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능주의에 기초한 중국의 한중일 FTA 추진 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Korea-China-Japan FTA Policy of China Based on Neo-Functionalism

주굉리 2022년
논문상세정보
' 신기능주의에 기초한 중국의 한중일 FTA 추진 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Korea-China-Japan FTA Policy of China Based on Neo-Functionalism'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파급"
  • rcep
  • 신기능주의
  • 유럽 경제통합
  • 한중일 fta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5 0

0.0%

' 신기능주의에 기초한 중국의 한중일 FTA 추진 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Korea-China-Japan FTA Policy of China Based on Neo-Functionalism' 의 참고문헌

  • 관계부처합동 새 정부의 新통상 로드맵 [2013]
  • ,, 동북아 경제협력이 한국안보에 미치는 영향
    신종열 국방대학원 학위 논문 [1998]
  •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의 전망과 대응방향
    권혁재 서울: 삼 성경제연구소 [2011]
  • 한중일FTA 산관학 공동연구 출범의 의의와 전망
    조수정 서울: 관세와 무역 [2010]
  • 한중일 정치통합 가능성과 포용적 과제: 통합지수 개발 의 비판적 접근
    김예하 이승원 아시아리뷰, 9(2): 233-363 [2020]
  • 한중일 안보협력의 여건과 향후 발전방향
    박창권 국방정책연구, 31(2): 7-40 [2015]
  • 한중일 경제협력의 과제
    류상영 이우광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0]
  • 한중일 경제관계와 동북아 경제협력
    박승록 진홍상 서울: 한국경제연 구원 [2005]
  • 한중일 FTA의 가능성과 한계
    박홍석 국제정치연구, 13(1): 153-173 [2010]
  • 한중일 3국간 경제통합(FTA)과 경제적 파급효과 고찰의 현황과 추진전략
    이홍배 한중관계연구, 3(1): 1-22 [2017]
  • 한중일 3국 협력 현황과 발전 과제 연구
    양동훈 동북아 문화연구, 62: 207-223 [2020]
  • 한중 관계 정상화 10주년에서 본 현황과 동북아 지역 정세분석
    김남이 한국비교정부학보, 6: 10 [2002]
  • 한중 FTA의 의의와 주요쟁점
    박번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11]
  • 한중 FTA 1주년 평가와 시사점
    민경실 서울: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 연구원 [2016]
  • 한일관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진창수 관훈저널, 61(1): 50-56 [2019]
  • 한일관계의 구조변화
    김기석 일본연구논총, 27(-): 1-29 [2008]
  • 한미 FTA 5주년 평가와 시사점
    정혜선 외 서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 역연구원 [2017]
  • 한류와 FTA 를 통항 신흥시장 진출 방안연구
    정미경 서울: 한국콘텐 츠진흥원 [2013]
  • 한국정치학회 외, , 21세기 한국정치발전의 과제와 전망: 한국의 정치 개 혁
    서울: 한국정치학회 [2001]
  • 한국의동북아시대 구상
    박종철 서울: 오름출판사 [2006]
  • 한국의 외교정책
    김달중 서울: 오름 [1998]
  • 한국의 동아시아 국가와의 FTA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이상돈 목원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한국의 FTA 추진의 정치경제: FTA 경쟁과 따라잡기의 동학
    손열 서 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 한국의 FTA 10년평가와 향후정책방향
    김영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4(-): 1-199 [2014]
  • 한국외교통상부
    년외교백서 [2007]
  • 한국외교통상부
    년외교백서 [2009]
  • 한국외교통상부
    년 한․중․일 FTA 산관학 공동연구 보고서 [2012]
  • 한국외교통상부
    년외교백서 [2015]
  • 한국외교통상부
    년외교백서 [2019]
  • 한국연합뉴스 홈페이지
    http://www.yonhapnews.co.kr/
  • 한국산업통상장원부
    통상백서 [2013]
  • 한국산업통상장원부
    통상백서 [2019]
  • 한국무역협회 홈페이지
    http://www.kita.net/
  • 한국관세청 홈페이지
    http://www.customs.go.kr/
  • 한국경제60년사편찬위원회, , 한국경제60년사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10]
