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전후의 역사적 전환과 문학적 인식 = Perceptions of Literature in the Historical Transition Before and After Liberation

김민수 2022년
논문상세정보
' 해방전후의 역사적 전환과 문학적 인식 = Perceptions of Literature in the Historical Transition Before and After Liberat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양3국 문학
  • 관전사
  • 관국민성
  • 민족문학
  • 사후적 글쓰기
  • 순수
  • 인민
  • 적산 문학
  • 조선의용군
  • 중간파
  • 통치
  • 학병
  • 해방
  • 해방전후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72 0

0.0%

' 해방전후의 역사적 전환과 문학적 인식 = Perceptions of Literature in the Historical Transition Before and After Liberation' 의 참고문헌

  • 효풍과 소설의 경찰적 기능 –염상섭의 효풍 연구
    조형래 사이 (SAI) 3,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7]
  • 홍염
    염상섭 자유세계, ~1953.1 2 [1952]
  • 홍성걸(洪性杰)에 대한 항적 및 치안유지법 위반 피고사건 판결
    (사상월 보, , 공훈전자사료관 참조. https://e-gonghun.mpva.go.kr/openViewer.do (검색일 : 2022.6.25) [1943]
  • 혼란
    염상섭 민성 [1949]
  • 호남문화
  • 혜란강아 말하라
    김학철 1-3, 연변교육출판사 [1954]
  • 혜란강아 말하라
    김학철 上-下, 풀빛 [1988]
  • 협동
  • 혈의 누
    이인직 광학서포 [1908]
  • 현대일보
  • 현대문학
  • 헤스이, 김일권 이에나가 유코 옮김, 근대문화사 읽기로서 조 선기생 관찰기
    요시카와 민속원 [2013]
  • 허 수, 식민지기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동아일보 기사 제목 분석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 23
    역사문제연구소 [2010]
  • 허 수, 새로운 식민지 연구의 현주소 ―‘식민지 근대’와 ‘민중사’를 중심 으로, 역사문제연구 16
    역사문제연구소 [2006]
  • 행정안전부 과거사관련업무지원단, 일제의 조선인 학도지원병제도 및 동 원부대 실태조사보고서
    행정안전부 과거사관련업무지원단 [2017]
  • 해방직후의 민족문학
    권영민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 해방직후 소설에 나타난 자기비판 양상 연구
    조윤희 성균관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8]
  • 해방정국의 문학운동과 조직에 대한 연구
    윤여탁 한국학보 14-3, 일 지사 [1988]
  • 해방전후사의 인식
    송건호 1, 한길사 [1989]
  • 해방전후
    이태준 문학 [1946]
  • 해방의 현실인식과 서사의 한계
    김주현 어문학 121, 한국어문학 회 [2013]
  • 해방기 한국문예자료총서 1-11
    한일문화사 [1990]
  • 해방기 종합지 민성(民聲)의 매체전략 연구, 한국근대문학연 구 31
    전지니 한국근대문학회 [2015]
  • 해방기 잡지의 문예평론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신형기, 해방직후의 문학운동론
    신정은 화다, 1988 [2016]
  • 해방기 잡지 목차 필자색인
    오영식 근대서지 18, 근대서지학회 [2018]
  • 해방기 자전적 소설의 서술적 정체성 연구
    허선애 서울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3]
  • 해방기 우익 문단의 형성과정과 정치체제 관련성
