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 동사 사용 및 오류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중심으로

신현미 2022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어 학습자 동사 사용 및 오류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사 오류
  • 동사사용
  • 어휘 세련도
  • 어휘다양도
  • 의미적 오류
  • 중간언어
  • 학습자 말뭉치
  • 한국어 학습자
  • 한국어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42 0

0.0%

' 한국어 학습자 동사 사용 및 오류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호주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분석 연구
    신성철 한국어 교육13-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307-338 [2002]
  • 한일 장소 이동동사 가다/오다의 비교 연구-일본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박은성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한국어의 어휘 오류 연구 - 중간언어 관점에서 -동남어문학회24
    임지아 동남어 문학회, 207-230 [2007]
  • 한국어교육에서의 중간언어와 오류 분석
    김정은 한국어 교육14-1, 국제한국어교 육학회, 29-50 [2002]
  • 한국어교육에서의 중간언어와 오류 분석
    김정은 한국어 교육13-1, 국제 한국어 교육학회, 293-315 [2003]
  • 한국어교육에서의 기능동사 교육 내용 설정 연구
    금잔디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6]
  • 한국어 학습자의 표현 오류 연구
    이정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한국어 학습자의 직시 이동 동사 사용 양상 연구 : 제3자의 이동을 중심으로
    마리치카,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한국어 학습자의 종결어미 사용 양상과 오류 연구
    한송화 문법교육33, 165-210 [2018]
  • 한국어 학습자의 접속부사 사용 양상 연구
    한송화 한글311권, 257-202 [2016]
  •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 연구
    조철현 문화관광부 학술용역 연구 보고서 [2002]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와 말하기에 나타난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에 역동성 발달 연구
    이복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학습자의 단계별 언어권별 어휘 오류의 통계적 분석
    김미옥 한국어 교육 14,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1-52 [2003]
  • 한국어 학습자의 기능동사 구문 이해력 연구
    이세영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복잡성 연구: 통사 및 어휘 복잡성을 중심으로
    남주연 경희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동사 유의어에 대한 연구 : 한자어와 고유어 유의어 쌍을 중심으로
    주굉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한국어 학습자 작문에 나타난 어휘 오류 분석 : 낙양외대 초, 중급 학습자를 중 심으로
    조암 한국(조선)어교육연구11권, 155-174 [2016]
  • 한국어 학습자 연어 사용 연구 : 학습자 말뭉치와 한국어 말뭉치의 어휘적 연어 사용 비교
    이승연 최은지 이중언어학34. 이중언어학회, .293-315 [2007]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와 한국어 교육
    남윤진 서상규 유현경 한국어 교육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7-156 [2002]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와 오류 분석
    고석주 한국문화사 [2004]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에 나타난 부사 사용에 대한 연구
    서상규 유현경 이중언어 학20권, 325-349 [2002]
  • 한국어 촉각 형용사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산선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서술어 교육 내용 연구
    강경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쓰기에서 나타나는 어휘 오류 분석
    차숙정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나다, 나오다, 생기다 유의어 사용 양상 연구 : 국립 국어원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한호정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22]
  • 한국어 외래어 교육 방안 연구
    정소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 한국어 어미 활용 오류 개선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오선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 위 논문 [2021]
  • 한국어 쓰기능력 구성요소로서의 어휘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
    진대연 3, 379 –411 [2006]
  • 한국어 술어명사문
    이병규 문법, 서울: 한국문화사 [2009]
  • 한국어 술어명사구의 교육내용 연구
    연현정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사용에서 나타나는 어휘 오류에 대한 분석 연구 : 중급 단계 학습자 를 중심으로
    박선희 한국(조선)어교육연구9권, 237-253 [2014]
  • 한국어 동사구 연어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으로
    유열영 부 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한국어 동사 중심 쓰기 교육방안 연구 : 하다'에 대응하는 '되다', '시키다' 를 중심으로
    김연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논문 [2018]
  •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홍재성 서울: 두산동아 [1997]
  • 한국어 동사 교육 연구: 동사의 통사 및 의미 교육을 위한 패턴 선정을 중심 으로
    고경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학습자 말뭉치의 구축과 활용 연구
    이승연 고려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07]
  • 한국어 고유어 동사 동음이의어 교육 연구 : '타다'를 중심으로
    호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4]
  • 한국어 '하다' 표현의 일본어 대응 양상 연구
    이은정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한 중 착탈(穿脱) 동사 비교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착탈동사 교 육
