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존 행위로서 건축문화재 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해방 이후 서울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Relocating Architectural Heritage as Historic Conservation based on Seoul cases since 1945

기세황 2022년
논문상세정보
' 보존 행위로서 건축문화재 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해방 이후 서울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Relocating Architectural Heritage as Historic Conservation based on Seoul cases since 1945'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건물
  • 건축문화재
  • 도시개발
  • 문화재위원회
  • 보존
  • 서울시
  • 이건
  • 이축
  • 재배치
  • 활용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80 0

0.0%

' 보존 행위로서 건축문화재 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해방 이후 서울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Relocating Architectural Heritage as Historic Conservation based on Seoul cases since 1945' 의 참고문헌

  • 한국위원회. 이코모스 헌장 선언문집
    이코모스 서울: 이코모스 한국위 원회 [2010]
  • 한국근대건축물의 보전관리지침 구성방안 연구: 개화기~1950 년까지 건립된 지정.등록문화재를 중심으로
    박근수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한국교통연구원. 한국의 보행환경 개선: 정책 및 성과
    세종: 한국교통 연구원 [2015]
  • 한국건축에서 장소성 개념의 변천과 의미구조에 대한 연구. 한 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4(1)
    김인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 한국 근대 문화재 인식의 형성과 변용
    오춘영 충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0]
  • 한국 근대 건축 문화재의 보존유형과 수리기술에 관한 연구
    고주환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 한국 건조물 문화재 보존사에 관한 연구
    조현정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 존 러스킨의 진정성 개념에 대한 연구
    김연정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 사학위 논문 [2016]
  •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 일제하 경성도시계획의 구상과 시행
    염복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 문 [2009]
  • 일제강점기 조선왕조 궁궐건축의 이건과 변용
    박성진 한국예술종합학 교 예술전문사학위 논문 [2007]
  • 일본을 걷는다
    김정동 서울: 한양출판 [1997]
  • 이전복원 된 역사마을의 문화재적 인식에 관한 연구
    이동현 한국전통 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 우동선 외 7인. 궁궐의 눈물, 백년의 침묵
    파주: 효형출판 [2009]
  • 예로 지은 경복궁
    임석재 서울: 인물과 사상사 [2015]
  • 영은문 모화관의 건립과 독립문, 독립관으로의 변천. 향토서울, 82
    김세민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2]
  • 영상역사관
    http://www.ehistory.go.kr
  • 역사적인 건축물 이축기술이 보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고주환 2016(추계), 211–214 [2016]
  • 역사적 건축물 보존의 여러 방식. 건축, 49(12)
    최종덕 대한건축학 회 [2005]
  • 역사도시경관 개념에 따른 경희궁지 보존방향
    김상권 서울대학교 석 사학위 논문 [2019]
  • 심의석이 세운 독립문과 독립관을 중심으로
    김정동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축역사학회 [2010]
  • 숭정전지의 발굴 결과와 앞으로의 과제. 건축역사연구, 1(1)
    김홍식 한국건축역사학회 [1992]
  • 수리, 복원의 개념과 한국의 건축 문화재 보존. 한국건축 문화재 복원과 창조의 경계
    강현 서울: 한양대학교 박물관 [2012]
