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가계계승과 종부의 역할 = Family Succession and the Position of Jongbu in Late Joseon Society

김보람 2022년
논문상세정보
' 조선후기 가계계승과 종부의 역할 = Family Succession and the Position of Jongbu in Late Joseon Socie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역사
  • 가계 계승
  • 가계계승 분쟁
  • 봉사권
  • 입후권
  • 종부
  • 종자의 처
  • 총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5 0

0.0%

' 조선후기 가계계승과 종부의 역할 = Family Succession and the Position of Jongbu in Late Joseon Society' 의 참고문헌

  • 中國基本古籍庫(서울대학교 도서관 제공)
  • 李迎春, 1998 朝鮮後期王位繼承硏究, 集文堂.
  • 李象靖, 大山集
  • 李樹健
    朝鮮前期의 社會變動과 相續制度역사학보 129, pp. 23-76 [1991]
  • 柳重敎, 省齋集
  • 金楺, 儉齋集
  • 호적: 1606∼1923 호구기록으로 본 조선의 문화사
    손병규 휴머 니스트 [2007]
  • 한국여성의 가사노동과 경제활동의 역사
    김성희 신정 [2002]
  • 질서의 구축과 균열: 조선후기 호적과 여성들
    정지영 서강대학 교출판부 [2015]
  • 조선후기 지역사회구조 연구
    정승모 민속원 [2010]
  • 조선의 여성, 가계부를 쓰다: 종부의 치산과 가계경영
    김현숙 경 인문화사 [2018]
  • 조선양반의 생활세계: 義城金氏川前派고문서 자료 를 중심으로
    문옥표 백선사당 [2004]
  • 조선시대 제사승계의 법제와 현실
    정긍식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 부 [2021]
  • 조선시대 양잠업 연구
    남미혜 지식산업사 [2010]
  • 조선 중기 예학 사상과 일상 문화-주자가례를 중심으 로-
    이혜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 조선 전기의 입양과 가족제도
    박경 혜안 [2011]
  • 인조대왕과 친인척
    지두환 역사문화 [2000]
  • 유교 가부장제와 가족, 가산
    박미해 아카넷 [2010]
  • 양반의 사생활
    하영휘 푸른역사 [2008]
  • 선조대왕과 친인척
    지두환 역사문화 [2002]
  • 법과 풍속으로 본 조선 여성의 삶
    장병인 휴머니스트 [2018]
  • 고문서집성 33-영해 재령이씨편(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 高麗史
  • 高麗史節要
  • 續大典
  • 經國大典
  • 經國大典註解
  • 禮記
  • 朱子家禮
  • 朝鮮王朝實錄,
  • 朝鮮後期門中書院硏究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 春官志
  • 日省錄
  • 承政院日記
  • 家와 여성: 18세기 여성 생활과 문화
    김경미 여이연 [2012]
  • 大明律直解
  • 大典通編
  • 大典詞訟類聚
  • 大典會通
  • 大典後續錄
  • 各司受敎
  • 受敎輯錄
  • 別繼後謄錄(奎12903)
  • 儀禮
  • 한말 한 종가의 입후(立後)를 둘러싸고 발생한 사건들 - 동래정씨(東萊鄭氏) 정란종(鄭蘭宗) 종가의 고문서 자료를 통한 재구성사회와 역사 75
    허원영 pp. 151-186 [2007]
  • 한글편지에 나타난 해남윤씨가 8대 종부 광주이씨의 가문 경영東洋古典硏究 73
    이현주 pp. 385-414 [2018]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 https://kostma.aks.ac.kr 최종접속일 [2022]
