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麗 僧政 硏究

김윤지 2022년
논문상세정보
인용/피인용
' 高麗 僧政 硏究'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住持
  • 僧官
  • 僧政
  • 僧科
  • 僧職
  • 僧階
  • 判事
  • 國師
  • 官制
  • 官誥
  • 寺院
  • 批職
  • 摠攝
  • 王師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3 0

0.0%

' 高麗 僧政 硏究' 의 참고문헌

  • 이순근 羅末麗初豪族용어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聖心女大論文集 19 [1987]
  • 李炳熙, , 高麗時期寺院經濟硏究
    경인문화사 [2009]
  • 李炳熙, , 高麗時期住持制運營과 寺院經濟
    史學硏究 90 [2008]
  • 李廷柱, , 恭讓王代의 政局動向과 斥佛運動의 性格
    韓國史硏究 120 [2003]
  • 論語
  • 한국사경 연구
    장충식 동국대학교출판부 [2007]
  • 한국고대사의 연구
    이홍직 신구문화사 [1971]
  • 조선초기 법전의 '僧' 연구
    양혜원 서울大學校大學院國史學科박사논문 [2017]
  • 조선전기 도첩제도(度牒制度) 연구
    민순의 서울大學校大學院종교학과 박사 [2016]
  •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
    김두진 일조각 [2007]
  • 신라 골품제사회와 화랑도
    이기동 一潮閣 [1984]
  • 선문염송집 연구: 12~13세기 고려의 공안선과 송의 禪籍
    조명제 경진출판 [2015]
  • 고려의 성물, 불복장
    신은제 정은우 景仁文化社 [2017]
  • 고려의 사경
    권희경 글고운 [2006]
  • 고려시대사
    박용운 일지사 [2008]
  • 고려시대대간제도연구
    박용운 일지사 [1980]
  • 고려시대 사람들의 의복식 생활
    박용운 景仁文化社 [2016]
  • 高麗後期政房硏究
    김창현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院 [1998]
  • 高麗後期佛敎史硏究
    채상식 一潮閣 [1993]
  • 高麗史
  • 高麗史節要
  •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下)
    노명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0]
  •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上)
    노명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0]
  • 陽村集
  • 陶隱集
  • 釋氏要覽
  • 補閑集
  • 義天: 그의 생애와 사상
    박용진 혜안 [2011]
  • 禮記
  • 牧隱集
  • 東文選
  • 東國李相國集
  • 景德傳燈錄
  • 新羅禪宗의 硏究
    정성본 民族社 [1995]
  • 新羅禪宗硏究: 朗慧無染과 聖住山門을 중심으로
    조범환 一潮閣 [2003]
  • 文宗實錄
  • 成宗實錄
  • 慵齋叢話
  • 宣和奉使高麗圖經
  • 孤雲集
  • 孝經,
  • 太宗實錄
  • 大覺國師文集
  • 均如華嚴思想硏究-敎判論을 중심으로-
    최연식 서울大學校大學院國史學科 박사학위논문 [1999]
  • 佛光辭典
  • 五燈會元
  • 世宗實錄
  • 三國遺事
  • 三國史記
  • 一然碑에 보이는 淸玢과 山立의 정체
    채상식 한국민족문화 59 [2016]
  • 한기두, , 고려불교의 결사운동
    박길진박사화갑기념한국불교사상사 [1975]
  • 중편 소은대소 교정 최법혜 역주, , 칙수백장청규 역주
    동양덕휘 가산불교문화 연구원 [2008]
  • 조선전기의 度僧및 赴役僧문제