    강경화 한국언어문 화 23, 한국언어문화학회 [2003]
  • 해방기 염상섭 소설의 탈식민적 현실인식 연구
    배하은 서울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2]
  • 해방기 엄흥섭의 언어의식과 공동체의 구상
    김윤진 민족문학사연구 60, 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 해방기 아동 학생잡지 목차 정리와 해제
    오영식 근대서지 23, 근 대서지학회 [2021]
  • 해방기 신문연재 장편소설 연구
    임미진 현대소설연구 84, 한국현대 소설학회 [2021]
  • 해방기 북한연극의 대중성 연구
    유연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해방기 민족문학이라는 이념과 인민대중의 호명 –김송의 문학 활동을 중심으로
    오태영 인문논총 73-3, 서울대학교인문학연구원 [2016]
  • 해방기 문학의 ‘전후’ 담론과 그 표상 -전후문학 개념의 재고를 위한 하나의 시론
    김민수 한국현대문학연구 54, 한국현대문학회 [2018]
  • 해방기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현실 인식의 변화 고찰
    김주현 한국현 대문학연구 40, 한국현대문학회 [2013]
  • 해방기 간행잡지 목차 정리 : ② 니은 디귿 편
    오영식 근대서지 24, 근대서지학회 [2021]
  • 해방기 간행도서 총목록 ~1950
    오영식 소명출판, 2010 [1945]
  • 해방기 간행 잡지의 목차와 색인
    오영식 근대서지 14, 근대서지학 회 [2016]
  • 해방기 간행 잡지 목차 정리 : ① 기역 편
    오영식 근대서지 23, 근 대서지학회 [2021]
  • 해방공간의 문학사론
    김윤식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 해방공간 한국 작가의 민족문학 글쓰기론
    김윤식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 해방공간 문단의 내면 풍경 –김동리와 그의 시대2
    김윤식 민음사 [1996]
  • 해방 직후 염상섭 소설에 나타난 만주 체험의 의미-혼란, 모 략, 해방의 아들을 중심으로
    김승민 한국근대문학연구, 16, 한국 근대문학회 [2007]
  • 해방 이후 염상섭 장편소설 연구
    정소영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해방
    김동리 동아일보, ~1950.2.16 [1949]
  • 해금 30년, 해금 전후 지성사 문화사의 풍경들 -구보학회 제27 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구보학회 [2018]
  • 해금 30년, 문학장의 변동 -구보학회 제26회 정기학술대회 자 료집
    구보학회 [2018]
  • 항전별곡
    김학철 흑룡강 조선민족출판사 [1983]
  • 항일 빨치산문학의 기원 -김학철론
    김윤식 실천문학 [1988]
  • 한일 학병세대의 빛과 어둠
    김윤식 소명출판 [2012]
  • 한반도의 안과 밖, 해방의 서사들
    유석환 상허학보 29, 상허학회 [2010]
  • 한국해방 3년사 -1948
    이완범 태학사, 2007 [1945]
  • 한국출판문화운동사 –년대 말~ 1990년대 초
    한국출판문화운동사 편찬위원회, 한국출판문화운동동우회, 2007 [1970]
  • 한국전쟁: 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
    정병준 돌베개 [2006]
  • 한국의 식민지적 근대 성찰; 근대주의 비판과 평화공존의 역사학 모색
    정태헌 선인 [2007]
  • 한국문학의 근대성 비판
    김윤식 문예출판사 [1993]
  • 한국문학의 ‘전후’ 개념의 형성과 그 성격
    박현수 한국현대문학연구 49, 한국현대문학회 [2016]
  • 한국근대와 식민지 근대화 논쟁: 장기근대사론을 제기하며
    정연태 푸 른역사 [2011]
  • 한국근대문학연구방법입문
    김윤식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 한국 현대소설의 비판적 언술 양상
    김동석 소명출판 [2008]
