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유아음악교육 교재에 수록된 동요 분석 = An Analysis of Children’s Song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extbooks of University

고문주 2022년
논문상세정보
' 대학의 유아음악교육 교재에 수록된 동요 분석 = An Analysis of Children’s Song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extbooks of Universi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대학교재
  • 동요
  • 유아 음악교육
  • 음악적 특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8 0

0.0%

' 대학의 유아음악교육 교재에 수록된 동요 분석 = An Analysis of Children’s Song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extbooks of University' 의 참고문헌

  • 화성학
    백병동 서울 : 수문당 [2008]
  • 홍난파와 못갖춘마디 노래
    홍정수 음악과민족, 28. 11-28 [2004]
  • 한국의 유치원 노래교재에 관한 분석적 연구
    김성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1970]
  • 한국음악용어연구소 http://www
    umak.kr/ 에서 2022년 2월 3일 검색 [2005]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https://folkency
    nfm.go.kr/kr/main 에서 2022년 1월 21일 검색 [2001]
  • 한국동요음악사
    한용희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988]
  • 한국동요발달사
    고성휘 류덕희 서울 : 한성음악출판사 [1996]
  • 한국 전래동요의 음악적 분석
    강혜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한국 전래동요의 개념과 범주
    김인숙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 31, 14-35 [2009]
  • 핑크퐁 아기상어 체조 영상 100억뷰 세계 최초 달성
    서병기 헤럴 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113000950 에서 2022년 1월 30일 검색 [2022]
  • 피아노를 활용한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 구
    안혜정 이연승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1), 875-898 [2018]
  • 표준보육과정 0-2세 영아보육프로그램 지도서에 수록된 동요곡 분 석
    신성애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9]
  • 편집부 파퓰러음악용어사전 & 클래식음악용어사전
    삼호뮤직 경기 : 삼호뮤 직 [2002]
  • 코다이와 유아음악교육
    원희 창지사 [1994]
  • 초임 가정과교사의 교사사회화에 관한 연구
    유난숙 대한가정학회지, 48(3), 99-114 [2010]
  • 창작동요의 변천에 따른 음악적 특징 및 경향
    김미숙 윤문정 이지영 한국초 등연구, 31(3), 73-88 [2020]
  • 창작동요 80년
    한용희 서울 : 한국음악교육연구회 [2004]
  • 전래동요의 음악적 특성에 따른 교육 방향
    김혜정 국악교육연구, 4(1), 55-79 [2010]
  • 전래동요 연구
    신장식 국악교육, 13, 41-96 [1995]
  • 음악요소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윤지영 이옥주 정수진 서울: 신정 [2015]
  • 음악기초 이론의 이해
    김유희 서울: 예솔 [2015]
  • 음악교육의 기초
    권덕원 석문주 최은식 함희주 경기 : 교육과학사 [2015]
  • 음악교육에서의 반주매체가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미라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413-433 [2006]
  • 유치원의 교육활동에 사용되는 동요분석
    송세은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유치원 및 초등 중등 특수학교 등의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세부기준 일부개정고시(안)
    교육부 세종 : 교육부 [2020]
  •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음악 관련 활동 분석: 음악적 개념, 행동, 태도를 중심으로
    양지애 이영애 유아교육연구, 31(1), 203-227 [2011]
  • 유치원 교육과정의 유치원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요의 음악적 특성 및 교수 학습방법 분석: 제3차 3-5세 누리과정중심으로
    김민정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 유아의 동요분석에 관한 연구
    주영은 음악교육연구, 19, 205-227 [2000]
  • 유아의 노래부르기 능력 분석
    이민정 유아교육연구, 30(6), 331-343 [2010]
  • 유아음악교육의 이해
    김영연 서울: 학지사 [2020]
  • 유아음악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이영애 음악교육연구, 37, 193-213 [2009]
  • 유아음악교육의 실제
    김성균 현대음악출판사 [2007]
  •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현직교육 실태조사 연구
    맹윤희 석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 원 [2011]
  •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김권일 김성윤 김영옥 열 린유아교육연구, 20(1), 453-485 [2015]
  • 유아음악교육론
    김영연 서울: 학지사 [2002]
  •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에 수록된 동요의 음악적 특성 분석
    고문주 곽은순 한 국유아교육 보육복지연구, 25(3), 269-294 [2021]
  •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분석
    윤지영 이옥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4), 335-357 [2019]
  • 유아음악교육 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김선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 문지, 8(6), 327-338 [2018]
  • 유아음악교육 [Your Children Need Music: A Guide for Parents and Teachers of YoungChildren] (김영주, 이기숙 역)
    Greenberg, M. 서울 : 교문사 [1987]
  • 유아음악교육
    남옥선 장은주 파주 : 양서원 [2018]
  • 유아음악교육
    안재신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유아음악교육
    이춘자 조인경 서울: 창지사 [2013]
