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외래어 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anguage Policy for Loanword in Republic of Korea

김아영 2022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의 외래어 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anguage Policy for Loanword in Republic of Kore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양3국 문학
  • 국어 순화
  • 언어 정책
  • 외래어
  • 외래어 순화
  • 외래어 정책
  • 외래어 표기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25 0

0.0%

' 한국의 외래어 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anguage Policy for Loanword in Republic of Korea' 의 참고문헌

  • 현행외래어표기법과 그 안출의 사상적 배경, 어문연구7-1
    오지호 한국어 문교육연구회, pp.14-20 [1979]
  • 현행 일본어 표기법과 나의 의견, 새국어생활6-4
    강인선 국립국어연구 원, pp.122-136 [1996]
  • 현대국어국자의 제문제
    남광우 일조각 [1970]
  • 현대 국어 외래어 표기법의 변천, 현대 국어의 형성과 변천 3
    김미령 박 이정 [2000]
  •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조 사
    조남호 국립국어연구원 [2002]
  • 한글학회
    한글학회 50년사 [1971]
  • 한글민주주의
    최경봉 책과함께 [2012]
  • 한글갈
    최현배 정음사 [1941]
  • 한글 사용빈도의 분석
    강범모 김홍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7]
  • 한국의 외래어 수용과 대응, 인문과학연구논총39
    조남호 명지대학교 인 문과학연구소, pp.13-38 [2014]
  • 한국의 국어정책 연구 –한국어의 정비와 세계화 2-
    박창원 지식과교양 [2017]
  • 한국에서의 외래어 문제, 새국어생활1-4
    김완진 국립국어연구원, 2-12 [1991]
  • 한국어의 발음(개정판)
    배주채 삼경문화사 [2013]
  • 한국어의 발음
    배주채 삼경문화사 [2004]
  •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
  •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조남호 국립국어연구원 [2003]
  • 한국어 표기법의 변천과 원리, 한국어문의 제문제
    이기문 일지사 [1983]
  • 한국어 파열음 체계의 언어 유형론적 고찰, 어문연구48-2
    이진호 한국어 문교육연구회, pp.5-29 [2020]
  • 한국어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 배달말25
    김하수 배달말학회, pp.247-259 [1999]
  •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4단계)
    한송화 국립국어원 [2015]
  • 한국교열기자회 편, 국어 순화의 이론과 실제
    일지사 [1982]
  • 한국 현대 국어 정책 연구
    허만길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한국 외래어에 관한 서설, 한글146
    배양서 한글학회, pp.287-291 [1970]
  • 한국 교육 정책 연구
    김종철 교육과학사 [1990]
  • 표준어규정과 한글맞춤법의 몇 가지 문제, 말과 글51
    김세중 한국교열 기자회 [1992]
  • 표준 발음법과 언어 현실, 새국어생활14-1
    김선철 국립국어연구원, pp.45-65 [2004]
  • 표준 발음법 영향 평가
    김성규 국립국어원 [2012]
  • 표준 발음 실태 조사 II
    김선철 국립국어연구원 [2003]
  • 표준 발음 실태 조사 3
    최혜원 국립국어연구원 [2004]
  • 표준 발음 실태 조사
    최혜원 국립국어연구원 [2002]
  • 파열음의 외래어 표기법과 음운적 유형론: 현행 표기법의 수정에 대한 제언, 음성 음운 형태론연구24-3
    이주희 한국음운론학회, pp.403-424 [2018]
  • 태서신사외국 지명 표기 연구: 인지제명표를 중심으로
