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전략 개발 = Developing Facilitation Strategie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at Primary Schoo

이상범 2022년
논문상세정보
' 초등학교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전략 개발 = Developing Facilitation Strategie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at Primary Schoo'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Entship
  • Facilitation
  • Facilitator
  • entrepreneurship
  • 앙트러프러너십
  • 앙트십
  • 퍼실리테이션
  • 퍼실리테이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35 0

0.0%

' 초등학교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전략 개발 = Developing Facilitation Strategie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at Primary Schoo' 의 참고문헌

  • 현대교육의 이해
    나일주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p. 31-32 [2007]
  •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박민정 박지만 이광우 이근호 교 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 핵심역량 기반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 정 평가원
    곽영순 이근호 이승미 최정순 연구자료 ORM 2013-22-4, 3-42 [2013]
  • 핵심가치-위기를 헤쳐나갈 조직의 힘
    허욱 서울: 이콘 [2013]
  • 한국의 핵심교육지표 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김창환 한국교육개발원 [2011]
  • 한국교육비전 2020(Ⅲ): 교육전략
    김영철 한국교육개발원 [1998]
  • 한국교육비전 2020(Ⅱ): 한국교육의 발전 가능성과 미래모습
    김영철 한국교육 개발원 [1997]
  • 한국교육비전 2020(Ⅰ): 세기의 대전환
    김영철 한국교육개발원 [1996]
  • 한국교육 미래 비전: 창의성 개념의 21세기적 재구성
    이정모 서울: 학지사 [2011]
  • 한국 초등교육학의 변천과 전망
    조연순 한국교육학회 학술대회 [2013]
  • 학습동기 및 학습의지가 컨설턴트의 기업가정신과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연수 이인수 디지털정책연구, 제10권, 제5호, pp. 89-103 [2012]
  • 학교진로교육의 주요 현안과 정책방향, 제3회 미래교육공동체포럼: 진로교 육의 재정립과 학교교육의 내실화
    김승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 학교수업맥락에서 발현되는 학생창의성
    조연순 한국초등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 [2012]
  • 학교 지식의 변화와 교육과정: 학교 지식의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색
    소경희 2006 춘계 학술 대회 및 국제심포지엄 발표 자료집, 327-340 [2006]
  • 포커스 그룹(질적 연구 방법)
    신경림 서울: 현문사 [2004]
  • 퍼실리테이션 개론
    오우식 서울: 조명문화사 [2019]
  • 파괴자들
    손재권 서울: 한스미디어 [2013]
  • 클러스터 발전과정에서의 기업가정신의 역할
    박재수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컴퓨터 수행지원 시스템(EPSS)의 개념 및 설계원리
    최정임 교육공학연구, 13(2), 361-377 [1997]
  • 커리어앵커를 활용한 진로인식 촉진 모형 개발: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홍광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최신교수설계이론
    나일주 정인성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GBS 활용 방안 모색. 한국초 등교육학회
    이상범 제3회 학술발표회 [2009]
  •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 적용을 위한 Goal-Based Scenario 교수 모형 개발
    박수홍 이상범 홍광표 초등교육연구, Vol. 24(4), pp381-408 [2010]
  • 초등학교 고학년의 개인비전 창출 프로그램 개발
    정경훈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3]
  • 초등진로교육을 위한 디자인 씽킹 기반의 앙트러프러너십 교육모형 개발
    문영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초등 사회과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수업 연구
    백영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초등 STEAM 교육의 창의적 설계 활동을 위한 교수설계 원리 개발 연구
    최소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체제성(Systemic)과 체계성(Systamatic)의 논쟁을 넘어서: 이중구조 교수체제 (Dual-structured Instructional System) 모델의 탐색
    박수홍 교육공학연구, 18(2), 67-84 [2002]
  • 체계적 액션러닝
    박수홍 안영식 정주영 서울: 학지사 [2010]
  •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형성 과정 탐색
    강경균 김병근 창의력교육연구. Vol. 14, No. 3, pp. 37-58 [2014]
  • 청소년들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의 방향: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창조경제 구현방안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하규수 세미나자료집 [2013]
  •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역량 강화방안: 초등학교. 전문가워크숍자 료집
    김선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pp. 14-39 [2014]
  • 청년 지식기술 창업 연구
    김안국 박동 이봉주 이종선 황규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찾아라
    이영직 서울: ㈜자음과모음. pp. 51-53 [2014]
  • 창조실천역량(Entrepreneurial competence) 강화를 위한 교육 모형개발
    박수홍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 Vol.43 [2009]
  • 창조실천공동체 수행지원체제(ED-PSS) 모형개발: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이정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창조경제와 기업가정신
    이윤준 과학기술정책, 제24권, 제3호.제4호, pp. 48-55 [2014]
  • 창의적 문제해결의 교육적 이해
    박병기 교육심리연구. Vol. 15(1). 48-81 [2000]
  •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웹기반 교수-학습 모형과 학습 환 경 설계: 수학교과에서의 예시를 중심으로
    구양미 김영수 노선숙 조성민 교과교육학연구. Vol. 10(1), 209~234 [2006]
  •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
    이상수 이유나 교육공학연구, Vol. 23(2), 135-159 [2007]
  •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초 등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모경환 민지연 박민정 신종호 임정수 최유정 교육과정연구, Vol. 28, No. 1. 179-201 [2010]
  •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김영채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 모형 기반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의 효과성 분석-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 에 미치는 영향 중심으로
    고범석 구양미 서정희 이종연 진석언 교육공학연구, Vol, 23(2), pp.105~133 [2007]
  •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고등학교 기술과 교수-학습 방안, 중등교 육연구, 51집, 2호
    강이철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3]
  •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CPS)을 활용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 과분석
