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 문법 능력의 평가 구인과 발달 양상에 대한 연구

이경숙 2022년
논문상세정보
' 학습자 문법 능력의 평가 구인과 발달 양상에 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문법 능력
  • 문법 능력 평가
  • 문법 능력 평가 구조방정식
  • 문법 용어
  • 문법 태도
  • 문법 행동요소
  • 문법평가
  • 사고도구어
  • 학습자 문법 능력 발달 양상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5 0

0.0%

' 학습자 문법 능력의 평가 구인과 발달 양상에 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흥미 연구의 현재와 향후 연구 방향. 교육심리연구 26(4)
    우연경 한국교육심리 학회, 1179-1199쪽 [2012]
  • 협동학습이 문법 영역의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이희원 한국교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한글 맞춤법 조항에 대한 몇 가지 쟁점 - 전문가의 의식 조사를 바탕으로,문법 교육23
    이경숙 이동석 이지현 한국문법교육학회, 209-241쪽 [2015]
  • 한국어능력시험에 제시된 텍스트 분석 연구 – 개편된 TOPIKⅡ(듣기, 쓰 기, 읽기) 제36회, 37회를 중심으로,국제한국어교육2-1
    이경숙 국제한국어교 육문화재단, 215-140쪽 [2016]
  • 한국어교육에서 다의어 연구 동향 분석,한국어문교육36
    정혜란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17-246쪽 [2021]
  •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지식 의미 재고,언어과학연구55
    김호정 언어과학회, 1-28쪽 [2010]
  • 한국어 문법 교육론
    박영순 박이정 [1998]
  • 한국어 문법 교육론
    박영순 박이정 [2008]
  • 한국어 구어 문법 능력의 과제 기반 평가 연구
    지현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한국문학교육학회,문학능력 Ⅰ
    역락 [2010]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교육학연구 39-1
    김아영 박인영 한국교육학회, 95-123쪽 [2001]
  • 학습자의 텍스트 구조에 대한 인지도 발달 연구 - 초․중․고 11개 학년을 대상으로,국어교육102
    김봉순 한국어교육학회, 27-85쪽 [2000]
  •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평가
    임천택 박이정 [2002]
  •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이용한 문법 교수․학습 방안 연구
    김수정 영남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5]
  • 학령기 학습자의 문법 개념화 과정 기반의 학습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한국어 문법 능력 진단 학습 평가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론,새국어교육115
    강효경 박민신 박진희 오현아 조진수 최선희 한국국어교육학회, 31-80쪽 [2018]
  • 학교학습과 교육평가(개정판)
    황정규 교육과학사 [2006]
  • 학교문법의 경어법 기술에 관한 연구
    서덕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학교 문법 교육에 있어서 탐구 학습의 효율성과 한계점에 대한 실증적 연 구,국어교육106
    이관규 한국어교육학회, 31-63쪽 [2001]
  • 학교 문법 교육론(개정판)
    이관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 평가 문항을 이용한 문법 교수․학습 방법
    신은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평가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국어과 교사 교육,문법 교육15
    주세형 한국문법교 육학회, 31-50쪽 [2011]
  • 통합형 문법 평가문항의 양상과 설계 방향 - 국가 수준 문법 평가문항을 중심으로,우리말글75
    남가영 우리말글학회, 161-200쪽 [2017]
  • 통합적 문법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주세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탐구 학습 모형을 적용한 국어 지식 영역의 수행평가 방안 연구: 중학교 3학년 생활 국어를 중심으로
    송현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타당도 제고를 위한 증거 중심 읽기 평가 설계 연구
    오규설 경북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20]
  • 초등학생의 국어 교과와 수학 교과에 대한 유용가치 인 식 양상: 학생 면담 자료를 중심으로
    김성경 우연경 최영인 국어교육연구41, 199-238쪽 [2018]
  • 초등학생의 교과에 대한 가치 인식이 학습참여와 학업성 취에 미치는 영향,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16-12
    김성경 우연경 최영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 학회, 457-474쪽 [2016]
  • 초등학교 6학년의 문법 태도 양상 연구,국어교육연구72
    황미향 국어교육학 회, 97-118쪽 [2020]
  • 초등학교 1학년의 설명문 쓰기 능력 연구: 취학 첫 학기 아동의 초기 문식성 발달의 관점에서,교육과정평가연구19-2
    이순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7-131쪽 [2016]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쓰기능력 발달에 관한 단기 종단연구
    유승아 고려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9]
  • 청소년 독자의 도서 선정 과정과 준거에 관한 연구: 자유 독서와 학습 독서 상황을 중심으로
    왕효성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지식 생성(生成) 교육을 위한 지식의 성격 분석,교육과 정연구19-1
    소경희 조덕주 허경철 한국교육과정학회, 231-250쪽 [2001]
  • 중학생의 체육학습 의욕 척도개발 및 타당화,한국체육 학회지45-2
    김기학 손정욱 이진훈 한국체육학회, 219-229쪽 [2006]
  • 중학생의 읽기 능력 발달 양상에 관한 연구
    최숙기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 구성 요인 및 구조 분석
    문광진 한국교원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2]
  • 중학생의 문법 능력 평가 문항에 대한 연구
    윤구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8]
  • 중학교 쓰기 수업과 평가를 위한 루브릭 사례 연구
    김정덕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 중학교 문법 영역 지필 평가 문항 분석
    김민예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 중학교 문법 영역 수행평가의 개선 방안 연구
    김신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사고도구어 연구