    김영태 佛敎學報 32 [1995]
  • 전북전통문화연구소 편, 曺凡煥, , 後百濟甄萱政權과 禪宗, 후백제 견훤정권과 전주
    주류성 [2001]
  • 자각종색선사 최법혜 역주, , 고려판 선원청규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1]
  • 일연선사비의 복원과 고려 승려 비문의 문도 구성
    정병삼 韓國史硏究 133 [2006]
  • 일본․한국 중세불교사 연구와 종교개혁 담론
    조명제 역사와 경계 105 [2017]
  • 의천 지음 박용진 옮김, , 대각국사 문집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0]
  • 원성왕대 政法典의 개편과 正法治國이념
    신선혜 新羅史學報 43 [2018]
  • 여말선초의 승군(僧軍) 개념 - 국가권력의 승단 관리와 승도의 개념 및 범주의 관점에서 -
    민순의 동아시아불교문화 44 [2020]
  • 신라 황룡사의 창건과 진흥왕의 왕권 강화
    최선자 韓國古代史硏究 72 [2013]
  • 신라 중고기초의 僧政과 寺主
    박남수 新羅文化 42 [2013]
  • 신라 중고기 僧職의 설치와 僧團
    신선혜 佛敎硏究 46 [2017]
  • 신라 大道署의 정비과정과 승정체계의 변화
    박남수 한국사상사학 44 [2013]
  • 신라 僧官制의 성립과 기능
    이수훈 釜大史學 14 [1990]
  • 수선사의 공안선 이해와 선문삼가염송집
    조명제 한국선학 41 [2015]
  • 불국사 석가탑 유물2-중수문서, 국립중앙박물관
    대한불교조계종
  • 불국사 석가탑 유물 보고서 간행위원회 편, , 불국사 석가탑 유물2-중수문서
    국 립중앙박물관 [2009]
  • 불교기관 연구
    고려말 사문경 조선초 충남대학교 박사논문
  • 나말려초 선종정책 연구
    최인표 한국학술정보 [2007]
  • 나말려초 선사(禪師)들의 계보 인식
    김영미 역사와 현실 56 [2005]
  • 나말려초 국왕과 불교의 관계
    남동신 역사와 현실 56 [2005]
  • 국사편찬위원회
    신편 한국사 16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2002]
  • 관단 사원과 계단(戒壇) -고려전기 금산사의 교단에서의 위상-
    박광연 韓國 佛敎學 88 [2018]
  • 고려후기와 조선초기의 인사 문서 연구
    박준호 古文書硏究 31 [2007]
  • 고려후기~조선전기 免役僧의 증가와 度牒制시행의 성격
    양혜원 韓國思想史 學 44 [2013]
  • 고려후기 인사행정과 인사문서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박재우 韓國史硏究 162 [2013]
  • 고려후기 승려에 대한 봉군(封君)과 그 의미
    이정훈 역사와 현실 80 [2011]
  • 고려후기 수선사의 결사운동과 사상적 위상에 대한 재검토
    조명제 불교학연구 56 [2018]
  • 고려후기 불교 조영물의 발원내용에 나타난 불교신앙의 경향
    정병삼 사학연 구 128 [2017]
  • 고려후기 공안선의 수용과 남명천화상송증도가사실
    조명제 불교학연구 50 [2017]
  • 고려후기 僧政의 변화와 불교 宗團
    박광연 한국중세사연구 53 [2018]
  • 고려후기 僧官의 구성과 역할
    이정훈 한국사학보 49 [2012]
  • 고려초기의 관계(官階) 수여 양상과 광종대 문산계(文散階) 도입의 배 경
    최종석 역사와 현실 67 [2008]
  • 고려전기 재상의 임명과정과 宣麻儀
    김보광 역사와 실학 68 [2019]
  • 고려시대 태조 追慕儀의 양상과 崇拜
    한정수 사학연구 107 [2012]
  • 고려시대 왕사․국사 책봉의례와 군신․사자 관계의 구현
    김윤지 역사와 현 실 119 [2021]
  • 고려시대 승려의 사원 轉補와 遙領
    김윤지 史叢 103 [2021]
  • 고려시대 승려 비직(批職)의 운영과 그 의미