    박민희 최병연 교육방법연구, Vol. 16(2), 29-53 [2004]
  •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 기반 초등하교 사회과 수업에서 학습동기, 메타인지, 창 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
    박도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 초
    김경자 김아영 조석희 교육과정연구, 15(2), 129-153 [1997]
  • 창의역량 측정지표 및 도구개발 연구. 한 국교육개발원
    김미숙 조선미 차성현 최상덕 하유미 기본연구 RR 2012-10. pp. 4-5 [2012]
  • 창의성이 높으면 기업가정신도 높은가?: 인지적비인지적 창 의성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김상표 변충규 하환호 경영컨설팅연구, 제14권 제3호, pp. 67-78 [2014]
  • 창의성의 발견
    최인수 서울: 썸앤파커스. pp. 213-215 [2011]
  • 창의성을 이해하기 위한 여섯 가지 질문
    최인수 한국심리학회, Vol. 17(1), pp. 25-47 [1998]
  • 창의성교육의 방향과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화진 교육광장, Vol. 37, 12-15 [2010]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접근
    이동원 서울: 교육과학사. pp. 81-88 [2010]
  • 창의성 교육 :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 과 교육 방법
    성진숙 이혜주 조연순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 창의성 101
    김정희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0]
  • 창의력과 통찰문제 해결능력
    박권생 사고개발, 제1권, 제1호, pp. 23-40 [2005]
  • 창의력-그 심리․인물․사회
    정범모 서울: 교육과학사 [2001]
  • 창의경제와문화예술의 역 할
    구문모 김재범 박은실 소원현 신종호 전택수 창병모 서울: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창의 그리고 실행
    최정환 서울: 지성공간. pp. 76-109 [2011]
  • 창업보감
    임재석 서울: 형설출판사 [2004]
  • 창업교육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 양 방안. 중소기업청
  • 질적연구방법론 Ⅰ
    김영천 서울: 문음사 [2007]
  • 질적연구방법론
    신경림 양진향 조명옥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조용환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진로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시사점. 고용이슈
    고재성 김은영 제1권 4호(겨 울호), pp. 8-26 [2008]
  • 중학교 수월성 교육정책의 효율적 추진방안. 연구보고 RR 2006-3
    김명숙 박성익 조석희 한국교육개발원 [2006]
  • 주춤거리는 한국 살릴 起업가정신. DBR, No. 68
    배종태 동아일보사, pp. 18-24 [2010]
  • 제16장 문제해결과 웹기반 교육. 나일주 (Eds). 웹기반 교육. 351-370
    최정임 서울: 교육과학사 [2005]
  • 전문가시스템: 교육에서의 접근방향
    백영균 교육공학연구, 5(1), 3-21 [1989]
  •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디지털 텍스트 구조의 시각 표상 설계원리 개발연구
    성은모 교육공학연구, 25(3), 105-133 [2009]
  • 이러닝 콘텐츠 개발에서 교수설계자와 내용전문가의 협력적 교수설계 모형 개발 연구
    김윤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유추적 문제해결의 전이와 개념적 이해
    김영채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6 권, 132-163 [1994]
  • 위키매니지먼트
    김성희 김영한 서울: 국일미디어 [2008]
  • 웹기반 학습의 설계
    백영균 서울: 양서원 [1999]
  • 요구분석. 박성익, 임철일, 이재경, 최정임, 임정훈, 정현미, 송해덕, 장수정, 장경원, 이지연, 이지은 (편저). 교육공학의 원리와 적용 (pp. 172-173)
    이재경 서울: 교육과학사 [2012]
  • 영재교육학원론. 조석희(편). 제8장 창의적 문제해결력
    박성익 서울: 교육과학사. pp. 249-269 [2006]
  • 열린 미래를 향한 한국교육 4.0
    조영달 서울: 도서출판 드림피그(주). pp. 57-59 [2014]
  • 역량의 개념 및 연구동향
    김민성 박민정 윤순경 윤정일 핵심역량센터 연구보 고서 2007-01 [2007]
  •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방법론에 대한 고찰: 마케팅 역량강화 교육과정 체계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이재경 교육공학연구, 18(4), 25-26 [2002]
  • 액션러닝으로 수업하기
    고수일 장경원 서울: 학지사 [2013]
  • 아이의 미래를 바꾸는 학교혁명
    정미나 서울: 21세기북스 [2015]
  • 실어증 선별검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 도 검증
    김덕용 김정완 김향희 성수진 허지희 언어청각장애연구, 13, 353-380 [2008]
  • 스토리텔링 기반 몰입 학습환경(STILE) 설계 전문인력 양성 연구. 한국사 이버교육학회
    조일현 연구과제 2004-KAOCE-12-02 [2004]
  • 스타트업 경영수업: 스타트업을 스타트하는 최고의 실전 전략
    권도균 서울: 로고 폴리스 [2015]
  • 스위스에서 배운다
    장철균 서울: 살림 [2014]
  •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매듭없는 학습에서 사례기반 지원 방법 개발
    조해리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스마트 교육혁명
  • 숙련된 교사의 수업설계 활동에 토대한 수업설계모형 개발
    박기용 교육공학연구, 제 26권, 제3호. pp. 21-52 [2010]
  • 수업을 살리는 교육과정
    서우철 이경원 한은정 서울: 맘에드림. p. 32 [2014]
  • 수업설계
    변경계 이상수 서울: 학지사 [2005]
  • 서비스디자인 도구를 활용한 경험기반 교수설계 모형 개발
    김윤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새롭지 않은 새로움에게 새로움의 길을 묻다
    임웅 서울: 학지사 [2014]
  • 새로운 형태의 기업가 정신
    배종태 TIM alive, Vol. 5, 2013, 09. pp. 8-15 [2013]
  •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가능한가: 전문분야 창의성에 대 한 학습과정 모형 접근
    최인수 최일호 한국심리학회, Vol. 20(2), 409-428 [2001]
  • 새로운 교육실험으로서의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효과와 의 미에 대한 사례연구
    이민경 한국교육, 41(1) [2014]
  • 사회과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GBS 교수 모형 개발 연구
    이상범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사례기반추론과 퍼지인식도 결합에 의한 지식경영시스템 구축에 관 한 연구
    이건창 조일현 기업교육연구, 3(2) [2001]
  • 비즈니스 모델 게임: 성공하는 사업모델을 만드는 9단계의 비밀
    강재민 김진영 서 울: 한빛미디어 [2013]
  • 비계설정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설계 모형 개발-설계기반 연구를 적용하여
    강정찬 이상수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1), 301-330 [2009]
  • 비계설정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설계 모형 개발
    강정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9]
  • 블룸의 디지털 텍사노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자료
    계보경 김재욱 RM 2013-6 [2013]
  • 블랜디드 액션러닝(Blended Action Learning)지원시스템 개발
    정주영 부산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미래성장 동력으로서의 창조형 인적자본과 이를 위한 교육개혁
    김세직 정운찬 경제논집, 12 [2007]
  •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 과 교육과정 탐색: 교육과정, 교수ㆍ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 미래 한국교육의 발전 방향과 전략: 2013~2017년 핵심교육정책과제를 중심으로
    최상덕 한국교육개발원 [2012]
  • 미래 학교교육에서의 교수 학습 방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박성익 교육광장(12), 22-26 [2004]
  •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계 구축(I).
