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자기결정 미술치료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the Art Therapy 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Self-determin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김명희 2022년
논문상세정보
'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자기결정 미술치료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the Art Therapy 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Self-determin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미술치료
  • 자기결정
  • 지적장애고등학생
  • 진로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51 0

0.0%

'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자기결정 미술치료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the Art Therapy 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Self-determin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의 참고문헌

  •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 그램이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태도, 자기결정력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이숙향 이현명 장애와 고용, 27(3), 57-87 [2017]
  • 협동활동 중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저소 득층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공마리아 박찬미 최은영 예술심리치료연구, 11(2), 249-260 [2015]
  • 협동 활동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성인의 사회적 기 술에 미치는 영향
    조현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성인의 자기효능감과 대 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이미라 이미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자 아탄력성,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정유진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8]
  • 한지를 이용한 소집단미술치료가 경도 정신지체 중 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공마리아 전영희 재활심리연구, 18(1), 27-48 [2005]
  • 학위논문 작성의 실제
  • 학생과 가족을 위한 전환지원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발달장 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 치는 영향
    홍주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학생과 가족을 위한 전환지원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발 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 치는 영향
    이숙향 홍주희 장애와 고용, 29(2), 135-163 [2019]
  • 학교와 지역기관 간 교육적 협력을 통한 진로직업교육이 고등 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학생들의 인생태도와 직업준비에 미치는 효과
    장영민 장애인 고등교육 연구, 1(2), 219-237 [2015]
  • 특수학교 직업재활과 지적장애 학생들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배정숙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를 위한 미술치료 기반 STEAM 진로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미숙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6]
  •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자기결정 요소의 분석: 기 본 교육과정 사회교과를 중심으로
    신은희 이영철 지적장애연구, 12(2), 213-231 [2010]
  •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국립특수교육원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2003]
  •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진 로정보서 발간사업(2013∼2017)
    김나라 김민경 서유정 이윤진 이지은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서울:교육과학기술부 [2011]
  •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과에 나타난 자기결정 요소 분석
    박상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3), 25-43 [2015]
  • 특별교육대상청소년을 위한 집중형 집단미술치료의 치료성 과와 치료적 요인
    김현정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특별교육대상청소년을 위한 집중형 집단미술치료의 치료성 과와 치료적 요인
    박은선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문제행동 아동의 정서에 미치는 효과: 우울, 불안, 정서지능, 행복감을 중심으로
    주정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
    윤수현 주리애 파주: 아트북스 [2014]
  • 창조적 미술표현에 나타나는 미적탐구로써 문제해결의 교육적 의미
    박라미 조형교육, 52, 141-162 [2014]
  • 집단미술치료를 활용한 진로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 학생의 진로동기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채미 조현재 정서 행동장 애연구, 37(1), 105-127 [2021]
  • 집단미술치료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불안 및 진로결 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연구
    안지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정서지능 에 미치는 영향
    강은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전미향 최외선 미술치료연구, 5(1), 75-90 [1998]
  •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g과: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중심으로
    강명숙 경기대학교 미술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이예린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7]
  • 집단미술치료가 농촌 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강석영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4(1), 109-134 [2014]
  • 집단미술치료 치유요인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송은경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임은경 지적장애연구, 21(4), 26-57 [2019]
  • 진로탐색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자아개념 및 진로태도에 미치는 효과
    진희정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진로교육개론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0]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 :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황세진 대구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직업적응훈련 과정 중에 있는 성인 지적장애인을 위한 미술 치료 사례 연구
    송주혜 미간행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2]
  • 지적장애학생의 전환 지원을 위한 진로교육의 목표와 방법 탐 색
    정동영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7(1), 1-25 [2014]
  •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기술과 직업준비 기술에 대한 특 수교사의 인식
    김효선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교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수준과 실행과제
    정성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미술치료 및 미술교육 관 련 실험연구 동향 분석: 최근 5년간(2013년∼2017년)을 중심으로
    만문정 박근필 이영철 특수 교육재활과학연구, 58(1), 187-212 [2019]
  • 지적장애청소년의 진로탐색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이정하 동 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지적장애청소년의 진로탐색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정하 정현희 미술치료연구, 22(2), 339-361 [2015]
  • 지적장애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기본심리욕구, 진로정체감 간의 구조적 관계
    손성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능력과 취업성과와의 관계
    이성봉 특수교육저 널: 이론과 실천, 14(4), 223-311 [2013]
  •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자기결정 교수환경에 대 한 교사의 의식
