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 감정의 교육적 의미와 역할 : 사르트르와 레비나스를 중심으로 =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hame and its Role in Education : In Comparison of Sartres with Levinas concepts of it

손영일 2022년
논문상세정보
' 수치 감정의 교육적 의미와 역할 : 사르트르와 레비나스를 중심으로 =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hame and its Role in Education : In Comparison of Sartres with Levinas concepts of it'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
  • 감정
  • 레비나스
  • 사르트르
  • 수치심
  • 자기 붕괴적 수치심
  • 자기 형성적 수치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88 0

0.0%

' 수치 감정의 교육적 의미와 역할 : 사르트르와 레비나스를 중심으로 =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hame and its Role in Education : In Comparison of Sartres with Levinas concepts of it' 의 참고문헌

  • 혐오표현 문제 해소를 위한 시민교육 구성: 대학생의 혐오 표현 인식 및 경험을 중심으로
    배영주 현대사회와다문화. 10(1). 31-65 [2020]
  • 혐오사회와 공존의 시민성 교육: 시민교육 수업사례를 중 심으로
    정재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1). 99-118 [2019]
  • 현대시를 통한 수치의 감정 교육 연구
    윤호경 국어교육학연구. 56(4). 237-273 [2021]
  • 한국인들이 느끼는 수치심과 유가 문화적 특성간의 관련성 분석
    김태훈 초등도덕교육. 56. 219-240 [2017]
  • 한국어에서 수치심과 관련한 형용사와 요인분 석
    노재성 이호영 조선미 신경정신의학. 50. 47-53 [2011]
  • 학교통일교육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 문
    김병연 서울대학교 [2018]
  • 학교와 수치심: 가정환경조사서를 중심으로
    김영훈 이새암 교육인 류학연구. 19(2). 129-155 [2016]
  • 플라톤의 수치심에 대한 연구
    김요한 동서철학연구. 65. 5-21 [2012]
  • 플라톤의 그리스 문화 읽기: 플라톤을 읽는 8가 지 시선
    강대진 정준영 파주: 아카넷 [2020]
  • 플라톤 고르기아스편에서 고르기아스의 역할: 칼리클 레스의 부끄러움을 중심으로
    조광제 철학사상. 59. 37-66 [2016]
  • 토지에 나타나는 수치 감정과 윤리적 가능성
    김연숙 대중서사연구. 24(2). 129-161 [2018]
  • 타자의 타자성과 교육학 지식: 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에 대한 교육학적 소고
    우정길 교육철학. 45. 151-174 [2009]
  • 타인의 얼굴-레비나스의 철학.
    강영안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5]
  • 차이와 타자 현대 철학과 비표상적 사유의 모험
    서동욱 서울: 문 학과지성사 [2000]
  • 중학생의 수치심 경향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미림 홍혜영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25(1). 135-156 [2013]
  •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수치심, 분노, 반응적 공격성 의 관계와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의 역할
    안지현 이승연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26(1). 61-84 [2013]
  • 죄의식의 기원과 발달에 대한 소고
    김태훈 도덕윤리과교육. 30. 1-22 [2010]
  • 죄의식과 수치감: 자기사랑(Self-love)에 대한 재인식
    황헌영 한국 기독교상담학회지. 6. 325-356 [2003]
  • 존재의 충만, 간극의 현존1: 장 폴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강해
    조광제 서울: 그린비 [2013]
  • 존재와 무: 자유를 향한 실존적 탐색
    변광배 파주: 살림출판사 [2005]
  • 조르지오 아감벤의 수치심-특수한 시대권력에 따른 분석과 일상생활에서의 고찰 가능성
    김진애 철학연구. 51. 143-172 [2015]
  • 장폴사르트르 시선과 타자
    변광배 파주: 살림출판사 [2004]
  • 잠재적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김종서 서울: 교육과학사 [1987]
  • 인문계 고등학생의 입시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과의 관계-우울에 따른 매개효과
    김준홍 양원영 원희랑 청소년시설환경. 11(2). 59-73 [2013]
  • 인간 이해와 수치심: 아리스토텔레스와 김상정을 중심으로
    하병학 인문과학. 117. 215-242 [2019]
  • 수치의 윤리. 그 실천적 함의
    허라금 한국여성철학. 26. 205-229 [2016]
  • 수치의 규범적 효력
    이태수 인간 환경 미래. 16. 3-28 [2016]
  • 수치심의 지나친 회피와 부인에 따른 문제들과 그 가능한 해법에 대한 고찰
    서길완 인문연구. 78. 247-276 [2016]
  • 수치심의 기원과 발달에 대한 연구
    김태훈 도덕윤리과교육. 31. 29-48 [2010]
  • 수치심의 건설적 역할에 대한 고찰
    강경희 범한철학. 104. 249-274 [2022]
  • 수치심과 죄책감
    임홍빈 서울: 바다출판사 [2016]
  • 수치심과 인간다움의 이해-누스바움과 맹자의 수치심 개념 을 중심으로
    심은화 동서철학연구. 88. 317-335 [2018]
  • 수치심 문화와 죄의식 문화.