  • 한국 민중사의 새로운 모색과 역사쓰기
    역사학연구소 선인 [2010]
  • 학병의 기억과 서사 –이병주의 소설을 중심으로
    손혜숙 우리문학연 구 66, 우리문학회 [2020]
  • 학병의 기억과 국가
    최지현 한국문학연구 32, 동국대학교 한국문학 연구소 [2007]
  • 학병의 글쓰기에 나타난 내면의식 연구 -한운사, 이가형, 이병주 의 소설을 중심으로
    손혜숙 어문론집 75, 중앙어문학회 [2018]
  • 학병수첩
    김동인 태양 [1946]
  • 학병
  • 프리드리히 키틀러, 유현주 김남시 옮김, 축음기, 영화, 타자기
    문학 과지성사 [2019]
  • 프레드릭 제임슨, 이경덕 서강목 옮김, 정치적 무의식
    민음사 [2015]
  • 푸코, 이규현 옮김, 말과 사물
    미셸 민음사 [2012]
  • 푸코, 오트르망 옮김, 안전, 영토, 인구
    미셸 난장 [2011]
  • 푸코, 오생근 옮김, 감시와 처벌
    미셸 나남 [2003]
  • 폴 벤느, 이상길 김현경 옮김, 역사를 어떻게 쓰는가
    새물결 [2004]
  • 폴 벤느, 김운비 옮김, 그리스인들은 신화를 믿었는가? -구성적 상상력에 대한 논고
    이학사 [2002]
  • 평양 시기 김학철의 전투실기 호가장 전투
    박태일 국제한인문학연 구 19, 국제한인문학회 [2017]
  • 평양 기생들이 찍힌 사진엽서
    국립민속박물관 소장(소장품번호: 민속 033561)
  • 트랜스모던 공간으로서의 서울, 년 –염상섭 효풍의 현대 적 의미
    이양숙 도시인문학연구 제10권1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 문학연구소, 2018 [1948]
  • 테오도로 휴즈, 염상섭의 적산 문학, 취우 새울림 지평선
    글누림 [2018]
  • 탁류
    이은직 풀빛 [1988]
  • 칼 슈미트, 최재훈 옮김, 대지의 노모스 –유럽 공법의 국제법
    민음사 [1995]
  • 칼 슈미트, 김효전 정태호 옮김, 정치적인 것의 개념- 서문과 세 개의 계론을 수록한 년 판
    살림, 2012 [1932]
  • 카이로선언의 기초와 한반도 독립 조항의 의미 –전후 단순 분리 독립의 기원
    장박진 동북아역사논총 54, 동북아역사재단 [2016]
  • 취우
    염상섭 조선일보, ~ 1953.2.10 [1952]
  • 최후의 분대장 –김학철 자서전
    김학철 문학과지성사 [1995]
  • 청년 김학철과 그의 시대
    이해영 역락 [2006]
  • 책, 사슬에서 풀리다 –해방기 책의 문화사
    이중연 혜안 [2005]
  • 질베르 시몽동, 황수영 옮김, 형태와 정보 개념에 비추어 본 개체화
    그 린비 [2017]
  • 진화(進化) 후진성(後進性) 1차 세계대전-學之光을 중심으 로
    김동식 한국학연구 37,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 지평선
    염상섭 현대문학, ~6 [1955]
  • 지리산
    이병주 1-7, 한길사 [2006]
  • 즐거운 기록
    이태준 한성시보 [1945]
  • 중립의 후일담 –최인훈과 이호철, 그리고 이병주의 년대
    장문석 서강인문논총 56, 서강인문논총, 2019 [1960]
  • 중국조선족문학의 거목 –김학철
    김호웅 김학철 김광주 외 –연세국 학총서73, 중국조선민족문학대계13, 보고사 [2007]
  • 주변부의 근대문학 –여천 이원조 연구(2)
    장문석 사이間SAI 27, 국 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9]
  • 조소문화협회의 출판 번역 및 소련방문 사업 연구
    임유경 대동문화 연구 6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9]
  • 조소문화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의 제정과 개정 과정을 통해 본 북 한헌법에 관한 연구
    박선영 공법학연구 16-4, 한국비교공법학회 [2015]
  • 조선문학가동맹과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대립과 그 원인 ~1953
    배개화 한국현대문학연구 44, 한국현대문학회, 2014 [1945]