    정연규 단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컴퓨터 통신 분야의 외래어 사용, 새국어생활8-2
    이정복 국립국어연구 원, pp.61-79 [1998]
  • 차용 요소를 중심으로 한 국어 차용 어휘 분석-국어 차용어의 분류 에 대한 소고(2)
    주지연 국어국문학194, pp.97-123 [2021]
  • 짜장면을 위한 변명 -외래어 표기법을 다시 읽는다-, 한국어학 30
    연규동 한국어학회, pp.181-205 [2006]
  • 중국어 한글 표기법 재수정안, 중어중문학31
    엄익상 한국중어중문학회, pp.111-135 [2002]
  • 중국어 외래어를 원지음으로 표기해야 하는 이유, 중국어문학논집 56
    엄익상 중국어문학회, pp.265-279 [2009]
  • 중국어 외래어 표기법 반성-원칙과 세칙의 문제, 새국어생활 18-4
    엄익상 국립국어연구원, pp.33-51 [2008]
  • 중국어 고유명사 외래어 표기법에 대하여, 한글293
    고석주 한글학회, pp.169-191 [2011]
  • 조선어학회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1941]
  • 조선어학
    박승빈 [1935]
  • 정책학의 관점에서 본 국어 정책의 의미와 방향, 한글271
    이광석 한글학 회, pp.161-204 [2006]
  • 정서법에서의 발음과 표기의 상관성 연구, 성곡논총26
    민현식 성곡학술 문화재단., pp.757-824 [1995]
  • 전문 용어의 국어화, 새국어생활21-2
    강현화 국립국어원, pp.85-98 [2011]
  • 자국어 순화 정책의 방향성 모색: 프랑스와 퀘벡의 사례를 중심으로, 2019년 국어 정책 학술 대회 발표자료집
    김민채 국립국어원 [2019]
  • 일제시대의 언어 정책과 언어 운동에 관한 연구
    조태린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8]
  • 일본의 인명 지명의 표기문제 -주체성을 망각한 언어정책에 대하여-, 어문연구2-3
    이숭녕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164-167 [1974]
  • 일본에서의 외래어 문제, 새국어생활1-4
    우메다 히로유키 국립국어연구 원, pp.22-35 [1991]
  • 일본어의 외래어 수용에 관한 연구, 아시아문화연구32
    탁성숙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pp.309-345 [2013]
  • 의사 외래어의 문제점, 이정 정연찬 선생 회갑 기념 논총
    김문창 탑출판사 [1989]
  • 음운 변화의 원인과 과정
    신승용 태학사 [2003]
  • 음운 변화와 표기의 대응 관계, 국어학32
    김주필 국어학회, pp.49-76 [1998]
  • 우리말본
    주시경 [1910]
  • 우리말 표준 발음법 보완, 어문학74
    허춘 한국어문학회, pp.69-117 [2001]
  • 우리말 다듬기 사이트의 운영 내용 및 성과, 새국어생활15-1
    박용찬 국립국어원 [2005]
  • 외래어형 형성 과정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김아영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 외래어표기법의 문제점과 그 해결책, 새국어생활18-4
    심재기 국립국어원, pp.105-124 [2008]
  • 외래어표기법의 된소리 표기에 대하여, 새국어생활18-4
    박창원 국립국 어원, pp.87-103 [2008]
  • 외래어표기법의 된소리 표기 허용에 대한 맥락 잡기, 새국어생활 18-4
    김슬옹 국립국어원, pp.71-85 [2008]
  • 외래어표기법
    정경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 외래어의 차용과 변용, 국어사연구
    민현식 태학사 [1997]
  • 외래어의 자생적 기능에 관한 고찰, 새국어교육82
    이신형 한국국어교육 학회, pp. 511-534 [2009]
  • 외래어의 올바른 수용 태도, 새국어생활14-2
    유재원 국립국어연구원 [2004]
  • 외래어의 실태와 그 수용대책, 한국어문의 제문제
    강신항 일지사 [1983]
  • 외래어의 순화 방안과 수용 대책, 새국어생활8-2
    송철의 국립국어연구 원, pp.21-40 [1998]
  • 외래어의 동어이표기: 자료(영어), 국어생활2
    김중서 국어연구소 [1985]
  • 외래어의 관용 표기에 관한 관찰, 이중언어학39
    김수현 이중언어학회, pp.1-23 [2009]
  • 외래어의 개념과 변천사, 새국어생활8-2