  • 한국 기발효 FTA 의 경제적효와 분석
    배찬권 서울: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2012]
  • 한국 FTA 추진 10년의 발자취: 한국의 FTA 10년 성과 1
    명진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4]
  • 한․중․일 FTA의 추진당위성과 선행과제
    정인교 서울: 대외경제졍책연 구원 [2003]
  • 한․중․일 FTA: 경제의 서비스화 현황 및 서비스 협상의 시사 점
    윤창인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
  • 한․중․일 FTA 전략의 상호작용 비교
    양철 장췬 서울: 성균차이나브 리프 [2017]
  • 한․중․일 3국의 FTA 비교분석과 동북아 역내국간 FTA 추진방안,
    최낙균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
  • 한․중FTA 시대의 중국 15새 서지스무역 혁신발전시험 지역에 관한 법적검토
    윤성혜 장은정 서울: 중국법연구 [2017]
  • 한․중 FTA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주요 쟁점
    남영숙 서울: 대외경 제정책연구원 [2004]
  • 한․중 FTA 비즈니스 모델 및 활용
    장상해 서울: KOTRA [2015]
  • 한․EU FTA, 브렉시트
    정혜선 제현정 서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 연구원 [2016]
  • 한․EU FTA 발효 5년,농업부문 영향과 시사점
    한석호 서울: 한국 농촌경제연구원 [2016]
  • 한·중·일 3국간 역내분업관계와 경제통합에 관한 연구
    오광옥 동아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2]
  • 한·중·일 3국간 무역구조와 산업별 국제경쟁력 변화 분석
    장양 동의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한·일 FTA와 대기업의 직면과제
    김은미 유장희 서울: 대외경제정책연 구원 [2005]
  • 한EU FTA 홈페이지
    https://www.fta.go.kr/eu/
  • 한 중 일 역내 직접투자 동향과 활성화 방안
    정형곤 서울: 대외경제 정책연구원 [2010]
  • 한 중 일 산업의 국제투입산출구조 및 3국간의 생산파급효과 분 석
    최낙균 서울: 국제통상연구 [2009]
  • 한 중 일 FTA의 필요성과 정책적함의
    김봉길 아태연구, 19(3): 217-248 [2012]
  • 한 중 일 FTA의 타당성 및 무역효과에 관한 연구
    최해범 한국관세 학회, 11(3): 277-303 [2010]
  • 한 중 일 FTA의 추진당위성과 선행과제
    정인교외 서울: 대외경제졍책 연구원 [2003]
  • 한 중 일 FTA의 경제적 효과와 추진 전략
    강형욱 서울: 삼일 [2007]
  • 한 중 일 FTA의 경제적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이한철 창원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3]
  • 한 중 일 FTA와 동북아경제공동체
    마윤성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한 중 일 FTA에서 한국의 역할 및 중요성
    송원근 한국경제연구원, 10(2): 1-8 [2010]
  • 한 중 일 FTA: 제조업 부문의 대응전략
    김박수 서울: 대외경제정책연 구원 [2005]
  • 한 중 일 FTA,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시금석
    정환우 서울: 한국무역협 회 국제무역연구원 [2013]
  • 한 중 일 FTA 체결에 따른 3국간 생산 및 무역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박상길 윤기관 국제지역연구, (3): 554-586 [2010]
  • 한 중 일 FTA 체결에 대한 각국의 입장과 한국의 대응방안
    백경희 건 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한 중 일 FTA 및 RCEP 협상의 개시와 우리의 대응방 안
    방호경 이창재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
  • 한 중 무역구조의 특징과 FTA 협상 시사점
    정환우 서울: 무역협회 [2013]
  • 한 중 교역의 특성과 한 중 FTA 추진방향
    양평섭 서울: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2013]
  • 한 일 산업협력의 패러다임 변화와 과제
    사공목 서울: 산업연구원 [2014]
  • 한 일 FTA의 경제 효과 논의와 주요 협상 이슈 분석
    강명종 인하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7]
  • 트럼프 시대의 한국 경제, 한미동맹․FTA․법인세가변수
    조동근 서울: 미래한국 [2016]
  • 최근 일본통상정책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 방안
    정훈 서울: 대외경제정 책연구원 [2007]
  • 천하국가: 전통시대 동아시아 세계질서
    김한규 서울: 소나무 [2005]
  • 지역주의와 다자동맹
