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에서의 자유시론의 성립: 근대시의 인식과 선언

논문상세정보
' 한국과 일본에서의 자유시론의 성립: 근대시의 인식과 선언'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 free verse
  • freeverseofspokenlanguage
  • modern poetry
  • rhythm
  • 근대시
  • 리듬
  • 일본구어자유시론
  • 자유시
  • 한국자유시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676 0

0.0%

' 한국과 일본에서의 자유시론의 성립: 근대시의 인식과 선언' 의 참고문헌

  • 한국의 일본 상징주의 문학 번역과 그 수용 - 주요한과 황석우를 중심으로
    구인모 국제어문 (45) : 107 ~ 139 [2009]
  • 한국근대시의 형성과 율의 이념
    박슬기 소명출판 [2011]
  • 한국 근대시의 형성과 최남선의 산문시 -‘읽는 시’의 율적 가능성-
    박슬기 한국근대문학연구 (26) : 41 ~ 66 [2012]
  • 한국 근대 번역 문학사 연구
    김병철 을유문화사 [1998]
  • 폐허
  • 태서문예신보
  • 창조시대
    주요한 자유문학 [1956]
  • 창조
  • 장미촌
  •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가라타니 고진 민음사 [1997]
  • 일본 상징주의의 수용 양상 연구
    박은비 우리문학연구 (21) : 333 ~ 363 [2007]
  • 매일신보
  • 김억의 번역론, 조선적 운율의 정초 가능성
    박슬기 한국현대문학연구 (30) : 103 ~ 132 [2010]
  • 개벽
  • 詩の在りか-口語自由詩おめぐる間い
    佐藤伸宏 笠間書院 [2011]
  • 有明の沈默-詩論にみる口語自由詩運動との葛藤
    菅原克也 東京工業大学 人文論叢 (18) [1992]
  • 声の祝祭-日本近代詩と戦争
    坪井秀人 名古屋大学出版会 [2003]
  • 口語自由詩の発生 - Vers libreをめぐって
    成谷 麻理子 比文学年誌 (46) [2010]
  • 口語自由詩の形成
    羽生康二 雄山閣 [1989]
  • 41 / 新潮(明治 41年 10月号)
  • 41 / 文庫 (明治 41年2月号)
  • 40 / 早稻田文學(明治 40年-41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