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토크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관한 생산문화연구 : 오락화와 작가성을 중심으로

나은희 2022년
논문상세정보
' 관찰·토크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관한 생산문화연구 : 오락화와 작가성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뉴매체,잡지,출판
  • Observation and Talk Reality Show
  • Shadow Producer
  • ambivalence
  • authorship
  • entertainment
  • rituality
  • scripter
  • 관찰·토크 리얼리티 프로그램
  • 구성작가
  • 쉐도우 프로듀서(Shadow Producer)
  • 양가성
  • 오락화
  • 의례성, television production research
  • 작가성
  • 텔레비전 생산연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47 0

0.0%

' 관찰·토크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관한 생산문화연구 : 오락화와 작가성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국의 방송 현실에서 작가주의란 가능한가
    김옥영 프로그램/텍스 트, 4, 29-48 [2001]
  • 한국방송작가상 수상작품집. 301-302
    문은애 서울: 시나리오 친구들 [2010]
  • 한국 텔레비전 생산 연구의 실태 진단
    임영호 언론정보연구, 52권 1 호, 5-32 [2015]
  • 한국 언론학의 제도적 성공담과 내재적 위기론
    임영호 커뮤니케이션 이론, 9(1), 6-38 [2013]
  • 한국 언론의 전문직주의와 전문직 프로젝트의 특수성
    박진우 한국언 론정보학보, 74(6), 177- 196 [2015]
  • 한국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정서구조와 문화정치학
    김수정 방송문화연 구, 23(2), 37-72 [2011]
  • 한국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실제성 구현 연구: 1박2일에 나 타난 제작진 노출을 중심으로
    이헌율 한국방송학보, 29(6), 241-272 [2015]
  • 한국 TV 예능 프로그램의 유사화 현상에 대한 연구: KBS 예능 PD 및 작가들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김영도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8]
  • 한국 TV 예능 오락 프로그램의 변천과 발전: 편성 및 사회문 화사적 의미와 평가
    강태영 윤태진 서울:한울 아카데미 [2002]
  • 포스트미디어 시대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매체성 연구
    김명진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 토크쇼, 문화적 관행으로서의 제의
    권유리야 한국문학논총, 87, 471-502 [2021]
  • 텔레비전을 만드는 사람들
    이남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텔레비전과 일상문화. 일상문화연구회 (편). 일상 속의 한국문 화 (161-187)
    이기현 서울: 나남출판 [1998]
  • 텔레비전, 작가, 작가주의
    주창윤 프로그램/텍스트, 9-28 [2001]
  • 텔레비전 프로그램 포맷의 수입과 현지화에 관한 연구: 한국 TV 프로그램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성영준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텔레비전 탈장르 프로그램의 제작과정 특성
    김상근 한국콘텐츠학회논 문지, 11(2), 251-258 [2011]
  • 텔레비전 코미디 프로그램의 생산과정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 구
    이오현 언론과 사회, 15(2), 131-174 [2007]
  • 텔레비전 이야기하기 문화에 관한 연구
    김예란 한국언론학보, 47(6), 31-57 [2003]