    김성한 국제정치논총, 48(4): 7-34 [2008]
  • 중국의 한반도 정책과 남북관계, 주변 강대국의 한반도 정책과 남북관계: 학술세미나
    김소중 대전: 배제대학교 [2002]
  • 중국의 한국 사드(THAAD) 배치에 대한 인식과 대응: 전략적 불편과 희망적사고
    이기현 국제관계연구, 23(2): 41-65 [2018]
  • 중국의 부상과 동북아 경제협력
    이경태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
  • 중국의 동아시아 FTA 전략에 관한 연구
    반경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0]
  •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이규태 신아시아, 6(4): 146~165 [1999]
  • 중국의 FTA정책 결정요인과 중 한 FTA 협상성공전략에 관한 연구
    조우져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중국의 FTA 추진전략과 정책적 시사점
    이창규 서울: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2006]
  • 중국의 FTA 정책에 담긴 정치, 경제적 함의
    서창배 한중사회과학연 구, 5(1): 73-89 [2007]
  • 중국 통상정책의 변화와 FTA 추진전략
    장우함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2]
  • 중국 FTA 전략의 좌표 찾기: 국제정치경제이론의 맥락에서
    주장환 아 세아연구, 139: 155-182 [2010]
  • 주요국 FTA 추진 현황과 2013년 전망: 19개 경제권(68개국)을 중심으로,
    명진호 한국무역협회 [2013]
  • 주요국 2015년 FTA 추진 현황과 2016년 전망
    이근화 정혜선 서울: 한 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6]
  • 주간무역 홈페이지
    http://www.weeklytrade.co.kr/
  • 조세일보 홈페이지
    http://www.joseilbo.com/
  • 전통시대 동아시아 국제관계
    권선홍 부산: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4]
  • 쟁점으로 본 동아시아 협력과 갈등
    전기원 서울: 오름 [2011]
  • 일본의 통상정책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FTA 정책을 중심으 로
    이홍배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 일본의 통상정책 변화와 대동아시아 FTA 추진전략
    민경식 임천석 동 서연구, 16(2): 5-30 [2004]
  • 일본의 동아시아 FTA정책과 한국의 대응에 관한 연구
    곽진오 일본연 구논총, 29(-): 113-136 [2009]
  • 일본의 대아시아 전략과 한중일 3국 관계-일본의 대한 대중인 식 및 대아시아정책을 중심으로
    최은미 동북아연구, : 301-331 [2018]
  • 일본의 TPP 협상참여선언: 전망과 시사점
    김규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4): 1-50 [2013]
  • 일본의 FTA 추진전략과 정책적 시사점
    김규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4(-): 1-242 [2014]
  • 일본의 FTA 정책의 특징과 전망
    김양희 동북아경제연구, 18(3): 1-22 [2006]
  • 일본의 FTA 정책과 TPP 참여 전망
    황순택 서울: 외교안보연구원 [2011]
  • 일본의 FTA 전략과 시사점: 일본ㆍ멕시코 FTA를 중심으로
    신현수 서 울: 산업연구원 [2003]
  • 일본경제 부활의 신호탄인가?
    구본관 라베노믹수, 서울: 삼성경제연구 소 [2013]
  • 일본 FTA 네트워크 전략의 형성과 변화
    이숭주 일본연구논총, 34(2): 83-108 [2011]
  • 일본 FTA 네트워크 전략의 형성과 변화
    이승주 일본연구논총, 34: 83-108 [2011]
  • 유익하고 흥미로운 삼각관계 이야기
    박건영 아시아리뷰, 8(2): 245-266 [2019]
  • 유럽연합의 이해
    김시홍 서울: 높이깊이 [2005]
  • 우리나라 수출기업의 원산지검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에 관한 실증 연구
    구종순 황수정 서울: 무역보험연구 [2012]
  • 우리나라 수출 TOP3 국가의 비중 변화
    심혜정 서울: 한국무역협회국 제무역연구원 [2016]
  • 외교통상부 홈페이지
    www.fta.go.kr/
  • 오바마 행정부와 트럼프 행정부의 동아시아 전략
    공민석 사회과학연구, 34(4): 249-273 [2010]
  • 약세 엔화에 'TPP 날개'다는 일본
    사동철 포스코경영연구소 [2013]
  • 아태지역의 새로운 지역협력과 중국의 FTA 전략
    자오진핑 서울: 대외 경제정책연구원 [2011]
  • 아태지역에서의 경제통합 논의 및 시사점
    임경수 사을: 대외경제정책연 구원 [2012]
  • 아시아 경제통합을 향한 메가FTA의 추진현황과시사점
    한정민 서울: KIET산업경제 [2015]
  • 아시아 FTA의 확산과 한국의 전략: 양자주의의 다자화 가능성 을 중심으로
    김치욱 EAI 워킹페이, 2012: 1-25 [2012]