    김요한 범한철학. 64. 307-330 [2012]
  • 수치심 ‘경험’에 대한 질적 탐색
    이인숙 신학과학문. 23(3). 142-174 [2021]
  • 셸러의 부끄러움 이론을 통해 본 한국인의 수줍음
    조정옥 철학과 현상학. 9. 289-307 [1996]
  • 사회화와 교육: 부족사회 문화전승 과정의 교육학적 재검토
    조용환 파주: 교육과학사 [1997]
  • 부끄러움의 윤리학은 가능한가?
    김경호 유교사상문화연구. 66. 371-396 [2016]
  • 부끄러움의 도덕적 기능
    이선 철학논총. 55. 281-297 [2009]
  • 부끄러움의 교육적 의미. 석사학위논문
    유설아 성균관대학교 [2009]
  • 부끄러움에 대하여
    박찬영 교육논총. 49(1). 199-214 [2012]
  • 부끄러움과 파렴치
    신정근 철학과현실. 82. 31-40 [2009]
  • 부끄러움과 자기교정: 너스바움의 수치심 이론 비판. 석사학 위논문
    박언주 고려대학교 [2010]
  • 부끄러움
    이호영 서울: 청년의사 [2002]
  • 배제, 무시, 물화: 한국사회를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김원식 고 양: 사월의책 [2015]
  • 반영과 굴절 사이: 혐오 정동과 문화 재현
    김경옥 파주: 한울 아카데미 [2022]
  • 민주시민의 ‘혐오 다루기’와 교육의 과제: M. Nussbaum 과 H. Arendt를 중심으로
    배영주 문화예술교육연구. 15(1). 51-71 [2020]
  •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교육부 교육부 보도자료 (2018. 12. 13.) [2018]
  • 민주 시민성의 조건으로서 성숙한 자기 관계: 타자 인정에 의 욕구의 교육적 지위를 중심으로
    곽덕주 교육철학연구. 41(3). 1-22 [2019]
  • 모멸감: 굴욕과 존엄의 감정사회학
    김찬호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4]
  • 메리토크라시에서 데모크라시로: 마이클 영의 논의를 중심 으로
    성열관 교육학연구. 53(2). 55-79 [2015]
  • 맹자의 도덕 감정론에서 부끄러움의 의미
    정용환 철학논총. 66. 135-164 [2011]
  • 맹목적 욕망과 자기인식의 결여
    이찬 범한철학. 63. 93-124 [2011]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우울의 관계: 역기능적 분 노표현방식의 매개효과
    송미경 이진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29(2). 409-428 [2017]
  • 능력주의와 불평등: 능력에 따른 차별은 공 정하다는 믿음에 대하여
    공현 박권일 이경숙 서울: 교육공동체 벗 [2020]
  •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타인인 정욕구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남숙경 이수현 상담 학연구. 22(4). 173-194 [2021]
  • 김수영 시에 나타나는 타자의 시선과 자유의 의미-사르 트르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김지녀 한국문예비평연구. 34. 121-150 [2011]
  • 교육학용어사전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서울: 하우 [1995]
  • 교육과정 연구
    이귀윤 서울: 교육과학사 [2000]
  • 관계적 질병으로서 수치심의 이해와 치료
    김명찬 인간 환경 미래. 16. 65-97 [2016]
  •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 공포 감정의 거시 사회학
    박형신 정수남 파주: 한길사 [2015]
  • 감정 있습니까?