  •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서 웃음유발의 정치성
    김남일 한국방송학 보, 22(6), 9-41 [2008]
  • 텔레비전 예능의 뉴 패러다임: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여 가의 발견
    신상기 이종대 영상기술연구, 1(21), 127-151 [2014]
  • 텔레비전 연예정보 프로그램의 생산자 문화에 대한 민속 학적 연구
    김영찬 연정모 한국방송학보, 22권 2호, 82-122 [2008]
  • 텔레비전 버라이어티쇼의 사적인 이야기 서술
    이희은 언론과 사회, 19(2), 2-48 [2011]
  • 텔레비전 리얼리티프로그램의 매체성 고찰
    김명진 한국방송학보, 34(5), 4077 [2020]
  •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
    홍석경 방송문화연구, 16(1), 257-280 [2004]
  •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상호텍스트성과 상호주관적 실재 의 구성: 효리네 민박을 중심으로
    김명진 한국방송학보, 33(3), 5-44 [2019]
  •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생산과정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 KBS 인물현대사의 인물선정과정을 중심으로
    이오현 언론과 사 회, 13(2), 117-156 [2005]
  • 태널의 증가에 따른 TV 프로그램의 유사화에 관한 연 구
    김영도 장하용 사회과학연구, 25(4), 7-30 [2018]
  • 탐사보도 프로그램 제작에서 구성작가의 역할
    육서영 윤석민 방송통 신연구, 81, 127-155 [2012]
  • 코로나 시대의 한국 관찰 예능: 사회적 거리두기, 정서적/감각적 거리 좁히기
    조충환 인문과학논총, 42(3), 63-93 [2021]
  • 천안함 침몰 사건과 미디어 통제: 탐사보도 프로그램 생 산자 연구
    김상균 한희정 한국언론정보학보, 66(2), 242-272 [2014]
  • 질적연구의 특성:민속지학을 중심으로. 조항제 김영찬 이기형 외 (편), 미디어 문화연구의 질적 방법론 (37-73)
    김영찬 서울: 컬처룩 [2015]
  • 지역방송 리얼리티 프로그램 제작자 연구
    이희승 지역과 커뮤니케이 션, 16(1), 223-255 [2011]
  • 지금 여기에서 생산연구라는 주제와 문제의식을 복 기 하기 : 저널리즘과 비판적 생산연구와의 결합을 중심으로
    이기형 황경아 한국언론정 보학보, 100,. 11-63 [2020]
  • 증언과 고백의 세계: 텔레비전 사사화와 치료 윤리
    김응숙 언론과학 연구, 4(2), 5-34 [2004]
  • 종교가 된 대중문화
    여건종 문학과영상, 19(1), 7-34 [2018]
  • 정서적 참여와 실재(reality)의 재구성: 한국 리얼리티 텔레비전 쇼의 작동방식에 대한 고찰
    윤태진 방송문화연구, 23(2), 7-36 [2012]
  • 전문성 구성요소의 발달에 관한 연구: 방송사 PD를 중 심으로
    김정아 오헌석 직업눙력개발연구, 10(3), 111-134 [2007]
  • 작가란 무엇인가
    박인기 서울: 지식산업사 [1997]
  • 자기 재현적 웹툰의 주제 의식 연구
    류철균 이지영 대중서사연구, 30, 117-147 [2013]
  • 이중적 커뮤니케이션 형식으로서의 고백 : 미셸 푸코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상길 언론과 사회, 27(3), 61-104 [2019]
  • 이럴 거면 왜 했나 방송스태프 실태조사 보고서
    손가영 미디오늘.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686 [2021]
  • 윤스테이에 나타난 의례화된 포스트 투어리즘에 관한 연구
    김영찬 나은희 한국언론정보학보, 113, 36-62 [2022]
  • 유머의 실현 방식 연구: 코미디와 토크쇼의 비교를 중심으로
    윤진서 텍스트 언어학, 35, 175-206 [2013]
  • 오락적 현실감 작동 방식과 상호텍스트성.
    박동숙 옥민혜 미디어, 젠 더&문화, 14, 73-109 [2010]
  • 오락 프로그램에 차용된 리얼리티와 경쟁의 조합
    이경숙 조경진 방송 과 커뮤니케이션, 11(1), 89-119 [2010]
  • 예능의 최종 형태는 아마도 인간극장?