  • 실리를 의심받는 일한 FTA: 북동아시아 경제권에의 공통 청사진을 구하며
    유끼고 후카가와 서울국제무역연구원 2004: 153-156 [2004]
  • 세계무역기구(WTO)의 다자주의와 지역주의
    구갑우 한국정치학회보, 35(2): 427-443 [2001]
  • 새정부의 무역통상 정책에 대한 무역업계의 우선순위설문조 사
    김건우 서울: 한국무역협회국제무역연구원 [2017]
  • 새로운 동북아 질서와 한반도
    이행 서울: 법문사 [1998]
  • 산업통상자원부, , 한 중 FTA 상세설명자료
    서울: 산업통상자원부 [2014]
  •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http://www.motie.go.kr/
  • 사회 연결망 이론
    김용학 서울: 박영사 [2003]
  • 사회 연결망 분석
    김용학 서울: 박영사 [2011]
  • 사회 네트워크 분석
    손동원 서울: 경문사 [2002]
  • 비관세 만리장성
    이보우 서울: 시사금융 [2016]
  • 브렉시트의 경제적 영향 분석과한국의대응전략
    김훙종 대외경제정 책연구원, 2016(12): 1-203 [2016]
  • 브렉시트, , 협상기의 한 유럽 통상환경
    강선규 서울: LG연구원 [2017]
  • 복잡계로 풀어내는 국제정치
    민병원 서울: 성삼성경제연구소 [2005]
  • 발리 한․중․일 정상회의의 주요 논의 사항과 의의: FTA를 중심으로
    방호경 정인교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 민족주의와 지역주의: 동북아 지역통합의 저발전
    조영철 최진우 미래 정치연구, 6(2): 89-112 [2016]
  • 미중 무역전쟁과 게임이론: 협상력 비대칭 상황에서의 협조적 균형가능성
    김홍률 무역학회지, 44(3): 105-121 [2019]
  • 미국 신행정부의 통상정책 전망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이근화 제현정 서울: 한국무역협회국제무역연구원 [2016]
  • 문재인 대통령의 안보관 역사관 통일관에 대한 분석: 선택적 인 지로 misperception(곡해)의 덫에 걸리다,
    이정훈 한국전략연구소 전략연구, 27(1): 101-157 [2020]
  • 문재인 대통령 정상외교 목록
    https://www.mofa.go.kr/www/brd/m_20053/list.do [2005]
  • 무역조정지원제도, FTA 안정망 이상 무?: 무역조정지원제도 활 용 현황 및 사례 연구
    박지은, 서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4]
  • 무역업계가 바라본 新FTA 추진 전략: FTA 추진 우선대상 및 기체결 FTA 개선 사항
    이혜연 서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5]
  • 매력으로 엮는 동아시아
    손열 서울: 미래인력연구원 지식마당 [2007]
  • 동아시아의 지역질서-제국을 넘어 공동체로
    백영서 서울: 고려대출판 부 [1997]
  • 동아시아와 지역주의
    정용화 서울: 지식마당 [2006]
  • 동아시아에 대한 일본의 FTA 전략: 복합적 지역주의
    박창건 국제정치 논총, 47(4): 141-168 [2007]
  • 동아시아광역FTA 형성관점에서 본 한국의 FTA 추진 전략
    이경희 최병일 한국경제연구원 정책연구, 2012(10): 1-113 [2013]
  • 동아시아공동체: 신화와 현실
    하영선 서울: 동아시아연구원 EAI [2008]
  • 동아시아공동체: 신화와 현실
    하영선 서울: 동아시아연구원 EAI [2010]
  • 동아시아 통합전략
    박명호 전홍택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13]
  •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변화와 한국의 선택
    변창구 서울: 한국학술정보 [2011]
  •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약한 제도화 요인 분석-한중일 3국협력을 중심 으로
    차정미 통일연구, 22(2): 219-256
  •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경제협력
    한형근 서울: 오름 [2011]
  • 동아시아 지역주의: 현황과 전망
    주봉호 공공정책연구, 27(2): 33-45 [2010]
  • 동아시아 지역주의: 평화, 번영, 인간안보의 지역적 모색
    유현석 서울: 집문당 [2012]
  • 동아시아 지역주의 확산에 따른 한국, 중국, 일본의 FTA 네트 워크 역학구조 변동에 관한 연구
    강물결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동아시아 지역의 FTA확산과 스파게티볼 현상 연구
    박재관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동아시아 신질서의 형성과 중일 관계의 변화
    금희연 아시아태평양지역 연구, 2(1): 21-23 [1999]
  • 동아시아 무역, 중간재 위주, 낮은 내향성 극복 필요-RCEP, EU, NAFTA 역내무역구조 분석
    조성대 서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3]
  • 동아시아 경제통합과 중국, 일본
    임반석 국제지역연구, 9(1): 257-288 [2005]
  • 동아시아 거버넌스로서의 일본형 FTA