    조은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중학교 교과서의 문법 용어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청람어문교육80
    박형우 청람어문교육학회, 461-493쪽 [2021]
  • 중등학교 문법 교육의 현황과 과제,새국어생활14−3
    이관규 국립국어원, 69-87쪽 [2004]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ㄴ-ㄹ/ 연쇄 발음에 대한 연구,문법 교육24
    이경숙 정려란 한국문법교육학회, 87-120쪽 [2015]
  •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의 차이 분석,교과교육 학연구14-4
    김선희 이종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759-785쪽 [2010]
  • 준거지향평가의 기준 설정 방법 비교: 수행평가의 논술형을 중심으로
    양길석 고 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정의적 특성의 분류방법과 종류,교사를 위한 정의적 특성의 평가 방법
    김진규 중앙교육평가원 [1987]
  • 자기효능감이 아동의 학습의욕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신용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과제 유용가치의 시간적 근접성이 흥미에 미치는 영향
    우연경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인지진단평가를 활용한 독해 능력 프로파일 분석과 맞춤형 읽기 교육 연 구 - 일반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김태호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인지적 교육목표의 분류 – 하나의 대안,교육과정연구18-1
    나동진 왕경수 교육과정학회, 181-200쪽 [2000]
  • 이차 어휘의 교육에 대하여,선청어문16-1
    김광해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50-63쪽 [1988]
  • 이원목적분류표의 행동 요소에 근거한 교과서 학습 활동 유형 연구 -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문법 단원을 중심으로
    조수정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이야기를 활용한 문법교육 가능성 탐색,국어교육122
    김은성 한국어교육학회, 353-383쪽 [2007]
  • 의미 능력 평가 문항 개발 연구 - 1994~2014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어휘 력 평가 현황을 바탕으로,한국어문교육16
    이경숙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 연구소, 129-180쪽 [2014]
  •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우종필 한나래출판사 [2015]
  • 예비 국어 교사의 문법 평가 문항 설계 양상 연구,교육과정평가연구 16-3
    남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1-145쪽 [2013]
  • 예비 교사 수업에 나타나는 교수학적 변환의 특징과 교육적 시사점,한국학 연구64
    정재림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193-220쪽 [2018]
  • 영어과 서답형 평가에서 학습자 중심 루브릭 제시 방식이 평가 만족도 및 영어 학습과정에 미치는 영향 - 특수목적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윤영선 인하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언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국어교육연구2-1
    김광해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연구소, 209-254쪽 [1995]
  • 언어 습득과 발달
    하길종 국학자료원 [2001]
  • 어휘론 개설
    김광해 집문당 [1993]
  • 어휘력과 어휘력의 평가,선청어문25-1
    김광해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1-29쪽 [1997]
  • 쓰기 교육에서 지식의 범주와 교육내용의 구조,국어교육학연구25
    박영민 국 어교육학회, 155-179쪽 [2006]
  • 시사 토의 담화의 사회언어학적 분석 - 사회자의 관여 전략과 토의자의 협력 원리를 중심으로,한국어문교육19
    이경숙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21-160쪽 [2016]
  • 스포츠 자신감에 대한 이론적 고찰,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3-1
    박정근 한국스 포츠심리학회, 3-19쪽 [1992]
  • 수행적 이론의 연구를 위하여,국어교육학연구22
    김대행 국어교육학회, 5-29쪽 [2005]
  • 수능 문법 평가 문항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이원분류에 따른 문항 타당성 검토를 중심으로,우리말글82
    김규훈 우리말글학회, 1-26쪽 [2019]
  • 성인의 국어 문법 능력 실태 조사 결과 분석 - 2018 국민 의 국어능력 실태 조사를 중심으로,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20-13
    강지영 구본관 차경미 학습 자중심교과교육학회, 619-646쪽 [2020]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1999]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교육학용어사전(전정판)
    하우 [1994]
  • 서울 K고 국어과 정기 고사에서의 문법 평가 실태 조사 연구, 언어와 정보 사회12
    정지은 주세형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37-70쪽 [2010]
  • 사고도구어(academic words) 교육을 위한 논제 구체화에 관한 연구,선 청어문47
    신명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341-381쪽 [2020]
  • 문법평가 문항의 유형 정립을 위한 연구,한말연구49
    권경일 김홍범 한말연 구학회, 35-54쪽 [2018]
  • 문법의 통합적 평가 방안 연구,국어교과교육연구18
    하성욱 국어교과교육학 회, 295-316쪽 [2009]
  • 문법에 대한 태도 검사 도구의 개발 연구
    최원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5]
  • 문법교육의 목표와 내용 : 현행 학교문법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국어교육79
    민현식 한국국어교육연구회, 47-72쪽 [1992]
  • 문법교육용 텍스트의 개념 및 범주,국어교육136
    남가영 한국어교육학회, 139-173쪽 [2011]
  • 문법교육에서 추구하는 교육적 인간상에 관한 연구,국어교육학연구28
    신명선 국어교육학회, 423-458쪽 [2007]
  • 문법 학습자의 정의적 반응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정지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문법 평가의 실태와 개선 방안,국어교과교육연구15
    강여순 국어교과교육학 회, 71-101쪽 [2008]
  • 문법 평가에서 문법 지식의 위상 재고,한국어문교육13
    박보현 고려대학교 한 국어문교육연구소, 37-55쪽 [2013]
