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의 경설과 도학체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Theory of Reverent Attentiveness (敬) and the Neo-Confucian System of the Cheng brothers (二程)

김수길 2022년
논문상세정보
' 이정의 경설과 도학체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Theory of Reverent Attentiveness (敬) and the Neo-Confucian System of the Cheng brothers (二程)'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고대, 중세, 동양철학
  • 호연지기(浩然之氣)
  • 경(敬)
  • 미발(未發)
  • 사물(四勿)
  • 정제엄숙(整齊嚴肅)
  • 주일무적(主一無適)
  • 치지함양(致知涵養)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8 0

0.0%

' 이정의 경설과 도학체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Theory of Reverent Attentiveness (敬) and the Neo-Confucian System of the Cheng brothers (二程)' 의 참고문헌

  • 李澤厚, 中國古代思想史論, 人民出版社, ;정병석 옮김, 중국고대사상사론
    한 길사, 2005 [1986]
  • 劉象彬, 二程理學基本範疇硏究, 河南大學出版社, 1987.
  • 勞思光, 정인재 역, 中國哲學史(宋明篇)
    탐구당 [1993]
  • 羅光, 程顥的哲學思想, 人文學報, 輔仁大學文學院, 民國65(1976).
  • 지눌연구
    심재룡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중국철학의 중심
    조남호 태학사 [2004]
  • 중국사회사상사
    송영배 한길사 [1989]
  • 주희철학의 인식론: 지각(知覺)론의 형성과정과 체계
    김우형 심산 [2015]
  • 주자학을 위한 변명
    최진덕 청계 [2000]
  • 주자철학과 중국철학
    류인희 범학사 [1980]
  • 주자의 선불교비판 연구
    윤영해 민족사 [2000]
  • 조선 전기 이기론
    허남진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 조선 전기 심성론
    김영우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 조선 전기 수양론
    정원재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 조선 전기 경세론과 불교비판
    강중기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 장재철학
    황종원 문사철 [2001]
  • 장재의 철학
    정용환 경인문화사 [2007]
  • 장재와 이정형제의 철학
    이현선 문사철 [2013]
  • 이성과 현실
    손영식 울산대학교 출판부 [1999]
  • 송명철학
    유명종 형성출판사 [1994]
  • 세계와 인간에 대한 동양인의 사유
    이남영 천지 [2003]
  • 성리학의 형이상학 시론
    손영식 울산대출판부 [2007]
  • 성리학의 형이상학 도론
    손영식 울산대출판부 [2008]
  • 생성의 철학: 왕선산
    이규성 이화대학교출판부 [1991]
  • 마음과 철학, 유학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금장태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연 구원 [2013]
  • 동양철학의 이해 I
    심재룡 집문당 [2002]
  • 동양의 지혜와 禪
    심재룡 세계사 [1989]
  • 동아시아 근대사상사론
    이용주 이학사 [2009]
  • 내재의 철학 황종희
    이규성 이화대학교출판부 [1994]
  • 鳴道集說에 나타난 程頤의 선불교 비판 연구
    권선향 김원명 동서철학연구, 제 69호 [2013]
  • 近思錄, 漢文大系本. ;근사록집해, 이광호 역
    아카넷 [2004]
  • 朱子語類, 黎靖德 編, 王星賢 點校, 中華書局, 1994.
  • 晦庵先生朱文公文集, 朱傑人, 嚴佐之, 劉永翔 主編, 上海古籍出版社, 2002.
  • 張載集, 章錫琛 點校, 中華書局, 1978.
  • 宋元學案 上, 楊家駱 編, 世界書局, 民國 80年(1991).
  • 周子通書, 徐洪興, 導讀, 上海古籍出版社, 2000.
  • 二程集, 王孝魚 點校, 中華書局, 1981.