    김세중 국립국어연구원, pp.5-19 [1998]
  • 외래어의 개념과 범위의 문제, 새국어생활18-4
    임홍빈 국립국어원, pp.5-32 [2008]
  • 외래어의 개념과 그 표기법의 형성과 원리, 한글맞춤법 무엇이 문제 인가
    임홍빈 태학사 [1997]
  • 외래어의 개념 및 유형 설정-서구 외래어를 중심으로, 돈암어문학 15
    이상혁 돈암어문학회, pp.101-123 [2002]
  • 외래어와 발음 문제, 새국어생활6권 4호
    김상준 국립국어연구원, pp.62-72 [1996]
  • 외래어에 대하야, 한글3-6
    이극로 한글학회, pp.357-357 [1935]
  • 외래어에 관하여-주로 대중 전달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글146
    류구상 한글학회 [1970]
  • 외래어가 국어에 끼친 공과, 새국어생활14-2
    강신항 국립국어연구원, pp.23-57 [2004]
  • 외래어 표준 발음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어학35
    차재은 한국어학회, pp.363-390 [2007]
  • 외래어 표기의 변천과 실태, 국어생활23
    김세중 국어연구소, pp.112-130 [1990]
  • 외래어 표기에 대한 반성과 문제점, 국어의 순화와 교육
    김민수 한국정 신문화연구원 [1979]
  • 외래어 표기법의 한계와 극복 방안, 언어학16-2
    김선철 대한언어학회, pp.207-232 [2008]
  • 외래어 표기법의 원리와 실제, 새국어생활6-4
    임동훈 국립국어연구원, pp.41-61 [1996]
  • 외래어 표기법의 원리
    이기문 국어국문학68 69, pp.296-297 [1975]
  • 외래어 표기법의 과제, 바람직한 외래어 정책 수립을 위한 학술토론 회 자료집
    임동훈 한글문화연대 [2007]
  • 외래어 표기법에서 인명의 관용 표기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 모 색, 언어와 문화18-1
    공나형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pp.1-29 [2022]
  •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비판 분석, 새국어생활6-4
    김세중 국립국어연구원, pp.161-174 [1996]
  • 외래어 표기법에 대하여, 성심어문논집23
    이홍식 성심어문학회, pp.124-148 [2001]
  • 외래어 표기법과 외국어 발음, 외국어교육연구논집17
    정국 한국외국어대학 교 [2003]
  • 외래어 표기법과 나의 의견, 새국어생활6-4
    신형욱 국립국어연구원, pp.137-160 [1996]
  • 외래어 표기법, 국어문화학교(국어반)
    김세중 국립국어연구원 [1995]
  • 외래어 표기법 연구
    김수현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2002]
  • 외래어 표기법 연구
    지영호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외래어 표기법 문제의 종합 검토, 말7,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pp.57-75
    이상억 [이상억(1994)에 재록] [1982]
  • 외래어 표기, 남북한이 어떻게 다른가, 새국어생활6-4
    김희진 국립국어 연구원, pp.73-104 [1996]
  • 외래어 표기 정책의 현황과 전망, 신용권 외(공저) 한국어 연구의 새로운 흐름
    정희원 박이정 [2018]
  • 외래어 표기 용례집(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러시아어)
    정희원 국립국어원 [2005]
  • 외래어 표기 용례집(인명)
    정희원 국립국어연구원 [2002]
  • 외래어 표기 양상의 변천, 새국어생활14-2
    김수현 박창원 국립국어연구 원, pp.59-102 [2004]
  • 외래어 표기 규범의 방향, 언어학15
    김세중 한국언어학회, pp.61-76 [1993]
  • 외래어 표기 규범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문법교육14
    구본관 오현아 한국문법교육학회, pp.1-37 [2011]
  • 외래어 표기 규범 영향 평가
    구본관 문화체육관광부 [2010]
  • 외래어 이야기, 춘추2 3집
    이희승 [이희승(1959) 재록] [1941]
  • 외래어 외국어 사용 및 순화어 수용 실태 조사
    이홍식 국립국어원 [2007]
