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시 공공건축의 실태와 효용 분석 =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Utility of Public Buildings in Non-Metropolitan Areas

김준래 2022년
논문상세정보
' 지방도시 공공건축의 실태와 효용 분석 =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Utility of Public Buildings in Non-Metropolitan Area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공공건축
  • 이용실태
  • 인구감소
  • 인구구조
  • 지방도시
  • 지방재정
  • 효용성분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06 0

0.0%

' 지방도시 공공건축의 실태와 효용 분석 =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Utility of Public Buildings in Non-Metropolitan Areas' 의 참고문헌

  • 지방행정연수원 2017 공통교재 지방재정조정제도 [2017]
  • 문화체육관광부 2019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2019]
  • 행정안전부 2018 지방재정연감(결산) [2018]
  • 기획재정부 2008~2010 공공기관 선진화 백서 [2011]
  • 현대성의 전화과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재구성;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논 리와 미시공공성의 구조.
    조대엽 한국사회 제13집 제1호, 3-62 [2012]
  • 행정학의 위기와 공공성 문제. 정부학연구
    소영진 제9권 제1호. 5-22 [2003]
  • 한국의 지방소멸 2018; 2013~2018년까지의 추이와 비수도권 인구이동 을 중심으로. 고용동향브리프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2018]
  • 한국의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이상호 지역고용동향브리프 [2016]
  • 한국 축소도시의 지역적 특성과 도시정책의 방향
    박판기 최재헌 한국도시지리학 회지, 제23권 제2호, 1-13 [2020]
  • 한국 도시쇠퇴의 원인과 특성
    김광중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3권 2호. 43-58 [2010]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http://www.riss.kr
  • 학생 수 감 소에 따른 농촌교육 실태 및 대응방안.
  •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교육 개선 방향 탐색: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김미식 김진숙 이미숙 이수정 조기희 대구경북연구. 20(3). 49-73 [2021]
  •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http://www.hahoemask.co.kr
  • 포용도시 조성을 위한 공공건축의 현황과 과제.
    성은영 이경재 임유경 건축 도시공간연구소 세종 [2017]
  • 평창동계올림픽을 한눈에!
    강대업 상설홍보관 개관. 1월 5일. http://www.gwbiz.k r/39004 [2016]
  • 통계청, https://kostat.go.kr/
  • 충청북도 내 도시재생전략계획 분석 및 개선방안 모색.
    변혜선 충북연구원 청주 [2019]
  • 충청권 도시쇠퇴의 특성과 영향구조분석: 전문가 의식조사 를 중심으로
    이관률 임준홍 황재혁 국토연구. 제63권. 123-139 [2009]
  • 축소도시.
    이삼수 정관진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2020]
  • 창원시비 들여 고친 마산 추산상가 19개월째 방치, 왜
    김용락 경남신문. 2월 16일.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344584 [2021]
  • 차상은 관람객 하루에 10명... 돈 줄줄 새는 지자체 박물관들
    중앙일보. 3월 28 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11062672#home [2013]
  • 지역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 전략 연 구.
  • 지역의 인구구조가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
    임성일 하능식 한국지방재정논집, 제 12권 제1호, 77-98 [2007]
  • 지역문화예술시설의 기능과 규모설정에 관한 건축계획연구 : 일산구 문화 예술센터 계획
    김경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지역 맞춤형 공공건축 복합화 실행 모델 개발을 위한 실태 조사 및 정책 개선 방향.
    김영현 성은영 임현성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세종 [2016]
  • 지역 공공건축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 방안 연구.