    임총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한 중 이동동사의 의미 대조 분석 및 교육방안 -오르다/내리다'와 上/下'를 중심으로-
    추이쉬에난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학습자 말뭉치의 구축과 활용 연구
    강현화 소통 [2017]
  • 학습자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 연구
    김유미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0]
  • 초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이정희 이중언어학22. 이중언어학회, 299- 318 [2003]
  • 중급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 동사 잡다와 놓다 를 중심으로
    우군, 부산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중국인의 한국어 학습에서 나타나는 어휘 오류 연구
    위징징 청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어휘 오류 연구
    장슈샤오 가톨릭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7]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에 대한 연구 : 어휘오류를 중심으로
    최혜령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유형 분석
    박춘연 高凰論集43, 34-39 [2008]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연구
    홍은진 이중언어학31, 이중언어학회, 315- -358 [2006]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사용 오류 연구
    루청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사용 실태 및 어휘 교육 방안 연구 –한자어를 중심으로
    범신성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수준별 한국어 어휘 사용 양상 연구
    노관예 계명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5]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에 나타난 중간언어 분석 연구
    강현화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93-315 [2017]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휘 사용 오류 연구 : 초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력몽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심리동사 습득 오류 연구
    장뢰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중국인 학습자의 어휘 오류 연구
    이향화 최경봉 어문논집52, 민족어문학회, 207- 230 [2005]
  • 중국인 학습자의 쓰기 자료 분석을 통한 어휘 교육 자료 구성 방안–한 중 어휘의 개념 차이에 따른 오류를 중심으로-
    이숙의 한국어학58,한국어학회, 159- 199 [2013]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착탈동사 교육 방안 연구
    연맹맹 전남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6]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이동동사 교육 방안 : '가다, 오다'를 중심으로
    임뭉남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이동 동사의 관용 표현 교육 연구 : 가다, 들 다, 나다를 중심으로
    왕인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유의어 교육 방안 연구 : 동사 유의어 3쌍을 중 심으로
    왕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학문 목적 어휘 교육 방안 연구
    원영춘 서울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3]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말뭉치 기반 한국어 동사 유의어 교육 내용 연구
    마릉연 서 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말뭉치 기반 한국어 동사 유의어 교육 내용 연구
    오기노신사쿠,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중국인 유학생 글쓰기 과제에 나타난 어휘 오류 양상과 교육 방안
    이금희 텍스트 언어학40권, 161-198 [2016]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원인에 대한 연구
    이주영 경희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8]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양상 및 교육 방안 : 중국어 모어 간섭으 로 인한 오류를 중심으로
    주영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자어 어휘 오류 분석과 교육 방안 : 모국어 영향에 의한 오류를 중심으로
    민영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32권, 81-101 [2007]
  • 중국어권 학습자의 접사 사용 연구 : 학습자 중간언어 분석을 통하여
    이은서 연세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중국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 나타난 오류 분석 - 어휘 오류를 중심으로 -
    노병호 한국융합학회논문지제 6권 제5호, 한국융합학회, 131-141 [2015]
  • 중국 대학생 글쓰기에 나타난 어휘 오류 연구
    유효려 최원평 언어와 문화6권 3호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89-309 [2011]
  • 중간언어 어휘론 연구의 과제와 전망,이중언어학
    안경화 23호, 이중언어학회, 167-186 [2003]
  • 자동사적 기능동사의 통사, 의미적 분석
    박만규 홍재성 比較文化硏究, 7, 265-283 [2004]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체언+용언 형태의 연어 사용 양상 연구
    심은경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분석
    홍은진 사회언어학12권 1호. 271-299 [2004]
  •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다의어 교육 방안 : 한국어 동사 '잡다'를 중 심으로
    안미영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이동동사 '가다/오다'의 기준점 설정에 대한 가설과 사용 양상 연구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연옥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외래어 사용 오류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손정정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의 의미 교육 방안 : 동사 중심