  • 유아수학교육을 위한 대학교재에 수록된 수학활동 분석
    이명옥 조형숙 유아 교육학논집, 18(4), 201-223 [2014]
  • 유아사회교육 대학교재의 실제편 활동분석
    배주현 이효림 어린이문학교육연 구, 17(3), 467-487 [2016]
  • 유아사회교육 대학교재의 실제편 활동 분석
    남기원 문현주 한국교육문제연구 소, 33(3), 117-141 [2015]
  • 유아문학 이론과 적용
    김현희 박상희 서울: 학지사 [2008]
  • 유아국악교육 이렇게 해봐요
    고정미 권은희 이경민 이정현 경기 : 공동체 [2014]
  •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하는 창작동요제 입상곡 악곡분석
    김영연 정선영 열린 유아교육연구, 13(6), 195-218 [2008]
  • 유아교육기관에서 선호하는 동요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악곡분 석을 중심으로
    김영연 임혜정 유아교육연구, 24(6), 193-212 [2004]
  • 유아교육기관에서 선호하는 동요의 곡과 노랫말의 난이도 분석
    정선혜 석사학위논문.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 유아교육기관에서 선호하는 동요에 관한 조사 및 악곡분석연구
    임혜정 박사학위논문. 덕성 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 유아교육과의 전통음악교과 실태분석 : 서울경기지역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전송배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5]
  •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음악교수의 실제에 관한 연구
    문혁준 박진성 대한가정학회지, 44(9), 9-19 [2006]
  • 유아교사의 음악개념 이해수준에 관한 연구
    박주연 이민정 유아교육연구, 36(1), 111-131 [2016]
  • 유아교사의 국악교수효능감과 국악교수효능감에 따른 국악교육 실행 특 성
    박형신 열린유아교육연구, 32(3), 245-268 [2012]
  • 유아교사가 새노래 지도에 사용하는 동요분석
    김상림 유소영 국제문화기술진 흥원, 7(4), 299-304 [2021]
  •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음악교육 수강경험과 실제 수행 정도 및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조사
    김영연 장은주 아동보육연구, 6(1), 29-42 [2010]
  • 유아과학교육 대학교재의 실제편 활동 분석
    정지혜 석사 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 유아 동요의 발달적 적합성 분석연구
    황성숙 아동교육, 10(2), 173-184 [2001]
  • 유아 가창곡의 문제점에 관한 분석연구
    허정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 불안 및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와 음악교수 효 능감간의 관계
    신금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1), 146-164 [2013]
  • 영유아음악교육
    권오선 경기 : 어가 [2019]
  • 영유아음악교육
  • 영유아 교육용 콘텐츠 핑크퐁 동영상에 수록된 동요의 음악적 특성 분 석
    양지애 예술교육연구, 16(4), 61-79 [2018]
  • 알기 쉬운 음악통론
    이동남 조효임 주대창 서울 : 태림출판사 [2006]
  • 수업사례 활동 효과에 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평가
    박은혜 유아교육연구, 22, 105-124 [2002]
  • 새노래부르기 활동에서 다루고 있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 과 지도의 어려움.
    박미경 박미경 엄정애 엄정애 아동학회지, 29(3), 93-113 [2008]
  • 보육교사의 인터넷 교육 사이트 이용실태와 인식 및 만족도
    김성미 중앙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9]
  • 보육교사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 간의 관계 및 변인별 차이 분석
    권수현 김난실 이승연 한국교원교육연구, 30(1), 281-304 [2013]
  • 보육교사의 음악교수 내용지식과 음악교수 효능감의 관계에서 음악에 대한 태도의 매개 효과
    방은영 음악교육공학, 51, 23-42 [2022]
  • 만 4세 하늘반의 음악교육의 양상과 교수방법에 관한 질적 연구
    강은정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 디지털 시대의 아동 미디어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이란 현은자 아동학회지, 35(4), 17-40 [2014]
  • 동일한 영상자극을 이용한 장조음악과 단조음악에 의해 유발된 뇌활성화의 차이 : fMRI 연구
    김윤경 석현정 이경실 한국감성과학회 춘계학술대회, 109-112 [2009]
  • 동요 개념의 전개 양상 연구- 1910년대 이전의 문헌에 나타난 동요인 식을 중심으로
    한영란 어문학, (85), 495-522 [2004]
  • 대학음악이론
    백병동 서울 : 현대음악출판사 [2007]
  • 누리과정에서 유치원 교사가 지니는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운영실태 및 현직교사교육에 대한 요구
    방은영 음악교육공학, 21, 19-63 [2014]
  •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 관련 활동 분석
    곽경화 김지윤 박수경 유아 교육연구, 33(3), 133-155 [2013]
  • 노래부르기 통합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민정 유 아교육연구, 29(5), 245-260 [2009]
  • 년 4월 21일). 국악계 개정 교육과정에 국악 축소 우려…전면 재검토해
    홍규빈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20421090800004?input=1195m 에서 2022년 4월 22일 검색 [2022]
  • 교육과정 시기별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동요 수용 양상 연구
    김은주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의 수준 및 유아 의 음악적 성향 간의 관계
    김은정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4), 413-433 [2015]
  • 교사를 통해 본 유치원 현장의 음악교육과 실행의 어려 움
    박미경 송정애 엄정애 유아교육연구, 29(1), 133-158 [2009]
  •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앎에서 삶으로
    곽영순 서울 : 교육과학사 [2014]
  • 교과교육학적 지식에 따른 유아동작교육 대학교재 분석
    곽은순 김재희 미래 유아교육학회지, 28(1), 1-25 [2021]
  • https://www
    두산백과 doopedia.co.kr/index.do 에서 2021년 12월 5일 검색 [2012]
  • Young, S. & Glover, J. (1998). Music in the early years. Bristo, PA : The Falmer Press.