  • 한국역사연구회중세2분과 법전연구반 엮음, (원문‧역주)各司受敎
    청년사 [2002]
  • 한국역사연구회중세2분과 법전연구반 엮음, (원문‧역주)受敎輯錄
    청년사 [2001]
  • 한국사회에서의 宗子와 宗婦한국계보연구 3
    이영춘 pp. 101-129 [2012]
  •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r 최종접속일 [2022]
  • 패트리샤 이브리 저, 배숙희 옮김, 송대 중국여성의 결혼과 생활
    한국학술정보 [2009]
  • 카이윙 초우 저, 양휘웅 옮김, 예교주의: 17-18세기 중국 지식인의 윤리, 학문, 종족의 담론
    Monograph [2013]
  • 창선감의록
    이원수 장자상속제와 사대부가의 고민語文學 100, pp. 269-295 [2008]
  • 조선후기 호주승계방식의 변화와 종법질서의 확산: 17‧8 세기 단성호적에 나타난 과부와 그 아들의 지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18(2)
    정지영 pp. 5-35 [2002]
  • 조선후기 친족질서와 종산(宗山) 분쟁朝鮮時代史學報 14
    김경숙 pp. 137-166 [2000]
  • 조선후기 입양의 확산 추이와 수용 양상역사와 현실 73
    권내현 pp. 201-232 [2009]
  • 조선후기 입양의 시점과 범위에 대한 분석大東文化硏 究 62
    권내현 pp. 45-73 [2008]
  • 조선후기 연좌제 운영을 통해 본 罷繼의 양상과 가계계 승史學硏究 124
    고민정 pp. 53-86 [2016]
  • 조선후기 여성의 노동과 경제활동: 18∼19세기 양반여성 을 중심으로한국여성학 28
    김경미 pp. 85-117 [2012]
  • 조선후기 여성의 呈訴活動한국문화 36
    김경숙 pp. 89-123 [2005]
  • 조선후기 양반층의 立後양상과 전략적 繼子선택-安東金 氏文正公派, 延安李氏館洞派
    한상우 眞城李氏退溪후손들을 중심으로 朝鮮時代史學報 73, pp. 287-325 [2015]
  • 조선후기 양반여성의 친정가문 일원의식 고찰
    하여주 朝鮮時代 史學報 89, pp. 257-289 [2019]
  • 조선후기 순절 여성 신씨부 한글 유서 재론-유서 정보의 재구성 및 글쓰기의 의도와 목적을 중심으로古文書硏究 54
    홍인숙 pp. 265-285 [2019]
  • 조선후기 사족 여성의 경제활동과 문학적 형상화 양상, 한국고 전여성문학연구 24
    강혜선 pp. 189-219 [2012]
  • 조선후기 부계 가족・친족의 확산과 몇 가지 문제한국 사학보 62
    권내현 pp. 247-268 [2016]
  • 조선후기 단성현호적대장의 여성파악 실태 연구
    김경란 고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조선후기 균분상속의 균열과 그 이후의 상속관행국학 연구 39
    문숙자 pp. 117-149 [2019]
  • 조선중기 주자학자 황종해黃宗海의 '가家'에 대한 인식- 비풍문규比豊門規를 중심으로-한국학논집 44
    이승연 pp. 341-374 [2011]
  • 조선중기 가묘제와 여성제례의 변화국학연구 14
    김윤정 pp. 451-488 [2009]
  • 조선전기 주자가례의 수용과 제사승계 관념역사민속학  12
    정긍식 pp. 177-198 [2001]
  • 조선전기 재산상속법제에서 여성의 지위법학연구 28
    김은아 pp. 207-226 [2007]
  • 조선전기 사대부례(士大夫禮)의 변화양상-가례(家禮) 와 종자법(宗子法)을 중심으로청계사학 7
    박연호 pp. 171-221 [1990]
  • 조선전기 고부관계의 변화양상-종법의 수용과정을 중심으 로민속학연구 20
    김윤정 pp. 31-50 [2007]
  • 조선에 있어서 주자 종법 사상의 계승과 변용국학연구  19
    이승연 pp. 571-607 [2011]
  • 조선시대의 가장권에 대한 지식의 착종-식민주의의 지적 유산에 대한 비판적 논의동북아 문화연구 52
    정지영 pp. 81-97 [2017]