    박창건 국제정치논총, 52(4): 41-65 [2012]
  • 동아시아 FTA의 경제적 효과와 추진전략
    정태화 한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 동아시아 FTA에 대한 분석: 한 중 일 FTA를 중심으로
    손단 경희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5]
  • 동북아시아 질서형성과 한일 관계,한일 관계 50년의 쟁 점과 문제: 공생,공락의 21세기를 위하여
    키미야 타다시 서울: 한국정치학회 [1998]
  • 동북아시아 지역주의의 형성과정과 한 중 일의 이해관계
    황지혜 고려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동북아 지역통합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접근-통합모델의 모색과 한국의 전략
    박제훈 안형도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 동북아 지역질서의 형성과 전개: 역사적 성찰과 정치 경제적 쟁 점
    이내영 서울: 아연출판부 [2011]
  • 동북아 지역경제협력의 현실과 이상: 한 중 일 3국의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전가림 21세기 동북아 질서와 한반도, 2005: 50-51 [2005]
  • 동북아 연대와 협력의 패러다임 구성
    백미연 동북아역사논총, 56: 324-364 [2017]
  • 동북아 시대와 한국의 외교과제
    배긍찬 서울: 외교안보연구원 [2004]
  • 동북아 세 가지 삼각관계의 역학구도
    김성한 국제관계연구, 20(1): 71-95 [2015]
  • 동북아 삼각협력체제: 한 미 중, 한 중 일 협력
    이태환 서울: 세종연구 소 [2011]
  • 동북아 경제협력의 발전가능성 및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염학의 계명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동북아 경제협력과 통합을 위한 로드맵
    신용대 서울: 산업연구원 [2004]
  • 동북아 경제중심 건설의 위한 외교적 과제
    정진영 서울: 한국학술연구 원 [2003]
  • 동북아 경제론
    이재기 서울: 신론사 [2001]
  • 동북아 경제공동체 실현을 위한 단계적 추진전략
    이창재 서울: 대외 경제정책연구원 [2005]
  • 대한민국 외교부 홈페이지
    https://www.mofa.go.kr/www/index.do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한중일 경제관계와 동북아 경제협력 방안
    서울: KOREA [2005]
  • 농식품 수출의 FTA 특혜관세 활용률 제고방안
    서진교 한국농촌경 제연구원, 2014: 1-105 [2014]
  • 네트워크와 정치의 관계
    강장묵 이원태 21세기 정치학회보, 20(1): 27-46 [2010]
  • 네트워크로 보는 중견국 외교전략
    김상배 국제정치논총, 51(3): 51-77 [2011]
  •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모색
    김상배 국제정치논총, 48(4): 35-61 [2008]
  • 네트워크 세계정치
    김상배 하영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국제정치학적 적용
    김형민 한국정치학회보, 43(1): 301-321 [2009]
  • 글로벌시대의 FTA전략
    노재봉 정인교 서울: 해남 [2005]
  • 글로벌 위기와 동아시아 지역주의, 한국과 국제정치
    최영종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8(1): 87-121 [2012]
  • 국제정치와 시스템이론―동아시아 국제정치이론에 대한 메타이 론적 고찰
    민병원 세계정치, 26(-): 47-81 [2017]
  • 국제관계와 한국
    조순구 서울: 법문사 [2002]
  • 국가정체성을 통해 본 한일갈등의 인식차이 연구
    최은미 아세아연구, 61(4): 228-258 [2018]
  • 국가정보대학원 외, , 동북아 신질서: 경제협력과 지역안보
    서울: 백산서 당 [2004]
  • 교통상부, , 한 중 일 FTA 체결계획
    서울: 국회보고서 [2012]
  • 경제통합의 이해
    손병해 서울: 법문사 [2002]
  • 경제통합의 이해
    손병해 서울: 법문사 [2005]
  • 경제통합론: 이론과 실제
    손명환 서울: 법문사 [1992]
  • 경제적 지역주의의 국제정치적 접근: 이론적 검토와 APEC에의 적용
    유현석 한국정치학회보, 42(3): 33-53 [2002]
  • 경제적 군사적 협력이 군사분쟁에 미치는 영향
    김형민 국제정치논총, 52(3): 83-110 [2012]
  • 강대국의 동북아정책과 한반도
    오수열 부산: 신지서원 [2004]
  • 갈등과 협력의 동아시아와 양면게임이론
    김관옥 서울: 리북 [2010]
  • 黄少安, 1995, 产权经济学导论, 山东: 山东人民岀版社.
  • 黄大慧, 2010, 构建和谐东亚——中日韩关系与东亚未来, 北京: 社会科学文献出版 社.
  • 黄凤志, 逢爱成, 2010, 德法和解历史对中日建立战略互惠关系的借鉴与思考, 东北 亚论坛, 2010(5): 29-31.
  • 鶴田仁, 2016, WTO及び/FTA/EPAの関税譲許における品目表の役割に関する 考察, 経営と経済, 2016: 95.