  • 외래어 연구- 수용과정의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이찬규 중앙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1988]
  • 외래어 연구(II)-수용양상을 중심으로-, 어문연구16-1
    김문창 한국어문 교육연구회, pp.32-46 [1986]
  • 외래어 심의 과정과 수용의 문제, 말과 글166
    박한상 한국어문기자협회, pp.21-24 [2021]
  • 외래어 순화의 내용과 앞으로의 방향, 한국어학67
    정희창 한국어학회, pp.89-104 [2015]
  • 외래어 순화 정책의 방향, 어문학99
    이정복 한국어문학회, pp.27-66 [2008]
  • 외래어 수용과 언어 자원 관리에 관한 소고, 언어사실과 관 점54
    김아영 황용주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pp.95-120 [2021]
  • 외래어 수용 방식에 대한 고찰- 영 불 중 일의 예를 중심으로, 어학 연구16-1
    유만근 한국언어학회, pp.57-74 [1980]
  • 외래어 생태와 국어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22
    곽재용 한국초등국어교육학 회, pp.79-122 [2003]
  • 외래어 사용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과 그 수용 방안, 어문연구 35-1
    최경봉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365-388 [2007]
  • 외래어 사용 실태 조사 및 국민 언어 순화 사업
    송철의 문화체육부 [1997]
  • 외래어 및 그 표기법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 한민족문화연구23
    박종덕 한민족문화학회, pp.157-181 [2007]
  • 외래어 단어형성, 국어국문학153
    노명희 국어국문학회, pp.5-30 [2010]
  • 외국어를 귀화시켜 국어다운 외래어로! - 현지원음식/음소대응식은 언 어학적 몰상식-, 새국어생활6-4
    유만근 국립국어연구원, pp.105-121 [1996]
  • 외국 지명 표기의 원칙과 실제, 사회언어학20-2
    김한샘 한국사회언어학 회, pp.213-237 [2012]
  • 언어 차용에 관한 연구 1 -우리나라 외래어 연구의 역사와 외래 어휘 의 분류와 정의 문제, 한글169
    이덕호 한글학회, pp.221-261 [1980]
  • 언어 정책이란 무엇인가, 새국어생활20-2
    조태린 국립국어원, pp.117-131 [2010]
  • 언어 정책, 국어학회 편, 세계의 언어 정책
    송기중 태학사 [1993]
  • 언어 관습을 바탕으로 한 규범 정하기 –외래어표기, 특히 한자음 표 기 규정과 관련하여-, 새국어생활18-4
    최경봉 국립국어원, pp.53-70 [2008]
  • 어려운 공공용어 진단 기준 마련
    구본관 국립국어원 [2019]
  • 신문 잡지분야의 외래어 사용 실태, 새국어생활8-2
    고성환 국립국어연구 원, pp.81-102 [1998]
  • 쉬운 우리말 쓰기 정책에서의 외국어 표현 이해도 조사 활용 방안, 공공언어학5
    김아영 공공언어학회, pp.53-86 [2021]
  • 쉬운 영어 운동을 통해 살펴보는 영미지역의 공공언어 문화, 공공언어 학2
    방민희 한국공공언어학회, pp.51-75 [2019]
  • 세계화 시대의 국어 정책 방향, 국어국문학155
    권재일 국어국문학회, pp.5-17 [2010]
  • 세계의 언어정책과 다언어사회, 야마모토 다다유키 가와 하라 도시아키 편, 채성식 조영남 김현아 백이연 역,세계의 언어정책 3(다언 어사회를 살아가다)
  • 서울 경기 지역 화자의 외래어 경음화에 대한 계량적 연구, 계량언어 학3
    안소진 박이정 [2004]
  • 서구 외국말의 문제, 국어생활14
    서정수 국립국어연구원 [1988]
  • 새로운 방식의 외래어 순화, 어문연구35-2
    박용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pp.455-482 [2007]
  • 상표, 상호 분야의 외래어 사용, 새국어생활8-2
    이선영 국립국어연구원, pp.103-119 [1998]
  • 법률 실용문에 나타난 일본어 문투
    박갑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제2회 학술발표 회 발표문 [2006]
  • 번역의 관점에서 본 국어 외래어 표기법, 국제어문25
    김정우 국제어문학 회, pp.171-198 [2002]
  • 방언의 발견
    정승철 창비 [2018]
  • 방송 분야의 외래어 사용, 새국어생활8-2