  • 세계유산협약의 기초개념 연구
    조효상 한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지명사전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 서울특별시. 역사 문화 탐방로 조성계획
    서울: 서울특별시 [1994]
  • 서울특별시. 서울역사문화지도03
    서울: 서울특별시 [2013]
  • 서울특별시. 서울성곽
    서울: 서울특별시 [1976]
  • 서울특별시. 서울 새로운 탄생: 서울600년 사업백서
    서울: 서울특별시 [1995]
  • 서울특별시. 서울 도심의 정체성 연구
    서울: 서울특별시 [2010]
  • 서울특별시. 삼각동 도편수 이승업가옥 정밀실측조사보고서
    서울: 서 울특별시 [2015]
  • 서울특별시. 경희궁지 보존 및 활용방안 연구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 [1996]
  • 서울특별시. 경희궁 근린공원 조성 기본계획도집
    서울: 서울특별시 [1986]
  • 서울특별시. , 서울 도시계획 연혁
    서울: 서울특별시 [2016]
  • 서울특별시 항공사진 서비스
    http://aerogis.seoul.go.kr
  •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희궁지 종합정비계획
    서울: 서울특별시 종로구 [2018]
  • 서울특별시 서울600년기념사업단. 서울600년 사업계획
    서울: 서울특 별시 [1994]
  • 서울특별시 문화재과. 정비 복원을 위한 경희궁지 발굴조사보고서
    서 울: 서울특별시 [1985]
  • 서울특별시 문화재과. 남산골 한옥마을: 해체실측 및 이전복원공사 보 고서
    서울: 서울특별시 [1998]
  • 서울특별시 문화과. 전통문화동네 조성 기본계획 수립 연구
    서울: 서 울특별시 [1992]
  • 서울특별시 문화과. 서울올림픽대회백서: Seoul 1988
    서울: 서울특별 시 [1990]
  • 서울특별시 문화과. 서울사직단 고증조사 및 복원기본계획 보고서
    서 울: 서울특별시 [1985]
  •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 각심재 문화재 보수공사 실측 수리 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 노원구 [2015]
  • 서울특별시 광진구. 도정궁 경원당: 정밀실측조사보고서
    서울: 서울특 별시 광진구 [2009]
  • 서울특별시 관할 목조건축물 문화재의 보전과 활용
    조교환 서울시립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 서울특별시 eBOOK
    http://ebook.seoul.go.kr/library
  • 서울올림픽과 도시개조의 유산: 인정경관과 낙인경관의 탄생. 문화와 사회, 27(2)
    박해남 한국문화사회학회 [2019]
  • 서울역사편찬원. 서울2천년사 36 현대 서울의 교통과 통신
    서울: 서 울역사편찬원 [2016]
  • 서울역사편찬원. 서울2천년사 35 현대 서울의 도시 건설
    서울: 서울 역사편찬원 [2016]
  • 서울역사박물관 유물관리과. 서울지도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2006]
  • 서울역사박물관 유물관리과. 돌격 건설! 김현옥 시장의 서울
    서울: 서 울역사박물관 [2013]
  • 서울역사박물관
    https://museum.seoul.go.kr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 20세기 공간 변천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 구원 [2001]
  • 서울시립 남서울생활미술관. 미술관이 된 구벨기에영사관
    서울: 서울 시립미술관 [2015]
  •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나타난 오래된 도시 환경에 대 한 태도 변화.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5(2)
    기세황 박소현 대한건축학회 [2019]
  • 서울도서관
    https://lib.seoul.go.kr
  • 서울기록원
    https://archives.seoul.go.kr
  • 서울 한양도성 정문과 간문의 위상 – 흥인문과 광희문의 형태 및 기능 비교를 중심으로
    하미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 서울 정동의 도시조직변화연구 : 덕수궁 영역의 필지변화를 중 심으로
    이혜민 경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 서울 시청 앞 광장의 공간 분석과 도시 공공성의 변천 과정
    박지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서울 600년의 건축적 사건들: 경복궁 경희궁 복원과 옛 조 선총독부 청사 철거문제. 건축, 35(2)
    이상해 대한건축학회 [1991]
  • 상징공간의 변용과 집합기억의 발명. 공간과 사회, 28
    김백영 한국공 간환경학회 [2007]
