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환경에서 프랑스 언어·문화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Étude sur l’élaboration et la réalisation d’un plan pédagogique d’enseignement-apprentissage intégré de la langue et de la culture françaises dans un environnement numérique

김연주 2022년
논문상세정보
' 디지털 환경에서 프랑스 언어·문화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Étude sur l’élaboration et la réalisation d’un plan pédagogique d’enseignement-apprentissage intégré de la langue et de la culture françaises dans un environnement numériqu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라틴말 계통의 근대어,프랑스어
  • 디지털 환경
  • 프랑스 언어·문화 통합교육
  • 프랑스 언어·문화 통합교육 융합 모형
  • 프랑스 언어·문화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1 0

0.0%

' 디지털 환경에서 프랑스 언어·문화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Étude sur l’élaboration et la réalisation d’un plan pédagogique d’enseignement-apprentissage intégré de la langue et de la culture françaises dans un environnement numérique' 의 참고문헌

  • 혼합형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원격대학 생의 지각된 과제가치, 인지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구조 관계, 평생교육학연구, 18(3)
    강명희 류혜선 유은조 한정선 한국평생교육학회, pp.1-30 [2012]
  • 행위중심 접근법의 적용을 위한 모색 -의사소통 접근법과의 비 교를 중심으로-, 프랑스어문교육, 30
    윤선영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 회, pp.53-76 [2009]
  • 행위중심 접근법에 따른 대학 스페인어 언어ㆍ문화 통합 교육 방안
    송예림 이베로아메리카연구 , 27(3), 라틴아메리카연구소, pp.1-27 [2016]
  • 한국의 불어교육
    장한업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 한국어 융합교육 모형 개발 연구
    조주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20]
  •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용어사전
    서울: 학지사 [2000]
  • 한국교육개발원, , 디지털 세대의 학생 문화 연구보고서, RP2016-06
    충청북도 진천군 [2016]
  • 한국 학습자의 프랑스어 쓰기능력에 관한 연구
    한민주 불어불문학 연구 , 33(2), 한국불어불문학회, pp.1239-1268 [1996]
  • 한국 대학생들의 불어 다시 쓰기 오류 분석
    장한업 프랑스어문교 육 , 29, 한국프랑스학회, pp.37-58 [2008]
  • 한국 고등학생들의 외국어 학습전략 사용 실태와 학습전략 훈 련의 효과
    김미래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한국 FLE 교실에서의 프랑스어권 문화교육 방안 모색
    최희재 한국프랑스학논집 , 99, 한국프랑스학회, pp.145-162 [2017]
  • 한국 (제2)외국어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 : 프랑스의 외국어교육 정책 및 시사점을 중심으로
    최희재 외국어교육연구 , 31(3), 외국어교육연구소, pp.27-57 [2017]
  • 학습컨설팅에 참여한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경험에 관한 현상학 적 연구, 인문사회21, 11(3)
    전보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pp.1375-1386 [2020]
  • 학습자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활용한 프랑스어 쓰기 학습전 략의 넛지 효과(Nudge Effect) 고찰
    김선미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55, 프랑스문화예술학회, pp.4117-4145 [2016]
  • 학습자 중심의 프랑스어 읽기 교육 방안 연구 - 심화된 읽기에 서 확장적 읽기로의 이행 -
    김양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플립러닝을 적용한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모형 개발, 동악 어문학, 72
    이경애 동악어문학회, pp.61-96 [2017]
  • 플립러닝(Flipped Learning)과 하브루타(Havruta)에 기반한 한 국어 읽기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이은희 교육방법연 구 , 31(4), 한국교육방법학회, pp.609-628 [2019]
  •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강신천 김창석 이희숙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2), 한국 컴퓨터교육학회, pp.47-57 [2015]
  • 플립러닝 프랑스어 수업의 효과 및 교육적 활용가능 사례
    김현주 프랑스문화연구 , 34(1), 한국프랑스문화학회, pp.131-154 [2017]
  • 플립러닝 기반 학습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권영애 이효숙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10),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pp.11-23 [2019]
  •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교수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 감,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승옥 건국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프로젝트기반학습을 활용한 강의 사례
    전지혜 한국프랑스어문교육 학회 학술대회자료집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pp.139-150 [2020]
  • 프랑스어와 영어 학습자의 내재적 학습 동기 변수와 인식 비 교 연구
    김현주 외국어교육 , 21(4), 한국외국어교육학회, pp.277-306 [2014]
  • 프랑스어권교육을 통한 프랑스학과의 특성화ㆍ다양화ㆍ전문화 에 대한 소고
    정남모 한국프랑스학논집 , 63, 한국프랑스학회, pp.367-386 [2008]
  • 프랑스어 플립러닝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김현주 외국어교육 , 25(3), 한국외국어교육학회, pp.161-182 [2018]
  • 프랑스어 플립러닝 및 학습자의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김현주 외국어교육 , 23(4), 한국외국어교육학회, pp.227-249 [2015]
  • 프랑스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듣기 과제 개발 연구
    탁설민 서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프랑스어 관용표현을 활용한 언어 문화 통합교육 방안 모색
    김은정 최희재 이중언어학, 0(73), 이중언어학회, pp.65-92 [2018]
  • 팀 기반 학습성과에 대한 다양성수용도, 학습정 서, 사회실재감의 예측력 검증
    강명희 강민정 윤성혜 교육문화연구, 22(6), 인하대 학교 교육연구소, pp.5-32 [2016]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한국과 스웨덴 대학생의 온 라인 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손민지 홍아정 Global Creative Leader, 11(1),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pp.93-120 [2021]