  • 조선시대 별급別給분재의 사유와 변화 양상국학연구 39
    손계영 pp. 9-46 [2019]
  • 조선시대 가족제도의 변화와 여성한국고전여성문학연 구 10
    이순구 pp. 119-142 [2005]
  • 조선시대 決訟立案과 여성의 소송 주체성韓國史論 64
    김경숙 pp. 325-357 [2018]
  • 조선시대 婦權의 존재 양상 연구東洋古典硏究 73
    이은봉 pp. 65-90 [2018]
  • 조선 후기 족보의 여성 정보 등재 추이와 그 의미: 安東權 氏族譜(1476∼1907)를 중심으로
    강나은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석사학위 논문 [2021]
  • 조선 후기 성호학파의 입후설과 친족의식민족문화연구  65
    박종천 pp. 249-288 [2014]
  • 조선 후기 사족 家系의 계승방식에 관한 연구古文書硏 究 55
    고민정 pp. 191-210 [2019]
  • 조선 전기 딸에서 며느리로정체성 변화와 재산권-경주 양동마을을 중심으로-여성과 역사 23
    이순구 pp. 37-66 [2015]
  • 조선 사회의 유교화(儒敎化)와 여성의 위상-15 16세기 족 보를 중심으로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48
    이남희 pp. 135-168 [2011]
  • 전기자료에 나타난 16세기 양자의 특징-사마방목(司馬 榜目)의 분석국제지역연구 12(4)
    정긍식 pp. 105-133 [2003]
  • 이생송원록을 통해 본유연전과 유연 옥사 담론 국문학연구 38
    김영연 pp. 205-232 [2018]
  • 의례적 계승인가, 사회적 구휼인가?
    박종천 -조선 후기 입후立後 와 입양入養에 대한 다산의 논의-다산학 16, pp.59-101 [2010]
  • 의례(儀禮)상복(喪服) 편에 대한 다산 해석: 상 례사전(喪禮四箋)상기별(喪期別)에 나타난 종법(宗法)과 입 후(立後)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다산학 창간호
    장동우 pp. 264-291 [2000]
  • 유학의 예와 여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17세기 송시열 예 학을 중심으로-한국 철학논집 61
    왕화영 pp. 9-32 [2019]
  • 유연전에 나타난 가정 갈등 양상 연구人文科學 37
    박성태 pp. 101-124 [2006]
  • 옮김, 한국사회의 유교적 변환
  • 옮김, 주자가례: 유교 공동체를 향한 주희의 설계 
    임민혁 주희 예문서원 [2000]
  • 옮김, 조상의 눈 아래에서: 한국의 친족, 신분 그리고 지역성
  • 옮김, 정의의 감정들: 조선 여성의 소송으로 본 젠더와 신분
    김대홍 김지수 너머북스 [2020]
  • 역사학의 관점에서 본 16세기 유연 사건民族文化硏究 88
    권내현 pp. 147-172 [2020]
  • 사씨남정기의 사정옥: 총부(冢婦) 캐릭터-예제(禮制)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古小說硏究 34
    조광국 pp. 5-37 [2012]
  • 문성공 율곡 이이의 종손권 분쟁에 대한 고찰-(조선)고등 법원 1921.5.20. 선고 대정10년민상제5호 및 1922.6.20
    정긍식 선고 대정 11년민상제184호 판결을 대상으로-法史學硏究 64, pp. 43-92 [2021]
  • 마크 피터슨 저, 金惠貞옮김, 儒敎社會의 創出: 조선중기 상속제 와 입양제의 변화
    一潮閣 [2000]
  • 대하소설의 여성과 법-종통
    장시광 입후를 중심으로한국고전 여성문학연구 19, pp. 127-178 [2009]
  • 대구지역 한 양반가의 일기자료를 통해 본 18세기 혼인풍 속-百弗庵崔興遠의 曆中日記(1735∼1786)를 중심으로古 文書硏究 54
    정진영 pp. 233-264 [2019]
  • 규한록