    최상덕 한 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RR 2013-20 [2013]
  •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곽영순 연구자료 ORM -22-4, 47-69 [2013]
  • 미국의 기업가정신 현황과 시사점 : 카우프만재단을 중심으로
    박종복 KIET 산업 경제, No. 10, pp.54-66 [2008]
  •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Goal-Based Scenario(GBS) 학습프로세스 탐색: 초등 사회과 중심으로
    박수홍 이상범 초등교육연구, Vol.22(4) [2009]
  • 문제해결 시나리오 교수학습 환경 설계 모형에 관한 형성적 연구
    임철일 교육공 학연구, Vol 14(2), 137-165 [1999]
  •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이명자 조연순 서울: 학지사 [2017]
  • 매일경제(2013.04.20.).
    박남규 [2013]
  • 도전정신 중심의 청소년문화 조성 방안.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김명희 김승경 미 래사회협동연구총서(창조경제 종합연구), 13-01-23 [2013]
  • 대한민국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진지한 고민
    장영화 http://www.venturesquare.net/515006 검색일 2021.12.15 [2013]
  • 네 학교 이야기
    김영천 서울: 문음사 [2010]
  •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학교교육 정상화 추진
    김영윤 교육개발, Vol. 40(2) [2013]
  • 기업교육에서의 Goal-Based Scenario, 그 이론과 실제: Anderson Consulting 컨설턴트 교육방법론 사례연구
    이재경 교육공학연구, 21(1), 231-248 [1996]
  • 기업교육론
    나일주 이인숙 임철일 서울: 학지사. pp. 217-218 [2004]
  • 기업가정신의 확장과 활성화
    배종태 차민석 중소기업연구. Vol. 31, No. 1, pp. 109-128 [2009]
  • 기업가정신의 부활을 위하여
    한상준 동아닷컴. http://news.donga.com/3/all/20100102/25164155/1 검색일 2021.12.14 [2010]
  • 기업가정신의 본질이해 및 교육방안 탐색
    김준태 사회과교육, 53(4), 47-67 [2014]
  • 기업가정신과 창의성
    남영호 사회과학연구. 제6집 [1996]
  • 기업가정신: 창조경제 성공의 핵심조건
    최병일 황인학 서울: 한국경제연구원 [2013]
  • 기업가정신 측정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김용태 학술발표대회 발 표논문집, 89-95 [2015]
  • 기업가정신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최병학, 확인학 (Eds). 기업가정신: 창 조경제 성공의 핵심조건
    금기현 서울: 한국경제연구원, pp. 227-253 [2013]
  • 기업가정신 교육의 교과 내용과 방법에 관하여: HAKS 모형에 기반한 모듈식 교육방안
    김영수 성상기 상업교육연구, 제29권, 제5호 [2015]
  •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 및 극복 과제
    박종규 THE HRD REVIEW 17권 1호, pp. 256-266 [2014]
  • 기업가경제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탐색과 적용
    조병철 천규승 최병모 사회 과교육연구, 13권 3호, pp. 167~194 [2006]
  • 기업가 정신이 희망이다: 스웨덴
    장승규 http://holzweg.egloos.com/4860051 검색일 2021.12.14 [2009]
  • 기업가 정신으로 사회문제 해결
    남민우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11203000187 검색일 2021.12.14 [2021]
  • 기업 영재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최민경 영재교육연구, Vol. 23, No. 6, pp. 1117-1145 [2013]
  • 기본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교육부 별책3 [2015]
  • 글로벌 기업가정신 지수 개발
    이윤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4]
  • 국민통합 이슈모니터링
    고동현 국민통합위원회 국민대통합 정책연구협의회, Vol. 3. pp. 16-19 [2014]
  • 교육연구방법론
    김석우 최태진 서울: 학지사 [2007]
  • 교육심리학
    송인섭 서울: 학지사 [2006]
  • 교육비전 중장기 계획 연구
    이혜영 한국교육개발원 [2007]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김영환 변영계 서울: 학지사 [1997]
  •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3-7호 [2013]
  • 교육공학의 이해
    나일주 정인성 서울: 학지사. pp. 85-86 [1999]
  • 교육공학의 이해
    김영환 변영계 손미 서울: 학지사 [2007]
  • 교육공학의 원리와 적용
    박성익 이재경 임정훈 임철일 최정임 서울: 교육과학 사. pp. 225-227 [2012]
  • 교육공학 관련 이론(개정판)
    나일주 서울: 교육과학사 [2010]
  •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법론
    오인경 최정임 서울: 학지사 [2005]
  • 교실 수업 혁신을 위한 과제와 전망. 2008년 교사 컨퍼런스
    박성익 연구자료 ORM 2008-9 [2008]
  • 교수설계이론, 학습과제 유형별 교수전략
    임철일 서울: 교육과학사 [2000]
  • 공개교육자원(OER) 활용 교수설계원리 개발 연구
    이선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9]
  • 고등교육 미래비전 2040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유현숙 한국교육개발원 [2011]
  • 가르치지 말고 경험하게 하라
    김지영 서울: 플랜비디자인 [2020]
  • personal communication. December 16, 2021
    박수홍 부산교대학교 교수연구실 [2021]
  • personal communication. August 24, 2021
    박수홍 부산교대학교 교수연구실 [2021]
  • de Bono, E. (1973). CoRT Thinking . England, NY: Pergamon.