  •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김미숙 이동주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23(3),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 육학회, pp.359-377 [2020]
  • 코로나 19 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신동광 이용상 교육과정평가연구, 23(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p.39-57 [2020]
  • 최고의 공부법
    전정수 서울: 경향BP [2014]
  • 초등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이 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윤상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증강현실을 활용한 대학생 대상 영어 식생활 창의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정희 이현주 인문사회21, 11(2), 사단법인 아시아문 화학술원, pp.941-956 [2020]
  • 제6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Ⅰ)
    교육부 교육부 [1992]
  • 제2외국어능력 평가시험 도입방안 기초연구, 교육정책 연구 과제
    심봉섭 교육과학기술부 [2010]
  • 자기조절학습 구성변인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 연구, 아시아교 육연구, 3(2)
    양명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pp.47-70 [2002]
  • 인터넷 소리 자료를 활용한 듣기 학습 자료 개발 –A2 수준을 중심으로-
    태선영 프랑스어문교육 , 33, 한국프랑스학회, pp.103-131 [2010]
  • 인지과학과 프랑스문화예술의 융합을 위한 개념적 혼성의 문화 교육에의 활용, 한국프랑스학논집, 108
    백경선 한국프랑스학회, pp.243-267 [2019]
  • 인공지능 챗봇의 영어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한계.
    신동광 Brain, Digital, & Learning , 9(2),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pp.29-40 [2019]
  • 인공지능 시대, 한국어 교육의 방향과 전망
    이찬규 한국언어문화 교육학술대회자료집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pp.159-164 [2018]
  • 이러닝의 대인 상호작용 유형과 성인학습자의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간의 관계 연구
    최경애 교육공학연구 , 24(4), 한국교육공학회, pp.167-191 [2008]
  • 이러닝 콘텐츠 제시유형에 따른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에 관 한 연구
    최정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융합교육의 단계별 로드맵을 기반으로 한 융복 합 인재양성 방안 연구
    노영희 박민수 이상엽 한국자치행정학보, 35(1), 한국자치 행정학회, pp.277-301 [2021]
  • 융합교육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 방법 연구 : 2015 개 정 교육과정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김정미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유럽의 상호문화접근법과 한국문화 교육
    정우향 국제한국언어문화 학회 추계학술대회 , 30,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pp.18-29 [2020]
  • 유네스코, , 세계시민교육 : 학습 주제 및 학습 목표
    유네스코 아시아 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5]
  • 웹(Web)기반 프랑스어 발음 학습자료 활용에 대한 대학생 학 습자들의 인식 연구
    김현주 외국어교육 , 22(4), 한국외국어교육학 회, pp.299-325 [2015]
  • 외국인 학부생의 비대면 한국어 수업 경험에 대한 탐색: 줌(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중심으로
    김현주 인문사회 21 , 11,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pp.1679-1692 [2020]
  • 외국인 유학생들의 토론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방안 연구-하 브루타(Havruta) 설명하기를 중심으로-
    이정연 외국어교육연구 , 33(2), 한국외국어교육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pp.81-108 [2019]
  • 외국어교육의 중간목표로서의 언어능력
    고영진 현대문법연구 , 15, 현대문법학회, pp.1-21 [1999]
  • 외국어교육 환경에서 영어습득을 위한 읽기유창성과 정확성에 관한 연구
    신규철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9(3), 한국융합학회, pp.29-40 [2018]
  • 외국어-불어 교육을 위한 인터넷 자료 활용에 관한 연구
    전경준 프랑스어문교육 , 14, 한국프랑스학회, pp.89-111 [2002]
  • 외국어 학습전략 훈련이 학습전략 활용, 학업 성취도 및 학습신 념에 미치는 효과
    신의정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 외국어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음성 인식 기술 활용 현 황
    김선희 정현훈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9(4), 한국디지털콘텐츠학 회, pp.621-630 [2018]
  • 외국어 학습에서의 문화교육의 중요성 및 효율적 연계 학습 방 안
    정일영 프랑스문화연구 , 19, 한국프랑스문화학회, pp.367-386 [2009]
  • 외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이봉지 프랑스어문교육연구 , 1991(1), 서울사범대 불어교육학과 부설 프랑스어문교육연구회, pp.40-52 [1991]
  •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의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에 대한 연구 -학습실재감,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 화학, 18(1)
    이다슴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pp.93-119 [2021]
  •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의 실재감, 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 영어 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홍수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21]
  • 온라인 스페인어 교육에서 교수실재감과 학습만족도와의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한 교수실재감 강화전략
    김수진 중남미연구 , 38(3), 한구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pp.69-98 [2019]
  •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접근, 만족도 및 학습 효과 인 식간의 관계분석
    권성연 교육공학연구 , 27(3), 한국교육공학학회, pp.535-560 [2011]
  • 온라인 기반 대학교육 환경에서 학습자 실재감 강화를 위 한 교수설계자의 실천과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8)
    서장욱 이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pp.695-718 [2020]
  • 온라인 교육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이진수 대한경 영학회지 , 20(3), 대한경영학회, pp.1169-1192 [2007]
  • 온라인 SW교양교육에서 자기조절, 교수실재 감, 학습몰입이 컴퓨팅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박주연 배윤주 이정민 하석영 한국정보교육학 회논문지, 25(3), 한국정보교육학회, pp.579-590 [2021]