    황용호 시사인.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16 [2014]
  • 예능 프로그램의 리얼리티 형상화와 경계 짓 기: 생산자 연구를 중심으로
    김세은 손병우 윤태일 서울: 한국방송진흥회 [2015]
  • 예능 PD와의 대화
    홍경수 서울: 사람in [2016]
  • 역사드라마 작가로서 이병훈의 작품 세계
    주창윤 방송과 커뮤니케이 션,12(2),5-37 [2011]
  • 여행, 세속화된 영성과 재주술화
    권유리야 인문사회과학연구, 21(1), 179-202 [2020]
  • 엔터테인먼트 심리학
    나은경 나은영 서울: 컬처룩 [2019]
  • 언론 전문직주의의 위기와 경고
    김동윤 김연식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 구, 10(3), 88-110 [2015]
  • 어느 구성작가의 연대기(1995~2020)
    정수경 황해문화, 259-273 [2021]
  • 실재의 좌절과 새로운 자본주의 정신_1박2일의 문화논리
    김성윤 문화과학, 55, 257-267 [2008]
  • 시들지 않는 먹방 쿡방 열풍: 정서적 허기인가, 정보와 오락의 추구인가
    김미라 방송문화, 218-228 [2017]
  • 시대 흐름에 따른 TV토크쇼의 특성변화에 대한 연구 -KBS 토크쇼를 중심으로
    나미수 조준모 지방자치연구, 15(0), 75-105 [2011]
  • 스타 해외봉사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사회적 함의
    류경화 박지훈 커뮤 니케이션 이론, 5(2),142-184 [2009]
  • 솔직하고 발칙하게
    원진주 미래와 사람 [2021]
  • 서바이벌 포맷 프로그램에 침투한 신자유주의 경쟁 담 론
    류웅재 박진우 방송문화연구 24(1), 139-165 [2012]
  • 사실적 영상물에서 다루는 다양한 층위의 현실과 진실들: 다큐 멘터리, 다큐소프(docu-soap) 그리고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중심 으로
    유현석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8(3), 55-75 [2010]
  • 부러우면 지는거다
    신여진 서울: 라이카미 [2010]
  • 방송콘텐츠의 창의성증진을 위한 생산시스템 연구: KBS 개그 콘서트와 SBS 웃음을 찾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노동렬 방송문화연구, 21(2), 9∼48 [2009]
  • 방송저널리스트의 PD 저널리즘 인식 연구
    김연식 언론과학연구, 11(2), 69-96 [2011]
  • 방송산업의 노동집약적 원가 구조로의 변화: 방송의 예능프로그 램 시장을 중심으로
    노동렬 방송문화연구 31(2), 7-39 [2019]
  • 방송드라마 생산자 작가주의 : 드라마 작가들의 활동에 대한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구혜정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 방송구성작가되기
    고혜림 김미라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방송구성작가
    박신자 서울: 형설 아카데미 [2015]
  • 방송 막내작가의 노동경험과 생존전략
    박미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7]
  • 방송 구성작가의 업무 정체성과 노동 경험: 구성작가들의 체험 이 반영된 자기기술지 분석을 중심으로
    김미숙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12), 645-661 [2021]
  • 방송 PD의 프로그램 제작 능력 습득 과정에 관한 연구
    박경숙 양원홍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2(3), 69-110 [2011]
  •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국내 연구 사 례에 대한 분석과 평가
    나미수 커뮤니케이션 이론, 1(2), 68-105 [2005]
  • 미디어를 통한 정상적 연애의 구성: 연애 관찰토크쇼에 대한 비 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전인화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 미디어 조직의 다차원 창의 프로세스 연구: SBS 런닝맨 제 작 사례를 중심으로
    서혜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 미디어 생산연구의 계보 : 연구 전통과 자원의 계승 및 단절
    박진우 한국언론정보학보, 101(), 11-47 [2020]
  • 미디어 생산(자)연구의 방법론적 쟁점: 전통적 미디어 대상 연 구를 중심으로
    임영호 한국언론정보학보, 101, 48-80 [2020]
  • 미디어 문화연구와 문화정치로의 초대 : 민속지학적 상상력의 가능성과 함의를 중심으로
    이기형 서울: 논형 [2011]
  • 미드(미국 드라마)의 대중적 확산과 방송사 편성 담당자의 문 화생산자 그리고 매개자로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김영찬 방송문화연구, 19(2), 35-61 [2007]
  • 문화예술 프로그램 생산자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EBS 문화공감 제작진을 중심으로
    강진숙 이광우 한국언론학보, 56(4), 339-364 [2012]
  • 문화 산업과 성별화된 노동
    김현미 한국여성학, 21(2), 69-103 [2005]
  •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