    몸문화연구소 서울: 은행나무 [2017]
  •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우리 모두의 진짜 자존감을 찾는 심리학 공부
    김태형 고양: 갈매나무 [2018]
  • 가르치는 이들의 부끄러움
    양은주 중등우리교육. 18-19 [2009]
  •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심성보 한국학논집. 67. 93-122 [2017]
  • ‘자기형성적 표현’으로서의 예술언어 – 자기존중을 위한 교육 에의 함의. 박사학위논문
    최진 서울대학교 [2019]
  • ‘수치심’과 ‘용기’: 유가의 전통에서 인간다운 삶의 의미에 관 하여
    이찬 철학연구. 51. 1-29 [2015]
  • thique et Infini . 김동규 옮김(2020). 윤리와 무한
    Levinas, E. 고양: 도서출판 100 [1982]
  • Zur Psychologie der Scham. 김덕영 윤미애 옮김 (2005).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부끄러움의 심리학에 대해서
    Simmel, G. 서 울: 새물결 [1901]
  • Zahavi, D.(2020). Shame. 349-357. The Routledge Handbook of Phenomenology of Emotion. T. Szanto, H. Landweer(eds.). New York: Routledge.
    [2020]
  • Winnicott, D. W.(1986). Holding and Interpretation: Fragments of an Analysis. New York: Grove Press.
    [1986]
  • Williams, B.(1993). Shame and Necessity.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 Verdinglichung. 강병호 옮김(2006). 물화: 인정이 론적 탐구
    Honneth, A. 파주: 나남출판 [2005]
  • Upheavals of Thought: The Intelligence of Emotions. 조형준 옮김(2015). 감정의 격동2: 연민
    Nussbaum, M. C. 서울: 새물결 [2001]
  • Upheavals of Thought: The Intelligence of Emotions. 조형준 옮김(2015). 감정의 격동1: 인정과 욕망
    Nussbaum, M. C. 서울: 새물결 [2001]
  • Truth Imagined. 방대수 옮김(2014). 길 위의 철학자
    Hoffer, E. 서울: 이다미디어 [2005]
  • Trigg, D.(2017). Agoraphobia, Sartre, and the Spatiality of the Look. 337-358. L. Dolezal, D. Petherbridge(eds.). Body/Self/Other: The Phenomenology of Social Encounters.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7]
  • Toward an Ethics of Shame
    Filipovic , Z. 22 ( 4 ) . 99-114 . [2017]
  • Totalit et Infini . 김도형 문성원 손영창 옮김(2018). 전체성과 무한: 외재성에 대한 에세이
    Levinas, E. 서울: 그린비 [1961]
  • Todd, S.(2008). Welcoming and Difficult Learning: Reading Levinas with Education. 170-185. Denise Egéa-Kuehne(ed.). Levinas and Education: At the Intersection of Faith and Reason. New York: Routledge.
    [2008]
  • Todd, S.(2003). Learning from the other: Levinas, Psychoanalysis, and Ethical Possibilities in Education.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3]
  • The self and others : imitation in infants and Sartre ’ s analysis of the look
    Wider , K. 32 . 195-210 [1999]
  • The human body and the significance of human movement : a phenomenological study
    Van Den Berg , J. H. 13 ( 2 ) . 159-183 . [1952]
  • The fertility of dialogue : Levinas and Plato on education
    Scott , R. G. 10 . 13-31 . [2015]
  • The Strange Order of Things: Life, Feeling, and the Making of Cultures. 임지원 고현석 옮김(2019). 느낌의 진화: 생명과 문화를 만든 놀라운 순서
    Damasio, A. 파주: 아르테 [2017]
  • The Soul of Shame. 김소영 옮김(2019). 수치심
    Thompson, C.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15]
  • The Secret Message of Shame. 김성준 옮김(2016). 부끄러움이 말해 주는 것들
    Potter-Efron, P. S. Potter-Efron, R. T. 서울: 팬덤북스 [1999]
  • The Rise of Meritocracy. 유강은 옮김(2020). 능력 주의: 2034년, 평등하고 공정하고 정의로운 엘리트 계급의 세습 이야기
    Young, M. 서울: 이매진 [1958]
  • The Malaise of Modernity. 송영배 옮김(2001). 불안 한 현대사회
    Taylor, C. 서울: 이학사 [1991]
  • The Empathic Civilization: The Race to Global Consciousness in a World in Crisis. 이경남 옮김(2010). 공감의 시대
    Rifkin, J. 서울: 민음사 [2009]
  • The Educational Imagination. 이해명 옮김(1991). 교육적 상상력
    Eisner, E. W.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1979]
  • The De of Levinas : cultivating the Heart-Mind of radical passivity .