    이유경 고려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외국어로서 학습자 말뭉치 구축의 필요성과 자료 분석
    유석훈 한국어 교육12-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5-179 [2001]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분석과 교육 방안
    홍은진 이중언어학25, 이중 언어학회, 331-358 [2004]
  • 영어권 학습자의 이동동사 가다와 오다의 사용 양상 연구
    조경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영어 화자(교포학습자)의 한국어 작문에 나타난 어휘상 오류 분석
    왕혜숙 이중언 어학12권 1호, 383-399 [1995]
  • 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강현화 한송화 한국어교육15권 3, 국제한국 어교육학회, pp.293-31 [2004]
  • 여성결혼이민자의 중간언어 발달 연구 : 쓰기 자료의 복잡성과 정확성을 중 심으로
    주월랑 -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서술성 명사의 판별과 관련된 몇 문제
    이호승 어문연구58, 어문연구, 115-136 [2008]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이동 동사 교육 연구 : '가다/오다'와 'đi/đến'의 사용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웬티튀마이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윤혜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이동동사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의 동사 가다와 오다를 중심으로
    응웬티배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모국어 간섭에 의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오류 분석 연구 : -동사, 형 용사, 연어를 중심으로-
    왕찬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동사 보다의 연구 -시각 동사와 인지동사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이수련 한민 족어문학, 65권 0호, 89-113 [2013]
  • 기초단계의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방안
    김순길 한중인문학연구 44, 한중인문학회, 31-52 [2014]
  • 기능동사 구문 연구의 한 시각: 어휘적 접근
    홍재성 人文論叢41, 135-173 [1999]
  • 국어학 정보학 입문
    서상규 한영균 태학사 [1999]
  • 국어의 인지(認知) 동사 연구 : 통사적⋅의미적 특성을 중심으로
    변정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국립국어원,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4단계)
    연구 책임자 한송화, 1-131 [2016]
  • 국립국어원,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
    연구 책임자 강현화, 1-263 [2012]
  • 국립국어원,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4단계) 어휘 문법 등급 목록, 연구
    책임자 김중섭 [2017]
  • 국립국어원,국어 기초 어휘 선정 및 어휘 등급화를 위한 기초 연구
    연구 책임자 이삼형, 1-158 [2017]
  • 국립국어원,2019-20년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연구 및 구축 사업
    연구 책임자 한송화 , 1-241 [2020]
  • 국립국어원,2018년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연구 및 구축 사업
    연구 책임자 한송화, 1-377 [2018]
  • 국내 한국어교육기관 교재 어휘 분석 연구 1 :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강현화 외국 어로서의 한국어교육41, 37-60 [2014]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 나타난 어휘 풍요도 연구-숙달도 측정 도구로써 어휘 풍요도 측정 가능성을 중심으로”
    원미진 어문론총71. 한국문학언어학회, 33-55 [2017]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 나타난 어휘 다양도 및 어휘 밀도 연구”
    배도용 언어과 학14-1, 한국언어과학, 99-117 [2012]
  •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usan M. Gass and Larry Selinker Third edition [2008]
  • Willelmira Castillejos López1(2009), Error analysis in a learner corpus: what are the learners' strategies?, Universidad Autónoma Chapingo(México). 675-690.
    [2009]
  • Wilkins, David Arthur(1972), Linguistics in Language Teaching, MIT Press.
    [1972]
  • Wardhaugh, R. (1970).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TESOL
    [1970]
  • Vocd: A theoretical and empirical evaluation
    McCarthy, P. M. & Jarvis, S. 24(4), 459-488 [2007]
  • Vocabulary Size and Use: Lexical Richness in L2 Written Production
    Lafer&Nation 16(3):307-322 [1995]
  • The significance of learners’ errors
    Corder, S. P. 5(4), 161–169 [1967]
  • The Grammatical and Lexical Patterning of MAKE in Native and Non-Native Student Writing
    Altenberg&Granger Vol.22, No. 2 p173-94 [2001]
  • Second language vocabulary acquisition
    Gass, S. 9, 92–106 [1988]
  • Reserch in teaching vocabulary
    Read, J. 24, 146-161 [2004]
  • Read, J. (2000). Assessing vocabula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 Pérez Sánchez, A. M. (2013). A Corpus-Based Analysis of Errors in Adult EFL Writings. Revista Nebrija de Lingüística Aplicada(2013) 13.
    [2013]
  • Professors ' reactions to the academic writing of nonnative- speaking students
    Santos , T. 22, 69-90 [1988]
  • Nathan Wells(2013). Lexical error analysis of advanced language learners' writings. : University of Wisconsin-River Falls
    [2013]
  • Meunie, F.(1998) Computer Tools for the Analysis of Learner Corpora, in S. Granger (ed.). Routledge.