  • 사직공원 조성과 사직단을 둘러싼 개발과 문화재보호 담론 의 대립 – 일제시기부터 196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38
    김수자 이화 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0]
  • 사료와 함께 보는 경복궁
    허균 서울: 한림미디어 [2005]
  •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비판적 담화분석 활용 연구
    문종철 한 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박정희의 경주고도개발사업. 한국학, 35(1)
    최광승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 박정희시대 성역화사업의 추이와 성격. 역사문제연구, 15
    은정태 역 사문제연구소 [2005]
  • 민족문화연구소
    https://www.minjok.or.kr
  • 문화재청. 주요국 문화재보호 법제 수집 번역 및 분석
    대전: 문화재 청 [2010]
  • 문화재청.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이전 복원 수리보고서
    대전: 문화 재청 [2013]
  • 문화재청. 역사문화자원 보호 및 활용을 위한 제도화 법제화 장안 연 구
    대전: 문화재청 [2020]
  • 문화재청. 사직단 정문 : 실측조사보고서
    대전: 문화재청 [2005]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회의록
    대전: 문화재청 [2006]
  • 문화재청. 문화재 활용을 위한 정책기반 조성연구 - 문화전략연구소 편
    대전: 문화재청 [2006]
  • 문화재청. 문화유산보존을 위한 국제원칙 경향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대전: 문화재청 [2010]
  • 문화재청. 문화유산 보존원칙 제정을 위한 연구(3) 구성체계 정립 및 기본초안 작성 연구
    대전: 문화재청 [2013]
  • 문화재청. 문화유산 보존원칙 제정을 위한 연구(2) 국내보존용어의 합 리적 정리체계 마련 연구
    대전: 문화재청 [2012]
  • 문화재청. 등록문화재 테마별 활용 기본계획 수립 연구
    대전: 문화재 청 [2013]
  • 문화재청. 대한문 수리 보고서
    대전: 문화재청 [2005]
  • 문화재청. 경복궁 광화문권역 복원준공보고서
    대전: 문화재청 [2011]
  • 문화재청. 경복궁 광화문 원위치 복원 계획
    대전: 문화재청 [2005]
  • 문화재청. 경복궁 광화문 및 기타권역 복원정비 계획보고서
    대전: 문 화재청 [2002]
  • 문화재청. 건국대학교 구 서북학회회관
    대전: 문화재청 [2004]
  • 문화재청, 문화재 활용 가이드북
    대전: 문화재청 [2007]
  • 문화재청, 문화유산 보존원칙 제정을 위한 연구(1) 기반 조성 연구
    대전: 문화재청 [2011]
  • 문화재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11 경제발전경험모듈화사업: 한국의 문화재보호제도: 문화재수리 전수교육 보호활동
    세종: 기획재정부 [2012]
  • 문화재청
    https://www.cha.go.kr
  • 문화재정. 서울 평창동 박종화 가옥
    대전: 문화재청 [2014]
  • 문화재관리국. 경복궁 복원정비기본계획
    서울: 문화재관리국 [1994]
  • 문화재 활용의 개념 확장과 활용 유형 분류체계 구축. 문화재, 47(1)
    류호철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 문화재 보존에 있어서 진정성 개념의 속성과 변화 고찰. 문화 재, 45(4)
    이수정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 문화공보부. 문화공보 30년
    서울: 문화공보부 [1979]
  • 독립문의 이축 결정 과정을 통해 본 1970년대 도시개발 속 문 화유산 보존 방식
    기세황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7(9). 대한건축학회 [2021]
  • 독립문의 이전 시비. 대한건축학회지, 22(81)
    강봉진 대한건축학회 [1978]
  • 독립문: 근대 기념물과 만들어지는 기억. 미술사와 시각문화, 2
    목수현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03]
  • 독립문 독립관 독립공원의 건립과 변천. 향토서울, 59
    신용하 서울특 별시사편찬위원회 [1999]
  • 도시형한옥의 이축과 재활용에 관한 연구
    조수현 성균관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9]
  • 덕수궁의 복원과 보존. 한국건축역사학회 월례회 강연집, 2004-3
    김종헌 한국건축역사학회 [2004]
  • 대한민국신문아카이브
    https://www.nl.go.kr/newspaper
  • 노베르그-슐츠의 장소성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건축역사학회지, 12(3)
    이동언 이승헌 한국건축역사학회 [2003]