  • 오럴 프레젠테이션을 통한 영어수업모형
    김학수 영어어문교육 , 12(1), pp.159-181 [2006]
  • 영어학습도구로서 인공지능 스피커의 분석 및 시사 점, 영어영문학, 24(1)
    임희주 현주은 영어영문학회, pp.201-219 [2019]
  • 영어 학습을 위한 챗봇 및 챗봇 빌더 분석
    김영우 멀티미디어 언어 교육 , 23(4),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pp.161-182 [2020]
  • 영어 교수 학습법 및 교수 학습 모델 분석 연구
    김재혁 교육과학기 술부 [2009]
  • 언어 문화 통합 활동 중심 초등영어 교수 학습 모형 개발 및 적 용
    김동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실재 프랑스어 교수/학습에 대한 고찰 : 실재자료 활용의 역 사와 원칙에 대한 소고
    최희재 어학연구 , 51(1), 서울대학교 언어교 육원, pp.249-274 [2015]
  • 스마트러닝을 혼합한 이러닝 영어 교육의 성취도 및 실재감 분 석
    김희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8(8),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 회, pp.755-779 [2018]
  • 스마트 러닝, 어떻게 할 것인가?
    이수희 2010 제 2차 스마트러닝 리더스 세미나 발표 자료집, 한국이러닝산업협회 [2010]
  • 송상호 역, , 매력적인 수업설계 :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 감 그리고 만족감
    Keller, J. M.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이러닝 준비도, 이러닝 학습 전략, 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권성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8(18), 학습자교과교육학회, pp.175-195 [2018]
  •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학습 능력을 중심으로
    박광열 이석재 이현남 장유경 RR 2003-15-0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3]
  •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한 영어과 수업 지도안 개발
    이동희 ENGLISH READING AND TEACHING , 4(1), 한국영어독서교 육학회, pp.53-76 [2019]
  • 상호문화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 고등 학교 영어교육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29(1)
    이지은 한 국커뮤니케이션학회, pp.99-123 [2021]
  • 상호문화역량 교육을 위한 한중탄뎀수업 사례와 효 과
    이효영 한희창 중국문학연구, 83, 한국중문학회, pp.157-180 [2021]
  •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프랑스 동화의 활용
    곽노경 한국프랑스어문교 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 프랑스어문교육, pp.125-137 [2020]
  • 상호문화교육: 한국 다문화 사회의 교육적 대안
    장한업 박영사 [2020]
  • 상호문화 접근법을 활용한 한국어-문화 교육 사례 연구 -대만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영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49, 연세 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pp.225-247 [2018]
  •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정교화전 략, 비판적 사고전략의 매개효과 분석
    권성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 구 , 15(4), 학습자교과교육학회, pp.1-27 [2015]
  • 사이버대학생의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 계 규명
    김나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사이버대학교 학생의 학업소진에 대한 인식이 학업성취 도와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H 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경영 학과 재학생 중심으로
    김영갑 전혜진 관광레저연구, 23(8), 한국관광레저학 회, pp.475-491 [2011]
  • 비대면 액션러닝 적용 교양수업 사례 연구 : 일본문화와 언어수 업 수강생의 성찰일지 및 사후설문 분석을 중심으로
    김정헌 일본근대 학연구 , 72(0), 한국일본근대학회, pp.33-56 [2021]
  •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한 상호작용 경험 분석
    김인숙 변현정 서윤경 유숙영 교육공학연구, 36(3), 한 국교육공학회, pp.873-904 [2020]
  • 불어교육론
  • 문화다양성 관리 모형으로서의 상호문화교육 실태 비교 분석 : 국제기구의 상호문화교육을 중심으로
    장한업 교육의 이론과 실천 , 24(3), 한독교육학회, pp.19-38 [2019]
  • 문화 상호적 접근법의 원리 연구
    강성영 불어불문학연구 , 42(1), 한국불어불문학회, pp.217-237 [2000]
  •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사례 -탄뎀 수업을 중 심으로-
    배고운 한국언어문화학 , 11(3),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pp.151-169 [2014]
  • 문학작품을 활용한 상호문화적 외국어 교육
    김정용 독어교육 , 51, 한국독어독문교육학회, pp.7-29 [2011]
  • 문교부, , 제5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문교부 [1988]
  • 문교부, , 제4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외국어과
    문교부 [1981]
  • 문교부, , 제3차 인문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1974]
  • 문교부, , 제2차 인문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외국어과
    문교부 [1967]
  • 문교부, , 제1차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사범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1954]
  • 문교부, , 외국어교육의 문화교육 -미국의 National Standard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9(2)
    국제 한국언어문화학회, pp.49-73 [2012]
  • 문교부, , 영어교육과 쓰기교육, 영어교육, 48
    한국영어교육학회, pp.171-187 [1994]
  • 문교부, , 고등학교 및 사범학교 교과과정, 문교부령 제46호 [별책]
    문 교부 [1955]
  • 모바일기기 활용 프랑스어 학습 가능성에 관한 제언
    김현주 프랑 스어문교육 , 45,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pp.43-73 [2014]
  • 모바일 환경의 교실수업
    강구형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 프랑스어문교육, pp.113-124 [2020]
  • 모든 학생을 위한 원격교육 환경 구축에 총력
    교육부 교육부 보도자료, (2020.04.01.) [2020]
  •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수업 사례 연구
    김성애 남정미 새한영어영 문학, 51(1), 새한영어영문학회, pp.277-301 [2009]
  •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통한 영어 학습과정 연구
    이일석 한국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 15(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pp.173-179 [2014]
  • 로망포토(Roman-Photo) 프로젝트를 통한 문법 교수-학습, 프랑스어문교육, 44
    윤소영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pp.37-63 [2013]