    [1998]
  • The musical teacher : Preparing teachers ’ self perception on musical knowledge and teaching effcacy
    Kim . J 11 ( 2 ) , 81-98 [2004]
  • Rutkowshi, J. (1986). The effect of restricted song range on kindergarten children’s use of singing voice and developmental music attitud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uffalo,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86]
  • Lueke, H. M. (2009).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 A comparison of two university mathematics cours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2009]
  • Lortie, D. (2002). School teacher - A Sociological study (2nd 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 Investigating textbooks as crucial interfaces between culture , policy and teacher curricular practice : two contrasted case studies
  • Grout, D. J. & Palisca, C. V. (1988). A history of western music (4th ed). New York : W. W. Norton & Company, Inc.
    [1988]
  • Grossman, P. L. (1995). Teachers’ knowledge. In L. W. Anderson (Ed.), Internat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nd ed., pp20-24). Kidlington, Oxford, UK: Elsevier Science Ltd.
    [1995]
  • Greenberg, M. (1979). Young Children Need Music.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1979]
  • Gordon, E. E. (1987). The nature, descrip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music aptitude. Chicago: GIA.
    [1987]
  • Gharavi, G. J. (1993). Music skills for preschool teachers : Needs and solutions. Arts Education Policy Review.
    [1993]
  • Gardner, H. (1993). Multiple Intelligence: The Theory in Practice. NY: Basic Books.
    [1993]
  • Discrimination of pitch direction by preschool children with verbal and nonverbal tasks
    Webster , P. R. , & Schlentrich , K. 30 ( 3 ) . 151-162 . [1982]
  • Christoph Drosser 음악 본능. [Der Musikverfuhrer] (전대호 역)
    서울 : 해 나무 [2015]
  • Campbell, P. S. & Scott-Kassner, C. (1995). Music in childhood. New York : Schirmer Books.
    [1995]
  • Bayless, K. M. & Ramsey, M. E. (1991). Music: A Way of life for the young child(4th ed). Columbus, OH: Merrill Publishing.
    [1991]
  • Awakening the Artist : Music for Young Children
    Dorothy T. 33 , 26-32 [1978]
  • Anderson, W. M. & Lawrence, J. E. (1985). Integrating music into the classroom. Belmont, CA : Wadwarth Publishing.
    [1985]
  • 7차 유치원 지도서에 수록된 동요분석
    황옥경 실천유아교육, 14(1), 73-103 [2009]
  • 5세 누리과정 유치원 지도서에 수록된 동요분석
    김상림 이희경 열린유아교육 연구, 18(1), 475-498 [2013]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학교 1학년 통합교과 교사 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요의 특성 분석
    박진이 이영애 음악교육연구, 44(1), 77-109 [2015]
  • 5-6세 유아들의 동요선정에 관한 연구
    주원숙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 3년제 유아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전공과정 분석연구
    박혜림 홍후조 유아교육 연구, 25(1), 147-169 [2005]
  • 3∼5세 유아들이 선호하는 동요의 음악적 특성 분석
    권은경 윤혜자 한국육아 지원학회 학술대회지, 4, 127-134 [2017]
  • 2019 개정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 해설서
    교육부 세종 : 교육부 [2019]
  • 2010~2019년 창작동요의 음악적 특징에 관한 연구 : KBS 창작동 요대회 입상곡을 중심으로
    김기웅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 2000~2009년 창작동요에 나타난 음악적 기법의 특징에 관한 연구
    윤학준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1910년~1945년 동요 변천 경향 연구
    이성동 석사학 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