    Kalmanson , L. & Mattice , S. 10 ( 1 ) . 113-129 . [2015]
  • The Courage to Teach. 이종인 이은정 옮김 (2014). 가르칠 수 있는 용기
    Palmer, P. J. 서울: 한문화멀티미디어 [1998]
  • Taylor, G.(1985). Pride, Shame, and Guilt: Emotions of Self-assessmen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5]
  • Tangney, J. P. & Fischer, K. W.(1995). Self-Conscious Emotions: The Psychology of Shame, Guilt, Embarassment, and Prid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995]
  • Tangney, J. P. & Dearing, R. L.(2002). Shame and Guilt.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02]
  • Surveiller et Punir . 오생근 옮김(2003). 감시와 처 벌: 감옥의 역사
    Foucault, M. 파주: 나남출판 [1975]
  • Sur la Reproduction. 김웅권 옮김(2007). 재생산 에 대하여
    Althusser, L. 서울: 동문선 [1969]
  • Solomon, R. C.(1976). The Passions. New York: Anchor Press.
    [1976]
  • Simon, R. I.(1992). Teaching Against the Grain: Texts for a Pedagogy of Possibility. Toronto: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Press.
    [1992]
  • Shame. 박소현 옮김(2019). 수치심: 고통스러운 자의식 을 다스리는 법
    Burgo, J. 서울: 현암사 [2018]
  • Shame as a self-conscious emotion and its role in identity formation
    Czub , T. 44 ( 3 ) . 245-253 . [2013]
  • Shame and moral progress
    Kekes , J. 13 . 282-296 [1988]
  • Shame and conformity : the deference-emotion system .
    Scheff , T . J. 53 ( 3 ) . 395-406 . [1988]
  • Shame and Silence .
    Janz , B . B. 30 ( 4 ) . 462-471 . [2011]
  • Shame , vulnerability and belonging : reconsidering Sartre ’ s account of shame .
    Dolezal , L. 40 ( 3 ) . 421-438 . [2017]
  • Shame , de-subjectivation and passivity - on the metaphysics of the Self in Levinas and Agamben .
    Pontin , F. 63 ( 1 ) . 190-205 . [2018]
  • Severson, E.(2018). A Time for shame: Levinas, diachrony and the hope of shame. 57-73. L. Hinton, H. Willemsen(eds). Temporality and Shame: Perspectives from Psychoanalysis and Philosophy. New York: Routledge.
    [2018]
  • Self and Other: Exploring Subjectivity, Empathy, and Shame. 강병화 옮김(2019)
    Zahavi, D. 자기와 타자: 주관성 공감 수치 심 연구 [2014]
  • Scott, R. G.(2017). The Master and the Midwife: Levinas and Plato on Teaching. Loyola University Chicago Dissertations.
    [2017]
  • Schneider, C. D.(1977). Shame, Exposure, and Privacy. Boston: Beacon Press.
    [1977]
  • Schmitz, H.(1993). Gefühle als Atmosphäre und das Affekive Betroffensein von Ihnen. in: Fink-Eitel: Lohmann.
    [1993]
  • Sartre’s ‘Being and Nothingness’. 강경덕 옮김 (2019).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입문
    Gardner, S. 파주: 서광사 [2009]
  • Sartre, J-P.(1973). Being and Nothingness: A Phenomenological Essay on Ontology. Hazel E. Barnes(trans.). New York: Washington Square Press.