    김윤지 역사와 현실 115 [2020]
  • 고려시대 내원당의 기능과 위상
    한기문 한국중세사연구 38 [2014]
  • 고려시기의 兼職과 重複職에 대한 논의와 권력구조
    박용운 한국사연구 136 [2007]
  • 고려 최씨정권의 정방(政房) 운영과 성격
    박재우 한국중세사연구 40 [2014]
  • 고려 전기 法號의 사용과 그 운영의 특징
    박윤진 民族文化硏究 87 [2020]
  • 고려 전기 太后의 이념적 지위와 太后權의 근거
    이정란 사학연구 111 [2013]
  • 고려 전기 上表儀禮와 국왕 권위의 顯現
    이정란 사림 68 [2019]
  • 고려 광종대 승계제(僧階制)의 시행과 불교계의 재편
    김윤지 한국사상사학 54 [2016]
  • 고려 고승비 음기의 문도 검토-경북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기문 大丘史學  144 [2021]
  • 黃善榮, , 高麗初期公服制의 成立
    釜山史學 12 [1987]
  • 高麗顯宗․靖宗代釋迦塔重修기록의 판독․역주; 2009
  • 高麗金山寺慧德王師碑陰記, 韓國金石遺文
    황수영 一志社 [1985]
  • 高麗時期告身과 官吏任用體系,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下)
    박재우 서울대학 교출판문화원 [2000]
  • 高麗時代의 小君과 國庶
    이정란 韓國史硏究 122 [2003]
  • 高麗時代國王文書의 種類와 機能,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下)
    최연식 서 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0]
  • 高麗後期天台宗의 萬德山白蓮社結社에 대한 硏究
    채상식 서울대 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77]
  • 高麗後期天台宗의 白蓮社結社
    채상식 韓國史論 5 [1979]
  • 高麗前期香徒의 佛事조성과 구성원 규모
    구산우 한국중세사연구 10 [2001]
  • 高麗初高僧의 大師追封
    박윤진 韓國史學報 14 [2003]
  • 高翊晋, 1987, 韓國古代佛敎思想史硏究 東國大學校大學院博士學位論文
  • 韓基汶, , 高麗寺院의 構造와 機能
    民族社 [1998]
  • 韓基汶, , 고려시대 州縣資福寺와 香徒의 역할
    동국사학 59 [2015]
  • 韓基汶, , 高麗時代裨補寺社의 成立과 運用
    한국중세사연구 21 [2006]
  • 韓基汶, , 新羅末․高麗初의 戒壇寺院과 그 機能
    역사교육논집 12 [1988]
  • 韓基汶, , 新羅下代興輪寺와 金堂十聖의 性格
    新羅文化 20 [2002]
  • 阎步克, 2009, 分等分类三题之一:比秩与宦皇帝者, 从爵本位到官本位, 三联书 店
  • 金龍德, , 高麗光宗朝의 科擧制度問題
    中央大論文集 4 [1959]
  • 金龍善編著, , 高麗墓誌銘集成(제5판)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2]
  • 金龍善, , 고려금석문연구
    일조각 [2004]
  • 金福順, , 新羅佛敎界의 人材養成과 選拔
    新羅의 人材養成과 選拔-新羅文化 祭學術發表會論文集- 19 [1998]
  • 金相鉉, 1991, 新羅華嚴思想史硏究, 民族社
  • 金相鉉, , 新羅下代華嚴思想과 禪思想-그 갈등과 공존-
    新羅文化 6 [1989]
  • 金甲童, , 羅末麗初의 豪族과 社會變動硏究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90]
  • 金甲童, , 高麗王朝의 成立과 郡縣制의 變化
    국사관논총 35 [1992]
  • 金甲童, , 高麗初期官階의 成立과 그 意義
    歷史學報 117 [1988]
  • 金杜珍, 1983, 均如華嚴思想硏究-性相融會思想-, 一潮閣
  • 金杜珍, , 고려전기 교종과 선종의 교섭사상사 연구