    [1973]
  • Yin, R. K. (1994).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2nd ed.) . Thousand Oaks, CA: Sage.
    [1994]
  • Worthen, B. R., Sanders, J. R. (1987). Educational Evaluation: Alternative Approaches and Practical Guide-lines . NY: Longman.
    [1987]
  • World Economic Forum. (2009). Educating the Next Wave of Entrepreneurs: Unlocking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to Meet the Global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A Report of the Global Education Initiative . Switzerland: World Economic Forum.
    [2009]
  • Winning at change
    Kotter , J. P. 10 , 27-33 [1998]
  • Weisberg, R. W. (1993). Creativty: Beyond the myth of genius. NY: Freeman.
    [1993]
  • Weaver, Richard G., Farrell, John D. Managers as Facilitators: A Practical Guide to Getting the Work Done in a Changing Workplace . 송 경근 역(2012). 우리가 열광하는 관리자 퍼실리테이터
    서울: 한언. p. 30 [2000]
  • Wallas, G. (1926). The art of thought . NY: Hartcourt, Brace & World.
    [1926]
  • Use of qualitative methods to enhance content validity
  • Usability Evaluation Case Study of an Educational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 ( E-EPSS )
    Su-Hong , Park Vol 8 ( 1 ) pp . 23-47 [2002]
  • Understanding , Measuring , and Enhancing Individual Creative Problem-Solving Efforts
    Brophy , D. R. 11 , pp . 123-150 . [1998]
  • Turner, M. (1996). The literary mind .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 Trilling, B., & Fadel, C. (2009).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 San Francisco, CA: John Wiley & Sons.
    [2009]
  • Treffinger, D. J., Young, G. C., Selby, E. C., & Shepardson, C. A. (2002). Assessing creativity: A guide for education . (RM02170). Storrs, C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 Treffinger, D. J., Isaksen, S. G., & Dorval, K. B. (2000).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ation(3rd ed.). TX: Prufrock Press.
    [2000]
  • Treffinger, D. J., Isaksen, S. G., & Dorval, B, S. (2006).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 TX : Prufrock Press, Inc.
    [2006]
  • Treffinger, D. J. (2004). Research on Creativity. In: D. J. Treffinger (Ed.). Creativity and Giftedness . CA: Sage/Corwin Press.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in press.
    [2004]
  • Treffinger, D. J. (2003). Assessment and measurement in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In J. C. Houtz (Ed.), The educational psychology of creativity.
    [2003]
  • Treffinger, D. J. (2000). Practice problems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 TX: Prufrock Press, Inc.
    [2000]
  • Treffinger, D. J. (1996). Dimensions of creativity. Sarasota. FL: Center for Creative Learning.
    [1996]
  • Treffinger, D. J, Isaksen, S. G, & Dorval, K. B.(1994), Creativity Problem Solving: An Overview. In M. A. Runco. (Eds). NorWood. NJ: Ablex.
    [1994]
  • Toren, A, & Toren, M. (2009). Kidpreneurs: Young Entrepreneurs With Big Ideas! . https://kidpreneurs.org.
    [2009]
  • Timmons, J. A., Spinelli, S. (2003), New Venture Creation: Entrepreneurship for the 21st Century, 6th edn , Boston: McGraw-Hill, Irwin.
    [2003]
  • Timmons, J. A., & Spinelli, S. (2009). New venture creation: Entrepreneurship for the 21st century . Boston: McGraw-Hill/Irwin.
    [2009]
  • Thigpen, L., Glakpe, E., Gomes, G., & McCloud, T. (2004). A model for teaching multidisciplinary capstone design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ntiers in Education , 2004. 34th Annual.
    [2004]
  • The narrative construction of reality
    Bruner , J 18 , 1 ? 21 [1991]
  • The engineering of creativity : a review of Boden 's The Creative Mind
  • The direct teaching of thinking as a skill .
    de Bono , E. 64 , 703-708 [1983]
  • The design of goal-based scenarios
  • The changing fa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Winkel , D. 51 ( 3 ) , 313-314 . [2013]
  • The Power of Reflection
    Hammer , M. , & Stanton , S. A 136 ( 10 ) , 291-296 . [1997]
  • Teaching entrepreneurship to children : a case study
    Paco , A. , & Palinhas , M. J . 63 ( 4 ) , 593-608 . [2011]
  • Tardi, T. Z. & Sternberg, R. J. (1988). What do we know about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s) . The nature of Creativity(429-44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 Streiner, D. L. & Norman, G. R. (2008). Health measurement scales A practical guide to their development and use. 4th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 Sternberg, R. J.(1996). Successful intelligence: How practical and creative intelligence determine success in life . NY: Simon & Schuster.
    [1996]
  •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6). Defying the crowd: 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 New York: The Free Press.
    [1996]
  •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Wiley.
    [1993]
  •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 Simonton, D. K. (1984). Genius, creativity, and leadership .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 Senge, P. M., Smith, B., Kruschwitz, N., Laur, J., & Schley, S. (2010). The necessary revolution: How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re working together to create a sustainable world . NY: Broadway Books.
    [2010]
  • Senge, P. M. (2006). The Fifth Discipline . New York: Currency Doubleday.
    [2006]
  • Senge, P. M. (1990). The fifth discipline: The Art and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 Century Business, London.
    [1990]
  • Schwarz, R. M. (2002). The skilled facilitator: A comprehensive resource for consultants, facilitators, managers, trainers, and coaches (2nd ed.) .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 41.
    [2002]
  • Schumpeter, J. A. (1935). The Theory of Economic Growth . Oxford University Press.
    [1935]
  • Schumpeter, J. A. (1934).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an Inquiry into Profits, Capital, Credit, Interest and the Business Cycle .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29-135.