    홍지아 한국방 송학보, 23(3), 567-608 [2009]
  •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자기조직화에 관한 연구
    노동렬 장용호 방 송과 커뮤니케이션, 11(2), 39-90 [2010]
  •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가족서사 고찰: 슈퍼맨이 돌아왔 다를 중심으로
    김윤희 인문학콘텐츠, 47, 179-202 [2017]
  • 리얼 버라이어티쇼의 재미 유발 기제에 관한 연구
    김미라 방송통신연 구, 143-168 [2008]
  • 디지털 기술 도입이 TV 콘텐츠에 미친 영향 연구: 드라마와 예 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노동렬 방송문화연구, 23(2), 131-169 [2010]
  • 드론영상의 보기 양식과 하이퍼 리얼리티 연구
    이소현 임종수 방 송문화연구, 30(2), 73-109 [2018]
  • 드라마 작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김미숙 파주: 푸른사상사 [2018]
  • 도시, 공간, 생활세계-계급과 국가 권력의 텍스트 해석
    김왕배 파 주: 한 [2009]
  • 대중문화의 생산구조
    윤태진 방송문화연구, 17(2), 9-44 [2005]
  • 대중문화는 전문가-셀러브리티를 어떻게 구성하고 활용 하는가
    윤태진 한미소 한국방송학보, 31(5), 189-228 [2017]
  • 대중매체 텍스트의 리얼리티 문제 연구: TV 프로그램 무한도 전을 중심으로
    최성민 인문콘텐츠, 33, 121-147 [2010]
  • 다큐처럼 일하고 예능처럼 신나게: 나영석에서 김태호까지 예능PD 6인에게 배우는 창의적으로 일하는 법
    정덕현 서울: 중앙북스 [2014]
  • 다큐의 기술
    김옥영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20]
  • 다큐멘터리와 사실의 재현성
    최현주 파주: 한울 [2018]
  • 노동과정과 노동조건을 통해 본 방송작가의 노동자성: 지상파 방송국 구성작가를 중심으로
    김순영 페미니즘연구, 7(2), 176-212 [2007]
  • 나는 글 대신 말을 쓴다
    원진주 서울: 힘찬북스 [2019]
  • 김은숙 드라마의 대중적 낭만주의연구
    신주진 한국근대문학연 구,22(1), 169-210 [2021]
  • 글로벌 리얼리티 게임쇼에 나타난 자기통치의 문화정치
    김수정 한국방송학보, 24(6), 7-44 [2010]
  • 국어학 : 토크쇼에서의 웃음 유발 장치
    손세모돌 한국언어문화, 18(0), 5-34 [2000]
  • 교양 프로그램 신화의 구성과 해체: KBS 교양 프로그램 생산과 정에 대한 미디어 사회문화사적 접근
    안 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7]
  • 관찰형 리얼리티 프로그램 장르 형식의 변화연구: 지상파 방송을 중심으로
    신선화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관찰 혹은 자발적 감시
    이희은 한국방송학보, 28(2), 211-248 [2014]
  • 관찰 예능의 장르화 과정과 스토리텔링 연구: 관찰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현중 대중서사연구, 25(2), 271-245 [2019]
  • 관찰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재현하는 일상에 대한 비판적 고 찰: 나 혼자 산다의 텍스트와 수용자 분석을 중심으로
    양진샘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관찰 리얼리티 제작의 실무 가이드. (편). 예능 PD 7人이 작심 하고 쓴 TV 예능 제작 가이드
    김준수 파주: 청문각 [2018]
  • 공개고백성사의 시대: 친밀성과 내밀성의 대중적 생산과 소비 에 대한 사회이론적 이해. 미디어
    천선영 젠더 & 문화, 10, 37-71 [2008]
  • 경쟁보다 성장을 강조하는 한국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 SBS 키스 & 크라이의 제작환경을 중심으로
    박지훈 박진선 최문경 언론과학 연구, 13(4), 590-618 [2013]
  • 가족관찰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성 역할 고정관념 연출 프 레이밍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 연구
    이승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8]
  •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
    홍숙영 한국콘텐츠학회 논문 지, 10(1), 202-212 [2010]
  • 『시선은 권력이다』
    박정자 서울: 기파랑 [2008]
  • Zettle, H. Television Production Handbook (8th edition). 임영호 장지 현 이수경 (역) (2003)
    서울: 청문각 [2002]
  • Witches and bitches: Reality television, housewifization and the new hidden abode of production
    Hearn, A 20(1), pp.10-24 [2017]
  • Williams, R. The Long Revolution. 기나긴 혁명. 성은애 (역) (2007)
    서울: 문학동네 [1961]
  • Williams, R. Television: Technology and Cultural Form. 박효숙 (역) (1996). 텔레비전론
    서울: 현대미학사 [1974]
  • When everyone has their own reality show. In L. Ouellette (Eds.)