    조혜란 어느 억울한 종부의 자기주장여성이론 16, pp. 152-167 [2007]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 https://kyudb.snu.ac.kr 최종접속일 [2022]
  • 귀향, 조선의 상속
    권내현 유유의 너머북스 [2010]
  •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 http://sjw.history.go.kr 최종접속일 [2022]
  • 계후등록(繼後謄錄)과 족보의 비교를 통해 본 조선후 기 입후의 특징古文書硏究 51
    한상우 pp. 189-214 [2017]
  • 가부장적 질서화와 부인권의 약화-조선전기 재산상속 분쟁 사례를 중심으로
    조은 한국여성학 16, pp. 5-34 [2000]
  • 黃宗海, 朽淺集
  • 韓基範
    17世紀女性의 宗法的地位忠南史學 9, pp. 33-63 [1997]
  • 韓元震, 南塘集
  • 霞谷鄭齊斗의 宗法시행과 禮論인천학연구 9
    김윤정 pp. 131-160 [2008]
  • 閔遇洙, 貞菴集
  • 金長生, 疑禮問解
  • 金長生, 沙溪全書
  • 金長生, 張子全書
  • 金鎭圭, 竹泉集
  • 金謹行, 庸齋集
  • 金斗憲, 韓國家族制度硏究
    서울大學校出版部 [1969]
  • 金履安, 三山齋集
  • 金壽興, 退憂堂集
  • 金元行, 渼湖集
  • 金一美
    朝鮮前期의 男女均分相續制에 대하여梨大史苑 8, pp. 31-67 [1969]
  • 鄭萬祚
    朝鮮時代龍仁地域士族의 動向韓國學論叢 19, pp. 73-125 [1996]
  • 鄭肯植, 趙志晩, 田中俊光역주, 잊혀진 法學者申瀿: 譯註大典詞 訟類聚
    민속원 [2012]
  • 鄭肯植, 任相爀[共]編著, , 十六世紀詞訟法書集成
    한국법제연구 원 [1999]
  • 鄭秉燮共譯, 2009 (譯註)禮記集說大全, 學古房.
  • 繼後立案을 통해 본 조선 후기 입후 양상에 관한 연구 泰東古典硏究 38
    고민정 pp. 157-185 [2017]
  • 繼後謄錄의 기술방식과 法外繼後에 대한 재검토史 學硏究 113
    고민정 pp. 199-236 [2014]
  • 洪道町宗婦의 役割: 조선후기 여성의 지위에 관한 試論 家族學論集9
    박미해 pp. 171-190 [1997]
  • 洪直弼, 梅山集
  • 洪直弼, 梅山先生禮說
  • 池斗煥, 朝鮮前期儀禮硏究: 性理學正統論을 中心으로
    서울大學 校出版部 [1994]
  • 池斗煥
    朝鮮前期의 宗法制度理解過程泰東古典硏究 1, pp. 59-104 [1984]
  • 權尙夏, 寒水齋集
  • 梅山禮說에 대한 一考察-梅山先生禮說通禮를 통 해 본 梅山의 宗統傳承에 관한 인식-漢文古典硏究 34(1)
    이영준 pp. 117-161 [2017]
  • 柳長源, 常變通攷
  • 李肯翊, 燃藜室記述
  • 李瀷, 星湖全集
  • 李滉, 退溪集
  • 李浚慶, 東皐遺稿
  • 李恒福, 白沙集
  • 李世弼, 龜川遺稿
  • 朴賢淳
    16세기 士大夫家의 親族秩序-李滉집안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107, pp. 77-106 [1999]
  • 朴胤源, 近齋集
  • 朴秉濠, 한국법제사고: 近世의 法과 社會, 法文社. 박희병‧정길수 편역, 2018 봉이 김선달
    돌베개 [1974]
  • 朴性陽, 芸窓集
  • 朴世采, 南溪集
  • 朱子家禮에 내재된 方位觀과 秩序儀式에 관한 연구 동양철학연구 74
    지현주 pp. 115-150 [2013]
  • 朝鮮時代立案에 관한 硏究
    최연숙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 논문 [2005]
  • 朝鮮時代의 家系繼承法制서울대학교 法學 51(2)
    정긍식 pp. 69-101 [2010]
  • 朝鮮時代庶孼差待論과 通用論복현사림 21(1)
    배재홍 pp. 1025-1046 [1998]
  • 朝鮮後期의 女性戶主硏究: 慶尙道丹城縣戶籍臺帳의 분석을 중심으로
    정지영 서강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1]
