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 연향악의 포괄적 이해를 위한 교수ㆍ학습 내용 연구

' 궁중 연향악의 포괄적 이해를 위한 교수ㆍ학습 내용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국악
  • 2009 개정 교육 과정
  • courtmusic
  • jeongjae(courtdancewithsong)
  • sujecheon
  •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9
  • yeominrak
  • yeonhyangak(courtbanquetmusic)
  • 궁중음악
  • 수제천
  • 여민락
  • 연향악
  • 정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13 0

0.0%

' 궁중 연향악의 포괄적 이해를 위한 교수ㆍ학습 내용 연구' 의 참고문헌

  • 풍속화를 활용한 초등 국악 수업 연구-음악·사회 교과의 통합 수업 설계-
    정은경 국악교육연구 6 (2) : 103 ~ 127 [2012]
  • 조선조의 고취와 고취악
    申大澈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1995]
  • 조선조 궁중의례와 음악
    이재숙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 정읍의 창작시기와 전승과정
    임미선 한국국악학회 [2007]
  • 임인진연도병
  • 음악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12 >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1]
  • 음악 교과서의 대취타 관련 내용 분석 및 구성 방안
    정미영 국악교육연구 5 (1) : 151 ~ 179 [2011]
  • 유길준과 개화의 꿈
  • 영조정순후가례도감
  • 박사
  • 역주 경국대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 무신진차도병
  • 교방제보
  • 교과 간 통합을 통한 여민락 지도방안 연구
    박금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가무악(歌舞樂) 통합 학습 모형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윤이 국악교육연구 5 (2) : 149 ~ 179 [2011]
  • 韓國의 美
  • 朝鮮朝 殿庭軒架의 文獻的 硏究
    林美善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 朝鮮後期 細樂手의 形成과 展開
    植村幸生 韓國音樂史學報 11 [1990]
  • ‘영산재’의 교수 · 학습 내용 및 방안 연구
    허선형 국악교육연구 7 (2) : 129 ~ 153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