  • 二程全書, 四部備要, 臺灣中華書局, ;이정유서I,II,III, 이향준․조우진 옮김
    발 해그래픽스, 2019 [1976]
  • 홍대용(1731∼1783)의 과학사상과 이기론
    허남진 아시아문화 9권 [1993]
  • 한국불교의 간화선 전통과 정통성 형성에 관한 연구
    박재현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5]
  • 한국동양철학회 편, 동양철학의 본체론과 인성론
    연세대출판사 [1982]
  • 퇴계에서 이발(理發)과 이동(理動), 이도(理到)의 의미에 대하여 - 이(理)의 능동성 문제
    문석윤 퇴계학보, 110권 [2001]
  • 퇴계 미발론
    문석윤 퇴계학보 114권 [2003]
  • 최해숙 옮김, 중국근대철학사
    Alfred Forke 예문서원 [2013]
  • 지각설에 입각한 이이(李珥)철학의 해석
    정원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1]
  • 주희의 자연철학
    김영식 예문서원 [2005]
  • 주희의 수양론 – 未發涵養工夫를 중심으로
    이상돈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10]
  • 주희의 격물치지와 경공부
    정상봉 철학 61 [1999]
  • 주희와 이황의 미발(未發) 이론에 대한 논쟁 ― 이승환 선생의 미발 개념 비판
    손영식 동양철학 제31호 [2009]
  • 주희에서 정약용으로
    한형조 세계사 [2000]
  • 주희(朱熹) 성리학(性理學)의 형이상학적 특색과 현대 철학
    김한상 범한철학, 60 권 [2011]
  • 주자철학에서 도의 본질적 함의
    이남영 철학 6호 [1972]
  • 주자의 도덕론에서 敬의 지위와 의미 그리고 來源에 관한 연구
    황갑연 유학연구 제40집 [2017]
  • 주자 수양론에서 미발공부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도덕심리학적 의미
    이승환 동양 철학 제32호 [2009]
  • 조선조 후기 유학의 이중성, 세계와 인간에 대한 동양인의 사유
    이남영 천지 [2003]
  • 조선 후기 성리학과 서구 사상(천주교)의 유입, 세계와 인간에 대한 동양인 의 사유
    허남진 천지 [2003]
  • 조선 후기 기철학의 성격 – 녹문 임성주의 경우, 한국문화 11호
    허남진 서울대한 국문화연구소 [1990]
  • 정호 철학에서 식인識仁의 문제
    박영미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1997]
  • 정주학의 거경궁리설 연구
    홍원식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991]
  • 정자에서의 지식과 직관의 문제
    이규성 한국문화신학회논문집 제3집 [1999]
  • 정자에서 생산과 생명의 원리
    이규성 철학연구 44권 [1999]
  • 정이천 철학에서 행위 방식으로서의 의리(義理)의 특성
    심의용 동서철학연구 제 31호 [2004]
  • 정이의 리와 기개념 연구
    정상봉 중국학보 제41집 [1998]
  • 정이의 리기개념과 주자의 리기개념, 한국철학사연구회편, 주자학의 형성과 전개
    정상봉 심산출판사 [2005]
  • 정문(程門)의 미발설과 구중(求中) 공부-소계명(蘇季明)과 여여숙(呂與叔) 에 대한 이천(伊川)의 비판을 중심으로
    이승환 철학연구 제38호 [2009]
  • 정명도의 천리와 인성에 대한 이해
    정상봉 한국철학논집 제40집 [2014]
  • 정명도의 인성론과 유학사적 의의
    박길수 공자학 제25호 [2013]
  • 전국시대 인성론의 형성과 전개에 관한 연구
    장원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5]
  • 장영란 옮김,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J. O. Umson 서광사 [1996]
  • 이한우 옮김, 마음의 개념
    Gibert Ryle 문예출판사 [1994]
  • 이이는 성리학자인가?, 문학ㆍ선
    정원재 산맥 [2005]
  • 유병태 옮김, 중국사유
    Marcel Granet 한길사 [2010]
  • 원효에 있어서 진리의 존재론적 성격
    조은수 한국철학회 춘계학술대회 [2006]
  • 왕권에 대한 예치의 문제의식 - 종법과 군자 개념을 중심으로
    이봉규 철학, 72권 [2002]
  • 악의 리는 없다(부제:정호의 리유선악에 대한 주희의 해석)