    일조각 [2006]
  • 金杜珍, , 高麗光宗代의 專制王權과 豪族
    韓國學報 1 [1979]
  • 金杜珍, , 朗慧와 그의 禪思想
    歷史學報 57 [1973]
  • 金杜珍, , 均如의 生涯와 著述
    歷史學報 75・76 [1977]
  • 金映遂, , 五敎兩宗에 對하야
    眞檀學報 8 [1937]
  • 金昌賢, , 고려후기 政房의 구성과 성격
    韓國史硏究會 87 [1994]
  • 金昌賢, , 고려시대 승병의 성격과 역할
    동국사학 59 [2015]
  • 金塘澤, , 崔承老의 上書文에 보이는 光宗代의 '後生'과 景宗元年田柴科, 高麗 光宗硏究
    一潮閣 [1981]
  • 金基德, , 高麗前期의 王位繼承
    建大史學 9 [1997]
  • 金光洙, , 高麗時代의 同正職
    歷史敎育 10・11합 [1969]
  • 辛鍾遠, , 新羅佛敎公認의 實相, 新羅文化祭學術論文集 14
    경주시․신라문화 선양회․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3]
  • 赫連挺, 崔喆․安大會譯註
    譯註均如傳 새문社 [1986]
  • 贊寧撰․富世平校注, 大宋僧史略校注, 中華書局
  • 谢重光․白文固, 1990, 中国僧官制度史, 青海人民出版社
  • 谢重光, 2009, 中古佛教僧官制度和社会生活, 商务印书馆
  • 變太燮, , 高麗初期의 地方制度
    한국사연구 57 [1987]
  • 許興植編, 1984, 韓國金石全文 中世下, 亞細亞文化社
  • 許興植編, 1984, 韓國金石全文 中世上, 亞細亞文化社
  • 許興植編, , 韓國金石全文 古代
    서울亞細亞文化社 [1983]
  • 許興植, 1986, 高麗佛敎史硏究, 一潮閣
  • 許興植, 1981, 高麗科擧制度史硏究, 一潮閣
  • 許興植, , 고려의 과거제도
    일조각 [2005]
  • 許興植, , 동아시아 중세국가의 佛敎師傳
    만주연구 3 [2005]
  • 許興植, , 高麗時代의 國師․王師制度와 그 機能
    歷史學報 67 [1975]
  • 許興植, , 高麗時代의 僧科制度와 그 機能
    歷史敎育 19 [1976]
  • 許興植, , 高麗前期佛敎界와 天台宗의 形成過程
    韓國學報 11 [1978]
  • 許興植, , 僧錄司와 僧政의 統制, 高麗佛敎史硏究
    一潮閣 [1986]
  • 蔡雄錫
    高麗時代의 國家와 地方社會-本貫制의 施行과 地方支配秩序- [2000]
  • 蔡尙植, , 普覺國尊一然에 대한 研究-加持山門의 登場과 관련하여-
    韓國史硏 究 26 [1979]
  • 蔡尙植, , 新羅統一期의 成典寺院의 구조와 기능
    釜山史學 8 [1984]
  • 蔡尙植, , 新羅僧官制이해를 위한 試論
    韓國文化硏究 6 [1993]
  • 統一新羅의 法華信仰과 불교 문화
    박광연 韓國史硏究 150 [2010]
  • 秋萬鎬, , 羅末禪師들과 社會諸勢力과의 關係-眞聖女王代의 農民叛亂에 주목하여 -
    史叢 30 [1986]
  • 秋萬鎬, , 나말려초 선종사상사 연구
    이론과 실천 [1992]
  • 申虎澈, , 高麗光宗代의 公服制度, 高麗光宗硏究
    一潮閣 [1981]
  • 河玄綱, , 高麗惠宗代의 政變
    史學硏究 20 [1968]
  • 河炫綱, , 韓國中世史硏究
    일조각 [1988]
  • 河炫綱, , 高麗王朝의 成立과 豪族聯合政權한국사 4
    국편위 [1974]
  • 河炫綱, , 光宗의 王權强化策과 그 意義, 韓國中世史硏究
    一潮閣 [1988]
  • 武田幸男, 1966, 高麗初期の官階―高麗王朝確立過程の一考察―, 朝鮮學報 41
  • 松廣寺王命文書를 통해 본 高麗公式令制詔規式
    양정석 韓國史學報 18 [2004]
  • 李鎭漢, , 고려전기 官職과 祿俸의 관계 연구
    一志社 [1999]
  • 李鍾旭, , 高麗初940年代의 王位繼承戰과 그 政治的性格, 高麗光宗硏究
    一 潮閣 [1981]
  • 李裁昌, , 高麗佛敎의 僧科․僧錄司制度, 韓國佛敎思想史: 崇山朴吉鎭博士華 甲紀念