    Andrejevic, M. pp.40-56 [2014]
  • Visual Pleasure and Narrative Cinem
    Mulvey, L. 16(3), pp.6-18 [1975]
  • Turner, G. Understanding celebrity. 권오현 외 (역) (2018). 셀러브리티. 우리 시대 셀럽의 탄생과 소멸에 관하여
    서울: 이매진 [2013]
  • Tuchman, G. Making news: A study in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박홍수 (역) (1995) 메이킹 뉴스
    서울: 나남 [1978]
  • Tomson, E, P. The Making of the English Working Class. 나종열 노 서경 김인중 유재건 김경옥 한정숙 (역) (2000). 영국 노동계급의 형 성
    서울: 창비 [1963]
  • The producer as artist: Commercial television.
  • The making of the Bachelor Nation: Reality TV and layered identification
    Feuer, J 60(4), pp.46-61 [2018]
  • TV토론 프로그램 제작과정에서의 작가성에 관한 연구: KTV 쟁점토론 터놓고 말합시다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현선 고려대학교 언론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2]
  • TV드라마 작가 연구
    김미숙 홍지아 한국방송학보, 30(4), 41-82 [2016]
  • TV 예능 프로그램청춘 FC 에 대한 문화정치(학) 관점의 비 판적 읽기: 신자유주의적 주체화의 통치술을 중심으로
    서재철 한국스포츠사 회학회지 30(4), 113-135 [2017]
  • TV 예능 프로그램의 연극적 기획 전략에 관한 연구: 무한도 전, 1박2일, 런닝맨을 중심으로
    박상완 대중서사연구, 21(3), 57-94 [2015]
  • TV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김예란 박주연 한국방송학보, 20(3), 7-48 [2006]
  • TV 리얼리티 : 다큐멘터리, 뉴스, 리얼리티 쇼의 현실구성
    이종수 서 울: 한나래 [2004]
  • TV 드라마 작가론에 관한 연구:여명의 눈동자와와 모래시 계의 작가 송지나를 중심으로
    이호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Surveillance in the digital enclosure
    Andrejevic, M. 10, pp.295-317 [2007]
  • Sturken M & Cartwright, L. P ractice of Looking: An Introduction to Visual. 윤태진 허현주 문경원 (역) (2010)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 Spigel, L. Introduction. In. R, Williams. Television: Technology and Cultural Form. pp. 9-44. 박효숙 (역) (1996). 텔레비전론
    서울: 현 대미학사 [1974]
  • Smith, W, T. Schadenfreude: The J oy of Anothers Misfortune. 이영 아 (역) (2020). 위로해주려는데 왜 자꾸 웃음이 나올까
    파주: 다산 북스 [2018]
  • Silverstone, R. Why study the media?. 왜 미디어를 연구하는가?, 김세은 (역) (2009)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 Scott, G, G. Can We Talk?: The P ower and Influence of Talk Shows. 김숙현 (역) (1998) 토크쇼 그 힘과 영향
    서울: 한국방송 개발원 [1996]
  • Schlesinger, P. (2016). On the vagaries of production research. In C. Paterson, D. Lee, & A. Saha (Eds.), Advancing media production research: Shifting sites, methods, and politics (pp. 20-37). New York, NY: Palgrave MacMillan.
