • 斐然箱抄
  • 『여자고등조선어독본』을 통해 본 여성상
    정상이 국학연구 (18) : 299 ~ 327 [2011]
  • 박사
  • 『朝鮮文藝』攷
    주승택 진단학보 62 : 161 ~ 186 [1986]
  • [朝鮮名婦傳]에 반영된 여성인식
    김지연 여성문학연구 (9) : 213 ~ 232 [2003]
  • <女性傳記 >의 서술의도 연구-16, 17세기를 중심으로-
    김미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 : 83 ~ 86 [2001]
  • 20세기 초 여훈서(女訓書)의 존재 양상과 의미
    임미정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9) : 337 ~ 360 [2009]
  • 20세기 여성 문사에 대한 사회적 시선과여성의 사회 참여 방식 -『송설당집(松雪堂集)』과 『소파여사시집(小坡女士詩集)』을 중심으로-
    강혜종 열상고전연구 (32) : 173 ~ 206 [2010]
  • 19~20세기 초 규훈서 연구
    황수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4) : 359 ~ 386 [2012]
  • 1920년대 계몽적 남성 지식인의 여성 담론 연구
    김미영 국학연구 4 : 227 ~ 311 [2004]
  • 1920-30년대 현모양처에 관한 연구 - 현모양처의 두 얼굴, 되어야만 하는 '현모' 되고싶은 '양처'
    전미경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 (3) : 75 ~ 93 [2004]
  • 1920-30년대 ‘모성담론’에 관한 연구- 『신여성』에 나타난 어머니 교육을 중심으로 -
    전미경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7 (2) : 95 ~ 112 [2005]
  • 18-19세기 중국 여성예술가의 소식과 조선의 반응
    박무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7) : 117 ~ 155 [2008]
  • 17세기 土族 여성의 한문생활, 그 보편과 특수
    이경하 국어국문학 141 : 101 ~ 120 [2005]
  • 15세기 상층여성의 문식성(literacy)과 읽기교재 『내훈』
    이경하 정신문화연구 33 (1) : 317 ~ 339 [2010]
  • (名媛)新女子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