    김재천 정성민 조인수 지적장애연구, 15(3), 1-23 [2013]
  •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수업 실태와 직업담당 교사의 인식
    강영심 박지윤 정현지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3(3), 315-332 [2014]
  • 지적장애 중학생의 반응특성에 따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김 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지적장애 성인의 성적 자기결정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최종순 대 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진로교육을 위한 국가교육정책 고찰과 진로교육 개선방향 탐색
    김진호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5(2), 25-48 [2016]
  • 지역 아동 센터 이용 아동을 위한 사회성 향상 집단 미술치 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김소영 평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중학생의 자기결정성,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관 계
    이남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윈논문 [2007]
  • 중등미술교육에서의 치료적 미술활동 제안 –중학교 중심으 로-
    이소희 미간행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3]
  • 정신지체학생의 자기결정훈련 효과
    김혜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미간 행 박사학위논문 [2001]
  • 정신지체아 교육
    조인수 대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5]
  • 전환교육지적장애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및 직업준비도 향상 을 위한 집단미술 치료
    최동희 미간행 동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4]
  • 전이기 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류숙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1), 59-93 [2003]
  • 장애학생의 중등이후교육 형태로서 특수교육 마을공동 체에 대한 특수학교 학부모 요구 조사
    김두영 김영석 특수교육연구, 23(1), 1-19 [2016]
  • 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 중재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김수진 하정숙 특수교육연구, 20(1), 25-46 [2013]
  •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현황조사 도구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아산: 국립특수교육원 [2021]
  • 장애청소년의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학부모의 인 식 및 요구
    김경화 이성용 특수교육학연구, 45(3), 166-187 [2010]
  • 장애인 유형 및 영역별 당사자주의 운동의 역사와 과제
    서인환 전국 장애인단체지도자대회 자료집 서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35-42 [2003]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8]
  • 장애아동을 위한 전이지원전략으로서의 의사결정기술교수
    방명애 특 수교육학 연구 34(3), 27-48 [2000]
  • 자기결정-발달장애인을 위한 자기결정의 이론과 프 로그램-
    정희섭 최윤희 서울: 정민사 [2013]
  •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이기 경도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류숙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2]
  • 자기결정 학습모형에 기초한 직업훈련이 정신지체 학생 의 커피만들기 작업수행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백은희 정윤지 특수교육학연구, 46(4), 29-48 [2012]
  •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 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용욱 박성우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6(2), 137-154 [2005]
  • 입체조형 중심 미술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위축 행동에 미치는 효과
    강민정 미간행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015]
  • 이정아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연구과제 고찰
    염지혜 이숙향 홍주희 특수교육학연구, 53(2), 123-157 [2018]
  • 유치원 교사를 위한 상담기술 훈련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박은아 경 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증진을 위한 PATHS 기반 집단미술 치료 프로그램 개발
    윤지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 워크투게더센터 프로 그램이 장애청소년 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경선 김동일 김은삼 이재호 장세영 조영회 특수교육재활과학 연구, 54(3), 511-533 [2015]
  • 울산광역시 특수학급의 장애학생들을 위한 진로 및 직업교 육 개선방안 연구
    심문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외상경험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차지영 경 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역할놀이 중심의 자기결정 활동프로그램의 적용이 정신지체 학 생의 자기결정기술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방명애 특수교육연구, 13(1), 179-200 [2006]
  • 실제적용중심의 미술치료
    정현희 서울 :학지사 [2008]
  • 스마트러닝 기반 STEAM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특수 학급 고등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태도와 직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송은주 이숙향 특 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5(4), 229-263 [2014]
  • 소집단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직업훈련생의 자기결정에 미치 는 영향
    이지혜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 감소를 위한 ADHD 아동의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박윤정 복음과 상담, 25(1), 65-116 [2017]
  • 발달지체인 생활 직업재활훈련의 이론과 실제
    조인수 서울: 교육과 학사 [1998]
  •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기술 중재 관련 국내 실 험연구 고찰
    김진호 이수정 지적장애연구, 22(1), 27-54 [2020]
  •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직업준비도와 자기결정력, 진로성숙도 의 구조적 관계
    전혜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박은혜 STEM 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 소년의 STEM 영역 지식과 선호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설희 이영선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8(2), 51-74 [2015]
  • 미술활동이 그룹 홈 성인정신지체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곽현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미술치료학
    주리애 서울: 학지사 [2010]
  •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별 효과적인 미술매체에 관한 질적 연구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김미진 이근매 미술치료연구, 22(4). 1085-1110 [2015]
  • 미술치료의 치료요인 범주화 연구
    이영숙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6]
  • 미술치료를 활용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이선민 한 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미술치료는 마술치료
    주리애 서울: 학지사 [2000]
  • 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준민 대전대학교 특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 는 효과
    장지원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미술 매체를 화룡한 유치원 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선화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매체에 따른 만다라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엥 미치는 효과
    최효숙 미술치료연구, 19(2), 291-318 [2012]
  • 만다라와 미술치료
    정여주 서울: 학지사 [2001]
  • 만다라 미술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 는 영향
    김영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또래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 과.
