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에 있어서의 근대

김창록 2014년
논문상세정보
' 법에 있어서의 근대'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법학
  • coloniallaw
  • conceptofmodernity
  • koreanlaw
  • modern law
  • modernity
  • 근대
  • 근대개념
  • 근대법
  • 식민지법
  • 한국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047 0

0.0%

' 법에 있어서의 근대' 의 참고문헌

  •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1ㆍ2
    박지향 책세상 [2006]
  •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1
    박지향 책세상 [2006]
  •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1
    이영훈 책세상 [2006]
  •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1
    이철우 책세상 [2006]
  • 한국의 문화전통과 법: 갈등과 조화
    함병춘 한국학술연구원 [1993]
  • 한국에서의 ‘법과 사회’ 연구
    양 건 법과 사회 (창간) [1989]
  • 한국법제사강의 - 韓國法史上의 판례와 읽을 거리 -
    심희기 삼영사 [1997]
  • 한국법제사
    박병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86]
  • 한국 근대와 식민지 근대화 논쟁
    정연태 푸른역사 [2011]
  • 특집 : 탈근대, 탈식민, 탈민족: 포스트 담론 20년의 성찰
    민족문화연구 (57) [2012]
  • 특집 : 식민지 근대화와 탈근대
    문화과학 [2002]
  • 일제 식민지 시기의 통치체제 형성
    이철우 혜안 [2006]
  • 식민지 피지배기 법제의 기초
    김창록 법제연구 [1995]
  • 새로운 한국경제발전사
    이영훈 나남출판 [2005]
  • 법에 있어서의 근대화 - 한국법사회학의 한 시도-
    최대권 (서울대학교) 법학 13 (2) [1972]
  • 법에 있어서 [근대] 개념: 얼마나 유용한가
    이철우 법과 사회 (16) [1999]
  • 법사회학
    최대권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3]
  • 법사학의 입장에서 본 막스 베버의 역사사회학 방법론
    김창록 인권과 정의 (172) [1990]
  • 법 국가 저발전
    한인섭 이성과현실사 [1986]
  • 민법총칙(新訂版)
    곽윤직 박영사 [1995]
  • 대한민국 이야기
    이영훈 기파랑 [2007]
  • 근세의 법과 법사상
    박병호 진원 [1993]
  • 근대를 다시 읽는다 1
    윤해동 역사비평사 [2006]
  • 구미법 수용과 한국 법문화
    최종고 사상과 정책 6 (13) [1989]
  • 韓國法制史攷
    박병호 법문사 [1974]
  • 日本近代法體系의 歷史的 特質—帝國憲法(1889년) 明治民法(1898년) 體制論—
    水林彪 법사학연구 40 (40) : 43 ~ 62 [2009]
  • 制令에 관한 연구
    김창록 법사학연구 (26) : 109 ~ 171 [2002]
  • Wirtschaft und Gesellschaft
    Max Weber J.C.B. Mohr [1956]
  • The Law and Society Studies in Korea - Beyond the Hahm Theses -
    Kun Yang 법학논총 7 [1990]
  • The Korean Political Tradition and Law
    Hahm Pyong-choon Hollym Corporation: publishers [1967]
  • Korean Jurisprudence, Politics, and Culture
    Hahm Pyong-choon Yonsei University Press [1986]
  • Gesammelte Aufsätze zur Wissenschaftslehre
    Max Weber J.C.B. Mohr [1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