    [2016]
  • 高田創, 2015, 新シルクロード構想, 中国が本当に考えることはなにか, みずほ総 合研究所りサーチTODAY, 2015(8): 22-31.
    [2015]
  • 高橋克秀, 2010, アジア経済と共存学一FTA(自由貿易協定)をめぐる競争と 協調, 國學院大學研究開発推進センター研究紀要, 2010(4): 27-36.
    [2010]
  • 高橋俊樹, 2017, TPPから日米FTAの関税効果を探る: 日本, マレーシア, ベトナ ム米国にぉける,EPA/FTA/TPP利用の効果比較, 国際貿易と投資, 2017: 29.
    [2017]
  • 马连良, 2010, 建立中日韩自由贸易区的优势条件分析, 经济论坛, 2010(7): 14-16.
  • 马樱, 2002, 区域主义与发展中国家, 北京: 中国社会科学出版社.
  • 马成三, 2008, 日本的FTA战略与中国因素”, 国际贸易, 2008(5): 44-47.
    [2008]
  • 马凤书,2004, 欧洲一体化: 一种文化的解读, 人民网, 2004-06-08.
  • 马光, 2017, 中韩FTA及其对于中国FTA的启示, YeungnamUmv.Law Journal, 44: 31-36.
    [2017]
  • 韩伟, , FTA框架下中日韩农产品贸易研究, 山东大学
    석사학위논문 [2011]
  • 韩产业部长官, 2020, 疫情下韩企约三成国外工厂停运, 韩联社, 2020-04-08.
  • 韩产业部, 2020, 韩国4月前10天出口同比减18.6%, 韩联社, 2020-04-13.
  • 韦红, 2006, 地区主义视角下的中国-东盟合作研究, 北京: 世界知识出版社.
  • 雅克 佩克曼斯, , 欧洲一体化方法与经济分析第二版(吴弦외 역)
    北京: 中国 社会科学出版社 [2006]
  • 陶海青, 2014, “海上丝绸之路”起航共赢效应渐显, 中国贸易报, 02-25(A03).
    [2014]
  • 陈颖谊, 2004, 国际一体化理论中的功能主义与新功能功能主义的比较分析, 温州 职业技术学院学报, 2004(4): 17-21.
  • 陈菁泉, 2012, 东北亚区域经济制度合作研究, 大连: 东北财经大学出版社.
  • 陈继勇, 余自强, 2017, 中韩自贸协定对两国GDP经济效应的影响, 财经科学, 2017(10): 56-59.
    [2017]
  • 陈珏, , 中韩贸易自由化的贸易增加值效应评估, 湖南大学
    석사학위논문 [2017]
  • 陈玉刚, 2001, 国家与超国家: 欧洲一体化理论比较研究,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 陈淑梅, 林晓风, 2018, 全球价值链视角下中国FTA的贸易效应再检验, 东南大学 学报(哲学社会科学版), 2018(3): 31-38.
    [2018]
  • 陈林, 伍海军, 2015, 国内双重差分法的研究现状与潜在问题, 数量经济技术经济研 究, 32(07): 30-32
  • 陈志阳, , 中国自由贸易区战略研究, 武汉大学
    박사학위논문 [2015]
  • 陈志恒, 甘睿森,2017, 中曰韩贸易互补性与构建三国自贸区.浙江学刊, 2017(1): 9-12.
  • 陈志恒, , 东北亚区域经济一体化研究——以交易费用理论为视角, 吉林大学
    박사학위논문 [2006]
  • 陈廷根, 2012, 东亚经济一体化的必要性和可能性, 东南亚纵横, 2012(2): 61-66.
  • 陈廷根, 2012, 东亚经济一体化的困境与出路, 东南亚研究, 2012(2): 4-9.
  • 陈峰君, 祁建华, 2007, 新地区主义与东亚合作, 北京: 中国经济出版社.
  • 陈峰君, 2004, 亚太安全析论, 北京: 中国国家广播出版社.
  • 陈婧, 2013, 重视区域性自贸谈判日本兼顾两个路线图, .中国青年报, 2013(4): 09-05.
  • 陈国华, 2017, 构建中日韩自贸区面临的问题及其解决路径研究, 江苏: 南京师范大 学出版社.
  • 陈哲, 周薇薇, 2015, 新形势下建设中日韩自贸区的问题及前景, 现代商业, 2015(4): 47-49.
  • 陈同仇, 张锡瑕, 2005, 国际贸易, 第2版, 北京: 对外经济贸易大学岀版社.
  • 陈勇, 2006, 新区域主义与东亚经济一体化, 北京: 社会科学文献出版社. 陈玉刚, 陈晓翌, 2006, 欧洲的经验与东亚的合作.世界经济与政治, 2006(5): 9-11.