  • 문법 탐구 능력 평가 방안 연구,국어교육148
    조용기 최은정 한국어교육학 회, 175-210쪽 [2015]
  • 문법 탐구 경험의 교육 내용 연구
    남가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문법 진단 평가를 위한 구글 독스(Google Docs) 활용 방안 연구 - 양식 (form) 기능을 중심으로,국어교육학연구49
    하성욱 국어교육학회, 767-785쪽 [2014]
  • 문법 지식의 층위와 성격 - 원리 중심 문법 교육의 설계를 위한 토대,국어교육연구76
    구본관 신명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97-136쪽 [2021]
  • 문법 지식의 성격과 교육,국어교육168
    신명선 한국어교육학회, 151-192쪽 [2020]
  • 문법 적용 능력 평가의 개선 방안,우리말글56
    박종미 우리말글학회, 255-279쪽 [2012]
  • 문법 용어를 통한 문법 지식의 구조 체계화 연 구(Ⅱ): 형태,우리말연구21
    김은성 김호정 남가영 박재현 우리말학회, 177-209쪽 [2007]
  • 문법 용어를 통한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 연구 (Ⅰ): 음운,국어교육학연구28
    김은성 김호정 남가영 박재현 국어교육학회, 275-300쪽 [2007]
  • 문법 영역의 평가 방법 – 형성 평가를 중심으로,국어교육연구41
    이도영 국 어교육학회, 103-126쪽 [2007]
  • 문법 영역의 평가 내용 변화와 평가 방향,새국어교육121
    이병규 한국국어교 육학회, 293-318쪽 [2019]
  • 문법 영역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청람어문교육68
    박형우 청람어문교육학회, 303-333쪽 [2018]
  • 문법 영역 출제의 개선 방향 –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 어 영역을 중심으로,문법 교육18
    구본관 조용기 한국문법교육학회, 1-44쪽 [2013]
  • 문법 영역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문법 교육15
    박형우 한국문법교 육학회, 147-177쪽 [2011]
  • 문법 연구의 변화와 문법교육의 변화 : 탈문법학 시대의 문법교육의 새로운 지향. 국어교육연구 37
    구본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97-254쪽 [2016]
  • 문법 수행평가의 실행 양상과 과제: 중학교 국어과 평가 계획을 중심으로,교육과정평가연구22-4
    전영주 최은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7-156쪽 [2019]
  • 문법 수행의 재개념화와 평가 내용 선정을 위한 교육적 방향 탐색,한국 어문교육37
    이경숙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63-189쪽 [2021]
  • 문법 서술형 평가 문항 연구
    정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 문법 능력과 읽기 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조용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문법 능력과 문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국어교육학연구37
    구본관 국어교육 학회, 185-218쪽 [2010]
  • 문법 능력 평가 내용 연구 – 문법적 판단력 설정을 중심으로,국어교육 연구32
    이기연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05-132쪽 [2013]
  • 문법 능력 신장을 위한 수행 평가 도구 개발 연구: 학습자가 평가 준거 설정에 참여한 문법 평가 준거표(rubrics)의 개발
    이경숙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문법 교육의 이해와 실제
    송현정 한국문화사 [2006]
  • 문법 교육의 목표 정립을 위한 제언,국어교육91
    이도영 한국어교육학회, 109-128쪽 [1996]
  • 문법 교육의 목적,우리말연구10
    이춘근 우리말학회, 169-191쪽 [2000]
  • 문법 교육에서의 탐구 능력 평가 방안 연구
    고희성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 문법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잠재적 교육과정의 관점을 중 심으로,교사교육연구61-1
    최선희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57-74쪽 [2022]
  • 문법 교육과 관련된 탐구 학습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새국어교육82
    박형우 한국국어교육학회, 145-170쪽 [2009]
  • 문법 교육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방향,국어교육123
    이관규 한국어교육학회, 93-130쪽 [2007]
  • 문법 교육 내용 제시 방법 유형화에 대한 고찰 – 피동 표현을 중심으로, 언어학연구24
    오현아 한국중원언어학회, 165-190쪽 [2012]
  • 문교부의 외래어 표기법 변천 과정과 수용 양상 - 외래어 표기법(1986) 제정 이전의 문교부안과 편수자료를 중심으로,한국학39-1
    이경숙 한국학중 앙연구원, 109-139쪽 [2016]
  • 말하기 평가의 분석 모형 연구
    김평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등급별 국어 교육용 어휘
    김광해 박이정 [2003]
  • 독서 동기와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독서연 구 16
    이순영 한국독서학회, 359-371쪽 [2006]
  • 독서 교육의 이해: 독서의 개념․지도․평가
  •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문법 능력 문항 분석을 통한 출제 경향 진단 – 2005학년 도~2013학년도를 대상으로,국어교육학연구48
    신호철 국어교육학회, 243-272쪽 [2013]
  •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영역 평가 어휘의 등급별 분석
    오중열 한국교원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어휘 분석 연구 - 사고도구어를 중심으로
    박연후 한국교 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대입 국가고사 국어시험의 변천 연구
    조용기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대단위 작문 평가를 위한 문항 개발과 채점 방법 연구
    이영진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문법 능력 발달 연구 동향 분 석, 국어교육연구45
    강지영 김범진 오지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43쪽 [2020]
  • 내용요소제시 이론에 대한 소개,한국과학교육 학회지14-2
    백성혜 양일호 이재천 홍성일 한국과학교육학회, 241-250쪽 [1994]
  • 글쓰기 능력 발달 단계 연구: 초등학생의 텍스트 구성 능력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126
    이성영 국어국문학회, 27-50쪽 [2000]
  • 글 이해과정에서 흥미의 역할,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8-2
    김성일 한국 심리학회, 273-301쪽 [1996]