  • 조선문학가동맹, 건설기의 조선문학
    백양당 [1946]
  • 조선교육
  • 조광
  • 제국을 넘나든 새벽바람, 효풍의 미학과 주체의 포이에시스
    김민수 상허학보 59, 상허학회 [2020]
  • 정치체에 대한 권리
    에티엔 발리바르, 진태원 옮김 [2011]
  • 전후의 재해 거버넌스에 관한 한일 비교 분석
    김영근 한일군사문화연 구 17, 한일군사문화학회 [2014]
  • 전후 한국문학에 나타난 난민의식 연구 –염상섭, 박경리, 이호철 을 중심으로
    나보령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 전시의 서사, 전후의 윤리 - 난류, 취우, 지평선 연작에 나타난 염상섭의 한국전쟁 인식 연구, 한국현대문학연구 45
    배하은 한국현대문학회 [2015]
  • 재 월북 작가 ‘해금’ 조치의 연구사 문화사적 의미
    김성수 상허학보 55, 상허학회, 2019 [1988]
  • 잡지 신천지의 매체 전략과 문학
    이봉범 한국문학연구 39, 동국대 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0]
  • 잘난 사람들
    채만식 민중서관 [1948]
  • 작가의 탄생 –나림 이병주, 거인의 산하를 찾아서
    정범준 실크캐슬 [2009]
  • 일제시대 사진엽서에 나타난 ‘재현의 정치학’
    권혁희 한국문화인류학 36-1, 한국문화인류학회 [2003]
  • 일제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
    김윤식 서울대학교출판 부 [2007]
  • 일제말기 한국 작가의 일본어 글쓰기론
    김윤식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일본의 항복과 한반도 분단: 항복의 지연과 분단의 책임
    최영호 역사 문화연구 62, 역사문화연구소 [2017]
  • 일본의 패전과 천황의 전쟁 책임 -‘성단’과 평화주의의 허구
    박진우 동북아역사논총 50, 동북아역사재단 [2015]
  • 인민예술
  • 인민
  • 인경아 우러라
    김 송 백민 [1946]
  • 이정 박헌영 전집
  • 이인직의 혈의 누에 나타난 만국공법과 외국 인식
    이경재 인문논 총 76-2,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 이안 부루마, 신보영 옮김, 0년 –현대의 탄생, 년의 세계사
    글항아 리, 2016 [1945]
  • 이병주의 소설 알렉산드리아에 나타나는 다층적 인유 (Allusion) 양상 연구
    박인성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78, 한국문학이론 과비평학회 [2018]
  • 이병주의 세계기행문을 통해 본 냉전과 독재
    정미진 상허학보 59, 상허학회 [2020]
  • 이병주와 지리산
    김윤식 국학자료원 [2010]
  • 이병주와 ‘중립’ -6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장문석 년대의 역사화 2: 젠더로 읽는 90년대 문학, 탄생 100주년 기념 작가 회의 –제 60회 한국현대소설학회 전국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현대소설학 회, 2021.11.27 [1990]
  • 이병주는 그때 전향을 한 것일까 –리영희가 기억하는 이병주에 대하여
    조영일 황해문화 80, 새얼문화재단 [2013]
  • 이병주 연구
    김윤식 국학자료원 [2015]
  • 월북작가의 해금과 작품집 출판(1) --1989년 시기를 중심으 로
    장문석 구보학보 19, 구보학회, 2018 [1985]
  • 월북문인 해금의 이면—‘불화’의 소멸 그 이후
    김미지 구보학보 20, 구보학회 [2018]
  • 월남문학의 세 유형 -선우휘, 이호철, 최인훈의 소설을 중심으 로
    방민호 통일과 평화 7-2,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5]
  • 운명과 형식
    김윤식 [1992]
  • 옮김, 한국문학의 동아시아적 지평
    곽형덕 마스오 오무라 소명출판 [2017]
  • 옮김, 예외상태
    김항 아감벤 조르조 새물결 [2009]