    이은경 국립국어연구원, pp.41-59 [1998]
  • 문화체육부
    북구의 3 언어의 외래어 표기법(문화체육부고시 제1995-8호) [1995]
  • 문화체육부
    생활 외래어 순화집 [1994]
  • 문화체육관광부, 외래어 표기법(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7-14호)
    * 22년기준웹주소https://kornorms.korean.go.kr/regltn/regltnView.do?regltn_code=0003#a [2017]
  • 문화체육관광부
    외래어 표기법(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4-43호) [2014]
  • 문화체육관광부
    국어 발전과 보전에 관한 시책 및 시행 결과 보고서 [2021]
  • 문화부
    동구권 5개 언어의 외래어 표기법(문화부고시 제1991-31호) [1992]
  • 문화관광부
    외래어 표기법(문화관광부고시 제2005-32호) [2005]
  • 문화관광부
    동남아시어 3개 언어의 외래어 표기법(문화관광부고시 제2004-11호) [2004]
  • 문제로서의 언어 1: 소통과 언어
    김하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문제로서의 언어 1: 사회와 언어
    김하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문교부의 외래어 표기법 변천 과정과 수용 양상 –외래어 표기법 (1986) 제정 이전의 문교부안과 편수자료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39-1
    이경숙 한국학중앙연구원, pp.107-139 [2016]
  • 문교부, 우리말 도로 찾기
    조선교학도서 [1948]
  • 문교부, 들온말 적는 법(外來語表記法) - 문교부(1952), 들온말 적는 법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에 수록 [1948]
  • 문교부 편수국ㄴ), 외국지명 한글 표기 제정에 관하여
    편수자료제2집 [1959]
  • 문교부 편수국ㄱ),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 방법 및 교과서의 외래어 표기
    편 수자료제1집 [1959]
  • 문교부 편수국,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등
    편수자료제4집 [1963]
  • 문교부 편수국, 로마자 한글 표기 세칙
    편수자료제3집 [1960]
  • 문교부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 [1958]
  • 문교부
    외래어 표기법(문교부고시 제85-11호) [1986]
  • 모던조선외래어사전의 외래어 표기 연구, 이중언어학27
    김수현 이중 언어학회, pp.41-58 [2005]
  • 모던조선외래어사전
    이종극 한성도서주식회사 [1937]
  • 맑스 마르크스 마륵스: 외래어 지나치다
    이상규 한송이 경진출판 [2018]
  • 말의 주인이 되는 시간
    한성우 창비교육 [2020]
  • 말 다듬기의 대상: 공공분야 어려운 용어를 중심으로, 2019년 국어 정책 학술 대회 발표자료집
    구본관 조진수 최선희 국립국어원 [2019]
  • 독일의 언어 정책, 국어학회 편, 세계의 언어 정책
    김하수 태학사 [1993]
  • 독어에 있어서 외래어 개념, 독일문학35-1
    최경은 한국독어독문학회, pp.403-426 [1994]
  • 단어연어 일화조전(1895)에서 보이는 조선인의 일본어, 일본 및 외부 세계 관련 기술과 인식
    이준환 어문논집92, 민족어문학회, pp.69-104 [2021]
  • 다른 나라에서의 외래어 수용 양상, 국어생활2
    유만근 국어연구소, pp.44-57 [1985]
  • 다듬은 말의 언론 사용 현황: 대규모 신문 말뭉치를 기반으로, 2019 년 국어 정책 학술 대회 발표자료집
    김일환 국립국어원 [2019]
  • 다듬은 말에서 새말까지, 2019년 국어 정책 학술 대회 발표자료집
    박주화 국립국어원 [2019]
  • 누리꾼 참여형 국어 순화 방식의 성과와 개선 방안, 새국어생활 21-2
    박용찬 국립국어원, pp.19-59 [2011]
  • 남북한어의 공동 순화 방안 연구
    구본관 이해영 문화관광부 [2002]
  • 남북한 국어순화의 전개 양상과 그 전망, 김민수 편,남북의 언어 어 떻게 통일할 것인가
    김기석 국학자료원 [2002]
  • 남북한 국어순화의 비교, 말과 글54
    허철구 한국교열기자회 [1993]
  • 남북한 공동 언어 순화(1) - 순화대상어의 선정과 순화의 원칙 정립을 위하여, Korean 연구와 교육1