    圓佛敎思想硏究院 [1975]
  • 李相瑄, , 高麗時代寺院의 社會經濟硏究
    성신여대출판부 [1998]
  • 李相瑄, , 高麗時代의 隨院僧徒에 대한 考察
    숭실사학 2 [1984]
  • 李智冠, 1999, 校勘譯註歷代高僧碑文 朝鮮篇1, 伽山佛敎文化硏究院
  • 李智冠, 1993, 校勘譯註歷代高僧碑文 新羅篇, 伽山文庫
  • 李基白, 1986, 新羅思想史硏究 一潮閣
  • 李基白, , 新羅時代의 佛敎와 國家
    歷史學報 111 [1986]
  • 朴胤珍, 2006, 高麗時代王師․國師硏究, 景仁文化社
  • 朴胤珍, , 고려 후기 師號의 운영과 그 특징
    歷史敎育 139 [2016]
  • 朱甫暾, , 皇龍寺의 創建과 그 의도
    韓國史硏究 176 [2017]
  • 朝鮮總督府編, 1919, 朝鮮金石總覽
  • 朝鮮建國을 둘러싼 正統과 異端의 激突- 高麗恭讓王3年斥佛論爭 참가자 분석-
    이정주 韓國史學報 10 [2001]
  • 曺凡煥, 2008, 羅末麗初禪宗山門開創硏究, 景仁文化社
  • 新羅의 宦官官府에 대한 試論-洗宅(중사성)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이재환  목관과 문자 21 [2018]
  • 新羅中古期불교계의 동향과 僧政
    신선혜 韓國史學報 25 [2006]
  • 新羅下代西南地域의 禪宗山門形成과 發展
    조범환 震檀學報 100 [2005]
  • 新羅下代禪僧의 動向과 王室의 對應, 나말려초 선종정책 연구
    최인표 한 국학술정보 [2007]
  • 後百濟의 對중국 교류 연구
    허인욱 史學硏究 122 [2016]
  • 張東翼, , 惠諶의 大禪師告身에 대한 檢討-高麗僧政體系의 理解를 중심으로-
     韓國史硏究 34 [1981]
  • 張日圭, , 신라 하대 서남해 지역 禪僧과 후백제
    한국고대사연구 74 [2014]
  • 度牒制考
    강경남 東國思想 16 [1983]
  • 崔柄憲, , 羅末麗初禪宗의 社會的性格
    史學硏究 25 [1975]
  • 崔柄憲, , 新羅末金海地方의 豪族勢力과 禪宗
    韓國史論 4 [1978]
  • 崔柄憲, , 新羅下代禪宗九山派의 成立-崔致遠의 四山碑銘을 中心으로-
    韓 國史硏究 7 [1972]
  • 崔柄憲, , 修禪結社의 思想史的意義
    普照思想 1 [1987]
  • 安啓賢, 1957, 麗代僧官巧, 東國史學 5
  • 安啓賢, , 佛敎抑制策과 佛敎界의 動向- 度牒制와 赴役僧, 한국사 11
    국사편찬 위원회 [1974]
  • 姜希雄, , 高麗初科擧制度의 導入에 관한 小考, 韓國의 傳統과 變遷
    高麗大學校 出版部 [1973]
  • 姜好鮮, , 高麗末懶翁慧勤硏究
    서울大學校大學院國史學科박사학위논문 [2011]
  • 姜喜雄, , 高麗惠宗朝王位繼承亂의 新解釋
    韓國學報 7 [1977]
  • 嚴成鎔, , 高麗初期王權과 地方豪族의 身分變化-豪族聯合政權設에 대한 檢討- 高麗史의 諸問題
    三英社 [1986]
  • 吉熙星, , 高麗時代의 僧階制度에 對하여 -特히 高麗圖經을 中心하여-
    奎章閣 7 [1983]
  • 南豊鉉, , 高麗初期의 帖文과 그 吏讀에 대하여 -醴泉鳴鳳寺慈寂禪師碑의 陰記 의 解讀-
    古文書硏究 5 [1994]
  • 南東信, , 新羅의 僧政機構와 僧政制度
    韓國古代史論叢 9 [2000]
  • 具山祐, , 高麗前期鄕村支配體制硏究
    혜안 [2003]
  • 具山祐, , 高麗顯宗代鄕村支配體制개편의 배경과 성격
    한국중세사연구 창 간호 [1994]
  • 佛國寺西石塔重修形止記의 재구성을 통한 불국사 석탑 중수 관련 내 용의 재검토
    최연식 震檀學報 105 [2008]
  • 佛國寺無垢淨光塔重修記의 내용에 대한 기초적 검토
    최연식 불교학리뷰 2 [2007]
  • 9세기 신라 화엄의 추이
    정병삼 佛敎學報 69 [2014]
  • 15세기 인사문서의 양식 변화와 성격
    박재우 역사와 현실 59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