    [1934]
  • Schank, R., Fano. A., Bell. B., & Jona, M. (1993). The design of goal-based scenarios. Evanson. IL;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93]
  • Schank, R. C., Berman. T., & Macpherson. K. A.. (1999). Learning by Doing. In C. M. Reigluth(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 Models(Vol.2):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 Lond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61-181.
    [1999]
  • Schank, R. C., & Cleary, C. (1995). Engines for Education . Hi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5]
  • Schank, R. C. (2007). Cave man educational technology. e-learning innovation and global cooperation in the digital era. Proceedings of 'e-Learning Global Leaders Conference 2007', COEX, Seoul, Sep. 19-20, 2007, KERIS, 41-53.
    [2007]
  • Schank, R. C. (2002). Designing World Class E-Learning . NY: McGraw-Hill.
    [2002]
  • Schank, R. C. (1992). Goal-Based Scenario. Technical Report . Evanstan, IL: The Institute for the Learning Sciences. northwestern University.
    [1992]
  • Schank, R. C. (1988). The creative attitude . NY: Macmillan.
    [1988]
  • Sarooghi, H., Sunny, S., Hornsby, J., & Frenhaber, S. (2019). Design Thinking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ere Are We, and What Are the Possibilitie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57(S1), pp. 78-93.
    [2019]
  • Rychen, D., & Salganik, L.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 OECD.
    [2005]
  • Rychen, D. S., & Salganik, L. H. (2003). Key competenc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 Göttingen, Germany: Hogrefe and Huber Publishers.
    [2003]
  • Rychen, D. S., & Salganik, L. H. (2001). Defi 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es. Göttingen , Germany: Hogrefe and Huber Publishers.
    [2001]
  • Running lean: iterate from plan A to a plan that work. O'Reilly Media . 위선주 역(2012). 린 스타트업: 실리콘밸리를 뒤흔든 IT 창업 가 이드
    Maurya, A. 서울: 한빛미디어 [2012]
  • Runco, M. A. (2003). Creativity, cognition,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In J. C. Houtz (Ed.), The educational psychology of creativity (pp. 25– 56). Cresskilll, NJ: Hampton Press.
    [2003]
  • Ruder, M., Bless, H. (2003). Mood and the reliance on the ease of retrieval heuristic.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 (2003), pp. 20-32.
    [2003]
  • Rubio, D. M., Berg-Weger, M., Tebb, S. S., Lee, E. S., & Rauch, S. (2003).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Conducting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 , 27 (2), 94-104.
    [2003]
  • Rogoff, B. (1990). Apprenticeship in thinking: Cognitive development in social contex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 Robinson, K., & Aronica, L. (2015). Creative Schools: The Grassroots Revolution That’s Transforming Education . NY: Viking, Penguin Random House LLC.
    [2015]
  • Richey, R. C., Klein, J. D., & Nelson, W. (2004). Developmental research: Studie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In D. Jonassen (Ed),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2nd ed.) (pp. 1099-1130).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04]
  • Richey, R. C., & Klein, J. D. (2007).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strategies, and issues . Mahwah NJ: Lawrence Erlbaum.
    [2007]
  • Richey, R. C. (2005). Validating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models. In J. M. Spector. & D. A. Willey (Eds.), Innovations in instructional technology: Essays in honor of M. David Merrill(pp. 171-185). Mahwah NJ: Lawrence Erlbaum.
    [2005]
  • Richey, R. C. & Nelson, W. A. (1996). Developmental research. In Jonassen, D. H. (Ed.).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 New York: Macmillan 1213-1245.
    [1996]
  • Research on instructional development
    Richey , R. C. 45 ( 3 ) , 91-100 . [1997]
  • Reigeluth, C. M., et al. (1995). A formative research: A methodology for improving educational theories and models .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s.
    [1995]
  • Reigeluth, C. M., & Garfinkle, R. J. (Eds.) (1994). Systemic Change in Education .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1994]
  • Reigeluth, C. M., & Frick, T. W. (1983). Formative research: A methodology for improving design theories. In C. M. Reigeluth (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Vol II: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
    [1983]
  • Reigeluth, C. M. (1999).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 Lawrence Erlbaum Association.
    [1999]
  • Reigeluth, C. M. & Joseph, R. (2002). Beyond technology integration: The case for technology transformation. Educational Technology, July/August, 9-13.
    [2002]
  • Putting case-based instruction into context : Examples from legal and medical education
    Williams , S. M. 24 ( 4 ) , 367-427 [1992]
  • Psychology 101 1/2: The Unspoken Rules for Sucsess in Academia . 신종호(2009)(역). 스턴버그가 들려주는 성공하는 학자가 되기 위 한 암묵적 지혜
    Sternberg, R. J. 서울: 학지사 [2003]
  • Prochaska, J.O., Norcross, J.C. & DiClemente, C.C. (1994). Changing for good . NY: Morrow.
    [1994]
  • Process-based measures of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 IV Category Combination ,
    Mumford , M. D. et al 10 , pp . 59-71 . [1997]
  •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5ed) . 송상호, 박인우, 엄우용, 이상수(2007)(공역). 수업설 계의 원리(5판)
    Gagne, R. M. Golas K. Keller, J. M. Wager, W. W.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05]
  • Patton, M. Q. (2001).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2nd Edition) .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01]
  •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 Newbury Patk, Calif: Sage Publications, Inc.
    [1990]
  • Patel, S., & Mehta, K. (2016). Systems, Design, and Entrepreneurial Thinking: Comparative Frameworks. System Practice Action Research.
    [2016]
  • Parry, S. R. (1999). The Quest for competencies: competency studies can help you make HR decision . Training, July, 48-56.
    [1999]
  • Parnes, J. S. (1981). The magic of your mind. Buffalo , NY: Creative Education Foundation.