    [2016]
  • Schlesinger, P. (1978). P utting ‘reality’ together: BBC news. London, UK:Constable.
    [1978]
  • Sarris, A. (1968). Notes on the Auteur Theory in 1962. originality published in 1962 in G. Mast & M. Cohen. (Eds). Film Tehoty and Criticism. 2nd (E). Oxford: Oxford Univ. Press. 1979
    [1968]
  • Salaman, G. (1997). Culturing Production. IN P. D. Gay (Eds), P roduction of Culture/ Cultures of P roduction. (pp. 235-284). SAGE.
    [1997]
  • Ryfe, D. (2016). The importance of time in media production research. In C. Paterson, D. Lee, & A. Saha (Eds.), Advancing media production research: Shifting sites, methods, and politics (pp.38-50). New York, NY: Palgrave MacMillan.
    [2016]
  • Rose, N. (1996). Inventing our selves: Psychology, power, and personho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 Reflexivity and ambivalence: Culture, creativity and government in the BBC
    Born, G. 6(1-2), 65-90 [2002]
  • Reality celebrity: Branded affect and the emotion economy
    Grindstaff, L., & Murray, S. 27(1(75)) , pp.109-135 [2015]
  • Reality TV: its contents and discontents
    Kavka, M. 60(4), pp.5-18 [2018]
  • Reality TV gives back: On the civic functions of reality entertainment
    Ouellette, L. 38(2), pp.66-71 [2010]
  • Premediation of performance in recent live television: Ascripting approach to media production studies
    Ytreberg, E. 9, pp.421-440 [2006]
  • PD는 무엇으로 사는가?
    김세은 심홍진 한국방송학보, 23(6), 168- 208 [2009]
  • Ouellette, L (2017). A Companion to Reality Television. John Wiley & Sons. West Sussex: UK.
    [2017]
  • Ouellette, L (2016). Lifestyle TV. Routledge.
    [2016]
  • Ortner, S, B. (2009). Studying Sideways: Ethnographic access in Hollywood. In V, Mayer, M. J. Banks, & J. T. Caldwell (Eds). Production studies: Cultureal studies of media industries (pp. 175-189). New York: Routledge.
    [2009]
  • Nothing is left alone for too long reality programming and control society subjects
    Bratich, J. Z. 30(1), 65-83 [2006]
  • Njus, Y. (2009). Collaborative Reproduction of Attraction and Performance: The Case of the Reality Show Idol. In A. Moran, (Eds.). TV formats worldwide: Localizing global programs. (pp.113-128). Intellect books.
    [2009]
  • Negus, K. (1997). The Productio of Culture. IN P. D. Gay (Eds), P roduction of Culture/ Cultures of P roduction. (pp. 67-118). SAGE.
    [1997]
  • Murray, .S. (2019). The politic of Reality TV. In Curran J & Hesmondhalgh.D (Eds) MEDIA AND SOCIETY(6th) (pp.263-280). Bloomsbery Academic.
    [2019]
  • Morley, (1980). The ‘NationWide’ audience: Structure and decoding. London: Routledge.
    [1980]
  • Mayer, V. (2017). Cast-aways: The Plight and Pleasures of Reality Casting and Production Studies. In L Oulette (Eds). A Companion to Reality Television (2nd) , (pp.57-73). West Susses: Wiley & Suns.
    [2017]
  • Mapplebeck, V Money Shoot.: Reality TV: How Real is Real?. 박민 아 정동욱 정세권 (역) (2009). 논쟁 없는 시대의 논쟁: 리얼리티 TV
    서울:도서출판 마음 [2002]
  • Making over the talent show
    Redden, G. pp.129-143 [2008]
  • Mair, G. (1994). Oprah Winfrey: The Real Story. Birch Lane Press. NY.