  •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naver.com
  • 남산골 이축 한옥에 관한 고찰
    이진민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 문 [2006]
  • 김현옥 시장과 시정1: 1966~1967. 돌격 건설! 김현옥 시장의 서울
    장옥연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2013]
  • 기억, 욕망 그리고 스펙터클: 국립현대미술관 만들기. 현대미술 사연구, 22
    양은희 현대미술사학회 [2007]
  • 기술, 의장 중심의 역사경관보전방안 연구: 서울의 한옥지역을 중심으로
    김영수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 근대의 기억 표상으로서 서대문독립공원. 정신문화 연구, 39(2)
    정헌주 태지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 근대건축문화재의 전시전용에 따른 내부공간의 보존 및 변경 실태 조사연구
    김태영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4(4). 대한건축학회 [2012]
  • 국사편찬위원회. 여행과 관광으로 본 근대
    서울: 두산동아 [2008]
  • 국보건설단 강봉진과 국립종합박물관. 한국근현대미술사학, 33
    강난형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7]
  • 국민대학교 출판부. 명원민속관 명원의 다향을 품다
    서울: 국민대학교 교사자료위원회 [2015]
  •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 국가기록원
    http://www.archives.go.kr
  • 광화문광장, 일그러진 근대의 욕망
    정윤수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2]
  • 관광에서 전통문화의 재현과 수용
    유창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고종시대의 재조명
    이태진 태학사 [2000]
  • 고종과 순종의 국장사진첩
    최순권 민속원 [2008]
  • 경희궁지의 역사적 가치와 궁지의 복원문제. 건축역사연구, 1(1)
    김동욱 한국건축역사학회 [1992]
  • 경희궁지의 보존방향과 시립박물관 건립계획. 건축역사연구, 1(1)
    김성우 한국건축역사학회 [1992]
  • 경복궁의 공간구조 변천에 관한 연구
    이영일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 위 논문 [2007]
  • 경복궁 궁역의 모던프로젝트 : 발전국가시기 광화문과 국립종 합박물관을 중심으로(1962-1973)
    강난형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 건축문화재의 원형 개념과 보존의 관계. 문화재, 49(1)
    강현 국립문 화재연구소 [2016]
  • 飯田恭一, 狄希, 吉田倬郎. (2010). 曳家の事例調査とこれに基づく土地・建物の 有効利用に関する考察. 日本建築学会 学術講演梗概集(計画系) (2010-11). 日本建築学会.
  • 飯田恭一, 狄希, 吉田倬郎. (2009). 曳家の歴史と技術の変遷 既存建物の評価と 曳家に関する研究 その1. 日本建築学会 学術講演梗概集(計画系) (2009-09). 日本建築学会.
  • 金行信輔. (2001). 鳥取藩池田家上屋敷表門の建築年代と近代における転用・移 築 建築の移築に関する研究 (その7). 日本建築学会 学術講演梗概集(計 画系) (2001-09). 日本建築学会.
  • 藤井恵介. (2001). 移築研究の目的と意味 建築の移築に関する研究 (その1). 日 本建築学会 学術講演梗概集(計画系) (2001-09). 日本建築学会.
  • 狄希, 飯田恭一, 吉田倬郎. (2010). 曳家事例調査に基づく曳家工事の苦労に関す る研究. 日本建築学会 学術講演梗概集(計画系) (2010-09). 日本建築 学会.
  • 狄希, 飯田恭一, 吉田倬郎. (2009). 曳家工事の事例調査の研究 既存建物の評価 と曳家に関する研究 その2. 日本建築学会 学術講演梗概集 (2009-09). 日本建築学会.
  • 松山恵. (2001). 明治初頭の東京における建物売買と流通 建築の移築に関する研 究 (その8). 日本建築学会 学術講演梗概集(計画系) (2001-09). 日本 建築学会.
  • 李明善. (2001). 歴史的建造物の保存方法としての移築-民家を中心に 建築の移 築に関する研究 (その9). 日本建築学会 学術講演梗概集(計画系) (2001-09). 日本建築学会.
  • 小田省吾(오다쇼고)
    德壽宮史 [1938]
  • Xana Colleen Peltola. (2008). Moving Historic Buildings. Master Dissertation of Clemson University.
    [2008]
  • Wiedenhofer, Siegfried. (1988). Das Alte und das Neue. Tradition zwischen Humanismus und Reformation, ed. Stefan Rhein, Melanchthonpreis: Beiträge zur ersten Verleihung, Sigmaringen.