    [1998]
  • Malvern, D. D., Richards, B. J., Chipere, N., & Duran, P. (2004). Lexical diversity and language development. Houndmills, Hampshire, UK: Palgrave Macmillan
    [2004]
  • Mahan, K. R. (2013). Lexical Errors in Norwegia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of English. Unpublished master thesis: University of Oslo.
    [2013]
  • Lexical errors as writing quality predictors
    Llach, M. P. A 61(1), 1-19 [2007]
  • Lewis, M. (2000). Language in the Lexical Approach. In Lewis, M. (Ed.), Teaching Collocation: Further Developments in the Lexical Approach, pp. 126-153. London : Language Teaching Publications.
    [2000]
  • Leech, G(1997), Teaching and Language Corpora: a Convergence, Routledge.
    [1997]
  • Lado. R. (1957). Linguistics across Cultures. Ann Arbor, Michigan, Univ. of Michigan Press.
    [1957]
  • Kennedy, G.(1998): An introduction to corpus linguistics, London: Longman
    [1998]
  • James, C. (1998). Errors in language learning and use: Exploring error analysis. New York: Longman.
    [1998]
  • Jain, M, (1969). Error Analysis: Source, cause and Significance in Richards, J. (Ed.) (1974); error analysis perspectives o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Essex: Longman.
    [1974]
  • Idiosyncratic Dialects & Error Analysis
    Corder, S. P. 9(2), 147-160 [1971]
  • I. S. P. Nation(1990). Teaching and learning vocabulary. New York: Newbury House.
    [1990]
  • I. S. P. Nation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김창구․손옥현․이정민 옮김(2018),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 소통.) [2001]
  • Hemchua, S., & Schmitt, N. (2006). An Analysis of Lexical Errors in the English Compositions of Thai Learners. Prospect, 21(3), 3-25. Retrieved May 14, 2013, from http://www.ameprc.mq.edu.au/resources/prospect
    [2006]
  • Granger, S. (1998) ‘Prefabricated patterns in advanced EFL writing: collocations and formulae’. A. P. Cowie (eds.), Phraseology: Theory, Analysis and Applications. Oxford: Clarendon Press, 145-160.
    [1998]
  • Granger S. (2008). Learner corpora. In Lüdeling, A. & Kytö, M. (eds.) Corpus Linguistics. An International Handbook. Volume 1. Berlin & New York: Walter de Gruyter, 259-275
    [2008]
  • Gass, Susan M. & Selinker, Larry (2008). Second Language Acquisition.(3rd ed.).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2008]
  • Gass, S. and L. Selinker (1992, editors). Language Transfer in Language Learning. Amsterdam /Philadelphia: John Benjamins Publishing Co.
    [1992]
  • Error Analysis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li Akbar Khansi Vol. 2, No. 5, pp. 1027-1032 [2012]
  • Dulay, H., Burt, M., & Krashen, S. (1982). Language two. Oxford,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 Cristal, D(1999). The penguin dictionary of language(2nd ed.). Penguin
    [1999]
  • Corder, S. P. , Error Analysis and Inter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신승용․김지민․이순영 옮김(2011), 중간언어와 오류 분석, 박이정.) [1981]
  • Corder, S. P. (1974), Error Analysis. Techniques. Applied Linguistics 3, eds.JPB.
    [1974]
  • Contrastive analysis: Problems and procedur es
    Whiteman, R. 20, 191- 197 [1970]
  • Brown, H. D.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3rd), NJ: Prentice Hall. (신성철 옮김(2000),외국어 교수․학습의 원리
    한신문화사.) [1994]
  • Brown, H. D. (2007).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5th ed.). White Plains NY: Pearson Education.
    [2007]
  • Analyzing late interlanguage with learner corpora:Quebec replications of thrée European studies
    Thomas Cobb 59. 3. 393-423 [2003]
  • An error in error analysis
    Schachter, J 24, 205-214 [1974]
  • An error in error analysis
    Selinker, L. 24, 205-214 [1972]
  • A new measure of lexical diversity. In A. Ryan & A. Wray (Eds.)
  • A Corpus-based approach to translation error analysis. A case-study of Romanian EFL learners
    Teodora Popescu. 83 , 242 –247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