    박창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pp.209-233 [2005]
  • 근대화 이후의 외래어 유입 양상, 국어생활2
    강신항 국어연구소, pp.23-36 [1985]
  • 국어학사의 기본 이해
    김민수 집문당 [1989]
  • 국어학 논고 제1집
    이희승 을유문화사 [1959]
  • 국어표기법 연구
    이익섭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2]
  • 국어정책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태도 – 국어기본법 제정 이후의 국어정 책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60
    양명희 우리말글학회, 27-51 [2014]
  • 국어정책론
    김민수 고대출판부 [1973]
  • 국어의미론
    김종택 천시권 형설출판사 [1979]
  • 국어의 표준 발음과 언어 현실, 새국어생활25-1
    이진호 국립국어원, pp.3-16 [2015]
  • 국어의 로마자 표기 실태, 새국어생활7-2
    김세중 국립국어연구원, pp.45-58 [1997]
  • 국어연구소
    외래어 표기 용례집(지명 인명) [1986]
  • 국어연구소
    한자 외래어 사용 실태 조사(1910~1970년대) [1987]
  • 국어연구소
    외래어 표기 용례집(일반 용어 편) [1988]
  • 국어연구소
    한자 외래어 사용 실태 조사(80년대) [1985]
  • 국어사전의 외래어 발음 표시 방안, 겨레어문학39
    박동근 겨레어문학회, pp.41-66 [2007]
  • 국어기본법에 근거한 외래어 표기법
    이상규 의 문제, 국어국문학 158, 국어국문학회, pp.135-181. [이상규 한송이(2018)에 재록] [2011]
  • 국어기본법 10년을 되돌아보면서, 새국어생활25-3, 국립국어 원, pp.3-35
    박창원 [박창원(2017)에 재록] [2015]
  • 국어국문학회,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
    국어국문학68 69, pp.303-306 [1975]
  • 국어 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이기문 한국연구원 [1963]
  • 국어 표기 4법 논의
    이상억 서울대 출판부 [1994]
  • 국어 정책의 현황과 과제
    권재일 한국언어학회 2012년 겨울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pp.3-10 [2012]
  • 국어 정책과 국어 교육, 국어교육129
    권재일 한국어교육학회, pp.25-38 [2009]
  • 국어 외래어에 대한 연구, 한국어의미학2
    민현식 한국어의미학회, pp.91-132 [1998]
  • 국어 어휘론 개설
  • 국어 순화의 현실과 전망, 국어생활14
    김민수 국어연구소, pp.4-13 [1988]
  • 국어 순화의 이론과 방법, 국어 순화와 교육
    박갑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새국어생활21-2
    고성환 국립국어원, pp.5-18 [2011]
  • 국어 순화의 비판적 대안, 새국어생활21-2
    김하수 국립국어원, pp.123-136 [2011]
  • 국어 순화의 개념과 방향 설정에 대하여, 사회언어학17-2
    김선철 한국 사회언어학회, pp.1-23 [2009]
  • 국어 순화와 외래어의 문제, 어문연구4-2
    이기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175-179 [1976]
  • 국어 순화에 대한 반성과 문제점, 국어의 순화와 교육
    김석득 한국정신 문화연구원 [1979]
  • 국어 순화어의 공공성, 2019년 국어 정책 학술 대회 발표자료집
    정희창 국립국어원 [2019]
  • 국어 순화는 왜 해야 하며, 어떻게 해야 하나?, 민족문화연구11
    허웅 고 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pp.125-153 [1977]
  • 국어 순화, 국어문화학교
    허철구 국립국어연구원 [1999]
  • 국어 순화 정책의 회고와 전망
    민현식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 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2002]
  • 국어 순화 정책의 의미와 공공성, 인문과학76
    정희창 성균관대학교 인 문학연구원, pp.5-32 [2020]