    [1981]
  • PBL의 실천적 이해
    강인애 정득년 정준환 서울: 문음사 [2007]
  • PBL로 수업하기
    장경원 최정임 서울: 학지사 [2010]
  • Osterwalder A., & Pigneur Y. (2010). Business Model Generation – A Handbook for Visionaries, Game Changers and Challengers . John Wiley and Sons, Inc., Hoboken, New Jersey.
    [2010]
  • Osborn, A. (1963).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thinking . New York: Scribner's.
    [1963]
  • Opoku-Antwi, G. L., Amofah, K., Nyamaah-Koffuor, K., & Yakubu, A. (2012).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unyani Municipality. International Reviews of Management and Marketing , 2(4), 210-219.
    [2012]
  • Ochse, R. (1990). Before the gates of excellence: The determinants of creative genius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 OECD. (2018). OECD Future of Eucation and Skills 2030 . OECD Education 2030 website. Retrived December 14, 2021, from https://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
    [2018]
  • OECD. (2004). Career Guidance and Public Policy .
    [2004]
  •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 OECD.
    [2018]
  • OECD 진로정보 지도 및 진로상담 정책 협력사업(Ⅱ)
    이지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2]
  • OECD 교육 2030 참여 연 구: 역량 개념틀 타당성 분석 및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제
  • OECD ‘교육 2030: 미래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분석과 향후 과제
  • OECD Ecuation 2030 교육과정 조사에 따른 역량중심 교육과정 비교 연구
  • Newell, A., Shaw, J. C., & Simon, H. A. (1962). The processes of creative thinking. In H. Gruber., G. Terrell., & M. Wertheimer(Eds). Contemporary Approach to Creative Thinking (63-119). Atherton.
    [1962]
  • Neck, H. M., Greene, P. G., & Brush, C. G. (2014). Teaching entrepreneurship: A practice-based approach . Cheltenham. UK: E. Elgar.
    [2014]
  • Mumford, M. D., Reiter-Palmon, R., & Redmond, M. R. (1994). Problem finding revised. In M. A. Runco (ed.),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pp.3-39).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994]
  • Motivation reconsidered : the concept of competence
    White , R. W. 66 ( 5 ) , 297-333 . [1959]
  • Methods to validate nursing diagnoses
    Fehring , R. J 16 ( 6 ) , 625-629 . [1987]
  • McIntosh, J. E., & Meacbam, A. W. (1992). Creative problem solving : A teacher's guide to using CPS effectively in any classroom . TX: Prufrock Press Inc.
    [1992]
  • McClelland, D. C., & Dailey, C. (1973). Evaluating new methods of measuring the qualities needed in superior foreign service offices . Boston: McBer.
    [1973]
  • Mayer, R. E. (1992). Thinking, problem solving, cognition . NY: W. H. Freeman and Co.
    [1992]
  • Matthews, J. (2009).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Creativity and Design: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AGSE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Research Exchange .
    [2009]
  • Maslow, A. (1962). Toward the psychology of being. (2nd ed.) . Princeton: D. Van Nostrand, 1968.
  • Marketing and innovation in the Drucker Management System
    Drucker , P. F. Vol . 37 Issue 1 , pp . 35-43 [2009]
  • Lipman, M., Sharp, A. M., & Oscanyan, F. S. (1980). Philosophy in the classroom (2nd ed) ,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1980]
  • Linton, G., & Klinton, M. (2019).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a design thinking approach to learning. Journal o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2019]
  •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85]
  • Lasley II T. J., Matczyncki, T. J., & Rowley, J. B. (2002). Instructional Models: Strategies for Teaching in a Diverse Society . Belmont, CA: Wadsworth.
    [2002]
  • Lackeus, M. (2015), Entrepreneurship in education, what, why, when, how, Entrepreneurship 360 background paper. OECD, Paris.
    [2015]
  • Lackeus, M. (2013). Developing Entrepreneurial Competencies-An Action-Based Approach and Classification in Education . Licentiate Thesis,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2013]
  • Krathwohl, D. R. (2002).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 THEORY INTO PRACTICE/ Autumn 2002.
    [2002]
  • Kolodner, J. L., & Dorn, B., Thomas, J.O., Guzdial, M. (2012). Theory and Practice of Case-Based Learning Aids. Jonassen, D.H. & Land, S.M. (Eds., 2012).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Theory into practice (2nd Ed.) . New York: Routledge.
    [2012]
  • Kolodner, J. (1993). Case-Based Reasoning . NY: Morgan Kaufman.
    [1993]
  • Klemp. G. O.(1980), The assessment of occupational competence. Washington, D.C.: Report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1980]
  • Kirton, M. J. (1989). (ed) Adapters and Innovators: Styles of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 Routledge, London.
    [1989]
  • Kayne, J. (2007).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In: Entrepreneurship and Local Economic Development(Eds.) . Norman Walzer, Plymouth, UK: Lexington Books.
    [2007]
  • Kaufman, J. C. (2009). Creativity 101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9]
  • Katz, L. G., & Chard, S. C. (1989). Engaging children's minds: The Project Approach , Norwood. NJ: Ablex.
    [1989]
  • Kao, R. W. Y. (1999). Entrepreneurship: A Wealth-Creation and Value-Adding Process. Prentice Hall.
    [1999]
  • Kao, J. J. (1989). Entrepreneurship, Creativity & Organization. Prentice Hall International Inc, p.91.
    [1989]
  • Jonassen, D, H.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2nd Ed) . 한승연, 한인숙역 (2015). 학습환경 설계의 이론적 기반
    서울: 학지사. pp. 226 [2011]
  • Jausovec, N. (1994). Flexible think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creative problem solving . Cresskill, NJ: Hampton Press.
    [1994]
  • Isaksen, S. G. & Treffinger, D. J. (1985).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basic course. Buffalo, NY: Bearly Limited
    [1985]
  • Instrument review : Getting the most from a panel of experts .
    Davis , L. 5 ( 4 ) , 194-197 . [1992]
  • In Leake, D., ed., 1996, Case-Based Reasoning: Experiences, Lessons, and Future Directions . Menlo Park: AAAI Press/MIT Press, 1996.