    박석환 변나향 임유경 건 축도시공간연구소 세종 [2017]
  • 지방정부의 정책지향과 인구이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Peterson의 도시한 계론의 발전적 수정
    이연경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지방정부의 권력구조와 재정지출정향
    권경환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6(3). 277- 298 [2005]
  • 지방정부와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 정향; 시군자치구간 비교분석
    강윤호 한 국행정학보. 36(4). 227-241 [2002]
  • 지방정부 추가경정예산 결정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관료의 예산 재량 영향을 중심으로
    이서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지방재정통합공개시스템 https://lofin.mois.go.kr
  • 지방재정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인구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장경원 건국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지방재정법
    법률 제17892호
  • 지방재정론
    라휘문 한국행정DB센타 서울 [2014]
  • 지방자치제도 실시 이후 일반재원이 자치단체의 기능별 재정지출에 미친 영향 분석; 정책기능별 비교의 관점에서
    장덕희 한국정책학회보. 22(1). 1-24 [2013]
  • 지방자치인재개발원 https://www.logodi.go.kr
  • 지방자치단체장의 주요정책 경향분석(Ⅰ) 민선 5 기 선거공약을 중심으로
    류상일 이민규 정석환 최호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661-671. 통계청 (2009~2021). 사회조사. [2012]
  • 지방자치단체장 매니페스토 평가와 득표율에 관한 연구 : 민선 5기 기초 및 광역단체장을 중심으로
    강주현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제22호 제1권. 53-79 [2013]
  • 지방자치단체의 국고보조금 Fungibility에 관한 연구
    석호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 지방자치단체 청사 기준면적 제외 산정기준 고시
    행정자치부고시 제-12호 [2016]
  • 지방자치단체 재정지출 정향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윤인주 한국지방행정학보. 1 1(2). 1-21 [2014]
  • 지방자치단체 예산편성 운영기준
    행정안전부훈령 제200호
  • 지방자치단체 보조금 제도의 효율적 운영방안.
    이미애 이현우 경기연구원 경기 [2010]
  • 지방소멸에 대한 국가적 대응전략
    강동우 구형수 배유진 윤세진 조성호 경제〮인 문사회연구회 [2018]
  • 지방소멸과 지방창생; 재후'(災後)의 관점으로 본 '마스다 보고서
    박승현 일본비 평. 16. 158-183 [2017]
  • 지방소멸과 저성장 시대의 국토공간전략;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마강래 이경수 임보영 공간과 사회. 제28권 제2호. 45-70 [2012]
  • 지방세법
    법률 제18294호
  • 지방분권 강화를 위한 지방재정체계의 개편에 관 한 연구
    권오성 탁현우 한국행정 연구원 [2018]
  • 지방도시의 인구구조 변화와 세입예산이 공공건축에 미치는 영향; 제1종 근린새활시설과 문화 및 집회시설을 중심으로
    김세용 김준래 도시설계, 제21권 제5호, 17 7-192 [2020]
  • 지방교부세가 정책유형별 지방정부 지출에 미친 영향분석
    류세은 배상석 한국정 책학회보. 16(1). 143-166 [2007]
  • 지방공기업법
    법률 제17522호
  • 지방 세입 증감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세출 부문별 지출변화에 관한 연구.
    석호원 이주현 고양시정연구원 고양 [2019]
  • 중소도시재생을 위한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방안.
    임강륜 차주영 건축 도시공간연구소 안양 [2011]
  • 중소도시 마을연계형 거점공간의 지속가능한 운영방안.
    김영하 윤주선 건축 도시공간연구소 세종 [2019]
  • 주민요구 반영 50m 공인수영장 설치 재도전
    정태욱 9월 27일. https://ww 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2569 [2021]
  • 조건부 지원금이 자치단체의 자체사업비에 미친 영향 분석; Fungibility 가 설의 검증을 중심으로
    장덕희 한국행정학보. 제44권. 제2호. 291-309 [2010]
  • 제주도립미술관 건립 기획에 관한 연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양미경 홍 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정부청사관리규정
    대통령령 제31380호
  • 전북지자체 공립박물관 운영 실태 긴급점검
    최정규 전북일보. 11월 23일. https:/ /www.jjan.kr/article/20201123721003 [2020]
  • 전라북도 도시재생 추진현황 및 개선방안
    이창우 한국도시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4년 동계학술대회. 241-260 [2014]
  • 전라남도 농업박물관 https://www.jam.go.kr/web?site_id=19
  • 전국문화기반시설 최소기준수립 연구.
    강석홍 김광식 김세훈 신미경 이원태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서울 [2004]
  • 저성장 시대의 축소도시 실태와 정책방안 연구.