  • 디지털자료 중심의 접근 가능한 교육자료(AEM) 제작 및 활용 방안에 대한 탐색 : 미국 AEM 센터를 중심으로
    강성구 강종구 지적 장애연구, 22(1),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pp.111-137 [2020]
  • 디지털 시대의 대학수학교육: 선형대수학을 중 심으로
    박경은 이상구 이재화 수학교육논문집, 31(4), 한국수학교육학회, pp.367-387 [2017]
  • 디지털 미디어 기반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수업, 독일문 학, 57(2)
    지영은 독어독문학회, pp.215-231 [2016]
  • 동료교수법(peer instruction)을 활용한 고등학교 화학과 플립 러닝 수업이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 자기주도적학습에 미치는 효과
    임정훈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독일과 프랑스의 상업영화를 이용한 대학생용 상호문화 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김형민 조장현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7(2), 한국외국어교육학회, pp.7-16 [2014]
  • 대학의 온라인 수업지원이 학습실재감을 매개로 학습참 여도에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김지효 임희주 디지털융복합연구, 19(5), 한국디지털정책학회, pp.269-277 [2021]
  • 대학의 에듀테크 도입에 대한 교수 및 학생의 인식 및 수요 분석 : D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영 나윤주 정민호 교육연구논 총, 41(3),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pp.31-53 [2020]
  •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프랑스어 쓰기 지도방안 모색 –수업사례 를 중심으로-
    김선미 인문학연구 , 22,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pp.127-164 [2012]
  • 대학생의 학습유형, 학습전략이 영어 능숙도에 미치는 영향
    오영주 군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대학생의 원격강의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학 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영은 디지털융복합연구 , 19(8), 한 국디지털정책학회, p.61 [2021]
  • 대학생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 구
    김주후 이장익 직업교육연구, 31(2), 한국직업교육학회, pp.227-246 [2012]
  • 대학 전공 기초 프랑스어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행위적의사 소통 과제에 기반한 교육키트 개발을 중심으로-
    최희재 한국프랑스학 논집 , 90(0), 한국프랑스학회, pp.183-213 [2015]
  •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업스트레스와 정서적 학업소진 및 학습 지속의향 간 관계에서 학업정서의 조절효과 탐색,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15(9)
    유지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pp.389-413 [2015]
  • 대학 교양 프랑스어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교육장치의 활용, 외국어교육, 24(4)
    윤 현 한국외국어교육학회, pp.157-176 [2017]
  • 다양한 매체를 통한 프랑스어 교육
    한문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 회 , 18, 프랑스어문교육, pp.103-121 [2004]
  •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 실재감과 학습 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강명희 김지심 아시아교육연구, 11(2), 교육연구소, pp.29-56 [2010]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
    korean.go.kr/main/main.do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성인문해교육과 디지털 리터 러시, OR2020-11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0]
  • 구글 음성인식기를 활용한 한국 초등학생들의 영어 단어 발음인식 감도 조사
    박향숙 윤정희 이예식 현대문법연구, 97, 현대문 법학회, pp.179-201 [2018]
  • 교육인적자원부, , 2007 고등학교 교육과정 외국어과(Ⅱ)
    교육인적자 원부 [2007]
  • 교육사회학
    김신일 서울: 교육과학사 [2003]
  • 교육과학기술부, , 2009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해설
    교육과학기술 부 [2009]
  • 교육과학기술부, , 2009 개정 교육과정 〔별책 16〕 제2외국어과 교육과 정
    교육과학기술부 [2012]
  • 교양영어 수업에서 영어자동번역기 사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및 태도연구: 영작문 수업을 중심으로
    임희주 교양교육연구 , 11(6), 교양교육연구, pp.727-751 [2017]
  •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 라 포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윤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20(10), pp.259-267 [2020]
  • 교사특성에 따른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영근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과제 수행 중심의 프랑스 언어․문화 통합 교육 평가 방안 연 구
    김양희 외국어교육 , 26(2), 한국외국어교육학회, pp.125-142 [2019]
  • 과목 이수 후 영어 듣기 장애 요소와 전략 관한 학습자 인식 변화, 현대영어교육, 13(1)
    신희재 현대영어교육학회, pp.189-206 [2012]
  • 고등학생의 학생 참여형 영어 수업에 대한 태도가 수업만족도 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9]
  • 고등학교 프랑스어교육에서 인터넷을 활용한 문화수업 방안
    길우경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고등학교 프랑스어Ⅰ 교육과정과 평가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화 문항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42(1)
    이경수 성신여자대학교 인 문과학연구소, pp.99-125 [2020]
  •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육에서의 상호문화접근법 적용 방안 연 구
    서영지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육 현황 :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정숙 프fkd 스어문교육 , 62,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pp.7-31 [2018]
  • 고등학교 교육과정 외국어과 해설서
    교육부 교육부 [1997]
  • 고등학교 교육과정 (Ⅰ)
    교육부 교육부 [1997]
  • 고등교육 이러닝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행위가 교수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차민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경영학 수업에서의 액션러닝 적용 사례연구
    고수일 장경원 교육 공학연구, 29(3), 한국교육공학회, pp.689-721 [2013]
  • Éduscol, 2016, Ancrer l’apprentissage dans la culture de l’aire linguistique concernée, Ministére de l’education nationale de l’enseigne -ment supérieur et de la recherché.