  • 朝鮮後期庶孼의 宗法的지위 약화와 그 원인朝鮮時 代史學報 89
    김진우 pp. 225-255 [2019]
  • 朝鮮後期家系繼承硏究-立後制를 중심으로
    고민정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朝鮮前期四代奉祀의 形成過程에 대한 一考察법제연구  11
    정긍식 pp. 130-161 [1996]
  • 朝鮮初期祭祀承繼法制의 成立에 관한 硏究
    정긍식 서울大學校 법학과 박사학위논문 [1996]
  • 朝鮮初期宗法의 수용과 女性地位의 변화
    이순구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 朝鮮中期祭祀承繼와 兄亡弟及의 변화朝鮮時代史學報 20
    김윤정 pp. 107-130 [2002]
  • 朝鮮中期冢婦權과 立後의 강화古文書硏究 9
    이순구 pp. 253-276 [1996]
  • 文叔子, 조선시대 재산상속과 가족
    景仁文化社 [2004]
  • 文叔子, 朝鮮前期의 財産相續
    韓國精神文化硏究院박사학위논문 [2000]
  • 徐昌載, 梧山集
  • 崔瀣, 拙藁千百
  • 崔承熙, (6쇄) 韓國古文書硏究
    知識産業社 [2008]
  • 崔在錫, 1983 韓國家族制度史硏究, 一志社.
  • 崔在錫
    朝鮮時代의 相續制에 關한 硏究-分財記의 分析에 依한 接 近역사학보 53‧54 合輯, pp. 99-150 [1972]
  • 崔在錫
    朝鮮時代의 養子制와 親族組織역사학보 86, pp. 83-135 [1980]
  • 崔在錫
    朝鮮時代의 門中의 形成韓國學報 9(3), pp. 2-44 [1983]
  • 尹鳳九, 屛溪集
  • 尹拯, 明齋先生疑禮問答
  • 尹愭, 無名子集
  • 尤庵宋時烈의 女性認識再考-碑誌文, 祭文
    윤경희 行狀등을 중 심으로-한문교육연구 39, pp. 401-423 [2012]
  • 宗法과 公私論-주자의 종법 사상을 중심으로사회사상 과 문화 7
    이승연 pp. 153-184 [2003]
  • 宋煥箕, 性潭集
  • 宋時烈, 宋子大全
  • 宋明欽, 櫟泉集
  • 宋德相, 果菴集
  • 奇大升, 高峯全書
  • 嚴氏孝門淸行錄에 나타난 葛藤樣相과 의미어문연구 110
    박영희 pp. 134-149 [2001]
  • 吳熙常, 老洲集
  • 任聖周, 鹿門集
  • 丁若鏞, 與猶堂全書
  • Patricia Buckley Ebrey, James L. Watson, 1986 Kinship Organization in Late Imperial China 1000-194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6]
  • Patricia Buckley Ebrey, 1991 Confucianism and Family Rituals in Imperial China: A Social History of Writing About Rit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
    [1991]
  • Patricia Buckley Ebre, 1993 The Inner Quarters-Marriage and the Lives of Chinese Women in the Sung Period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 Michael Szonyi, 2002 Practicing Kinship: Lineage and Descent in Late Imperial China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2]
  • Martina Deuchler, 1992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 Mark A. Peterson, 1996 Korean adoption and inheritance: case studies in the creation of a classic Confucian society (Ithaca, N.Y. : East Asia Program, Cornell University).