  • 국어지식영역의 성취도 평가에 관한 분석 연구,이중언어학23
    송현정 이중언 어학회, 167-166쪽 [2003]
  • 국어지식 영역의 교과서 제시 방식에 관한 분석 – 7차 교육과정 초등학 교 국어과를 중심으로,국어교육109
    송현정 한국어교육학회, 111-146쪽 [2002]
  • 국어지식 영역에서의 지식의 성격과 내용 체계화 방법론 연구,국어교육 학연구25
    주세형 국어교육학회, 105-154쪽 [2006]
  • 국어의 기초어휘에 대한 연구,국어교육연구23-1
    임지룡 국어교육학회, 87-131쪽 [1991]
  • 국어의 가치 교육 내용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문법 교육34
    최원호 한국문법 교육학회, 369-412쪽 [2018]
  • 국어문법 교육론
    박영순 박이정 [2005]
  • 국어능력 측정 방안 연구,국어교육연구61
    김광해 김대행 윤여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73-209쪽 [1999]
  • 국어교육에서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 -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식론을 중심으로,국어교육173
    천경록 한국어교육학회, 1-28쪽 [2021]
  • 국어교육 개선방안 연구 특집: 국어과교육에서의 평가
    노명완 한국국어교육연구 회 논문집40,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69-107쪽 [1990]
  • 국어교사의 학생글 평가전문성 연구: 평가자 협의에 따른 전략 차이를 중 심으로
    오세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국어교사의 쓰기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상위인지 기반의 쓰기평가 연습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윤금준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국어과 학습 관련 정의적 요소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연구 - 자아 효능감, 흥미, 가치 인식과 수업 몰입,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중심 으로,국어교육144
    김영란 장봉기 한국어교육학회, 431-464쪽 [2014]
  • 국어과 평가의 타당도 제고를 위한 문법 교육 방향,문법 교육8
    주세형 한국 문법교육학회, 279-318쪽 [2008]
  • 국어과 탐구 학습을 통한 탐구적 지식의 형성 단계 연구
    정지현 고려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국어과 문장 단원의 국어 자료 제시 방안 연구 – 2011 중학교 검정 교 과서를 중심으로,국어교과교육연구22
    김세현 국어교과교육학회, 293-341쪽 [2013]
  • 국어과 문법 영역 서술형 평가의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한미선 전남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의 성격,국어교육연구53
    이도영 국어교육학 회, 1-24쪽 [2013]
  • 국어 지식의 위계화 방안 연구,국어교육108
    민현식 한국어교육학회, 71-129쪽 [2002]
  • 국어 지식 영역의 내용과 평가방법에 관한 고찰,새국어교육 73
    김진규 안주호 한국국어교육학회, 5-32쪽 [2006]
  •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에 있어서 평가 방법에 대한 체계적 및 실제 적 연구,한국어학22
    이관규 한국어학회, 299-334쪽 [2004]
  • 국어 지식 영역 평가의 체계화 방안 연구,선청어문27
    이은희 서울대학교 국 어교육과, 327-352쪽 [1999]
  • 국어 지식 교육의 평가 내용과 방법의 현황 및 문제점,이중언어학23
    이관규 이중언어학회, 211-226쪽 [2003]
  • 국어 의식과 국어 인식의 교육적 개념화를 위한 방향 탐색,문법 교 육19
    정지현 한국문법교육학회, 389-419쪽 [2013]
  • 국어 어휘 평가 내용 연구
    이기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국어 어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어휘 문식 환경에 대한 연구,국어교육학연구56-3
    신명선 이기연 차경미 국어교육학회, 231-268쪽 [2021]
  • 국어 사고도구어와 국어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국어교육 171
    신명선 이우섭 한국어교육학회, 263-287쪽 [2020]
  • 국어 사고도구어 능력과 교과서 읽기 능력의관계에 대한 연구,국어교육학연구55-4
    신명선 이기연 차경미 국어교육학회, 79-119쪽 [2020]
  • 국어 사고도구어 교육 연구
    신명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국어 문법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김은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국어 문법 학습자의 음운에 대한 앎의 양상 연 구,언어과학연구42
    김은성 김호정 남가영 박재현 언어과학회, 1-25쪽 [2007]
  • 국어 문법 교육 용어 계량 연구(Ⅲ): 문장,새 국어교육80
    김은성 김호정 남가영 박재현 한국국어교육학회, 227-249쪽 [2008]
  • 국어 대명사의 담화분석적 연구
    주경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국어 교육용 텍스트 자료 유형에 관한 연구 – 역대 교육과정 국어 교재 를 중심으로,국어교육학연구36
    김혜정 국어교육학회, 319-362쪽 [2009]
  • 국어 교사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교육과정평가연구 19-2
    최숙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71-198쪽 [2016]
  • 국민의 문법 능력 평가 연구,우리말글67
    이관희 정희창 우리말글학회, 53-76쪽 [2015]
  • 국민의 국어능력 조사 결과 분석,국어교육연구33
  • 국민의 국어능력 실태 조 사 결과 분석,국어교육168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1999]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기반 정의적 영역 문항 개발 및 양호도 검증
    서민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8-39-2 [2018]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 과별 평가틀 개발 연구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초 중 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의 성차 분석,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14-1
    송미영 이봉주 한국학교수학회, 65-84쪽 [2011]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체제 개선 연구(Ⅰ)
    김명화 김지아 상경아 정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8-2 [2008]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분석을 통한 문법 영역 개선 방안 연구