    [1988]
  • UNESCO World Heritage Center. https://whc.unesco.org
  • Tuan, Yi-Fu. Space and Place
    Minnesot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이푸투안. (2020). 공간과 장소. 윤영호, 김미선 옮김. 서울: 사 이 [1977]
  • Tiesdell, Steven et al. (1996). Revitalizing Historic Urban Quaters. Oxford: Architectural Press.
    [1996]
  • The salvage of the Abu Simbel temples
    Lennart Berg 17 . ICCROM [1974]
  • The Invention of Tradition
    Hobsbawm, Eric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에릭 홉스봄 외. (2004). 만들어진 전통. 박지향, 장문석 옮김. 서울: 휴머니스트 [1983]
  • Sutcliffe, Anthony. (1970). The Autumn of Central Paris: the defeat of town planning, 1850-1970.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70]
  • Schoenauer, Norbert. 6,000 years of housing.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노버트 쉐나우어. (2004). 집 : 6,000년 인류 주 거의 역사. 김연홍 옮김
    서울: 다우 [1981]
  • Rita Ruiz, Javier Rodríguez, José M. Coronado. (2017). Modern roads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s: framework and proposals.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23(4).
    [2017]
  • Riegl, Alois. Der Moderne Denkmalkults. Wien: W. Braum ller. 알 로이스 리글. (2013). 기념물의 현대적 숭배
    기문당 [1903]
  • Relph, Edward.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Ltd. 에드워 드 렐프. (2005). 장소와 장소상실. 김덕현 외 2 옮김
    서울: 논형 [1976]
  • Pomian, Krzysztof. (1990). “Museum und kulturelles Erbe” In: Gottfried Korff and Martin Roth. Oslo: Das historische Museum.
    [1990]
  • Olivia Muñoz-Rojas Oscarsson. (2012). Archaeology, Nostalgia, and Tourism in Post Civil War Barcelona (1939-– 1959). Journal of Urban History, 39(3). Los Angeles, CA: SAGE Publications.
    [2012]
  • Mumford, Lewis. The City in History. NY: Harcourt, Brace & World. 루이스 멈포드. (2016). 역사 속의 도시. 김영기 옮김
    서울: 지식을만드는 지식 [1961]
  • Ming-Hsiu Su, Huey-Jiun Wang. (2006). A Study of Techniques for Moving Traditional Buildings and Their Role regarding the Historic Preservation Movement in Taiwan.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5(2). 日本建築学会
    [2006]
  • Methods of text and discourse analysis. London: Thousand Oaks. 스테판 티처 외. (2015). 텍스트와 담론 분 석 방법. 남상백 옮김
    Titscher, Stefan 서울: 경진출판 [2000]
  • Lucia Allais. (2013). Integrities: The Salvage of Abu Simbel. Grey Room 50. The MIT Press.
    [2013]
  • Lowenthal, David. The Past is a Foreign Country. Cambridge. 데이 비드 로웬덜. (2006). 과거는 낯선 나라다. 김종원 외 1 옮김
    개마고 원 [1985]
  • Lash, Scott. (1992). Modernity and Identity, Oxford: Blackwell.
    [1992]
  • Kostof, Spiro. (1999). The Assembled. Thames & Hudson.
    [1999]
  • Kostof, Spiro. (1991). The city shaped. Thames & Hudson.
    [1991]
  • Jordan, David. (1996). Transforming Paris: the life and labors of Baron Haussman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 Jokiletho, Jukka. A History of Architecture Conservation. Routledge. 유카 요킬레토. (2009).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역사. 최병 하 옮김
    기문당 [1999]
  • Joel, Kotkin. The City: A Global History. Modern Library. 코트킨 조엘. (2013). 도시, 역사를 바꾸다. 윤철희 옮김
    을유문화사 [2005]
  • Jenny Gregory. (2008). Reconsidering Relocated Buildings: ICOMOS, Authenticity and Mass Relo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14(2). London: Routledge.