    [1996]
  • Laurel Kendall&Mark Peterson, Eds., 1983 Korean Women: View from the Inner Room (New Haven: East Rock Press).
  • Jisoo M. Kim, 2015 The emotions of justice: gender, status, and legal performance in Chosŏn Korea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5]
  • Hwa Yeong Wang, 2018 “Confucianism and Rituals for Women in Choson Korea: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Binghamton Universi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018]
  • Ann Waltner, 1990 Getting an Heir: adoption and the construction of kinship in late imperial China (United States of Americ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0]
  • Adoption in Korean Genealogies : Continuation of Lineage
    Mark Peterson 14 ( 1 ) , pp . 28-35 [1974]
  • 19세기 단성지역의 결혼관행古文書硏究 28
    김건태 pp. 235-263 [2006]
  • 18세기 총부의 입후권: 숙명공주의 봉사손 선정 문제를 중심으로한국문화 92
    김보람 pp. 229-260 [2020]
  • 18세기 초혼과 재혼의 사회사-단성호적을 중심으로-역 사와 현실 51
    김건태 pp. 195-223 [2004]
  • 18세기 여성의 친정
    김경미 시집과의 유대 또는 거리에 대하여 한국고전연구 19, pp. 5-30 [2009]
  • 18세기 경상도 사족의 혼례 방식지역과 역사 44
    김정운 pp. 5-31 [2019]
  • 18세기 禮學연구-洛論의 禮學을 중심으로
    김윤정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18세기 圃隱家門繼後의 정치사회적 의미포은학연구 10
    김학수 pp. 221-244 [2012]
  • 18세기 喪ㆍ祭禮실천과 宗統의 이상-星湖李瀷의 承重ㆍ 立後논의를 중심으로東洋古典硏究 35
    김남이 pp. 387-414 [2009]
  • 17세기 입후의 요건과 첩자계승한국학 39(3)
    고민정 pp. 175-200 [2016]
  • 17세기 여성사의 문제적 인물, 尤庵宋時烈- 碑誌類
    홍인숙 祭 文과우암선생계녀서를 중심으로東洋古典硏究 18, pp. 103-140 [2003]
  • 17세기 사족 여성의 생활과 문화: 묘지명, 행장
    황수연 제문을 중 심으로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6, pp. 161-192 [2003]
  • 17세기 경상도 사족의 혼례 방식韓國思想史學 56
    김정운 pp. 5-31 [2017]
  • 17世紀前後兩班家婦人의 經濟活動硏究
    한효정 성신여자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07]
  • 17∼19세기 조선의 재산 상속 관행-종법과 경제력 변동 을 중심으로한국사학보 70
    권내현 pp. 283-315 [2018]
  • 17∼18세기 兄亡弟及의 사례를 통해 본 가계계승의 실현 과정史學硏究 140
    고민정 pp. 255-288 [2020]
  • 16세기 유교적 친족질서 정착 과정에서의 冢婦權논의朝 鮮時代史學報 59
    박경 pp. 71-104 [2011]
  • 16세기 財産相續과 祭祀承繼의 실태古文書硏究 24
    정긍식 pp. 1-44 [2004]
  • 16∼17세기 宜寧南氏의 外孫奉祀와 立後의 추이-判尹南 公先系와宜寧南氏族譜를 중심으로史學硏究 135
    권기석 pp. 37-88 [2019]
  • 1689년 정씨부인이 예조에 올린 한글 소지
    안승준 문헌과 해석  가을호 [1999]
  • (川村康) 저, 임대희 옮김, 宋代에 있어서의 養子 法: 判語를 주된 史料로 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