    김혜진 경기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국가 제도적 교육 환경의 변화 동향과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탐색, 국어교육170
    김종윤 한국어교육학회, 53-80쪽 [2020]
  •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을 위한 문법 평가 이론의 정립,한국 어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2010-1
    주세형 한국어교육학회, 297-320쪽 [2010]
  •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김민규 김주환 홍세희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2]
  • 구어 말뭉치의 어휘 분석을 통한 인지적 사고 발달 양상 연구, 한국언어문화59
    김시정 이삼형 한국언어문화학회, 397-418쪽 [2016]
  •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제3판)
    박도순 홍후조 문음사 [2006]
  • 교육과 교육학
    정범모 배영사 [1976]
  • 교육 내용으로서 문법 지식에 대한 재고,한국어문교육15
    신호철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75-94쪽 [2014]
  • 교사효능감 및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교육심리연구17-2
    김아영 차정은 한국교육심리학회, 25-43쪽 [2003]
  • 교사 직무수행 지식 기준의 인지적 성격 분류,교육방법연구18-2
    김옥남 한국 교육방법학회, 238-258쪽 [2006]
  • 고등학생의 사고도구어 어휘력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
    진희연 가톨릭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고등학생 대상 교육용 사고도구어의 목록화 연구
    허아람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고등학교 문법 수행평가 실행과정에서의 교사의 성찰과 성장 - 서울 A 고등학교의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김민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고등학교 문법 교육의 문제점,사대논집
    박영순 고려대 사대 [1985]
  • 고등학교 독서와 문 법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및 문법 교과서의 평가 준거 개발,교육과정평가 연구18-1
    이경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0쪽 [2015]
  • 고교생의 학습의욕 경로분석 연구,교육학연구39-2
    박상용 손경애 한국교육학 회, 167-190쪽 [2001]
  • 각종 시험과 교재의 문법 관련 평가 문항의 오류 분석,한국문법교육학 회 학술발표논문집2018-2
    윤천탁 한국문법교육학회, 141-154쪽 [2018]
  • ㄷ), 국어 능력, 문식 능력, 통합적 국어 교육,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 구소 학술발표논문집
    이관규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8-20쪽 [2008]
  • ㄴ), 문법 평가의 현황과 과제 –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문법 교육15
    이은희 한국문법교육학회, 1-29쪽 [2011]
  • ㄴ), 문법 능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 양상 연구 – 국어과 평가 문항의 이원 목적분류표를 중심으로,청람어문교육40
    주세형 청람어문교육학회, 161-197쪽 [2009]
  • 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어휘력 평가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의미능력평 가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중심으로,우리어문연구32
    하성욱 우리어문학회, 159-184쪽 [2008]
  • ㄴ), 국어 문법 교육 용어 계량 연구(Ⅱ): 단어,국어교육 연구21
    김은성 김호정 박재현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69-193쪽 [2007]
  • ㄴ), 국어 교육의 성격과 국어 능력 평가의 한 문제,문법 교육8
    이관규 한국문 법교육학회, 139-154쪽 [2008]
  • ㄱ),학교 문법 교육론
    이관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8]
  • ㄱ), 문법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연구
    하성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ㄱ), 문법 평가의 영역 통합적 실현 양상 –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30
    이은희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109-136쪽 [2011]
  • ㄱ), 국어 문법 교육 용어 계량 연구(Ⅰ): 음운, 새국어교육76
    김은성 김호정 남가영 박재현 한국국어교육학회, 173-193쪽 [2007]
  • ㄱ),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의 소위 텍스트 중심성 원리에 대한 비판,국어교육학연구35
    주세형 국어교육학회, 481-506쪽 [2009]
  • 『국어교육평가론』
    남가영 류수열 주세형 사회평론아카데미 [2021]
  • ․국립국어원․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평가론
  • “채점의 일관성 유형에 따른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특성 분석”
    장은주 한국교원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이용한 말하기 평가의 과제와 채점자 요인 최 적화 조건에 관한 연구”
    조재윤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요인 분석을 통한 쓰기 평가의 준거 설정에 대한 연구”
    서수현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8]
  • “쓰기 성취기준에 따른 학생 예시문 선정에 관한 연구”
    권태현 한국교원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4]
  • “쓰기 발달의 양상과 특성 연구”
    가은아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국어교사의 쓰기평가 특성 연구”
    박종임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When power analyses based on pilot data are biased : Inaccurate effect size estimators and follow-up bias
    Albers , C. , &amp; Lakens , D. 74 , 187 ? 195 [2018]
  •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Fredrickson , B. L. 2 , 300-319 [1998]
  • Tim, McNamara (2000). Language Test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 The broaden-and 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Fredrickson , B. L. 56 , 218-226 [2001]