    [1973]
  • Sartre, J-P. L’ tre et le N ant: Essai d’Ontologie Ph nom nologique. 정소성 옮김(2016). 존재와 무II
    서울: 동서문화사 [1943]
  • Sartre, J-P. L’ tre et le N ant: Essai d’Ontologie Ph nom nologique. 정소성 옮김(2016). 존재와 무I
    서울: 동서문화사 [1943]
  • Sartre, J-P. La Transcendance de l’Ego. 현대유럽사상연구회 옮김(2017). 자아의 초월성. 서울
    민음사 [1936]
  • Rogers, C. R.(1959). A Theory of therapy,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developed in the client-centered framework. S. Koch(Ed.). Psychology: A Study of a Science. 3. New York: McGraw-Hill.
    [1959]
  • Rochat, P.(2009). Others in Mind: Social Origins of Self-Consciousnes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 Reconsidering vulnerability in higher education
    Jackson , L. 24 ( 3 ) . 232-241 [2018]
  • Reconsidering the Look in Sartre ’ s : Being and Nothingness
    Dolezal , L. 18 ( 1 ) . 9-28 . [2012]
  • Quel che resta di Auschwitz: L’archivio e il testimone. 정문영 옮김(2012).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 문서고 와 증인
    Agamben, G. 서울: 새물결 [1998]
  • Priest, S.(2001). J ean-Paul Sartre: Basic Writings. New York: Routledge.
    [2001]
  • Plato. Timaeus. 박종현 김영균 역주 티마이오스
    파주: 서광사 [2000]
  • Plato. Symposium. 강철웅 옮김 향연
    서울: 이제이북스 [2010]
  • Plato. Republic. 박종현 역주 국가 政體
    파주: 서광사 [2005]
  • Plato. Phaedrus. 조대호 역해 파이드로스
    서울: 문예출판사 [2008]
  • Plato. Phaedo. 전헌상 옮김 파이돈
    서울: 이제이북스 [2013]
  • Plato. Meno. 이상인 옮김 메논
    서울: 이제이북스 [2009]
  • Plato. Laws. 박종현 역주 법률 미노스 에피노미스
    파주: 서광사 [2009]
  • Plato. Greater Hippias. P. Woodruff(trans.). Plato: Complete Works. Indianapolis: Hackett Publishing Company.
  • Plato. Gorgias. 김인곤 옮김 고르기아스
    서울: 이제이북스 [2011]
  • Plato. Crito. 이기백 옮김 크리톤
    서울: 이제이북스 [2009]
  • Pedagogy of the Oppressed. 남경태 옮김(2009). 페 다고지
    Freire, P. 서울: 그린비 [1970]
  • Not for Profit. 우석영 옮김(2011). 공부를 넘 어 교육으로
    Nussbaum, M. C. 서울: 궁리 [2010]
  • Neuhouser, F.(2008). Rousseau’s Theodicy of Self-love: Evil, Rationality and the Drive for Recognition. Oxford, U. K.: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 Morris, H.(1976). On Guilt and Innocence: Essays in Legal Philosophy and Moral Psycholog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6]
  • Moran, R.(2001). Authority and Estrangement: An Essay On Self-Knowled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 Mind, Self, and Society. 나은영 옮김(2005). 정신 자아 사회: 사회적 행동주의자가 분석하는 개인과 사회
    Mead, G. H. 파주: 한 길사 [1934]
  • Miller, W. I.(1997). The Anatomy of Disgus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 Man’s Search for Himself. 백상창 옮김(2020). 자아를 잃어버린 현대인
    May, R. 서울: 문예출판사 [1953]
  • Lynd, H. M.(1958). Shame and the Search for Identity. New York: Harcourt Brace.
    [1958]
  • Loidolt, S.(2020). Emmanuel Levinas. 168-176. Thomas Szanto & Hilge Landweer(eds.). The Routledge Handbook of Phenomenology of Emotion. New York: Routledge.
    [2020]
  • Lingis, A.(1981). Translator’s Introduction. In E. Levinas, Otherwise Than Being or Beyond Essence, xi-xxxix. The Hague: Martinus Nijhoff.