    [2016]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357926628918376&mediaCod eNo=257&OutLnkChk=Y
  •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1/07/22/TEUEZYTZYNACVPE 5NCAWKICF2E/?utm_source=daum&utm_medium=referral&utm_ campaign=daum-news
  • e-Learning환경에서 인식되는 사회적 실재감과 성취도, 만족도, 학습지속도 관계 규명
    강명희 김민정 교육공학연구, 22(4), 한국교 육공학회, pp.1-27 [2006]
  • Weltman, D., 2007, A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Active Learning Methods : An Empirical Investigation Utilizing a Linear Mixed Model,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2007]
  • Vygotsky. L. S.(1986)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M.A : MIT press.
    [1986]
  • Un dispositif E-tandem et son impact sur lapprentissage. Etude de cas dans le sup rieur cor en
    Pierre A. M. 프 랑스어문교육 , 40,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pp.83-105 [2012]
  • UNESCO, 2015,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UNESCO Publishing.
    [2015]
  • UNESCO, 2006, UNESCO Guidelines on Intercultural Education, UNESCO Publishing.
    [2006]
  • UNESCO, 1996, Learning : The Treasure Within, UNESCO Publishing.
    [1996]
  • UNESCO, 199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44th Session(Geneva, Switzerland, October 3-8, 1994), 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 Paris(France).
    [1995]
  • 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Shin , N. M. 24 ( 1 ) , pp.69-86 [2003]
  • The untapped power of action learning In : T and D
    Malone , P. S. 67 ( 8 ) , pp.54-59 . [2013]
  • The Significance of Listening Comprehension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Gilakjani , A. P. & Sabouri , N. B. 8 ( 6 ) , pp.1670-1677 . [2016]
  • Th ? mes de pr ? dilection et vocabulaires th ? matis ? s ? charge intensive ”
    Galisson , R. 18 . [1975]
  • Teaching learners to be self-directed
    Grow , G. 41 ( 3 ) , pp.125-149 . [1991]
  • Teaching how to Listen . Blended Learning For the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Listening Skills in a Second Language
  • Teaching digital literacies in EAL/ESL classrooms : Practical strategie
    Tour , E. 11 ( 1 ) , pp.1-12 . [2020]
  • Teaching culture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Brooks , N. 1 ( 3 ) , pp.204-217 [1968]
  • Swan, K., Richardson, J., Ice, P., Shea, P., Cleveland-Innes, M., Diaz, S. & Garrison, R., 2008, “Researching online communities of inquiry: New CoI survey instrument”, In EdMedia: World Conference on Educational Media and Technology, pp.5812-5820,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AACE).
    [2008]
  • Swain, M., 1985, “Communicative competence: Some roles of comprehensible input and comprehensible output in its development”, Inpu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235-253.
    [1985]
  • Student engagement and student learning : Testing the linkage
  • Sophie, M., 1982, Enseigner à communiquer en langue étrangère, Paris: Hachette.
    [1982]
  • Some issues relating to the monitor model ” , On TESOL 77 :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 Trends in Research and Pranctice
    Krashen , S. D. pp.144-158 [1977]
  • Short, J., Williams, E. & Christie, B., 1976, The social psychology of telecommunications, London: John Wiley& Sons.
    [1976]
  • Second language learning : an information-processing perspective
  • Schooling a Minority : The Case of Havruta Paired Learning In : Diaspora , Indigenous , and Minority Education
    Segal , A. 7 ( 3 ) , pp.149-163 . [2013]
  • STEAM 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신재한 서울: 교육과학사 [2013]
  • SPSS18.0 매뉴얼
    이학식 임지훈 집현재 [2011]
  • Researching the community of inquiry framework : Review ,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 Puren C., 1988, Histoire des methodologies de l’enseignement des langues, CLÉ International.