    구형수 김태환 이승옥 안양 국토연구원 [2016]
  • 재정형평화 교부금 체계의 문제점과 개편 방향; 부동산교부세제도 와 자치구 재정문제를 중심으로
    정종필 최병호 한국지방재정학회 세미나자료집. 23-49 [2007]
  • 장래인구변화와 지방재정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박지현 한국지방세연구원 [2015]
  • 자치단체장의 선거공약이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신천식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인천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김병배 김성규 황윤식 인 천연구. 185-208 [2019]
  • 인구정책의 지방화 연구
    최민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인구정책 패러다임 전환한다. 나라경제
    김영민 한국개발연구원 [2020]
  • 인구절벽 시대 교육정책의 방향 탐색: 지방별 인구 감소 및 학생수 감소 실태를 중심으로.
  • 인구저성장시대의 도시권 공간구조의 변화 와 정책대응방향: 일본을 중심으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문화적 영향분석 및 정책방향
    김영현 윤소영 한국문화관광 연구원 [2021]
  • 인구구조 변화 및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지 역고용 정책 사례 연구
  • 인구고령화가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곽채기 김병수 한국거버넌스 학회보, 제19권 제3호, 141-169 [2012]
  • 인구감소지역의 유형별 실태와 지방의 도시계획적 대응 비교
    제현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인구감소시대의 지역활성화와 지방분권; 일본의 지방소멸론과 지방창생을 소재로
    하동현 한국지방행정학보. 14(3). 1-27 [2018]
  • 인구감소시대 축소도시 활성화 전략; 한국의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송창식 원광희 채성주 충북개발연구원 [2010]
  • 인구감소시대 농촌중심지 공공건축 외부공간의 구성 및 공익성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 함평군, 화순군, 곡성군, 장흥군 면소재지 내 복지센터를 중심 으로
    박성진 염대봉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9:4. 73-81 [2017]
  • 인구감소 시대의 공공시설 개혁. 임준홍 외 역. 파주
    나이토 노부히로 한울아카데 미 [2017]
  • 인구감소 군지역의 공공건축 증가 수준 분석을 통한 투자심사 개 선방안
    김세용 김준래 도시설계, 제22권 제5호, 141-152 [2021]
  • 이육사문학관 www.264.or.kr
  • 이용자 만족도 제고를 위한 소규모 공공건축물의 기획 내 실화 방안 연구.
    박석환 변나향 엄운진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세종 [2018]
  • 이완섭 서산시장 후보, 모두가 즐기는 교육문화도시 건설. 5월 28일. http: //www.cndnews.co.kr/sub_read.html?uid=214708&section=sc8&section2=6
    김수환 13%20%C1%F6%B9%E6%BC%B1%B0%C5 [2018]
  • 이민 550억 짜리 혈세먹는 하마 '안동유교랜드'…48억 추가 투입
    더팩트. 5월 1 일. http://news.tf.co.kr/read/national/1935427.htm [2022]
  • 유원희 천안시장 예비후보 '천안미술관 건립' 공약
    윤평호 3월 22일. http://www. daej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511242 [2022]
  • 유교랜드 https://www.confucianland.com
  • 우리의 공공건축 무엇이 문제인가. 공공건축포럼 발제자료.
    조명래 건축도시 공간연구소 안양 [2007]
  • 우리나라 중소도시 쇠퇴실태와 특성
    이인희 충남발전연구원 공주 [2008]
  • 오죽한옥마을https://ojuk.gtdc.or.kr
  • 영암목재문화체험장http://www.gitree.org/www/
  • 영암군립하정웅미술관 https://www.yeongam.go.kr/home/haart.
  • 안동하회마을 http://www.hahoe.or.kr
  • 아동‧청소년 관련 공공 서비스 이용 분석; 학교급별 차이
    서정아 장연진 한국콘텐 츠학회논문지. 20(6). 653-667 [2020]
  • 시민 중심의 심마트시티 사후평가 모델구축 및 평가연구
    오주석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9]
  • 순천시, 무리한 공모사업 추진으로 혈세 낭비
    이형권 브릿지경제. 8월 18일. htt 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70817010006035 [2017]
  • 소방청사 부지 및 건축기준에 관한 규정
    소방청훈령 제65호
  • 소방력 기준에 관한 규칙
    행정안전부령 제238호
  • 서울시 미래세대의 생활양식 변화에 따른 공공시설 공급방 향.