    [2008]
  • ICOMOS. https://www.icomos.org
  • ICOMOS Australia. https://australia.icomos.org
  • Harvey, David.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Wiley-Blackwell. 데이비드 하비. (1994).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구동회 외 1 옮김
    파 주: 한울 [1989]
  • Harvey, David. Rebel Cities: From the Right to the City to the Urban Revolution. Verso. 데이비드 하비. (2014). 한상연 옮김
    서울: 에이도스 [2012]
  • Harvey, David. Paris, capital of modernity. New York ; London : Routledge. 데이비드 하비. (2005).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 김병화 옮 김
    서울: 생각의 나무 [2003]
  • Greenhalgh, Michael. (2015). Destruction of Cultural Heritage in 19th-century France. Leiden: Brill.
    [2015]
  • Giedion, Sigfried. Space, Time and Architecture
    Harvard University Press. 지그프리트 기디온. (2005). 공간 시간 건축. 김경 준 역. 시공문화사 [1941]
  • Freestone, Robert. (2000). Urban Planning in a Changing World: The Twentieth Century Experience (Planning, History and Environment Series). London: Routledge.
    [2000]
  • Feilden, Bernard. (1982). Conservation of Historic Buildings. London: Butterworths.
    [1982]
  • Fairclough, Norman. Media Discourse. London: Edward Arnold. 노 먼 페어클로우. (2004). 대중매체 담화 분석. 이원표 역. 서울: 한국문 화사.Norman Fairclough. (1995). Media Discourse. London: Edward Arnold. 노먼 페어클로우. (2004). 대중매체 담화 분석. 이원표 역
    서울: 한국문화사 [1995]
  • Facadism as an approach to redevelopment and conservation of World Heritage .
    Thomas Henry 5 . Technische Universiteit Eindhoven [2013]
  • Curtis, John. (1979). Moving Historic Building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Heritage Conservation and Recreation Service,
    [1979]
  • Bie Plevoets. (2021). Juxtaposing inside and outside: façadism as a strategy for building adaptation, The Journal of Architecture, 26(4). The Royal Institute of British Architects.
  • Benevolo, Leonardo. Storia Della Citt . Laterza. 레오나르도 베네볼 로. (1990). 세계도시사. 윤재희, 지연순, 전진희 역
    서울: 세진사 [1980]
  • Barnett, Jonathan. City Design. Routledge. 조너선 바넷. (2015). 도 시설계. 한광야, 여혜진 옮김
    파주: 한울Technical Preservation Services Division [2011]
  • Attoe, Wayne. (1979). Historic Preservation. Introduction to Uban Planning. McGraw-Hill, Inc.
    [1979]
  • Assmann, Aleida. Erinnerungsr ume: Formen und Wandlungen des kulturellen Ged chtnisses. M nchen: Beck C. H. 알라이다 아스만. (2011). 기억의 공간 문화적 기억의 형식과 변천. 변학수, 채연숙 옮 김
    서울: 그린비 [1999]
  • 419와 516의 공간사회학: 1950~60년대 서울의 도시공간과 광장정치. 서강인문논총, 38
    김백영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 20세기 사직단 영역의 토지이용 변화와 역사적 제도 주의적 해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0(12)
    박일향 전봉희 대한건축학회 [2014]
  • 2. 장소성 정의 및 개념 연구. 한국경관학회 춘계 학술발표 대회
    홍성희 한국경관학회 [2011]
  • 2. 광화문 광장의 중층성에 대한 연구
    신유림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1). 대한건축학회 [2018]
  • 1990년대 수도권 형성과 한국 도시성의 전환. 사회와 역사, 127
    김백영 한국사회사학회 [2020]
  • 1980년대 강원도 한옥형 농촌표준주택 연구
    김영재 강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7]
  • 1970년대 한국 민속촌 건립 과정과 시대적 의미 고 찰
    김지홍 전봉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1(6). 한국주거학회 [2010]
  • 1968년 광화문 복원의 성격
    강임산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5]
  • 1960년대 덕수궁 담장과 대한문의 변경 계획에 따른 도시 유산 보존 논의.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5(10)
    기세황 박소현 대한건축 학회 [2019]
  • 1960~70년대 국가건축사업과 전통의 재구축
    김지홍 서울대학교 박 사학위 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