    [1994]
  • MacCabe, C. The Revenge of the Author, Subject to History: Ideology, Class, Gender. 박인기 (역) (1997) 작가란 무엇인가
    서울: 지식산업사 [1991]
  • Lowney, K. (1999). Baring Our Souls: TV Talk Shows ans the Religion of Recovery. Adline De Gruyter. NY.
    [1999]
  • Lefebvre, H. (La) vie quotidienne dans le monde modern. 박정자 (역) (2005). 현대세계의 일상성
    서울: 기파랑 [1968]
  • Lee, D., & Zoellner, A. (2019). Media production research and the challenge of normativity. In Dueze & M Prenger (Eds). Making M e d i a : Production, Practices, and Professions, (pp.45-60). NL: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19]
  • Lapsley, R. & Westlake, M. Film Theory: An Introduction. 이영재 김소연 역 (1995). 현대 영화이론의 이해
    서울: 시각과 언어 [1988]
  • Kosik, K. Die Dialektik des Konkreten. 박정호 (역) (2014). 구체성 의 변증법
    서울: 지식을 만드는 지식 [1963]
  • Kilborn, R W. (2003). Staging the real: Factual TV programming in the age of Big Brother .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3]
  • Jankowski, N., & Wester, F. The qualitative tadition in social sciencie inquiry: contributions to mass communication research KB Jensen N. Jankowski (eds.). A handbook of qualitative methodologies for mass communication research. (pp. 66-103). Routledge. 김승현 외 (역) (2007), 미디어 연구의 질적 방법론
    서울:일신사 [1991]
  • How real can you get?': Recent developments inReality'television
    Kilborn, R W. 9(4), pp.421-439 [1994]
  • Holt, J. & Perren, A. (2009). Media Industry Studies: History , Theory and method. John Wiley & Sons.
    [2009]
  • Hill, A., Askanius, T. & Kondo, K. (2019). Live reality television: Care structures within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talent shows. Critical Studies in Television, 14(1), pp.7-21.
    [2019]
  • Hill, A. (2005). Reality TV: Audiences and popular factual television. NY. Psychology Press.
    [2005]
  • Hesmondhalgh, D., & Baker, S. Creative labour: Media work in three cultural industries. 안채린 (역) (2016). 창의노동과 미디어 산 업
    서울: 커뮤 니케이션북스 [2011]
  • Helsel, P. B. (2019). Judging the Self: A Pastoral Theological Analysis of Reality Television. Pastoral Psychology, 68(5), 549-559.
    [2019]
  • Havens, T., Lotz, A. D., & Tinic, S. (2009). Critical media industry studies: A research approach. Communication, culture & critique, 2(2), pp.234-253.
    [2009]
  • Hammersley, M., & Atkinson, P. (2007). Ethnography: Principles in practice(3rd), NY: Routledge.
    [2007]
  • Hall, S. Cultural Studies: Two P aradigms. Media, Culture and Society. 임영호 (역) (2015). 스튜어트 홀 선집: 문화, 이데올로기, 정체성
    서울:컬처룩 [1980]
  • Gray, J. Lotz & D Amanda. The Television Studies. 윤태진 유경한 (역) (2017)
    텔레비전 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 Gramsci, A. (1971). Selections from the Prison Notebook. London: Lawrence & Wlshart. New York: International.
    [1971]
  • Goffman, E.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진수미 (역) (2016). 자아연출의 사회학
    서울: 현암사 [1978]
  • Gitlin, T. (1983). Inside Prime Time. NY: Pantheon Books.
    [1983]
  • Geertz, C.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문옥표 (역)(2009). 문화의 해석
    서울: 까치 [1973]
  • Foucault, M. Suveiller et punir: Naissance de la prison. 오생근 (역) (2003). 감시와 처벌
    파주: 나남 [1975]
  • Foucault, M. Lherm neutique du Suje: Cours au Coll ge de France. 1981-1982. 심세광 (역) (2001). 주체의 해석학:1981-1982,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의 강의
    서울: 동문선 [1982]
  • Fiske, J. Television Culture. 곽한주 (역) (2017). 텔레비전 문화
    서울: 컬처룩 [1987]
  • Fiske, J & Hartley, Realding Television. 이의성 이은 (역). (1997). TV 읽기
    서울: 현대미학사 [1978]
  • Erickson. (2011). A History of Qualitative Inquiry in Social Educational Research. In N K Denzin & Y S Lincoln(Ed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4th). (p 43-60). LA:SAGE.