    [1996]
  • Implementing key skills in further education : Perception and issues
    Bolton , T. , & Hyland , T. 27 ( 1 ) , 15 ? 26 [2003]
  • ICT 활용교육을 위한 Goal-Based Scenario 교 수․학습 방법 적용 사례
    강석권 김두규 박수홍 이상범 한국교육공학회, Vol. 26(1) [2010]
  • Huber, H., Peisl, T., Gedon, S., Brodie, J., & Sailer, K. (2016). Design Thinking-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How to Incorporate Design Thinking Principles into an Entrepreneurship Course. the 4th 3E Conference, ECSB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nference in Leeds, UK on 11-13 May.
    [2016]
  • Hsu, C-H, & Moore, D. R. (2011). Formative research on the Goal-based Scenario model applied to computer delivery and simulation The Journal of Applied Instructional Design , 1(1), 13-24.
    [2011]
  • Houtz, J. C. (2003). The educational psychology of creativity. In: J. C. Houtz (Ed.), The educational psychology of creativity. Cresskill, NJ: Hampton Press.
    [2003]
  • Holsti, O. R. (1969).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Reading , MA: Addison-Wesley.
    [1969]
  • Hart, J. D. (2018). Class Exercises for Entrepreneurship: A Corss-Disciplinary Approach . Edward Elgar.
    [2018]
  • Guba, E. G., & Lincoln, Y. S. (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Newbury Park, CA: Sage.
    [1989]
  • Griffin, P., McGaw, B., & Care, E. (Eds.) (2012).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 Dordrecht: Springer.
    [2012]
  • Goal-Based Scenario. 강명희, 강인애, 송상호, 임철일, 조일현, 최수진, 허희옥 (Eds.). 미래를 생각하는 e-러닝 콘텐츠 설계. 196-265
    조일현 서울: 서현사 [2007]
  • Goal-Based Scenario(GBS) 이론의 재검토
    조일현 산업교육연구, Vol. 9, 35-56 [2003]
  • Goal-Based Scenario(GBS) 모형을 적용한 웹기 반 교육용 컨텐츠의 설계 및 개발 연구
    김미경 성봉식 조규락 조영환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7(5), 9-21 [2004]
  • Getting the Measure of Managerial Competence
    Jacobs , R. 21 ( 6 ) : 32 ? 37 [1989]
  • Georgsdottir, A. S., Lubart, T. I., & Getz, I. (2003). The Role of Flexibility in Innovation. In L. V. Shavinina (Ed.), The international handbook on innovation (pp. 180–190).
    [2003]
  • Gardner. H. (1999). Multiple approaches to understanding. In C. M. Reigeluth (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 Vol Ⅱ (pp. 69-89).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9]
  • Gardner, H. (1991). The Unschooled Mind: How Children Think and How Schools Should Teach . New York: Basic Books Inc.
    [1991]
  • GBS를 활용한 교수설계 모델의 개발/적용 사례
    조일현 산업교육, Vol. 2(4), 65-69 [2002]
  • GBS+ 설계 모델을 적용한 e-learning 코 스웨어 개발 연구
    이현우 임규연 조일현 기 업교육연구, Vol. 4(2) [2002]
  • GBS(Goal-Based Scenario)에 의한 ‘생태와 환경’ 수업 사 례
    이명순 환경교육, Vol. 20(3) [2007]
  • GBS 웹 기반 학습환경에서 상호작용적 서사가 몰입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정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Friedman, T. L. (2013, March 30). Need a Job? Invent It. The New York Times. Retrived December 14, 2021, from http://www.nytimes.com/2013/03/31/opinion/sunday/friedman-need-a-job-invent-it.html
    [2013]
  • Foxwell, E. M. (2018). Teaching Entrepreneurship: Curriculum Guide . Kindle Edition.
    [2018]
  • Fasko, D. JR. (2000). Education and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 2000-2001, Vol.13, No. 3, 4.
    [2000]
  • Facilitation skill training . Toyko Keizai Shinpo-sha. 현창혁 역 (2004). 문제해결을 위한 퍼실리테이션의 기술
    Hori, K. 서울: 일빛 [2003]
  •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n organizational learning
    March , J. G. 2 , pp.71-87 [1991]
  • Execution the Discipline of Getting Things Done . New. York, NY: Crown Business. 김광수(역, 2004). 실행에 집중하라
    Bossidy, L. Charan, R. 서울: 21세기 북스 [2002]
  • European Commission(2013). Entrepreneurship Education at School in Europe: National Strategies, Curricula and Learning Outcomes . EURYDICE.
    [2013]
  • European Commission (2002). Final report of the expert group best procedure project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ntrepreneurship. retrieved from http://ec.europa.eu/enterprise/policies/sme/files/support_measures/training _education/education_final_en.pdf.
    [2002]
  • Entrepreneurship intentions :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Krueger , N. , Carsud , A 5 , pp . 316-323 [1993]
  • Entrepreneurship education : Known worlds and new frontiers .
    Neck , H. M. , & Greene , P. G. 49 ( 1 ) , 55 ? 70 [2011]
  • Entrepreneurial Competence 강화를 위한 Blended Service 모형개발. 국제 e-비즈니스학회
    박수홍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산업박람회 자료집, pp. 173-189 [2008]
  • Entrepreneurial Competence 강화를 위한 Blended Service 모형개발
    박수홍 e-비즈니스학회, 10(4), pp. 281-301 [2009]
  • Enhancing the quality and credibility of qualitative analysis
    Patton , M.Q 34 ( 5 ) Part II . pp . 1189-1208 [1999]
  • Embodied Narratives
    Menary , R. 15 ( 6 ) , 63 . [2008]
  • Educational technology at the crossroads : New mind sets and new directions
    Reigeluth , C. M. 37 ( 1 ) , 67-80 . [1989]
  • Dynamic Memory Revisited
    Schank , R. C.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신현정(2002)(역). 역동적 기억. 서울: 시그마프레스 [1999]
  • Duffy, T. (1996). Problem-based learning workshop . LG Learning Center, July 28-Aug 3. Seoul, Korea: Unpublished manuscript.