  • 옮김, 야전과 영원 –푸코 라캉 르장드르
    사사키 아타루 안천 자음과모 음 [2015]
  • 옮김, 세대문제
    만하임 이남석 책세상 [2020]
  • 옮김, 무위의 공동체
    낭시 박준상 인간사랑 [2010]
  • 옮김, 도래할 공동체
  • 예술운동
  • 예술
  • 염상섭 장편소설 연구 -난류, 취우, 지평선을 중심으로
    한승옥 숭실어문 7, 숭실어문학회 [1990]
  • 염상섭 소설에 나타난 '가면 쓰기'의 서사 전략 연구
    김희경 서울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염상섭 문학의 대안근대성 연구
    이종호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염상섭 건국기(1945~1950) 소설의 이데올로기 연구
    조병도 한국외국 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염상섭 曉風의 중도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고찰
    서형범 한국학보 30-2, 일지사 [2004]
  • 엮음, 해방기 여성 단편소설 1-2
    구명숙 역락 [2011]
  • 엮음, 해방기 남북한 극문학 선집 Ⅰ-Ⅴ
    이재명 평민사 [2019]
  • 엮음, 해방공간의 비평문학 Ⅰ-Ⅲ
    김외곤 송기한 태학사 [1991]
  • 엮음, 해방공간의 문학연구 Ⅰ-Ⅱ
    이우용 태학사 [1990]
  • 엮음, 해방공간의 문학 1-2
    김승환 신범순 돌베개 [1988]
  • 엮음, 해방3년의 비평문학
    신형기 세계 [1988]
  • 엮음, 해방 3년의 소설문학
    김희민 세계 [1987]
  • 엮음, 항전별곡 –조선독립동맹 자료Ⅰ
    이정식 한홍구 거름 [1986]
  • 엮음, 한국현대사자료총서 1-15
    김남식 한홍구 돌베개 [1979]
  • 엮음, 한국 현대 현실주의 비평 선집
    김윤식 나남 [1989]
  • 엮음, 한국 근대문학과 민족-국가 담론 자료집
    신두원 한형구 소 명출판 [2015]
  • 엮음, 잃어버린 시간을 위한 문학 기행
    김윤식 김종회 이병주 바이북 스 [2012]
  • 엮음, 염상섭 문장 전집 Ⅰ-Ⅲ
    염상섭 이혜령 한기형 소명출판 [2014]
  • 엮음, 스페인 내전의 비극
    김윤식 김종회 이병주 바이북스 [2013]
  • 엮음, 삐라로 듣는 해방 직후의 목소리
    김현식 정선태 소명출판 [2011]
  • 엮음, 문학을 위한 변명
    김윤식 김종회 이병주 바이북스 [2010]
  • 엮음,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이성시 임지현 휴머니스트 [2004]
  • 엮음, 8 15의 기억과 동아시아적 지평
    신주백 정근식 선인 [2006]
  • 역로
    채만식 신문학 [1946]
  • 에티엔 발리바르, 최원 서관모 옮김, 대중들의 공포
    도서출판b [2007]
  • 에티엔 발리바르, 진태원 옮김, 폭력과 시민다움 –반폭력의 정치를 위하 여
    난장 [2011]
  • 에티엔 발리바르, 진태원 옮김, 우리, 유럽의 시민들? -세계화와 민주주 의의 재발명
    후마니타스 [2010]
  • 에티엔 발리바르, 진태원 옮김, 스피노자와 정치
    그린비 [2005]
  • 에티엔 발리바르 이매뉴얼 월러스틴, 김상운 옮김, 인종, 국민, 계급 – 모호한 정체성들
    두번째테제 [2002]
  • 언어의 제국으로부터의 귀환 –염상섭의 해방의 아들, 현대문 학의 연구 35
    김종욱 한국문학연구학회 [2008]
  • 십오일후
    윤세중 예술운동 [1945]
  • 신천지
  • 신조선
  • 신세학
  • 신세대
  • 신문학
  • 신문예
  • 식민지의 회색지대 –한국의 근대성과 식민주의 비판
    윤해동 역사비평 사 [2003]
  • 식민지배와 민족국가/자본주의의 본원적 축적에 대하여 : 만세 전 재독해, 대동문화연구 82
    김 항, 김 항,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 식민지 시기 공개념의 확산과 재구성
    황병주 사회와 역사 73, 한 국사회사학회 [2007]
  • 식민지 근대와 공공성 –변용하는 공공성의 지평