    김철호 윤리연구 127 권 [2019]
  • 악은 선으로부터 시작된다(부제:정호의 선악개천리에 대한 주희의 해석)
    김철호 동 양철학연구 100집 [2019]
  • 신유학 3파의 이름과 대안의 모색
    정원재 철학 제127집 [2016]
  • 송대 중화(中和) 사상에 관한 일고찰(부제:사마광(司馬光)과 한유(韓維)의 서신 교환을 중심으로)
    임명희 한국철학논집 38권 [2013]
  • 송대 심성론
    양승무 아르케 [1999]
  • 송대 신유학의 인격 수양론: 경을 중심으로
    김수청 신지서원 [2006]
  • 성리학에서 마음과 리 개념의 결합
    손영식 퇴계학보 제144호 [2018]
  • 성리학과 심기학
    손영식 대동철학 47집 [2009]
  • 성리학 수양론에서 敬과 靜의 상관적 의미
    엄연석 한국문화, no43 [2008]
  • 박찬구 류지한 옮김, 도덕과 윤리에 관한 철학적 사유
    Robert Spaemann 철학과 현실사 [2001]
  • 미발지각(未發知覺)이란 무엇인가? - 현대 한국에서의 미발 논쟁에 관한 고찰 을 겸함
    한자경 철학 제123집 [2015]
  • 미발설과 자아 개념 ― 이승환 교수의 미발설 비판
    손영식 동양철학 제35호 [2011]
  • 리일분수(理一分殊)에 대한 몇 가지 오해
    손영식 동양철학 제21집 [2004]
  • 대승불교적 무아설의 입장에서 본 행복 - 유마경을 중심으로
    조은수 철학논집 제52권 [2018]
  • 논어에서 지(知) 의 의미 : 지자천석(知字淺釋)
    문석윤 동양철학연구, 18권 [1998]
  • 나성 옮김, 중국고대사상의 세계
    Benjamin Schwarts 살림 [1996]
  • 군자와 소인, 대체와 소체, 인심과 도심
    장원태 철학연구 제81집 [2008]
  • 龐萬里, 二程哲學體系, 北京航空航天大學出版社, 1992.
  • 馮友蘭, 中國哲學簡史, 北京大出版社, ;정인재 옮김, 간명한 중국철학사
    형 성출판사, 2007 [1985]
  • 馮友蘭, 中國哲學史, 中華書局, ;박성규 역, 중국철학사 상 하
    까치, 1999 [1992]
  • 馮友蘭, 中國哲學史新編, 人民出版社, 1999.
  • 馮友蘭, 곽신환 옮김, 중국철학의 정신
    서광사 [1993]
  • 陳榮捷, 朱學論集, 臺灣學生書局, 1981.
  • 陳榮捷, 朱子新探索, 學生書局, 民國77.
  • 陳來, 朱熹哲學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이종란 외 옮김, 주희의 철학
    예 문서원, 2002 [1988]
  • 陳來, 有無之境, 人民出版社, ;전병욱 옮김, 양명철학
    예문서원, 2003 [1991]
  • 陳來, 宋明理學, 華東師範大學出版社, ;안재호 옮김, 송명 성리학
    예문서원, 1997 [2004]
  • 陳來, 中國近世思想史硏究, 商務印書館, 2003.
  • 錢穆, 朱子新學案, 三民書局, 1986.
  • 錢穆, 宋明理學槪述, 中國文化大學出版部, 1980.
  • 鈴木大拙, 東峯 옮김, 禪의 진수
    고려원 [1987]
  • 金春峰, 朱熹哲學思想, 東大圖書公司, 民國87年(1998)
  • 蕭公權, 中國政治思想史 上 下, 臺灣: 燕京出版事業公司, 民國71年 ;崔明 孫文 鎬 譯, 中國政治思想史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1982]
  • 蒙培元, 理學範疇系統, 人民出版社, ;홍원식 황지원 이기훈 이상호 옮김, 성리 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2008 [1989]
  • 蒙培元, 理學的演變, 復建人民出版社, 1984.
  • 葛兆光, 이동연 외 옮김, 중국사상사2
    일빛 [2013]
  • 荒木見悟, 심경호 옮김, 불교와 유교
    예문서원 [2000]
  • 荒木見悟, 배영동 옮김, 불교와 양명학
    혜안 [1996]
  • 程顥와 程頤의 본성(性) 이론에 나타나는 인식론적 사유의 특성
    김우형 동서철학 연구 제24호 [2002]
  • 程顥 和樂 수양론 管窺
    안재호 국제중국학연구 69호 [2014]
  • 程頤의 居敬에 대한 연구-張載, 朱熹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안동섭 퇴계학보 제 132집 [2012]
  • 程頤 易傳의 易學理論에 관한 硏究
    엄연석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9]
  • 盧連章, 二程學譜, 中州古籍出版社, 1988.
  • 盧國龍, 宋儒微言, 華夏出版社, 2001.