    [1996]
  • Dubois, D. D. (1993).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 Amherst, MA: HRD Press.
    [1993]
  • Drucker, P. F. (1993). Post Capitalist society . Harper Business.
    [1993]
  • Drucker, P. F. (1985).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 New York: Harper Collins.
    [1985]
  • Donnellon, A., Ollila, S., & Middleton, K. W.(2014). Constructing entrepreneurial identity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Education. In Press, Available online 10 June 2014.
    [2014]
  • Dick. W., & Carey, L. (1990).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Glenview. IL: scott, Foresman.
    [1990]
  • Dick, W., Carey, L., Carey, J. M. (2009).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7/E . Allyn & Bacon.
    [2009]
  •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Lynn , M. R. 35 ( 6 ) , 382 ? 385 [1986]
  • Denzin, N. K., & Lincoln, Y. S. (Eds.). (1994).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 Sage Publications, Inc.
    [1994]
  • Denzin, N. K., & Lincoln, Y. S. (2008). Introduction: The discipline and practice of qualitative research.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Strategies of qualitative inquiry (pp. 1–43) . Sage Publications, Inc.
    [2008]
  • Denzin, N. K., & Lincoln, Y. S. (2005).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2005]
  • Denzin, N. K. (1978).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struction ti sociological methods. 2nd(ed) . New York, NY: McGraw-Hill.
    [1978]
  • Davidsson, P. (2006). The types and contextual fit of entrepreneurial processes. In Burke, A. E.(ed.), Modern Perspectives on Entrepreneurship . Senate Hall Academic Publishing.
    [2006]
  • Criteria for assessing the trustworthiness of naturalistic inquiries .
    Guba , E. G. 29 ( 2 ) , 75-91 . [1981]
  • Creativity : A Knowledge Base , Metacognitive Skills , and Personalities Factors
    Feldhusen , J. F. 29 ( 4 ) , 255-268 . [1995]
  • Creativity
    Guilford , J. P. 5 , 444-454 . [1950]
  • Creative productivity : Understanding its sources and nuture
    Treffinger , D. J . 10 , 6-8 . [1991]
  • Creative Teaching of the the Social Studies in the elementary school . 한면희, 정문성, 김용찬(1998)(역). 사회과 창의적 교수법
    Smith, J. A. 서울: 과학교육사 [1979]
  • Components of creativity : Another look
    Treffinger , D. J . 2 ( 5 ) , 1 , 4 . [1988]
  • Coaching for learning: a practice guide for encouraging learning . London, England: Bloomsbury Publishing PLC. 이영만 역(2014). 교사를 위한 학습코칭
    Turnbull, J. 서울: 학지사 [2009]
  • Christensen, C. M. et al. (2008). Disrupting Class: How disruptive innovation will change the way the world learns . New York: McGraw Hill.
    [2008]
  • Campbell, R. & Monson, D. (1994). Building a goal-based scenario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al Technology . Nov. - Dec.
    [1994]
  • CPS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 교육의 길을 찾다
    김영채 정세영 정혜인 서울: 박영사 [2021]
  • Building theories from case study research.
    Eisenhardt , K. M. 14 , 532-550 . [1989]
  • Brown, R. T. (1989). Creativity: What are we to measure? In J. A. Glover, R. R. Ronning, & C. R. Reynolds (Eds), Handbook of creativity. NY: Plenum Press.
    [1989]
  • Boland Jr, R. J., Collopy, F., Lyytinen, K. and Yoo, Y. (2008), "Managing as Designing: Lessons for Organization Leaders from the Design Practice of Frank O. Gehry, Design Issues , 24, 1, Winter, 10-25.
    [2008]
  • Bloom, B., Hasting, T., & Madas, G. (1971). Hand book on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 New York : McGraw-Hill
    [1971]
  • Bloom, B. S. (Ed.), Engelhart, M.D., Furst, E.J., Hill, W.H., & Krathwohl, D.R.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 Handbook 1.
    [1956]
  • Barrow, H. (1994). Practice-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 Springfield,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994]
  • Baron, R. A., Ensley, M. D. (2006). Opportunity recognition as the detection of meaningful patterns: Evidence from comparisons of novice and experienced entrepreneurs. Management Science , 52 (2006), pp. 1331-1344.
    [2006]
  • Assumed similarity in communication styles : Implications for personnel interviews
    Mathison , D. L. 13 ( 1 ) , 100 ? 110 . [1988]
  • Assessing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mes : A new methodology
  • Argyris, C., Schön, D. A. (1978). Organizational learning: A Theory of Action Perspective . New York: McGraw-Hill.
    [1978]
  • Argyris, C. (1985). Strategy, change and defensive routines. Marshfield, Mass.: Pitman.
    [1985]
  • Anderson, L. W. (Ed.), Krathwohl, D.R. (Ed.), Airasian, P.W., Cruikshank, K.A., Mayer, R.E., Pintrich, P.R., Raths, J., & Wittrock, M.C.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omplete edition). New York: Longman.
  •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Boulder. CO : Westview.
    [1996]
  • Action Learning Workbook
    봉현철 서울: 다산서고 [2006]
  • Aamodt, A., and Plaza, E. (1994). Case-based reasoning: Foundational issues, methodological.
    [1994]
  •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Lawshe , C. H. 28 ( 4 ) , 563 ? 575 [1975]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앙트러프러너(Entrepreneur) 역량 교 육으로. 한국기업교육학회
    박수홍 이상범 춘계학술대회 [2017]
  •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의 과제. 2019 한국음악응용학회
    이상범 정기학술대회, pp. 45-55 [2019]
  • 21세기 학습자의 핵심역량과 우리 교육의 과제
    이지연 물리학과 첨단기술 APRIL. pp. 13-16 [2013]
  •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전략 연구
    최상덕 한국교육개발원 [2011]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부분 개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 론 증보편
    이미숙 교육부 [2014]
  • 2009 개정 교육과정 효과성 분석: 창의인성 교육성과를 중 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