  • The four-phase model of interest development
    Hidi, S., &amp; Renninger, K. A 41 ( 2 ) , 111 ? 127 [2006]
  • The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in first-grade reading instruction
    Bond , G. L. , &amp; Dykstra , R. 2 ( 4 ) , 5 ? 142 [1967]
  • The Concept of Mind, London: Hutchinson & Company, 이한우 역 (1994),마음의 개념
    Ryle, G. 문예출판사 [1949]
  • TIMSS 2019 결과 및 변화 추 이 심층 분석
    김경희 김슬비 민여준 서민희 이재원 전성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21-5 [2021]
  • Synthesis of research on strategies for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Brophy , J 45 , 40-48 [1987]
  • Success and failure in junior high school : A critical incident approach to understanding students ' attributional beliefs
    Vispoel , W. P. , &amp; Austin , J. R. 32 ( 2 ) , 377 ? 412 [1995]
  • Student engagement with science in early adolescence : The contribution of enjoyment to students ’ continuing interest in learning about science
    Ainley , M. , &amp; Ainley , J 36 ( 1 ) , 4-12 [2011]
  •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 Problems and remedies . In R. H. Hoyle ( Ed . )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Concepts , issues , and applications
  • Stipek, D. (1996). Motivation and Instruction. In: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pp. 85-113), Simon and Schuster/McMillan, New York,
    [1996]
  • Snow, R. E., Corno, L., & Jakson, D. (1996). Individual difference in affective and conative functions. In D. C. Berliner, & R. C. Calfee (Eds.),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pp.243-310). NY: Macmillan.
    [1996]
  • Silvia, P. J. (2006). Exploring the psychology of interes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6]
  •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Bandura , A 84 ( 2 ) , 191 ? 215 [1977]
  • Self-concept : Validation of construct interpretations .
  • SPSS 25를 이용한 BASIC SPSS 매뉴얼
    이학식 임지훈 집현재 [2019]
  • Renninger, K. A., & Hidi, S. (2002). Student interest and achievement: Developmental issues raised by a case study. In A. Wigfield & J. S. Eccles (Eds.), Development of achievement motivation(pp. 173–195). Academic Press.
    [2002]
  • Purpura, J. E. (2004). Assessing Gramm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 Preacher, K. J., & Hayes, A. 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ng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6(4): 717-731.
    [2004]
  • Peter Afflerbach Understanding and Using Reading Assessment: K-12, 조병 영․김소현․조재윤․서수현․김종윤 역(2010),독서 평가의 이해와 사 용
    한국문화사 [2010]
  • Pellegrino J. W., Chudowsky., & Glaser, R. (2001). Knowing what students know: The Science and Design of Educational Assessment,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1]
  • Pearson, P. D., & Johnson. (1978).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78]
  • Pearson, P. D., & Hamm, D. N. (2005). The assess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A review of practices – Past, present, and future. In S. G. Paris & S. A. Stahl(Eds.), Children’s reading comprehension and assessment(pp. 13-69), Mahwah, NJ: Erlbaum.
    [2005]
  • PLS Path Modeling .
  •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8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 OECD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PISA 2018) 결과 발표
    교육부 교육부 보도자료 (2019. 12. 04.) [2019]
  • Nunnally, J. C.(1967).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 Graw-Hill.
    [1967]
  • Noam Chomsky Kenkyushas Dictionary of Theoretical Linguistics, Kenkyusha LTD. 강명윤 역(1998),촘스키 언어학 사전
    한신문화사 [1992]
  • Negative self-efficacy and goal effects revisited
    Bandura , A. , &amp; Locke , E. A . 88 ( 1 ) , 87 ? 99 . [2003]
  • Nation, I. S. P. (2001).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 Motivational beliefs , values , and goals
    Eccles , J. S. , &amp; Wigfield , A 53 ( 1 ) , 109 ? 132 [2002]
  • Motivation terminology in reading research : A conceptual review
  • Mohammed, A. M. (1996). Informal pedagogical grammar, 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34-4, 284-289.