    [1988]
  • Puren C, 2006, “Formes pratiques de combinaison entre perspective actionnelle et approche communicative : analyse comparative de trois manuels”, APLV-Langues modernes.org, pp.1-13. http://www.aplv-languesmodernes.org.
    [2006]
  • Probl ? matique de l ’ ? ducation et de la communication interculturelles en milieu scolaire europ ? enEtudes de linguistique appliqu ? e
    Galisson , R , 106 , pp.79-97 . [1997]
  • Possible Strategies for listening comprehension : Applying the concepts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and adjacency pairs to understand speaker intention in the TOEFL listening section
    Matsuoka , Y. 3 ( 2 ) , pp.27-56 [2009]
  • Perspective actionnelles et perspectives culturelles en didactique des langues-cultures : vers une perspective co-actionnelle co-culturelle
    Puren C 2002 ( 3 ) , pp.55-71 [2002]
  • Persistence of women in online degree completion programs
    M ? ller , T. 9 ( 2 ) , pp.1-18 [2008]
  • Partner Learning ( ‘ Havruta ’ ) for Close Reading Comprehension
    Shargel , R. & Laster , B. P. 105 ( 3 ) , pp.63-68 [2016]
  • PBL로 수업하기
    장경원 최정임 서울: 학지사 [2010]
  • Ozudogrui, M. 2021, “Achievement and Perceived Satisfaction, Collaboration and Social Presence of PreService Teachers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rogressive Education, 17, pp.317.
  • Objectiver le rapport culture maternelle/culture ? tran -g ? re ” , Le frna ? ais dans le monde
    Zarate , G. 181 , pp.34-39 . [1983]
  • Naissance de la neurodidactique
    Huc , P. & Vincent-Smith , B. 357 , pp.30-31 [2008]
  • NSF, 2017, Global Perspectives in Convergence Education, https:// www.nsf.gov/crssprgm/nano/reports/ConvergenceEducation.pdf.
    [2017]
  • NCIC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http://ncic
    re.kr/mobile.index2.do
  • Morales, M. P. E., Mercado, F. M., Palisoc, C. P., Palomar, B. C., Avilla, R. A., Sarmiento, C. P., Butron, B. R. & Ayuste, T. O. D., 2021,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PDP) for teacher quality in STEAM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and Science (IJRES), 7(1), 188-206. https://doi.org/10.46328/ijres.1439.
  • Moirand, S., 1982, Enseigner à communiquer en langue étrangère, Hachette.
    [1982]
  • Mendelsohn, D. J., 1994, “Learning to Listen: A Strategy-Based Approach for the Second Language Learner”, San Diego: Dominie Press, pp.166-185.
    [1994]
  • Mendelsohn, D. J. & Rubin, J., 1995, A guide for the teaching of second language listening. San Diego, CA: Dominie Press.
    [1995]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11, “The third revolution : The convergence of the life science, physical science and engineering”, Retrieved October 20, 2015, http://dc.mit.edu/ sites/dc.mit.edu/files/MIT%20White%20Paper%20on%20 Convergence.pdf.
  • Maga, H., 2006, Retrieved November, 30, 2020. http://portail-dufle. info/glossaire/interculturalite2magafrancparler.html.
    [2006]
  • M.
    Le Bougnec , J . & Lopes inspire 1 , Hachette [2020]
  • Lopez-Rocha, S., 2016,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 creating awareness and promoting skills in the language classroom skills”, In Goria, C., Speicher, O. & Stollhans, S. (Eds), Innovative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t university: enhancing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pp.105-111. Dublin: Research-publishing.net. http://dx.doi.org/ 10.14705/rpnet.2016.000411.
    [2016]
  • Learning L2 pronunciation with a mobile speech recognizer : French /y/
    Liakin , D. , Cardoso , W. & Liakina , N. 32 ( 1 ) , pp.1 ? 25 . [2014]
  • Le nouveau Petit Robert, Dictionnaires Le Robert, Paris, 2010.
    [2010]
  • Le manuel de FLE au fil du temps : un parcours m ? thodologique de plus d ’ un demi-si ? cle , Universit ? de Craiova
    Bunget , M. pp.177-183 [2017]
  • Lafayette, R. C., 2003, “Culture in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Anthropology revisited”, In Lange, D. L., & R. M. Paige (eds.), Culture as the Core: Perspectives on Culture in Second Language Learning, Greenwich, Connecticut: Information Age Publishing, pp.53-69.
    [2003]
  • Lacelle, N., Boutin, J.-F. & Lebrun, M., 2017, La littératie médiatique multimodale appliquée en contexte numérique - LMM@: outils conceptuels et didactiques, Presses de l’Université de Québec.
  • La perception de l ’ Autre : point d ’ appui de l ’ approche interculturelle ” , Le fran ? ais dans le monde
    Abdallah-Pretceille , M. 181 , pp.40-44 [1983]
  • La culture partag ? e : Une monnaie d ’ ? change interculturelle ” , ? tudes de linguistique appliqu ? e
    Galisson , R , 32 , 83-87 . [1988]
  • Krashen, S. D, 1982, Principles and practi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Pergamon Press.
