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촌마을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계획요소 도출 및 적용 = Extracting and implementing the planning elements for fishing villages carbon neutralization

송소현 2022년
' 어촌마을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계획요소 도출 및 적용 = Extracting and implementing the planning elements for fishing villages carbon neutralizat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hp
  • carbon
  • carbonsink
  • element
  • fishing
  • implementation system
  • neutrality
  • planning
  • renewable energy
  • village
  • 어촌마을
  • 이행체계
  • 재생에너지
  • 탄소중립
  • 탄소흡수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201 0

0.0%

' 어촌마을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계획요소 도출 및 적용 = Extracting and implementing the planning elements for fishing villages carbon neutralization' 의 참고문헌

  • 해양수산부 제3차 어촌 어항 발전기본계획(2020-2024) [2019]
  • 관계부처 합동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기본 로 드맵 수정안 [2018]
  • 해양수산부 해양수산통계연보 [2021]
  • 해양수산부 통합적 어촌개발 추진을 위한 어촌개념 및 범위분석 연구 [2014]
  • 환경부 2050장기저탄소발전전략 [2020]
  • 여수시 죽포항 어촌뉴딜300사업 기본계획서 [2019]
  • 포항시 신창2리항 어촌뉴딜300사업 기본계획서 [2019]
  • 홍성군 궁리항 어촌뉴딜300사업 기본계획서 [2020]
  • 환경친화적 농촌마을개발을 위한 계획요소의 중요도 평가에 관한 연구
    김정희 충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 해양환경공단
    한국해양과학기술원~2021) 블루카본 정보시스템 구축 및 평가관리기술 개발연구 [2017]
  •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우리 연안의 탄소중립 전환, 본격 시작된다 2022.2.18
    배포 [2022]
  •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어촌의 새로운 경제 활력, 어촌뉴딜300 본격 시도, 2018.12.19
    배포 [2018]
  •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어촌소멸에 대응하는 사업모델 발굴한다 2021.12.10
    배포 [2021]
  • 해양 과학기술분야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OECD 국 가유형의 지속과 변화
    서인석 이유현 한국정책학회보, 30(4), 347-376 [2021]
  •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탄소중립 시나리오 작성 및 이행점검체계 구축을 위한 기획 연구 [2021]
  • 파리협약 의무이행을 위한 EU의 입법동향-脫석탄 정책을 중 심으로
    박시원 환경법과 정책, 26, 313-35 [2021]
  • 탄소중립형 마을 계획요소 및 모델 개발
    이동규 원광대학교 박사학 위 논문 [2022]
  •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홈페이지nc
    go.kr) [2050]
  • 탄소중립녹색도시 구현을 위한 계획지표 및 평가 기준 연구
    김유민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 탄소저감형 도시재생의 계획요소 도 출에 관한 연구: 물리 환경적 계획요소를 중심으로
    오덕성 이서정 전우선 최준성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23-129 [2012]
  • 탄소저감을 위한 국내 외 탄소중립도시의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김준연 남영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8(4): 103-112 [2013]
  • 친환경에너지 정책 추진강화에 따른 항만의 신재생에너지 확대방안
    김영훈 심기섭 조지성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7]
  • 지역재생사업으로서 어촌뉴딜300사 업 계획과 절차적 과제
    김근호 김태구 박상욱 오창송 한국도서연구 32(2): 89-112 [2020]
  • 지속가능한 어촌마을 개발을 위한 중요 요소 분석, 농촌계획
    강현경 박지훈 이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논문집 (26)1; 23-38 [2020]
  • 지속가능한 동북아시아 해양질서의 모색: 우리나라의 해양정 책과 그 정책적 함의를 중심으로
    구민교 국제지역연구, 20 [2011]
  •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획 방 향 설정
    이우성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 주민주도의 에너지 자립형 어촌마을 모델 연구
    박상우 윤영준 이상규 황재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9]
  • 저탄소 전원마을 구현을 위한 조경계획 전략: 양평군 오빈리를 대상으로
    정희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8]
  • 저탄소 도시계획 요소별 탄소감축량 산정방법 연구
    이상문 환경논 총 51, 145-161 [2012]
  • 저탄소 농촌마을 계획지표의 AHP 분석
    고아라 김상범 김은자 이정원 농촌지도와 개발 제18권 3호, 551-567 [2011]
  • 인구소멸 시대의 어촌사회 정책 연 구
    류정곤 박상우 이상규 황재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8]
  •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시행 법률 제 18469호, 2021.9.24
    타법개정) [2022]
  • 어촌활성화 유도를 위한 어촌뉴딜300사업과의 연계방안 연 구
    임성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20]
  • 어촌어항법(시행 법률 제17893호, 2021.1.12
    타법개정) [2022]
  • 어촌 지역재생을 통한 청년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
    박상우 윤영준 이상규 이상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9]
  • 어촌 어항의 환경변화에 따른 개발방향 연 구
    박성수 조필규 최원철 토지주택연구원 [2019]
  • 어촌 소멸위험의 영향 요인 분석
    김정태 이서구 한국수산경영학회 수산경영론집, 51(1), 67-79 [2020]
  • 신도시 개발계획 수립 시 적용가능한 탄소저감 계획요소 도 출 및 탄소배출에 미치는 효과분석
    박원신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수산업 어촌의 공익적 기능 설정에 관한 연 구
    류정곤 심성현 오서연 한국수산경영학회 [2020]
  • 수산업 어촌발전 기본법(시행 , 법률 제14605호, 2017.3.21
    타법개정) [2017]
  • 수산업 어촌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방 안 연구
    고동훈 류정곤 박상우 윤영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8]
  • 생태계서비스 평가체계를 활용한 수변생태벨트 평가모형 개발
    이재욱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1]
  • 산업통상자원부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0-2034) [2020]
  • 미세먼지 저감 도시숲 조성을 위한 가용공 간의 중요도 분석-AHP 기법을 이용하여
    전진형 정대영 최윤의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7(6), 103-114 [2019]
  • 도시패턴과 탄소배출량의 관계분석
    김인현 오규식 정승현 한국공 간정보학회지 19(1), 61-72 [2011]
  •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을 위한 계획요소 우선순위 연구