    윤해동 사이間SAI 8,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0]
  • 식민사관의 차질 –조선사학회와 년대 식민사학의 제도화
    정준영 한국사학사학보 34, 한국사학사학회, 2016 [1920]
  • 시몽동, 개체화 이론의 이해
    황수영 그린비 [2017]
  • 시대의 말 욕망의 문장 –123편 잡지 창간사로 읽는 한국 현대 문화사
    천정환 마음산책 [2014]
  • 송첨지
    김동인 백민 [1946]
  • 소설 알렉산드리아
    이병주 세대 [1965]
  • 소련기행
    이태준 북조선출판사 [1947]
  • 세대
  • 선금술의 방법론 –신채호의 문학을 넘어
    김주현 소명출판 [2020]
  • 서울 평양 북경 동경
    박갑동 기린원 [1988]
  • 샹탈 무페, 서정연 옮김, 경합들 –갈등과 적대의 세계를 정치적으로 사유 하기
    난장 [2020]
  • 새울림
    염상섭 국제신보, ~1954.2 [1953]
  • 새벽
  • 사향가 –어떤 학도병의 수기
    정비석 백민 [1950]
  • 사선
    염상섭 자유세계, -1957.3 4 [1956]
  • 비평적 글쓰기의 계보 –한국 근대 문예비평의 형성과 분화
    강용훈 소 명출판 [2013]
  • 비판과 굴절, 전화 속의 한국 식민지근대성론: 구조, 주체, 경험의 삼각 구도를 중심으로
    조형근 역사학보 203, 역사학회 [2009]
  • 블랑쇼 장-뤽 낭시, 박준상 옮김, 밝힐 수 없는 공동체, 마주한 공동체
    모리스 문학과지성사 [2005]
  • 브루스 링컨, 김윤성 외 옮김, 신화 이론화 하기 :서사, 이데올로기, 학 문
    이학사 [2009]
  • 분단을 거부한 민족의식 –8.15 직후 염상섭의 활동과 효풍의 문학사적 의미
    김재용 국어국문학연구 20, 원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1999]
  • 분단시대의 문학
    임헌영 태학사 [1992]
  • 부르디와와 사진
    주형일 한국언론정보학보 17, 한국언론정보학회 [2001]
  • 벌레와 제국 –식민지말 문학의 언어, 생명정치, 테크놀로지
    황호덕 새 물결 [2011]
  • 백제
  • 백민
  • 발터 벤야민, 최성만 옮김,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역사의 개념에 대하 여/폭력비판을 위하여/초현실주의 외, 길 [2008]
  • 반공의 규율과 자기검열의 서사 –이병주의 소설 알렉산드리 아와 그해 5월의 경우
    강진호 현대소설연구 82, 한국현대소설학 회 [2021]
  • 박헌영 –그 일대기를 통한 현대사의 재조명
    박갑동 도서출판 인간 [1983]
  • 바람소리 발소리 목소리
    이병주 한진출판사 [1979]
  • 민중조선
  • 민중생활사의 복원과 혁명적 낙관주의의 뿌리
    신경림 창작과비평 16-3, 창비 [1988]
  •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역사비평사 [2013]
  • 민주적 사회주의자의 길 -김학철전집 발간에 부쳐
    최원식 창작과비 평 43-2 [2015]
  • 민족의 죄인
    채만식 上-下, 백민, ~11 [1948]
  • 민성
  • 민고
  • 미스터 방
    채만식 대조 [1946]
  • 문화전선
  • 문학평론
  • 문학비평
  • 문학과 인간
    김동리 백민문화사 [1948]
  • 문학
  • 무명소졸
    김학철 풀빛 [1989]
  • 무기 없는 민족
    김 송, 백민 [1946]
  • 메리 더글러스
    방원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 맹순사
    채만식 백민 [1946]
  • 망국인기
    김동인 백민 [1947]
  • 만세
    김 송 백민 [1945]
  • 만선사관에서의 한국고대사 인식 연구
    박찬흥 한국사학보 29, 고려 사학회 [2007]
  • 만선사, 그 형성과 지속
    정상우 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 마사노리(유재연 이종욱 옮김), 일본 전후사 ∼2005
    나카무라 논 형, 2006 [1945]