  • 국어 순화 정책의 역사와 개관, 국어 순화 정책 연구 보고서
    최용기 국 립국어연구원 [2003]
  • 국어 순화 정책 방향 모색, 21세기의 국어 정책
    남영신 국립국어연구원 한국어문진흥회 [2000]
  • 국어 순화 운동의 반성, 새국어교육45-1
    이은정 한국국어교육학회, pp.184-188 [1989]
  • 국어 순화 결과 분석 및 방법론 제언, 새국어생활21-2
    이동석 국립국어 원, pp.61-84 [2011]
  • 국어 속의 차용어-고대국어에서 근대국어까지, 국어생활2
    남풍현 국어 연구소, pp.6-22 [1985]
  • 국어 교육과 발음, 새국어생활25-1
    김봉국 국립국어원, pp.17-28 [2015]
  • 국문론
    주시경 독립신문1897. 4. 22.~23 [1897]
  • 국립국어원
    외래어 인지도 이해도 사용도 및 태도 조사 [2007]
  • 국립국어연구원ㄴ)
    가나다 전화 자료집 [1995]
  • 국립국어연구원ㄱ)
    기본 외래어 용례집 [1995]
  • 국립국어연구원
    북한의 한자어 외래어 사용 실태 조사 [1993]
  •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북구권 지명 인명) [1995]
  •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정부 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제1 차~제14차) 결정] [1996]
  •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정부 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 결정 (제1차~제19차)] [1997]
  •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국립국어연구원 한국신문방송편집인 협회 운영 정부 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제1차~제25차 결정)] [1998]
  •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사용 실태 조사(1990년도) [1991]
  •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발음 실태 조사 [2001]
  • 광복 이후 외래어 투 순화 실태와 문제점
    최용기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2002]
  • 공공언어 개선의 정책 효과
    장후석 국립국어원 [2010]
  • 개화기의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외래어 표기 실태에 대한 연구, 한 국문화연구원논총8집
    강윤호 이화여대한국문화연구원 [1971]
  • 개화기 외래어 표기법 연구, 언어학연구4
    신유식 한국중원언어학회, pp.281-295 [2000]
  • 개화기 국어 음운,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4 –개화기 국어-
    정승철 국립국어연구원 [1999]
  • 개화기 국어 연구
    김형철 경남대출판부 [1997]
  • ㄴ), 한국 외래어의 원어 판정과 표기, 응용언어학7-2
    배양서 한국언어학 회, pp.167-178 [1975]
  • ㄴ), 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의 공과와 나아갈 방향, 말과 글100
    정희원 한 국어문교열기자협회 [2004]
  • ㄴ), 외래어 표기의 역사, 새국어생활6-4
    임홍빈 국립국어연구원, pp.3-40 [1996]
  • ㄴ), 외래어 차용의 유형과 원인, 독일어문학11-4
    김원 한국독일어문학회, pp.273-298 [2003]
  • ㄴ), 외래어 사용에 관한 조사결과 분석
    김경한 국어국문학68 69, pp.291-297 [1975]
  • ㄴ), 언어순수주의와 국어 순화의 몇 가지 문제, 2019년 국어 정책 학 술 대회 발표자료집
    조태린 국립국어원 [2019]
  • ㄴ), 기존 순화어의 사회언어학적 분석, 국어 순화 정책 연구 보고 서
    이정복 국립국어연구원 [2003]
  • ㄴ), 국어 순화의 국어학적 연구, 국어 순화 정책 연구 보고서
    민현식 국립 국어연구원, pp.33-212 [2003]
  • ㄴ), 국어 순화 운동의 현황과 전망, 국어교육29
    박갑수 한국국어교육연구 회, pp.61-69 [1976]
  • ㄱ), 한국의 언어순수주의와 국어 순화, 어문학144
    조태린 한국어문학회, pp.115-139 [2019]
  • ㄱ), 한국외래어사전의 표기원리, 국어국문학68 69