  • 陈乔之, 2002, 东亚区域经济合作研究, 北京: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2.
  • 阿米塔 阿查亚, , 建构安全共同体: 东盟与地区秩序(王正毅, 冯怀信역)
    上 海: 世纪出版集团 [2004]
  • 阿尔弗雷德 格罗塞, , 战后欧美关系(刘其中외 역)
    上海: 上海译文出版社 [1986]
  • 钱进, 王庭东, 2017, 中日韩自贸区对区域宏观经济及产业产出的影响评估——基 于GTAP模型的模拟分析, 现代日本经济, 2017(3): 21-34
    [2017]
  • 金永久, , 中韩贸易结构分析, 吉林大学
    석사학위논문 [2010]
  • 金安, 2004, 欧洲一体化的政治分析, 北京: 学林出版社.
  • 金吃, 2011, 韓国のFTA政策決定過程:東アジア共同体への示唆, アジア太平洋討 究, 2011(10): 36-42.
    [2011]
  • 野田佳彦, 2011, わが政治哲学, Voice, 2011(10): 21-33.
    [2011]
  • 郑燕, , 中日韩自贸区构建研究——基于贸易关系视角, 山东农业大学
    석사학 위논문 [2015]
  • 郑毅, 2016, 中韩日战争记忆的差异与历史认识的重构, 日本学刊, 2016(3): 12-16.
  • 邵冰, 崔健, 2016, 一带一路战略合作与日本对外经济合作比较研究, 社会科学战 线, 2016(5): 17-22.
  • 邝梅, 2015, 东亚FTA格局与中国的战略选择, 东北亚论坛, 2015(1): 18-21.
    [2015]
  • 邓宗豪, 2011, 欧洲一体化进程: 历史, 现状与启示, 四川: 四川大学出版社.
  • 赵雷, 2011, 倡导政治精英主导模式——当前主流一体化理论的本质, 中国社会科 学报, 2011(5): 6-27.
  • 赵晋平외, , 跨太平洋伙伴关系协定: 经济影响与对策
    北京: 中国财政经济 出版社 [2013]
  • 赵亮, 陈淑梅, 2015, 经济增长的“自贸区驱动”——基于中韩自贸区, 中日韩自贸区 与RCEP的比较研究, 经济评论, 2015(1): 1-11.
    [2015]
  • 赵亮, 穆月英, 2013, 东亚FTA的关税效应对我国农业影响的研究——基于CGE模 型的分析, 国际经贸探索, 2013(7): 23-35.
    [2013]
  • 贺平, 2019, 国家身份与贸易战略: 21世纪的日本自由贸易战略变迁, 日本学刊, 2019(1): 5-9.
  • 费正清, , 美国与中国, 第四版(张理京역)
    北京: 世界知识出版社 [1999]
  • 贝娅特 科勒-科赫, , 欧洲一体化与欧盟治理(顾俊礼외 역)
    北京: 中国社会 科学出版社 [2004]
  • 谢锐, 赖明勇, 2009, 中国自由贸易区建设: 演化历程, 特点与趋势, 国际经贸探索, 2009(4): 17-22.
  • 谢桂娟, 2012, 东北亚国家集体身份构建与区域合作: 一种区域整体视角的研究, 北 京: 社会科学文献出版社.
  • 谢作灵, , 亚太区域经济一体化博弈及中国的战略选择, 浙江大学
    석사학위논 문 [2015]
  • 许小杰, 1999, 新世纪的油气地缘政治, 北京: 社会科学文献出版社.
  • 许培源, 刘雅芳, 2017, TPP投资规则与我国FTA投资规则的差异及其影响分析, 国际经贸探索, 2017(12): 18-26.
    [2017]
  • 让 莫内, , 欧洲第一公民——让 莫内回忆录(孙慧双역)
    成都: 成都出版社 [1993]
  • 计秋枫, 1998, 论欧洲一体化的文化与思想渊源, 世界历史, 1998(1): 14-19.
  • 薛荣久, 2008, 国际贸易, 北京: 对外经济贸易大学岀版社.
  • 蔡鹏鸿, 2005, 东亚双边自由贸易区的国际政治经济学分析, 当代亚太, 2005(3): 41-50.
  • 蔡彤娟, 郭小静, 2019, TPP到CPTPP: 中国面临的新挑战与对策, 区域与全球发 展, 2019(2): 19-25.
    [2019]
  • 蔡彤娟, 2016, 新功能主义视野下的中日韩FTA: 战略重塑, 机制设计与推进策略, 世界经济与政治论坛, 2016(2): 34-37.