  • 理氣四七論辯과 人物性同異論, 한국의 사상
    이남영 열음사 [1984]
  • 王陽明學派의 良知說에 관한 硏究
    김성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6]
  • 王船山 氣 哲學體系 硏究
    이규성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89]
  • 狩野直喜, 오이환 역, 중국철학사
    을유문화사 [1986]
  • 牟宗三, 心體與性體, 正中書局, ;김지주 외 옮김, 심체와 성체 1∼7
    소명출 판, 2012 [1982]
  • 牟宗三, 정병석 옮김, 동양철학과 아리스토텔레스
    소강 [2001]
  • 牟宗三, 김병채 옮김, 모종삼 교수의 중국철학 강의
    예문서원 [2011]
  • 爭點으로 본 韓國性理學의 深層
    이남영 韓國思想의 深層硏究 [1986]
  • 潘富恩ㆍ徐余慶, 程顥程頤理學思想硏究, 復旦大學出版社, 1988.
  • 潘富恩, 程顥ㆍ程頤評傳, 廣西敎育出版社, 1996.
  • 漆俠, 宋學的發展和演變, 河北人民出版社, 2002.
  •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이봉규 퇴계학보, 128권 [2010]
  • 楠本正繼, 宋明時代儒學思想の硏究, 廣島: 廣池學園事業部, ;김병화 이혜경 옮 김, 송명유학사상사
    예문서원, 2005 [1962]
  • 楊國榮, 송하경 역, 양명학통론
    박영사 [1994]
  • 李明輝, 김기주 이기훈 옮김
    유교와 칸트 [2012]
  • 朱熹의 居敬論 硏究
    정현정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04]
  • 朱子哲學에서의 鬼神論
    박성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4]
  • 朝鮮後期 湖洛論辨의 成立史 硏究
    문석윤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5]
  • 朝鮮後期 氣哲學硏究
    허남진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4]
  • 方東美, 中國哲學之精神及其發展, 方東美先生全集(八), 中和堂.
  • 性理學 本體論의 형성에 관한 연구
    장원목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8]
  • 徐遠和, 洛學源流, 齊魯書社, ;손흥철 옮김, 정주철학의 뿌리를 찾아서
    동과 서, 2000 [1987]
  • 徐洪興, 曠世大儒-二程, 河北人民出版社, 2000.
  • 張載와 程顥의 定性說에 관한 비교 연구
    한정길 양명학 제8호 [2002]
  • 張立文, 宋明理學硏究, 中國人民大學出版社, 1985.
  • 張永儁, 二程學管見, 東大圖書公司, 1988.
  • 張德麟, 程明道思想硏究, 臺灣學生書局, ;박상리 이경남 정성희 옮김, 정명도 의 철학
    예문서원, 2004 [1986]
  • 張德麟, 程明道辨佛的理論根據, 孔孟月刊 第23卷 第11期. 1985.
  • 張岱年, 中國哲學大綱,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2.
  • 張君勱, 김용섭ㆍ장윤수 역, 한유에서 주희까지
    형설출판사 [1991]
  • 延平答問 논의를 통해 본 退溪學의 지평 - 동아시아 유학사의 맥락과 연관하여
    이봉규 동방학지, 제144집 [2008]
  • 延在欽, 朱熹哲學에 있어 敬에 대한 연구
    한국철학논집 제19집 [2006]
  • 市川安司, 程伊川哲學の硏究, 東京大學出版會, 1964.
  • 島田虔次, 김석근 이근우 옮김, 주자학과 양명학
    까지 [1977]
  • 岡田武彦, 宋明哲學の本質, 木耳社, 昭和59
  • 尹用南, 朱子 敬說의 體系的 理解
    윤리교육연구, 제35집 [2014]
  • 小野澤精一 福永光司 山井湧 編, 全敬進 譯, 氣의 思想
    원광대학교 출판부 [1987]
  • 小島毅, 신현승 옮김, 송학의 형성과 전개
    논형 [2004]
  • 宋時烈의 性理學說 硏究
    이봉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6]
  • 宋代新儒學에서의 哲學的 爭點의 硏究
    손영식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3]
  • 宋代 新儒家 思想의 天人觀
    이남영 철학 5호 [1971]
  • 宇野哲人, 박희준 옮김, 중국의 사상
    대원사 [1991]
  • 大濱皓, 이형성 옮김, 범주로 보는 주자학
    예문서원 [1997]
  • 土田健次朗, 성현창 옮김, 북송도학사
    예문서원 [2006]
  • 吳乃恭, 宋明理學, 吉林文史出版社, 1994.