  • 르죈, 윤진 옮김, 자서전의 규약
    필립 문학과지성사 [1998]
  • 르네 지라르, 김치수 외 옮김,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한길사 [2001]
  • 로빈슨 엮음, 도면회 옮김,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 -내재 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을 넘어서
    마이클 신기욱 삼인 [2006]
  • 디디-위베르만, 오윤성 옮김, 모든 것을 무릅쓴 이미지들 -아우슈 비츠에서 온 네 장의 사진
    조르주 레베카 [2017]
  • 디디-위베르만, 김홍기 옮김
    조르주 반딧불의 잔존 –이미지의 정치학, 길 [2020]
  • 돌베개 –장준하의 항일대장정
    장준하 돌베개 [2015]
  • 도피
    손소희 신문학 [1946]
  • 도정
    지하련 문학 [1946]
  • 데리다, 진태원 옮김, 법의 힘
    자크 문학과지성사 [2004]
  • 대한제국기 주한 일본군의 활동
    현광호 인문학연구 48,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권 임시의 정원Ⅱ
    국사편찬위원회 [2005]
  • 대조
  • 다츠오, 김준영 옮김, 지역개념의 정치성, 만주연구 9
    나카미 만주학 회 [2009]
  • 논 이야기
    채만식 협동 [1946]
  • 노정
    전홍준 신천지 [1949]
  • 노마만리
    김사량 실천문학 [2002]
  • 년의 이병주
    유서현 1990년대의 역사화2: 젠더로 읽는 90년대 문학, 탄생 100주년 기념 작가 회의 –제60회 한국현대소설학회 전국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현대소설학회, 2021.11.27 [1975]
  • 년대 중반의 한국문학과 ‘끼니’의 무의식 –김기진과 최서해, 그리고 ‘밥’의 유물론
    김동식 문학과 환경 11-1, 문학과 환경학회, 2012 [1920]
  • 년과 염상섭의 이념적 정향
    조남현 한국현대문학연구 6, 한국현 대문학회, 1998 [1948]
  • 년~1953년 한국소설과 민족담론의 탈식민성 연구
    이민영 서울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945]
  • 년 8 15
    김남천 작가들, 2007 [1945]
  • 냉전체제하의 한국전쟁을 응시하는 복안(複眼)
    이종호 홍염 사선, 글누림 [2018]
  • 냉전 분단 경관과 평화 –군사분계선 표지판과 철책을 중심으 로
    정근식 황해문화 100, 새얼문화재단 [2018]
  • 내선일체의 차질(蹉跌) -김성민의 녹기연맹(綠旗聯盟)을 중심 으로
    이혜진 국제어문 54, 국제어문학회 [2012]
  • 내 마음은 돌이 아니다
    이병주 한국문학 [1975]
  • 남로당 연구
    김남식 돌베개 [1984]
  • 남로당
    이병주 上-下, 청계 [1987]
  • 나오키 외, 이종호 외 옮김, 총력전하의 앎과 제도
    사카이 소명출판 [2014]
  • 나오키 니시타니 오사무, 차승기 홍종욱 옮김, 세계사의 해체 –서양을 중심에 놓지 않고 세계를 말하는 방법
    사카이 역사비평사 [2009]
  • 끝나지 않는 전쟁의 산하, 끝낼 수 없는 겹쳐 읽기-식민지에서 분단까지, 이병주의 독서편력과 글쓰기
    황호덕 사이間SAI 10, 국제 한국문학문화학회 [2011]
  • 김학철 김광주 외 –연세국학총서73, 중국조선민족 문학대계13
    김광주 김학철 보고사 [2007]
  • 김사량의 희곡 호접 연구
    이재명 한국문학의 연구 45, 한국문학연 구학회 [2011]
  • 기생이 그려진 엽서 봉투
    국립민속박물관 소장(소장품번호: 민속 044204)
  • 기생사진과 조선향토색의 유통
    이경민 황해문화 46, 새얼문화재단 [2005]
  • 급류
    김동리 조선교육, ~10 [1949]
  • 근대 사진아카이브를 통해 본 조선민속표상과 전통담론
    허경민 안동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그레마스, 김성도 엮음, 의미에 관하여 –기호학적 시론
    A. J 인간사랑 [1997]