    배양서 국어국문학회, pp.287-291 [1975]
  • ㄱ), 우리 외래어 표기법의 어제와 오늘
    임홍빈 96 코리안 언어학자 국제학술 토론회의 [1996]
  • ㄱ), 외래어의 개념과 범위, 새국어생활14-2
    정희원 국립국어연구원, pp.5-22 [2004]
  • ㄱ), 외래어 사용 문제에 대한 일고찰
    김경한 국어국문학67, pp.89-127 [1975]
  • ㄱ), 사회언어학에서 본 국어 순화의 문제점, 사회언어학11-2
    이정복 한국 사회언어학회, pp.187-214 [2003]
  • ㄱ), 독일의 언어 정화 운동과 그 한계, 독일어문학11-1
    김원 한국독일어 문학회, pp.501-524 [2003]
  • ㄱ), 국어정책 60년의 평가와 반성, 선청어문31
    민현식 서울대학교 국어교 육과, pp.37-74 [2003]
  • ㄱ), 국어 순화의 의의, 국어 순화의 방안과 실천 자료
    박갑수 세운문화사 [1976]
  • 『국어 정서법 연구』
    민현식 태학사 [1999]
  • 「표준국어대사전 연구 분석」
    이운영 국립국어연구원 [2002]
  • Schiffman, H. F.(1996), Linguistic culture and language policy, London: Routledge.
    [1996]
  • Ricento, Th.(2006), Language policy: theory and practice – an introduction, In Th. Ricento(ed.), An introduction to language policy: theory and method, London: Blackwell.
    [2006]
  • Lasswell, H. D.(1951), Policy Orientation, In D. Lerner, & H.D. Lasswell (Eds.), The Policy Sciences: Recent Developments in Scope and Method (pp. 3-15).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1]
  • Language Policy
    Spolsky , B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버 나드 스폴스키, 김일환 이상혁 역(2020), 언어 정책: 사회언어학의 핵심 주 제,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04]
  • Kloss, H.(1969), Research possibilities on group bilingaulism: A report, Quebec: Inter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bilingualism.
    [1969]
  • Kim, Minchai(2013), L’anglicisme et l’intervention linguistique gouvernementale, Mémoirede Master 2, Université Paris-Sorbonne.
    [2013]
  • Hockett, C .F.(1958), A Course in Modern Linguistics, New York: Macmillan.
    [1958]
  • Dye, T. R.(1978), Oligarchic Tendencies in National Policy-Making: the Role of the Private Policy-Planning Organizations, The journal of Politics 40(2),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 Crystal, D.(1998), A Dictionary of Languag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 Cooper, R. L.(1989), Language planning and social chan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 Calvet, L. -J.(1996), Les politiques linguistiques, Paris: Presses unversitaires de France.
    [1996]
  • 20세기 전기 일본어 학습서의 일본어 한글 표기 연구, 어문학 128
    김명주 한국어문학회, pp.1-31 [2015]
  • 2004 동남아시아 3개 언어 외래어 표기 용례집
    정희원 국립국어원 [2004]
  • 1960년대 북한 문풍 운동의 언어정책적 함의-문화어 정책과의 관련 성을 중심으로-, 국어학 102
    최경봉 국어학회, pp.3-35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