    [1996]
  • Mitchell, J. T & Remond, M. L. (1993). Rethinking grammar and communication, Foreign Language Annals 26-1, 13-19.
    [1993]
  • Merrill, M. D. (1983). Component Display Theory. In C. Reigeluth (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Hillsdale, NJ: Erlbaum Associates.
    [1983]
  •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Shrout , P. E. , &amp; Bolger , N. 7 ( 4 ) , 422 ? 445 . [2002]
  • McLeod, D. B. (1992). Research on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 reconceptualization. In D. A. Grouws (Eds.), Handbook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pp.575-596). New York: Macmillan.
    [1992]
  • Marzano, R. J. (2007). A Theory-Based Meta-Analysis of Research on Instruction, Mid-continent Regional Educational Laboratory, Aurora, Colorado.
    [2007]
  • Language testing and assessment ( Part 2 )
    Alderson , J. Charles 35 , 79-113 [2002]
  • Language testing and assessment ( Part 1 )
    Alderson , J. Charles 34 , 213-236 [2001]
  •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and classroom practices, 이영 식 안병규 오준일 역(2006), 외국어 평가: 원리 및 교실에서의 적용
    Brown, H. D.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2004]
  • Krathwohl, D. R., Bloom, B. S., & Masia, B. B. (1964).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 book II: Affective domain. New York: David Mckay Company In corporated.
    [1964]
  • Krashen, S. D., & Terrell, T. D. (1983). The natural approach: Language acquisition in the classroom. New York: Pergamon Press.
    [1983]
  • Krapp, A. (2002). An educational-psychological theory of interest and its relation to SDT. In E. L. Deci & R. M. Ryan (Eds.),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pp. 405–427).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2002]
  • KEDI 종합검사도구 개발 연구(Ⅰ) - 예비검사 개발, 실시 및 결과분석을 중심으로
    현주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5-19 [2005]
  • Jörg Henseler, Geoffrey H., & Pauline Ash Ray. (2017). Partial least squares path modeling: Updated guidelines.
    [2017]
  • James Raths, & Wittrock, M. C. A Taxomon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A Revision of Blooms'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강현석, 강이철, 권대훈, 박영무, 이원희, 조영남, 주동범, 최호성 공역(2015),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 Izard, C. E., & Ackerman, B. P.(2000). Motivational, organizational, and regulatory functions of discrete emotions. In M. Lewis & J. M. Haviland-Jones (Eds.), Handbook of emotions(2nd ed. pp.253-264). New York: Guilford Press
    [2000]
  • Izard, C. E. (1977). Human Emotions. New York: Plenum Press.
    [1977]
  • Introduction to domain-referenced testing
    Hively , W. 14 ( 6 ) , 5 ? 10 [1974]
  • Interest and learning from text
    Schiefele , U 3 , 257 ? 279 [1999]
  • Interest and Effort in Education, Houghton Miffin, 조용기 역(2010), 흥미와 노력 그 교육적 의의
    John D. 교우사 [1913]
  • In the mind of the actor : The structure of adolescents ' achievement task values and expectancy-related beliefs
    Eccles , J. S. , &amp; Wigfield , A 21 ( 3 ) , 215 ? 225 [1995]
  • Hymes, D. H. (1972). On Communicative Competence. In J. B. Pride, & J. Holmes (Eds.), Sociolinguistics: Selected Readings(pp. 269-293). Harmondsworth: Penguin.
    [1972]
  • Hooper, J. (1994). ‘Speaking proper’: Accent, dialect and identity. Occasional Papers No. 22). England: Southampton University.
    [1994]
  • Herbart, J. F. (1806/1965). Allgemeine Pädagogik aus dem Zweckder Erziehung abgeleitet. Hrsg. von W. Flitner, Düsseldorf/München.
  • Hauenstein, A. D. (1998). A conceptual framework for educational objectives: a holistic approach to traditional taxonomies (vol. 100): University Press of America Lanham, MD.
    [1998]
  • Halliwell, S. (1993). Grammar matters. London: CILT.
    [1993]
  • Hair, J. F., Hult, G. T. M., Ringle, C. M., & Sarstedt, M. (2022). A Primer o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3rd ed.). Sage.
  • Hair, J. F., Black, W.C., Babin, B.J., & Anderson, R. E. (2010).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ition, Pearson, New York.
    [2010]
  •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L. (1998). Multivariate Data Analisy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998]
  • Gephart, W. J., & Ingle, R. B. (1976). Evaluation and the affective doma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Symposium for Professors of Educational Research (NSPER).
    [1976]
  • Gender differences in reading ability and attitudes : Examining where these differences lie
    Logan , S. , &amp; Johnston , R. 32 ( 2 ) , 199-214 [2009]
  • Gagne, R. M. (1989). Studies of learning: 50 years of research. Tallahassee, FL: Learning Systems Institute, Florida State University.