    이황은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도예활동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진로결 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정현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개인이 인 식한 문제해결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김보경 정철영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 발, 44(2), 49-71 [2012]
  • 나 전달법과 자기노출훈련이 여대생의 자기효 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이경완 정춘화 최연자 정신간호학회지, 17(4), 461-470 [2008]
  • 꼴라쥬에 의한 아동의 부적응행동 개선 효과
    정현희 추길자 미술치 료연구, 5(1), 197-216 [1998]
  • 기본 교육과정
    교육부 세종: 교육부 [2015]
  • 교과중신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신은희 석사학위논문 [2010]
  •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 직업교육의 실태와 과제-대구지역을 중심으로-
    홍정숙 특수교육학연구, 50(2), 277-305 [2015]
  • 거주시설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 요인 연구-기회의 매 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복실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Wehmeyer. M. L., Palmer, S. B., Agran, M., Mithaug, D. E., & Martin, J. E. (2000). Promoting casual agency: The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Exceptional Children, 66(4), 439-453.
    [2000]
  • Wehmeyer, M. L., Agran, M., & Hughes, C. (1998). Teaching self-determina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ic skills for successful transition. Baltimore: Paul H. Brookes.
    [1998]
  •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 choice , and performance
    Lent , R. W. , Brown , S. D. , & Hackett , G. 45 , 79-122. doi:10.1006/jvbe.1994.1027 [1994]
  •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Wehmeyer , M. L. , & Schwartz , M. 33 ( 4 ) , 3-12 . [1998]
  • The many facets of Self-determination . National InformationCenter for children and Youth with Handicap : Transition Summary
    Ward , M. L. 5 , 2-3 . [1988]
  • Test, D. W., Carver, T., Ewers, L., Haddad, J., & Person, J. (2000). Longitudinal job satisfaction of persons in supported 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35(4), 365-373.
    [2000]
  • Shogren, K. A., Wehmeyer, M. L., Palmer, S. B., Forber-Pratt, A., Little, T. J., & Lopez, S.(2015). Causal Agency Theory: Reconceptualizing a functional model of self-determination. Education and Training in Autism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50(3), 251-163.
    [2015]
  • Shogren, K, A., Palmer, S. B., Wehmeyer, M. L., Williams-Diehm, K., & Little, T. D. (2011). Effect of intervention with the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on access and goal attainment.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20, 1-11.
    [2011]
  •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Bandura , A 37 ( 2 ) , 122-147 [1982]
  •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Bandura , A 84 ( 2 ) . 191-215 [1977]
  • Self-determin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youth with learning disabilities
    Field , S. 29 ( 1 ) , 40-52 . [1996]
  • Self-determination during adolescence : A developmental perspective
  • Self-determination as an educational outcome : Why is it important to children , youth and adults with disabilities ? In D. J. Sands & M. L. Wehmeyer ( Eds . ) , Self-determination across the life span : Independence and cho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hmeyer , M. L. pp . 15-34 ) [1996]
  • Self-determination and positive adult outcomes : A follow-up study of youth with mental retardation or learning disabilities
    Wehmeyer , M. L. , & Schwartz , M. 63 ( 2 ) , 245-255 . [1997]
  • Self-determination and individuals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 Examining meanings and misinterpretations
    Wehmeyer , M. L. 23 , 5-16 . [1998]
  • STEM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청소년의 진로정 체감, STEM 영역 지식과 선호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Reid, D. H., Parsons, M. B., & Green, C. W. (1991). Providing choices and choices and preferences for persons who have severe handicaps. Morgaton, NC: Habilitative Management Consultants, Inc.