    김종득 광 운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1]
  • 도시재생사업에서 저탄소 녹색 계획요소 활용 및 탄소 저감 효과에 관한 연구
    김영환 박상준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5(1): 167-182 [2014]
  • 도시 내 탄소발생량 산정과 저탄소도시 개발의 핵심 부문에 관한 연구
    김재구 김홍배 국토계획 45(1): 35-48 [2010]
  • 도시 그린인프라 확충에 따른 탄소저감 증진 효과 분석: 서울시 대상으로
    박효석 오규식 이상헌 도시행정학보 27(4), 1-23 [2014]
  • 도로경관 개선을 위한 사후평가 도입과 평가지표 개발에 관 한 연구
    윤한섭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2]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홈페이지(korea.kr, 검색일자 2021. 11. 30)
  •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유형별 저탄소 농촌계획요소 정립 연구
    조항원 협성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법(시행 법률 제 18469호, 2021.9.24
    제정) [2022]
  • 기후변화홍보포털(gihoo.or.kr
    검색일자: [2021]
  • 기후변화의 과학적 현황과 전망
    권원태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1.2/1 325-336 [2005]
  • 기후변화로 인한 국내 재난 유형 및 적응 정책 연구
    조민경 성균관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7]
  •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 연구
    이정동 한국주거환경 학회지 주거환경 17(3); 39-52 [2019]
  • 기후변화대응 탄소저감형 도시재생 계획 요 소 및 체계에 관한 연구
    오덕성 최정은 최준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9); 6345-6359 [2015]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차원에서의 탄소완 화 계획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이재준 최석환 국토계획 제44권 제4호 [2009]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연안지역 레질리언스 강화방안, 연구 보고서
    남정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9]
  • 기후변화 대응 국내 수변도시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전희성 인천대 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5]
  • 그린인프라스트럭처 개념을 적용한 평촌신도시 녹지 재생 방 안
    이예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21]
  • 국제사회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과 한국의 대응방안
    김은미 문진영 박영석 오수현 이성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21 [2020]
  • 국가균형발전특별법(시행 , 법률 제18600호, 2021.12.21
    일부개정) [2022]
  • 「지역쇠퇴분석 및 재생방안」
    오은주 이소영 이희연 한국지방행정연 구원 단행본 [2012]
  • PROMETHEE-AHP 기법을 이용한 노후 공 동주택의 재건축과 리모델링 사업선택요소 선정에 관한 연구
    권오경 유승민 최윤기 한국건설관 리학회 논문집 20(3):77-85 [2019]
  • AHP를 이용한 경사지 아파트단지 계획의 평가 지표에 관한 연구
    오세욱 이진욱 하재명 대한건축학회지, 10(2), 207-214 [2008]
  • 64. IPCC(2021), Summary for Policymakers. In: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2021]
  • 63. IPCC(2007)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 62. IPCC(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4]
  • 61. Voytenko, Y., McCormick, K., Evans, J., and G. Schliwa(2016). Urban living labs for sustainability and low carbon cities in Europe: Towards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23: 45-54.
    [2016]
  • 60. Van Der Schoor, T., & Scholtens, B. (2015). Power to the people: Local community initiatives and the transition to sustainable energy.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43, 666-675.
    [2015]
  • 59. Tozer, L., & Klenk, N. (2019). Urban configurations of carbon neutrality: Insights from the Carbon Neutral Cities Alliance. Environment and Planning C: Politics and Space, 37(3), 539-557.
    [2019]
  • 58. Salvia, M., Reckien, D., Pietrapertosa, F., Eckersley, P., Spyridaki, N. A., Krook-Riekkola, A., & Heidrich, O. (2021). Will climate mitigation ambitions lead to carbon neutrality? An analysis of the local-level plans of 327 cities in the EU.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35, 110253.
    [2021]
  • 57. Saaty, Thomas L.(1995). Decision Making for Leaders, Ⅱ, AHP series, RWS Publication.
    [1995]
  • 56. Saaty, Thomas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Hill.
    [1980]
  • 55. Mathur, M., and S. Awasthi(2016). Carbon neutral village/cluster: a conceptual framework for envisioning. Current Science 1208-1215.
    [2016]
  • 54. Livingston, J. E., & Rummukainen, M. (2020). Taking science by surprise: the knowledge politics of the IPCC Special Report on 1.5 degrees.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112, 10-16.
    [2020]
  • 53. Lister, J., Poulsen, R. T., & Ponte, S. (2015). Orchestrating transnational environmental governance in maritime shipping. Global Environmental Change, 34, 185-195.
    [2015]
  • 52. Kamal-Chaoui, Lamia and Alexis Robert (eds.)(2009), Competitive Cities and Climate Change, OECD Regional Development Working Papers N° 2.
    [2009]
  • 51. Dzebo, A., Janetschek, H., Brandi, C. and Iacobuta, G. (2018).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Viewed through a Climate Lens. SEI Policy Brief. 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 Stockholm.
    [2018]
  • 50. Black, R., Cullen, K., Fay, B., Hale, T., Lang, J., Mahmood, S., & Smith, S. M. (2021). Taking stock: A global assessment of net zero targets. Energy & Climate Intelligence Unit and Oxford Net Zero.
    [2021]
  • 4차 산업혁명시대의 스마 트 어촌 구축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