    [1982]
  • Kramsch, C., 1993, Context and Culture in Language Teach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 Keller의 동기유발 전략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 향 : 고등학교 영어과 2학년 수업을 중심으로
    한송의 단국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Keller, J. M., 2010, Motivational design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 the ARCS model approach, New York: Springer.
    [2010]
  • Keller, J. M., 1983,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 M. Reigeluth(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3]
  • Kang, M., Park, J. U. & Shin, S., 2007, “Developing a cognitive presence scale for measuring students' involvement during e-learning process”, In EdMedia: World Conference on Educational Media and Technology, pp.2823-2828,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 (AACE).
    [2007]
  • Kang, M. J., Kim, J. & Park, M., 2008, “Investigating presence as a predictor of learning outcomes in e-Learning environments”, Proceeding of World Conference on Educational Multimedia, Hypermedia and Telecommunications 2008, pp.4175-4180, Chesapeake, VA: AACE.
    [2008]
  •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KB지식비타민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가상 개인비서 서비스의 진화 , 2016-53호 [2016]
  • Intercultural competence in teaching : Defining the intercultural profile of student teachers
    Garrote Salazar , M. & Fern ? ndez Ag ? ero , M. 9 ( 4 ) , pp.41-58 . DOI : http : //dx . doi.org/10.5565/rev/jtl3.670 [2016]
  • Integrating research areas : A framework for second language studies
    Gass , S. M. 9 , pp.198-217 . [1988]
  • Input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y
    Long , M. H. pp.377-395 [1985]
  • Imagining extensive speaking for Korean EFL
    Gu , S. & Reynolds , E. D. 14 ( 4 ) , pp.81-108 . [2013]
  • HRD Essence(시스템접근기반)
    권대봉 조대연 서울: 박영사 [2013]
  • Gass, S. M. & Varonis, E., 1985a, “Task variation and nonnative/ non-native negotiation of meaning”, Inpu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149-161.
  • Gass, S. M. & Varonis, E, 1985b, “Variation in native speaker speech modification to non-native speakers”,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7(1), pp.37-58.
  • Gass, S. M, 1997, Input, interaction, and the second language learner, Routledge.
    [1997]
  • Galisson, R. & Coste, D., 1976, Dictionnaire de didactique des langues, Hachette.
    [1976]
  • Galisson, R, 1994a, “D’hier à demain, l’interculturel à l’école”, Études de Linguistique Appliquée, 94, pp.15-26.
  • Galisson, R, 1991, De la langue à la culture par les mots, CLE International.
    [1991]
  • Galisson, R, 1989, D’hier à aujourd’hui la didactique générale des langues étrangers, CLE International.
    [1989]
  • Folse, K. S., 2006, The art of teaching speaking : Research and pedagogy for the ESL/EFL classroom,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6]
  • Flowerdew, J. & Miller, L., 2005, Second language listening : Theory and Practi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 Flipping for mastery
    Bergmann , J . & Sams , A. 71 ( 4 ) , pp.24-29 . [2014]
  • Exploring human images in website design : a multi-method approach
  • En mati ? re de culture le ticket AC-DI a-t-il un avenir ?Etudes de linguistique appliqu ? e
    Galisson , R , 106 , pp.141-160 . [1995]
  • Electronic Tandem Language Learning ( eTandem ) : A Third Approach to Second Language Learning for the 21st Century
    Cziko , G. A. 22 ( 1 ) , pp.25-39 . [2004]
  • Effect of the presence and difficulty of task on strategy use : An exploratory study
  • Ebbinghaus 의 망각곡선에 기초한 효과적인 복습방안
    설양환 학습 전략중재연구 , 7(1), 학습전략중재학회, pp.1-18 [2016]
  • Du dialogue des cultures ? la d ? marche interculturelle
    Zarate , G. 170 , pp.28-32 . [1982]
  • Doughty, C. J., & Long, M. H., 2003, The handbook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Blackwell Publishing Ltd.
    [2003]
  • Designing social presence in e-learning environments : Testing the effect of interactivity on children
    Tung , F. W. & Deng , Y. S. 14 ( 3 ) , pp.251-264 . [2006]
  • Designing electronic feedback ? analyzing the effects of social presence on perceived feedback usefulness
  • De la linguistique appliqu ? e ? la didactologie des langues-cultures : vingt ans de r ? flexion disciplinaire ” , ? tudes de linguistique appliqu ? e
    Galisson , R , 79 . [1990]
  • De l'approche par les t ? ches ? la perspective co-actionnelle
    Puren C 23 ( 1 ) , pp.10-26 . [2004]
  • De Carlo, M., 1998, L’interculturel, CLÉ International.
    [1998]
  • Cuq, J.-P. & Gruca, I., 2009, Cours de didactique du français langue étrangère et seconde, Hueber Verlag GmbH.
    [2009]
  • Crépieux, G., Massé, O. & Rousse, J., 2019, Interaction 1, CLE International.
    [2019]
  • Critical inquiry in a text ? based environment : Computer conferencing in higher education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 Council of Europe, 2014, Guidelines for Intercultural Dialogue in Non-formal Learning/Education, Strasbourg: Council of Europe.
    [2014]
  • Council of Europe, 2012, Intercultural Competence for All, Strasbourg: Council of Europe.