    [1989]
  • Gagne, R. M. (1977). The conditions of learning (3rd ed.).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77]
  • Gable. R. K., & Wolf, M. B. (1993). A Review of the steps for developing an affective instrument. In Instrument Development in the Affective Domain (pp. 237-266). Evaluation in Education and Human Services 36, Springer, Dordrecht.
    [1993]
  • Frust, E. J., (1994). Bloom's taxonomy: philosophical and educational issues, in Anderson, L.W. and Sosniak, L.A. eds., Bloom's Taxonomy: A Forty-year Retrospective, Ninety-third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pp. 28-40).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 Feltz, D. L. (1988). Self-confidence and sports performance. In K. B. Pandolf (ed.). Exercise and sports science reviews(pp. 75-109). New York: Academic Press,
    [1988]
  • Faerch, C. (1985). Meta talk in FL classroom discourse,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7-2, 184-199.
    [1985]
  • Erik Orsenna La Grammaire Est Une Chanson Douce. 정혜용 역(2006),문법 은 아름다운 노래
    미디어 2.0 [2001]
  • Eisenstein, M. (1987). Grammatical explanations in ESL: Teach the student, not the method. In M. Long & J. Richards (Eds.), Methodology in TESOL (pp. 282-292). New York: Newbury House Publishers.
    [1987]
  • Efron, B. & Tibshirani, R. J. (1993). An Introduction to the Bootstrap. Chapman and Hall, New York.
    [1993]
  • Duke, N. K., Purcell-Gates, V., Hall, L. A., & Tower, C. (2006). Authentic literacy activities for develop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The Reading Teacher 60-4, 344-355.
    [2006]
  • Dewey, J. (1913). Interest and effort in education. Houghton, Mifflin and Company.
    [1913]
  • Designing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강현석․ 강이철․권대훈․박영무․이원희․조영남․주동범․최호성(2005),신 목 표분류학의 설계
    Marzano R. J. 아카데미프레스 [2001]
  • DeBellis, G. A. (2002). Affect, meta-affect, and mathematical belief structures. In G. C. Leder, E. Pehkonen, & G. Torner(Eds.), Beliefs: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s education?(pp. 59-72). Netherlands
    [2002]
  •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Hu , L. T. , &amp; Bentler , P. M. 6 ( 1 ) , 1 ? 55 [1999]
  • Chomsky, N. A. (1965).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Cambridge, MA MIT Press.
    [1965]
  • Changes in children 's self-competence and values : Gender and domain differences across grades one though twelve
  • Carter, R. (1990). Knowledge about language and the curriculum, The LINC Reader, London: Hodder and Stoughton.
    [1990]
  • Carroll, J. B. (1968). The psychology of language testing. In A. Davies (ed.), Language testing symposium: A psycholinguistic approach(pp. 46–69).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8]
  • Canale, M. (1983). From Communicative Competence to Communicative Language Pedagogy. In J. C. Richard, & R. W. Schmidt (Eds.), Language and Communication(pp. 2-14). London: Longman.
    [1983]
  • Borg, S. (1999). The Use of Grammatical Terminology in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 A Qualitative Study of Teacher’s Practice and Cognition, Applied Linguistics 20-1, 95-126.
    [1999]
  • Bootstrap Tests : How Many Bootstraps ?
  • Bohlin, R. M. (1998). The affective domain: A model of learner-instruction interaction. Proceedings of Selected Research and Development Presentations. The National Convention of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AECT).
    [1998]
  • Blumenfeld, P. C., Puro, P. & Mergendoller, J. R. (1992). Translating motivation into thoughtfulness. In H. H. Marshall (Ed.), Redefining student learning: Roots of educational change(pp. 207-239). Norwood, NJ: Ablex.
    [1992]
  •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고등학교 국어과 단원목표 분석
    김현정 경 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Bloom, B. S. (1976/1977).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McGraw-Hill Book Company.
  • Bloom, B. S.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Ⅰ: The cognitive domain. New York: Longman.
    [1956]
  • Berman, R. A. (1979). Rule of Grammar or rule of thumb?, 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17-4, 279-302.
    [1979]
  • Bandura, A., & National Inst of Mental Health.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Inc.
    [1986]
  • Bachman, L. F., & Palmer, A. S. (1996). Language testing in practi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 Bachman, L. (1990). Fundamental considerations in language test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 Bachman, & Adrin S. P. Fundamental Considerations in Language Tesing, 최인철․김영규․정향기 역(2004),언어테스팅의 설계와 개발
    Lyle F. 범문사 [1996]
  • Assessing motivation to read .
  • Arnold, J., & Brown, H. D. (1999). A map of the terrain. In J. Arnold (Ed.), Affect in Language Learning (pp. 1-24).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 Anderson, L. W. (1981). Assess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schools. Boston: Allyn and Bacon.
    [1981]
  • Anderson, J. R. (1995). Learning and memory: An integrated approach.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5]
  • Anderson, J. R. (1983). The architecture of cogni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3]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 제 방안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중학교 국어과 핵심 성취기준 개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과 핵심 성취기준 개발 연구
  • 200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이양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2005-1-2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