    [1981]
  • Lewis, H. B.(1971). Shame and Guilt in Neurosi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1]
  • Levinas, E.(1987). Collected Philosophical Papers. A. Lingis(trans.). Boston, MA: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87]
  • Le Temps et l’Autre. 강영안 옮김(1996). 시간과 타 자
    Levinas, E. 서울: 문예출판사 [1979]
  • Le Monde des motions. 김린 옮김(2016): 감 정의 힘
    Soussignan, R. 남양주: 눈출판그룹 [2013]
  • Lazarus, R. S. (1991), Emotion and adapt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 Lazarus, R. S. & Lazarus, B. N.(1994). Passion and Reason: Making Sense of Out Emot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 Larocco, S.(2018). The Other, Shame, and Politics: Levinas, Justice, and Feeling Responsible. Religions. 9. 1-17.
    [2018]
  • Kristjansson, K.(2014). Is shame an ugly emotion? four discourses – two contrasting interpretations for moral education. Studies in Philosophy and Education. 33(5). 495-511.
    [2014]
  • Konstan, D.(2006). The Emotions of the Ancient Greeks: Studies in Aristotle and Classical Literature.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6]
  • Kerény, K.(1940). La religione antica nelle sue linee fondamentali. trans. Delio Cantimori. Bologna: N. Zanchelli.
    [1940]
  • Kaufmann, G.(1996). The Psychology of Shame: Theory and Treatment of Shame-Based Syndromes. New York: Springer Pubilishing Company.
    [1996]
  • Kampf um Anerkennung. 문성훈 이현재 옮김 (2017). 인정투쟁: 사회적 갈등의 도덕적 형식론
    Honneth, A. 고양: 사월의책 [1992]
  • Judged. 이정민 옮김(2020). 평가받으며 사는 것의 의 미
    Marar, Z. 서울: 현암사 [2018]
  • Jacoby, M.(1993). Shame and the Origins of Self-Esteem: A Jungian Approach. New York: Routledge.
    [1993]
  • Jackson, L.(2021). Beyond Virtue: The Politics of Education Emotion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Is Shame Necessary? . 박아람 옮김(2017). 수치심의 힘
    Jacquet, J. 서울: 책읽는수요일 [2015]
  • I Thought It Was Just Me(But It Isn’t) . 서현정 옮김 (2019). 수치심 권하는 사회
    Brown, B. 고양: 가나출판사 [2007]
  • I Sommersi e I Salvati. 이소영 옮김(2014).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Levi, P. 파주: 돌베개 [1986]
  • Hutchinson, P.(2008). Shame and Philosophy: An Investigation in the Philosophy of Emotions and Ethics. New York: Palgrave.
    [2008]
  • Hiding from Humanity: Disgust, Shame, and the Law. 조계원 옮김(2015). 혐오와 수치심: 인간다움을 파 괴하는 감정들
    Nussbaum, M. C. 서울: 민음사 [2004]
  • Healing the Shame that Binds You. 김홍찬 고영 주 옮김(2011). 수치심의 치유
    Bradshaw, J. 서울: 사단법인 한국상담심리연구 원 [1988]
  • Harré, R. & Parrot, W. G.(eds.)(1996). The Emotions: Social, Cultural, and Biological Dimensions. London: Sage Publications.
    [1996]
  • Harris, N. & Maruna, S.(2005). Shame, shaming and restorative justice: a critical appraisal. Handbook of Restorative Justice: A Globa Perspective. Dennis Sullivan & Larry Tifft (eds.). New York: Routledge.
    [2005]
  • Grene, M.(1983). Sartre.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3]
  • Gilson, E.(2014). The Ethics of Vulnerability: A Feminist Analysis of Social Life and Practice. New York: Routledge.
    [2014]
  • Frijda, N. H., Manstead, A. S. R., & Bem, S.(Eds.)(2000). Emotions and Belief: How feelings influence thought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 Freud, S.(1961). The Future of an Illusion. Civilization and its Discontents, and Other Works. James Strachey(trans.). Vol. XXI(1927-31) of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1-56. London: The Hogarth Press and the Institute of Psycho-analysis.
    [1961]
  • Fowler, J. W.(1975). Faithful Change: The Personal and Public Challenges of Postmodern Life. Abingdon Press.
    [1975]
  • Ethics of learning and self-knowledge : two cases in the Socratic and Confucian teachings
    Kwak , D-J. 48 ( 1 ) . 7-22 . [2016]
  • Ethical significance of shame : insights of Aristotle and Xunzi .