    [2012]
  • Council of Europe, 2009, Policies and practices for teaching socio-cultural diversity, Strasbourg: Council of Europe.
    [2009]
  • Council of Europe, 2008, White Paper on Intercultural Dialogue.
    [2008]
  • Council of Europe, 2006, Religious diversity and intercultural education: A reference book for schools, Strasbourg: Council of Europe.
    [2006]
  • Council of Europe, 2003, Mirrors and Windows. European Centre for Modern Languages, Strasbourg: Council of Europe.
    [2003]
  • Council of Europe, 2003,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e new European Context, Strasbourg: Council of Europe.
    [2003]
  • Council of Europe, 2002, Figures de l’interculturel dans l’éducation, Strasbourg: Council of Europe.
    [2002]
  • Council of Europe & European Commission, 2018, T-kit 4 Intercultural learning 2nd edition, Council of Europe Publishing.
    [2018]
  • Council of Europe & European Commission, 2000, Intercultural learning T-kit, Council of Europe Publishing.
    [2000]
  • Conseil de l’Europe, 2018, Cadre européen commun de référence pour les langues : apprendre, enseigner, évaluer - volume complémentaire avec de nouveaux descripteurs, Paris: Didier.
    [2018]
  • Conseil de l’Europe, 2016b, Guide pour le développement et la mise en oeuvre de curriculums pour une éducation plurilingue et interculturelle, Conseil de l’Europe.
  • Conseil de l’Europe, 2016a, Compétences pour une culture de la démocratie, Conseil de l’Europe.
  • Conseil de l’Europe, 2001, Cadre européen commun de référence pour les langues, Paris: Didier.
    [2001]
  • Civilisation/Culture : histoire et d ? veloppement de concepts ” , Etudes de Linguistique Appliqu ? e
  • COVID-19가 교육에 미친 인식, 행동, 가치 및 태도의 변화 양상, 사회과교육, 59(3)
    오동주 황홍섭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pp.223-250 [2020]
  • Byram, M., 1989, Cultural Studie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Philadelphia: Multilingual Matters.
    [1989]
  • Byram, M, 2009, “The intercultural speaker and the pedagog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 SAGE handbook of intercultural competence, pp.321-332.
    [2009]
  • Byram, M, 1997, Teach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Multilingual Matters.
    [1997]
  • Bruner, J., 1966, Toward a Theory of Instru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66]
  • Bonjour et bienvenue ! 안녕하세요 프랑스어입문
  • Berthet, A., Hugot, C., Kizirian, V. M., Sampsonis, B. & Waendendries, M., 2006, Alter ego 1, Hachette.
    [2006]
  • Berberian, N., 2017, La Classe inversée en FLE : Création d’une formation, Mémoire Master 2, Université Complutense de Madrid.
    [2017]
  • Beacco, J.-C., Byram, M., Cavalli, M., Coste, D., Cuenat, M. E., Goullier, F. & Panthier, J., 2016, Guide pour le développement et la mise en oeuvre de curriculums pour une Éducation plurilingue et interculturelle, Division des Politiques linguistiques, Conseil de l’Europe.
    [2016]
  • Applebee, A., Langer, J., Nystrand, M. & Gamoran, A., 2003, “Discussion-Based Approaches to Developing Understanding : Classroom Instruction and Student Performance in Middle and High School English Class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0(3), pp.685-730.
    [2003]
  • Anderson, N. J., 2002, The role of metacognition in second/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ERIC Digest.
    [2002]
  • Alikioti, A. 2008, “L’approche interculturelle et son évolution”, Université Panteion, Grèce.
    [2008]
  • Acc ? der ? la culture partag ? e par l ’ entremise des mots ? C.C.P ” , ? tudes de linguistique appliqu ? e
    Galisson , R , 67 , pp.119-140 . [1987]
  • Abdallah-Pretceille, M, 1999, L’éducation interculturelle, Paris, PUF.
    [1999]
  • ARCS 모델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 치는 영향 -5학년 전기회로 꾸미기 단원을 중심으로-
    오정임 부산교육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AI 챗봇 활용이 한국 EFL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다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A scoping review of research on digital game-based language learning
    Hung , H.-T. et al. 126 , pp.89-104 [2018]
  •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EFL Learners '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and the Strategies for Improvement
    Gilakjani , A. P. & Ahmadi , M. R. 2 ( 5 ) , pp.977-988 . [2011]
  • A Critical Discussion of Vygotsky and Bruner ’ s Theory and Their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of the Way Students Learn
    Zhou , J. 3 ( 4 ) , pp.82-87 [2020]
  • 2020 한국 초 중등교육의 향방과 과제 : 교육과정, 교수 학 습, 교육평가
    성태제 서울: 학지사 [2013]
  • 2015 개정 중학교 일본어 교과서생활일본어의 교실활동 분석 : 언어의 4기능의 활용과 문화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변은정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서 -고등학교-
    교육부 교육부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 〔별책 16〕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부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부 질의 응답 자료, 교육부 [2016]
  • 2009 프랑스어 교육과정의 문제와 개선방안 -성취기준의 언어 재료를 중심으로-
    한상헌 외국어교육 , 39,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pp.103-129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