    [1991]
  • Power, L. E., Turner, A., Westwood, D. H., Loesch, C., Brown., A. & Rowland, C. (1998). TAKE CHARGE for the future: A student Directed Approach to transition planning. In M. L. Wehmeyer & A. Sands(Eds.), Making it happen: Students involvement in education planning, decision making and instruction(pp. 299-328). Baltimore: Brookes.
  • Molyn Leszcz. 최해림, 장성숙 역(2008). 집단정신치 료의 이론과 실제: 개정5판
    Yalom, I. D. 서울: 하나의학사 [2005]
  • Living with support in the community : predictors of choice and self-determination
    Stancliffe , R. J . 7 , 91-98 [2001]
  • Lee, S. H., Wehmeyer, M. L., & Shogren, K. A. (2015). Effect of instruction with the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meta-analysis. Education and Training in Autism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50(2), 237-247.
    [2015]
  • How Self-Determined Are PeopleWith Mental Retardation ? The National Consumer Survey
    Wehmeyer , M. L. , & Metzler , C. A . 33 ( 2 ) , 111-119 . [1995]
  • Halperan, A. S., Herr, C. M., Doren, B., Johnson, M. D., & Lawson, J.D. (1997). Next S.T.E.P.: Student transition and educational planning. Austin, TX: PRO-ED.
    [1997]
  • Field, S., & Hoffman, A. (1996). Steps to Self-Determination: A curriculum to help adolescent learn to achieve their goals. Austin, X:Pro-Ed.
    [1996]
  •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 Deveolpment of a model for self-determination
    Field , S. , & Hoffman , A 17 , 159-169 . [1994]
  • Choicemaker : A comprehensive self-determination transition program
  • Careerself-efficacytheoty : Backtothe future
  •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 Art Therapy for Group. 최재영, 김진연 역(2008). 미 술치료
    Malchiodi, C. A. 서울: 서울하우즈(조형교육) [2000]
  • Art Thefapy for Groups. A Handbook of Themes and Exercises(2ns edn). 최외선 역(2004). 집단미술치료
    Liebmann, M. F. 서울: 학지 사 [2013]
  •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 Adult outcomes for students with cognitive disabilities three years after high school : The impact of self-determination
    Wehmeyer . M. L. , & Palmer , S. B 38 ( 2 ) , 131-144 [2003]
  • Abery, B., Rudrud, L., Arndt K., Schauben L., & Eggebeen A.(1995). Evaluating a multicomponent program for enhancing self-determination of youth with disabilities.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30: 170-179.
    [1995]
  • Abery, B., & Stancliffe R. (2003). An ecologicaltheory of self-determination: theoretical foundation. In: Theory in self-determination: Found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eds. Wehmeyer M. L., Abery B. H., Mithaug D. E., Garner N. W. & R. J. Stancliffe) pp.25-42 Charles C. Thomas Publisher.
    [2003]
  • A conceptual framework for enhancing self-determination . In Hayden , M. & Abery , B . Challengers for a Service System in Transition : Ensuring Quality Community Experience for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es
    Abery , B . pp . 345-380 [1994]
  • A Review of the potential for and impact of promoting self-determination as an instructional strategy for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Lee , S. H. , & Wehmeyer , M. L. 9 ( 2 ) , 62-91 . [2007]
  • A Functional Model of Self-Determination : DescribingDevelopment and Implementing Instruction .
    Wehmeyer , M. L. 14 ( 1 ) , 53-61 . [1999]
  • 2021년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세종: 교육부 [2021]
  •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해설자료
  •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해설자료
    김범석 박희찬 정주영 국립특수교육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