  • 국제신보
  • 국민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내 근대문학자료 소장 실태 조사 보고서 -~1960 년 문학 단행본 자료와 1895~1945년 근대 문학잡지 자료
    국립중앙도서 관, 2015 [1945]
  • 관부연락선
    이병주 1-2, 한길사 [2006]
  • 고이치로, 박철은 옮김, 사고와 주체성, 고쿠분 고이치로의 들 뢰즈 제대로 읽기
    고쿠분 동아시아 [2015]
  • 경계 허물기와 가로지르기 –일제 식민지 시기 연구의 현황과 과 제
    이기훈 역사학보 215, 역사학회 [2012]
  • 격정시대
    김학철 上-下, 료녕민족출판사 [1986]
  • 격정시대
    김학철 上-下, 풀빛 [1988]
  • 격랑의 삶, 김학철 선생과의 대담
    김학철 황해문화 7, 새얼문화 재단 [1995]
  • 겨울 밤 –어느 황제의 회상
    이병주 문학사상 [1974]
  • 거울로서의 자전(自傳)과 일기(日記)
    김윤식 서정시학 [2016]
  • 가토 노리히로, 서은혜 옮김, 사죄와 망언 사이에서 –전후 일본의 해부
    창작과비평사 [1998]
  • 稻葉岩吉의 ‘滿鮮史’ 체계와 ‘朝鮮’의 재구성
    정상우 역사교육 116, 역사교육연구회 [2010]
  • 滿鮮史와 日本史의 위상 : 稻葉岩吉의 연구를 중심으로
    정상우 한국 사학사학보 28, 한국사학사학회 [2013]
  • 滿洲의 한국어 言論史 연구
    정진석 관훈저널 47, 관훈클럽 [1989]
  • 井上直樹, 帝国日本と〈満鮮史〉- 大陸政策と朝鮮 · 満州認識, 塙書房, 2013.
    [2013]
  • 『전후문학을 다시 읽는다: 이중언어, 관전사, 식민화된 주체의 관점에서 본 전후세대 및 전후문학의 재해석』
    한수영 소명출판 [2015]
  • 『개벽』
  • ‘해방’의 전통과 복원 -김학철을 중심으로
    김민수 어문론총 89, 한 국문학언어학회 [2021]
  • ‘이데올로기’를 넘어선 ‘사상’과 ‘문학’의 가능성 모색 –이병주의 관-경계적 서사를 중심으로
    김민수 한국현대문학연구 66, 한국현대 문학회 [2022]
  • ‘언어=사실’의 세계 –전쟁과 르포르타주
    차승기 대동문화연구 107,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 ‘식민지적 공공성’과 8 15 해방 공간
    원용진 한국언론정보학보 47,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 ‘사소설’의 전유와 문학사적 위상 –이태준의 경우
    방민호 일제 말기 한국문학의 담론과 텍스트, 예옥 [2011]
  • ‘빨치산’은 어떻게 ‘빨갱이’가 되었나: -1980년대 고통의 재 현불가능성 –이병주의 지리산을 중심으로
    박숙자 대중서사연구 27-2, 대중서사학회, 2021 [1970]
  • ‘번역’되는 제국의 언어와 식민지 이중언어체제에의 도전
    김희경 현대 소설연구 74,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 ‘문학’에서 ‘글쓰기’로 -김윤식의 ‘글쓰기론 3부작’ 논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
    김민수 구보학보 22, 구보학회 [2019]
  • ‘曉風’이 불지 않는 곳 : 염상섭의 無風帶 연구
    안서현 한국현대문 학연구 39, 한국현대문학회 [2013]
  • ~1970년대 일본의 한국문학 연구와 ‘조선문학의 회(朝鮮文 學の會)’ -오무라 마스오(大村益夫) 교수에게 질문하다
    장문석 한국학 연구 40,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1960]
  • 6.25와 한국문학
    방민호 서정시학 [2013]
  • 3월 1일의 밤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권보드래 돌베개 [2019]
  • 26일 동안의 광복: 년 8월 15일-9월 9일, 한반도의 오늘을 결정지은 시간들
    길윤형 서해문집, 2020 [1945]
  • 20세기 중국조선족문학사료전집 제19집: 김학철 문학편(중)
    김학철 도 서출판 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