    맹다미 이가인 허자연 서울연구원 서울 [2019]
  • 새 행정학
    윤영진 이종수 대영문화사 서울 [2012]
  • 삼호종합문화체육센터 https://www.yeongam.go.kr/home/ok/rent/samho
  • 삼백 농업농촌 테마공원 기본계획
    권진욱 박찬용 농촌계획. 20(1). 147-159 [2014]
  • 사회보장기본법
    법률 제11238호
  •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758호
  • 박물관이 지역정체성 강화에 미치는 영향
    최식원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미래 농촌 정주공간의 진단과 정책방향
    이용우 제17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발제 자료 [2016]
  • 문화예술회관의 효율성 분석을 통한 운영 최적화 방안 연구
    김흥태 추계예술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9]
  • 문화시설 수요추정 개선방안 연구.
    김지선 조현민 함윤주 한국지방행정연구 원 원주 [2019]
  • 문화기반시설 중장기 확충 및 발전방안 연구
    김세훈 김홍남 이용남 이철순 정창무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서울 [2001]
  • 문화관광 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
    김진경 박미수 이종연 이현정 한국개발연구원 세종 [2015]
  • 무조건부 보조금의 감소가 지방정부 지출에 미친 영향 분석: 시 군 지역을중심으로
    이용모 최웅선 한국정책학회보. 24(4). 339-369 [2015]
  • 매일신문 혈세 먹는 하마가 돼 버린 지자체 공공시설
    1월 6일. http://news.i maeil.com/page/view/2022010517570374157 [2022]
  • 마스다 히로야. 지방소멸. 김정환 역. 서울
    와이즈베리 [2015]
  • 도시차원의 쇠퇴실태와 경향
    김용욱 이영성 이예지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pp.1-11 [2010]
  • 도시재생사업의 미래전망과 발전 방안.
  • 도시수축: 도시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
    강인호 염대봉 이영철 한국사회와 행정 연구. 26(3). 25-50 [2015]
  • 도시쇠퇴가 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권오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도시공공공간의 쾌적도의 정략적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김세용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997]
  • 도시 내‧외부 인구 변화 및 이동을 고려한 축소도시 유형 분석
    정광진 서울시립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도시 내 공공건축물 저층부 및 외부공간 개선방안 연구.
    김미현 이혜원 임유경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세종 [2019]
  • 도시 공공공간의 쾌적성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김세용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 계. 제14권 제12호. 195-202 [1998]
  • 도시 가로의 리버빌리티 개념과 해석에 관한 연구
    서민호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4]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
  • 김천 황녀의 동산 체험관 애물단지 전락
    남보수 10월 20일. https://www.dk 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14397 [2020]
  • 길 잃은 축소도시 어디로 가야 하나
    이희연 한수경 국토연구원 안양 [2014]
  • 국회예산정책처 https://www.nabo.go.kr
  • 국회예산정책처 2017 조세의 이해와 쟁점; 7
    지방세 [2017]
  • 국회예산정책처 2017 조세의 이해와 쟁점; 1
    조세개요 [2017]
  • 국토정보플랫폼 http://map.ngii.go.kr
  •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간복지 실현 및 공공건축 조성 정책방안 연구
    박선영 서수정 차주영 최설아 현태환 국가건축정책위원회 [2015]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 국고보조금제도의 보조율체계에 관한 연구
    권오성 한국행정학회춘계학술발표논문 집. 1-22 [2006]
  • 국고보조금의 이월현상에 관한 연구
    장덕희 국정책과학학회보. 13(2). 51-74 [2009]
  • 국고보조금 운영의 개선방안; 광주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영성 이원희 한국지방 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423-443 [2005]
  • 국고보조금 및 매칭펀드제도 개선방안
  •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
  •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 국가기록원 https://www.archives.go.kr
  • 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 공공건축의 원칙과 요건. 세종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7]
  • 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 공공건축 가이드 02. 건축서비스산업진흥법 개정에 따 른 공공건축 기획업무 가이드. 세종
    건축공간연구원 [2020]
  • 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 https://www.npbc.or.kr
  •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김영현 류현숙 서수정 정지범 조시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안양 [2011]
  •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2).