    Cua , A. S. 43 . 191-243 . [2005]
  • Erikson, E. H.(1965). Childhood and Society. rev. edn, Harmondsworth: Penguin Books.
    [1965]
  • Emotion, Soci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A Macrosociological Approach. 박형신 정수남 옮김(2007). 감 정의 거시사회학: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
    Barbalet, J. M. 서울: 일신 사 [1998]
  • Ekman, P.(1992). Telling Lies: Clues to Deceit in the Marketplace, Politics, and Marriage. New York: Norton.
    [1992]
  • Education as text : the varieties of educational hiddenness
    Gordon , D. 18 ( 4 ) . 425-449 . [1988]
  • Edgeworth, M. & Edgeworth, R. L.(1822). Essays on Practical Education. London: Printed for R. Hunter.
  • Dunlop, T. C.(2012). Finding comfort in aporia. The Trinity Papers. 51-57.
    [2012]
  • Deeper than Reason: Emotion and its Role in Literature, Music, and Art. 조선우 옮김(2015). 감정, 이성보다 깊은: 감정 그리고 문학 음악 예술에서의 감정의 역할
    Robinson, J. 성남: 북코 리아 [2005]
  • De l’Existence l’Existant. 서동욱 옮김(2003). 존 재에서 존재자로
    Levinas, E. 서울: 민음사 [1947]
  • De l’Evasion. 김동규 옮김(2012). 탈출에 관해서
    Levinas, E. 서 울: 지식을만드는지식 [1935]
  • Contrasting experiences of shame and guilt
    Lindsay-Hartz , J. 27 ( 6 ) . 689-704 . [1984]
  • Comparison of hidden curriculum theories
    Kentli , F. D. 1 ( 2 ) . 83-88 . [2009]
  • Communication and the thesis of intentionality in Husserl , Sartre , and Levinas .
    Butchart , G. C. 17 ( 1 ) . 56-73 . [2017]
  • Coakley, M. M.(2014). Aeschynē in Aristotle’s Conception of Human Nature. Dissertations. University of South Florida. Critchley, S.(2015). The Problems with Levinas. A. Dianda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Cairns, D. L.(1993). Aidōs: The Psychology and Ethics of Honour and Shame in Ancient Greek Literatur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 Brown, B.(2014). Daring Greatly: How the Courage to be Vulnerable Transforms the Way We Live, Love, Parent, and Lead. New York: Penguin.
    [2014]
  • Biesta, G. J. J.(2013). The Beautiful Risk of Education. New York: Routledge.
    [2013]
  • Beyond Learning: Democratic Education for a Human Future. 박은주 옮김(2022). 학습을 넘어: 인간의 미래 를 위한 민주교육
    Biesta, G. J. J. 파주: 교육과학사 [2006]
  • Autrement qu’ tre ou au-del de l’essence. 문성 원 옮김(2021). 존재와 달리 또는 존재성을 넘어
    Levinas, E. 서울: 그린비 [1974]
  • Aristotle. Rhetoric. 박문재 역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파주: 현 대지성 [2020]
  • Aristotle. Nicomachean Ethics. 이창우 김재홍 강상진 옮김 니코 마코스 윤리학
    서울: 이제이북스 [2006]
  • Anerkennung: Eine europ ische Ideengeschichte. 강병호 옮김(2021). 인정: 하나의 유럽 사상사
    Honneth, A. 파주: 나남 [2018]
  • An apology for moral shame .
    Calhoun , C. 12 ( 2 ) . 127-146 . [2004]
  • Ahmed, S.(2014). The Cultural Politics of Emotion.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4]
  • A Theory of Justice. 황경식 옮김(2003). 정의론
    Rawls, J. 서울: 이학사 [1999]
  • (ed.) Emotions and Sociology. 박형신 옮김 (2009). 감정과 사회학
    Barbalet, J. M. 서울: 이학사 [2002]
  • (1872). The Expression of the Emotions in Man and Animals. 김성한 옮김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
    Darwin, C. 서울: 사 이언스북스 [2020]
  • (1755). Discours sur l’Origine de l’Inegalit parmi les Hommes. 최석기 옮김 인간불평등기원론
    Rousseau, J. J. 서울: 동서 문화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