  • 友枝龍太郞, 朱子の思想形成, 東京: 春秋社, 1979.
  • 劉玉敏, 敬與靜, 江漢大學學報 第25卷 第1期, 2006年 2月.
  • 侯外廬, 宋明理學史, 人民出版社, ;박완식 옮김, 송명리학사 1,2
    이론과 실 천, 1993.  [1984]
  • 侯外廬 主編, 中國思想通史 4卷 上冊, 人民出版社, 1960.
  • 余英時, 朱熹的歷史世界 上 下, 新知三聯書店, ;이원석 옮김, 주희의 역사세계 상 하
    글항아리, 2015 [2004]
  • 二程思想硏究文集, 河南人民出版社, 1986.
  • 丁靜, 二程敬之修養工夫論硏究, 河北師範大學學報 第40卷 第5期, 2017年 9月. 侯家駒, 程明道論公與私, 孔孟月刊 第24卷 第7期.
  • 丁爲祥, 虛氣相卽, 人民出版社, 2000.
  • Xin心 and Moral Failure : Reflection on Mencius ’ Moral Psychology
    A. S. Cua Vol1 , No1 [2001]
  • Wing-Tsit Chan, Reflections on things at Hand, Columbia Universty Press, 1967
    [1967]
  • Wing-Tsit Chan ed., Chu Hsi and Neo-Confucianism, Honolulu: Univ. of Hawaii Press, 1986.
    [1986]
  • William Theodore De Bary, The Message of the Mind in the Neo-Confucianism,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9.
    [1989]
  • Two Chinese philosophers, London: Lund Humphries, ;이현 선 옮김, 정명도와 정이천의 철학
    A. C. Graham 심산, 2011 [1978]
  • Tu, Wei-ming, Humanity and Self-Cultivation: Essays in Confucian Thought, Berkeley: Asian Humanities Press, 1979.
    [1979]
  • Tu, Wei-ming, Confucian Thought: Selfhood as Creative Transformation,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5.
    [1985]
  • Tillman, Utilitarian Confucianism : Ch′en Liangs Challenge to Chu Hsi, Cambridge
    Hoyt C.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김병환 임명희 옮김, 공 리주의 유가, 교육과학사, 2017 [1982]
  • Tillman, Confucian Discourse and Chu Hsis Ascendancy
    Hoyt C.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김병환 옮김, 주희의 사유세계, 교육과학 사, 2010 [1992]
  • Philip J. Ivanhoe, Ethics in the Confucian Tradition: The Thought of Mencius and Wang Yang-ming, Atlanta: Scholars Press, 1990.
    [1990]
  • Nivison, The Way of Confucianism,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김민철 옮김, 유학의 갈림길
    David S. 철학과 현실사, 2006 [1996]
  • Metzger, ESCAPE FROM PREDICAMENT
    Thomas A. Columbia University Press, ;나성 옮김, 곤경의 탈피, 민음사, 2014 [1997]
  • MENCIUS AND KANT ON MORAL FAILURE
  • Ivanhoe, Confucian Self Cultivation, Peter Lang, ;신정근 옮김, 유 학, 우리 삶의 철학
    Philip J. 동아시아, 2008 [1993]
  • Frankena, 황경식 옮김, 윤리학
    William K. 철학과 현실사 [2003]
  • Fran ois Jullien, 허경 옮김, 맹자와 계몽철학자의 대화
    한울 [2019]
  • Donald J. Munro, Images of Human Nature - A Sung portrait, Princeton Univ. press, 1988.
    [1988]
  • Bol, THIS CULTURE OF OURS
    Peter K. Standford University Press, ;심의 용 옮김, 중국 지식인들과 정체성, 북스토리, 2008 [1992]
  • Bol, Neo-Confucianism in History,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김영민 옮김, 역사 속의 성리학
    Peter K. 예문서원, 2010 [2008]
  • Aristoteles, 강상진 김재홍 이창우 옮김
    니코마코스 윤리학, 길 [2010]
  • Ames, 장원석 옮김, 동양철학, 그 삶과 창조성
    Roger T.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 7정과 성악설
    정원재 철학사상, 57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