    김영현 류현숙 서수정 정지범 조시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안양 [2012]
  •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지방재정 수입변화에 따른 지출행 태 비교분석: 정책유형별비대칭적 지출행태 모형의 탐색적 적용을 중심으로
    김재영 임채홍 한국 행정논집. 제33권 제1호. 63-91 [2021]
  • 광양읍 도시재생, 운영업체 없어 방치 장기화 우려
    이정교 광양시민일보. 2월 7 일. http://www.gycitizen.com/news/articleView.html?idxno=35083 [2022]
  •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시행령
    법률 제18086호
  •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법률 제18086호
  • 공공성이란 무엇인가
    조한상 책세상 서울 [2009]
  • 공공성의 유형화
    임의영 한국행정학보. 제44권 제2호. 1-21 [2010]
  • 공공성의 개념, 위기, 활성화의 조건
    임의영 정부학연구. 9(1). 23-53 [2003]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128호
  • 공공공간을 매개로 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고은정 서수정 건축도시공간연 구소 안양 [2008]
  • 공공건축의 정의와 유형 연구; 현행 공공건축 관련 규정의 검토를 중심으로.
    김혜련 이규철 이상아 임유경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세종 [2016]
  • 공공건축의 디자인 향상을 위한 디자인품질지표 개발 연 구.
    김상호 김영현 이민우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안양 [2009]
  • 공공건축의 가치향상을 위한 정책방향 및 추진방안.
    서수정 임현성 조준배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안양 [2007]
  • 공공건축물의 효율적 조성을 위한 운영방안 연구; 중앙정 부가 발주하는 공공건축물을 중심으로.
    김진욱 이민우 이상민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안양 [2009]
  • 공공건축물의 디자인 방향 에 관한 연구
  • 공공건축물 활용성 제고를 위한 리모델링 정책지원 및 제도개선 연구.
    김은희 염철호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세종 [2015]
  • 공공건축 활용성 증대를 위한 관리 정책 연구.
    엄운진 임현성 건축도시공간 연구소 안양 [2013]
  • 공공건축 사업계획 사전검토 DB https://www.npbc.or.kr/ns-login
  • 고령화시대 농촌마을 공동생활 공간 개발에 관한 연구
    이기용 동신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5]
  • 고급통계분석론: 이론과 실습
    노승철 이희연 문우사 고양 [2013]
  • 건축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건축물 용도 기준 개선 방 안 연구
    김은희 오민정 건축공간연구원. 세종 [2020]
  • 건축행정정보시스템 세움터 https://cloud.eais.go.kr
  •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
    법률 제17344호
  • 건축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3호 [1986]
  • 건축법
    법률 제18341호
  • 건축데이터 민간개방시스템 https://open.eais.go.kr
  • 건축기본법
    법률 제18339호
  • 건축공간연구원 https://www.auri.re.kr
  •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심경미 염철호 조준배 건 축도시공간연구소 안양 [2008]
  • 건물만 세운 도시재생…사람은 없고 건물만 남았다
    서유리 부산일보. 11월 1 0일.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91110193342268 26 [2019]
  • 강릉올림픽파크 https://www.gn.go.kr/olympicpark/index.do
  • 강릉아트센터 https://www.gn.go.kr/artscenter/iindex.do
  • 강릉시청 공식블로그 https://blog.naver.com/pinegn
  • 강릉녹색도시체험센터 https://www.gn.go.kr/greencity/index.do
  • 『공공성의 이론적 기초』
    임의영 박영사 서울 [2019]
  • 「지역쇠퇴분석 및 재생방안」
    오은주 이소영 이희연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893호
  • “지방정부의 정책정향과 지역발전정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우소영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공공성의 재구성과 시민사회의 공공성: 공공성의 범주화와 공공성 프로젝트의 전망.”
    조대엽 한국사회학연구. 제41권 제2호. 1-26 [2009]
  • Wildavsky, A. (1974). The Politics of Budgetary Process(Second edition). Boston: Little, Brown.
    [1974]
  • Weston, I. S. (2001). Rethinking the Nation`s Urban Problem in Kemp, R. L., The inner City: A Handbook for Renewal. Mcfarland. Jefferson. NC. 19-28.
    [2001]
  • The impact of demographic change on t ax revenue .