    [2011]
  • Du Gay, P. (1997). P roduction of Culture/ Cultures of P roduction. SAGE.
    [1997]
  • Dovey, J. (2000). First Person Media and Factual Television. London: Pluto Press.
    [2000]
  • Deuze, M., & Prenger, M. (Eds.) (2019). Making media: P roduction, practices, and professions.Amsterdam, NL: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19]
  • Denzin. N.K. (2017).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New Burnswick: ALDINE TRANSACTION.
    [2017]
  • Deller, R. A. (2020). Reality Television: The TV Phenomenon that Changes the world. Emerald Publishing. UK.
    [2020]
  • Creswell, J. W., & Poth, C. N. (2016).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2016]
  • Creative work and emotional labour in the television industry
    Hesmondhalgh, D., & Baker, S. 25(7-8), 97-118 [2008]
  • Couldry, N. Television As a Ritual Space
    방송문화연구, 22(1), pp.9-30 [2010]
  • Couldry, N. Media rituals: A critical approach. 김정희 김효은 (역)(2007)
    미디어는 어떻게 신화가 되었는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 스 [2003]
  • Celebrity capital: Redefinding celebrity using field theory
    Driessens, O 42, pp.543-560 [2013]
  • Capitalism and the media: Moral economy, well-being and capabilities
    Hesmondhalgh, D. 39(2), pp.202-218 [2017]
  • Camcorder cults
    Dovey, J 104), pp.26-29 [1995]
  • Calvert, C. (2000). Voyeur nation. New York: Westview.
    [2000]
  • Caldwell, J. (2009). Production culture: Industrial reflexivity and critical practice in film/television.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2009]
  • Caldwell, J. (2008). Production culture: Industrial reflexivity and critical practice in film/ television.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2008]
  • Broudon, J. (Du) Service public a la tele-realite : une histoire culturelle des t l visions europ ennes 1950-2010. 김설아 (역) (2014). 유럽 텔레비전 문화사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 Biressi, A., & Nunn, H. (2005). Reality TV: Realism and revelation. Wallflower Press.
    [2005]
  • Bignell, J. (2014). Realism and reality formats. In L. Ouellette (Eds.), A Companion to Reality Television (pp. 97-115).
    [2014]
  • Bauman, Z. Liquid Times: Living in an Age of Uncertainty. 한상석 (역) (2010). 모두스비벤디: 유동하는 세계의 지옥과 유토피아
    서울: 후마니타스 [2007]
  • Bad citizens: The class politics of lifestyle television
  • Angrosino, M., & Rosenberg, J. (2011). Observations on observation. In N. K. Denzin. & Y.S. Lincoln (Ed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4th), pp.467-478.. SAGE Publications Inc.
    [2011]
  • Andrejevic, A. (2008), ‘Visceral Literacy: Reality TV, Savvy Viewers and Auto Spies’, in S. Murray and L. Ouellette (eds), Reality TV: Remaking Television Culture , 321–342,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8]
  • 6년동안 가왕만 50명, 복면가왕 작가가 말하는 일등공신
    오수미 오마이뉴스. http://star.ohmynews.com/ [2021]
  • 6, 8). 로고부터 출연자까지, KBS 요즘 것들이 수상해 유튜브 표절 논란
    김예리 미디어 오늘.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4352 [2022]
  • 2000년대 이후 한국 드라마 제작 시스템 연구: 드라마 기획 방 식을 중심으로
    이용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 1980년대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으 발전과 문화적 영향. (편). 한국방송의 사회문화사, 411-466
    김설아 파주: 한울 [2011]
  • #예능작가
    김진태 서울:도토리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