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시군구의 자족성 변화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시군구의 자족성 변화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위생, 도시, 환경공학
  • analytic hierarchy process
  • self - sufficiency
  • seoulmetropolitanarea(sma)
  • spatial autocorrelation
  • time-series analysis
  • 계층 분석법
  • 공간적 자기상관
  • 수도권
  • 시계열 분석
  • 자족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020 0

0.0%

' 수도권 시군구의 자족성 변화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한국의 신도시 계획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자족기반요소에 관한 비교분석
    김현 2007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007]
  • 출근목적 통행량을 이용한 수도권 도시의 자족성평가 연구
    조명기 한양대학교 [2011]
  • 지속가능한 신도시개발을 위한 계획지표연구
    강동진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7 (3) : 1 ~ 30 [2005]
  • 자족기능확충을 위한 도시(택지)개발방안
    이성룡 [2001]
  • 인천통계연보
  • 신도시의 자족성과 교통
    김현수 토지개발기술 14 (3) : 94 ~ 103 [2001]
  • 신도시의 경제적 자족성 확보를 위한 자족용지 배분기준 산출 및 적용방안 연구
    서종대 한양대학교 [2011]
  • 신도시 자족성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서창규 이우종 2006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06]
  • 수도권신도시의 자족기반 실태분석과 강화방안
    김현수 국토계획 40 (6) : 83 ~ 94 [2005]
  • 수도권 신도시 지가변동 추이 비교 분석 : 분당, 일산, 평촌을 중심으로
    정호진 2005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005]
  • 수도권 5개 신도시 자족수준 변화에 관한 연구
    장준상 국토계획 41 (2) : 43 ~ 56 [2006]
  • 수도권 1기 신도시의 자족성 및 중심성 분석
    김흥순 정다운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 (2) : 103 ~ 116 [2010]
  • 서울통계연보
  • 서울대도시권의 통근. 통학자 분석을 통한 도시간 상호작용 검증(1990-2000)
    박제인 2006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06]
  •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수도권 공간구조와 그 변화: 1995-2005년
    이종상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 (3) : 91 ~ 100 [2008]
  • 분당 신도시의 성장과 상권의 변화과정
    이창무 국토계획 41 (6) : 65 ~ 78 [2006]
  • 분당 상권의 형성과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이창무 국토계획 38 (7) : 271 ~ 284 [2001]
  • 미국 기존 도시사례 비교분석을 통한 도시자족성 증대 가능요소 분석
    오동훈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8 (1) : 25 ~ 52 [2006]
  • 도시자족성의 개념 및 강화방안
    박은관 토지와 기술 19 (3) : 28 ~ 39 [2006]
  • 도시의 이해
    권용우 박영사 [2009]
  • 도시의 계획과 관리를 위한 공간정보활용 GIS
    대한국토 보성각 [2010]
  • 공공택지 조성 및 공급제도 발전방안 연구
    김근용 [2004]
  • 박사
  • 경기통계연보
    경기도 [2005]
  • New Communities
    Raymond J. Burby Lexington Books [1976]
  • Geophysical studies of water leakages from reservoirs
    A. A. Ogilvy Geophysical Prospecting 17 (1) : 36 ~ 62 [1969]
  • GRDP(지역내 총생산) 추정을 통한 지역 간 경제력 격차 분석
    김종희 지방행정연구 24 (1) : 207 ~ 235 [2010]
  • A Model of Infrastructure Provisions for the Optimal Growth of the City
    조철주 지역연구 26 (1) : 119 ~ 134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