    Goudswaard , K. & Van de Kar , H. 22 ( 3 ) . 52-60 . [1994]
  • The impact of an aging US population on state tax revenues
  • Shri nking Cities : Urban Challenges of Globalization
  • Schneider, M.(1989) The Competitive City: The Political Economy of Suburbia, Pitt sburgh :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89]
  • Savas, E. S.(1982). Privatizing the Public Sector. Chatham House Publishers, Chath am, NJ.
    [1982]
  • STATA패널 데이터 분석
    민인식 최필선 지필미디어 파주 [2013]
  • STATA : 기초통계와 회귀분석(15version). 제2판.
    민인식 최필선 지필미 디어 파주 [2018]
  • STATA : 고급통계분석(15-16version).
    민인식 최필선 지필미디어 파주 [2019]
  • Planning Shri nking Cities
  • Peterson. P. E. (1981). City limit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 Pallagst, K. (2008). Shrinking Cities: Planning Challenges from an International Per spective. Cities Growing Smaller: Cleveland, OH: Kent State University.
    [2008]
  • Noon, D., James S. C. and Martin, E. (2000), Economic Regeneration and Funding i n Peter Roberts and Hugh Sykes (eds.),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SAGE, London, 61-85.
    [2000]
  • Moore, M. (1995). Creating Public Value: Strategic Management in Government. Ha rvard University Press.
    [1995]
  • Lucy, W. and Phillips, D. (2000), Confronting Suburban Decline: Strategic Planning for Metropolitan Renewal, Island Press, Washington D.C.
    [2000]
  • Kernell, S. (1986). Going Public. Washington: Congressional Quarterly.
    [1986]
  • Indtifying and measuring dimensions of urban deprvation in Montreal : an analysis of the 1996 census data
    Langlois , A. and kitchen , P. 38 ( 1 ) : 119-139 [2001]
  • Hollstein, L. M. (2014). Planning decision for vacant lots in the context of shrinkin g cities: a survey and comparison of practices in the United States. (PhD t hesis).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ustin, TX.
    [2014]
  • Hibbs, D. (1987). The American Political Economy : Macroeconomics and Electoral Politics in the United States. Cambridge :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 Herbert. (1975). Urban deprivation: definition, measurement and spatial qualities.
    [1975]
  • Heidenheimer, A., Helco, H., & Adams C. (1983). Comparative Public Policy: The Politics of Social Choice in Europe and America. New York: Martin‘s Pres s.
    [1983]
  • Hall, T. (1998). Urban Geography, Routledge, London.
    [1998]
  • Greening the rust belt : A green infrastructure mo del for right sizing America 's shrinking cities
    Schilling , J . & Logan , J 74 ( 4 ) , 451-466 [2008]
  • Errors Expected ? Aligning Urban Strategy with Demograp hic Uncertainty in Shrinking Cities
    Wiechmann , T. 13 ( 4 ) , 431-446 . [2008]
  • Economic constraint and political choice in urban policymaking
    Wong , K. 32 [1988]
  • Deprivation in London wards : mortality and unemployment tr ends in the 1980s
    Congdon , P. 37 ( 4/5 ) [1988]
  • Davis, R. Comparison of attitudes toward the New York City police. J. Police Sci. Adm. 1990, 17, 233–243.
    [1990]
  • Clark, D. (1989). Urban Decline: The British Experience. Routledge, London.
    [1989]
  • Cieśla, A. (2013). Shrinking city in Eastern Germany: The Term in the Context of Urban Development in Poland. Doctoral Thesis. Bauhaus-Universitat Weim ar.
    [2013]
  • Carter, H. (1995). The Study of Urban Geography, Edward Arnold, London.
    [1995]
  • Bradbury, K. L., Downs, A. & Small, K. A. (1982). Urban decline and the future of American cities.
    [1982]
  • Bozeman, B. (2007). Public Value and Public Interest: Counterbalancing Economic I ndividualism.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07]
  • Area deprivation in Scotland : a new assessment
    Kearna , A. , Gibbs , K. and Mackay , D. 37 ( 9 ) : 1535-1599 [2000]
  • Are Canadian inner cities becoming more diss imilar ? An analysis of urban deprivation indicators
  •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최호택 [2017]
  • 2008년 감세정책이 시 군 자치단체의 세입과 세출에 미 친영향분석
    김태일 라휘문 장덕희 지방행정연구. 26(2). 111-134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