    [2016]
  • 蔡建国., 2007, 东亚区域合作——能源, 环境与安全, 上海: 同济大学出版社.
  • 蔡宏波, 2011, 双边自由贸易协定的理论重构与实证研究, 北京: 中国经济出版社.
  • 蔡华堂, 2017, 大国东北亚战略博弈研究, 北京: 时事出版社.
  • 蔡亮, 2012, 挑战与动因: 日本参加TPP谈判的战略意图探析, 日本问题研究, 2012(4): 7-9.
    [2012]
  • 葛建华, 但苏敏, 2008, 欧洲与东亚区域合作动因的比较分析, 马克思主义与现实, 2008(3): 33-37.
  • 菅原淳一, 2017, 日EU·EPA交渉大枠合意の意義, みずほ総合研究所インサイト, 2017(7): 29-36.
    [2017]
  • 荣郁, 2017, 亚太自贸进程面临新挑战, 国际商报, 2017(02-07): A04.
    [2017]
  • 荣敏德, 严江枫, 2007, 区域合作: 欧洲经验与东亚, 北京: 中国经济出版社.
  • 范洪颖, 2007, 全球化背景下东亚一体化理论适用问题探讨, 东南亚研究, 2007(3): 7-10.
  • 苟大舜, 高安妮, 2015, 中日韩自贸区谈判持续推进前景几何, 空运商务, 2015(1): 37-39.
  • 苏长河, 2000, 全球公共问题与国际合作: 一种制度分析,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 苏浩, 2008, 胡桃模型: 10+3与东亚峰会双层区域合作结构分析, 世界政治与经 济, 2008(10): 21-27.
  • 苅込俊二, 2012, 韓国のFTA戦略——FTAを積極推進できる要因と日本の示唆, みずほ総研論集, 2012(2): 46-61.
    [2012]
  • 艾昕, 2016, 构建中日韩自贸区的原因及现实意义, 管理观察, 25: 29-33.
  • 胡显军, , 中日韩自贸区的贸易效应及其影响分析, 天津财经大学
    석사학위논 문 [2014]
  • 肯尼思 沃尔兹, , 国际政治理论(信强역)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2003]
  • 肖欢容, 2004, 地区主义: 理论的历史演进, 北京: 中国传媒大学出版社.
  • 罗素, , 西方哲学史(马元德역)
    北京: 商务印书馆 [2009]
  • 罗清和, 曾婧, 2016, 一带一路与中国自由贸易区建设, 区域经济评论, 2016(1): 18-22.
  • 罗伯特 基欧汉, , 霸权之后: 世界政治经济中的霸权与纷争(苏长和역)
    上海: 世纪出版集团 [2006]
  • 罗伯特 吉尔平, , 全球政治经济学: 解读国际经济秩序(杨宇光, 杨炯역)
    上 海: 上海人民出版社 [2006]
  • 籐末健三, 2013, FTAに,関する政策決定システムの日韓比較分析, 北東アジア研 究, 2013(3): 17-29.
    [2013]
  • 管原淳一, 2017, TPPを土台としだ新協定の可能性——再考迫られる日本の通商 戦略, みずほ総合研究所インサイト, 2017(3): 49-55.
    [2017]
  • 管原淳一, 2012, 政権の手腕が問われる2012年通商交渉, みずほりサーチ, 2012(1): 9-20.
  • 秦艳峰, 2004, 欧盟区域一体化给东亚合作带来的启示, 延安大学学报(社会科学 版), 2004(5): 6-9.
  • 秦海林, 2017, 特朗普新政对我国工业的影响及对策研究, 中国信息化周报, 2017(23): 03-13.
  • 秦亚青, 2008, 理性与国际合作: 自由主义国际关系理论研究, 北京: 世界知识出版 社.
  • 石峡, 李小红, 罗林敏, 2007, 基于贸易关联性的中, 韩自由贸易区可行性分析, 特 区经济, 2007(11): 19-22.
  • 盛斌, 2014, 迎接国际贸易与投资新规则的机遇与挑战, 国际贸易, 2014(2): 7-13.
  • 皮埃尔·米盖尔, 1985, 法国史, 北京: 商务印书馆.
    [1985]
  • 皮埃尔 热尔贝, , 欧洲统一的历史与现实(丁一凡외 역)
    北京: 中国社会科学 出版社 [1989]
  • 白贵玉, , 中韩贸易商品结构存在的问题分析, 贵州财经大学
    석사학위논문 [2012]
  • 白绪全, 2006, 法国与早期欧洲一体化——从煤钢联营到欧洲经济共同体, 滁州 学院学报, 10: 7-11
  • 白洁, 苏庆义, 2019, CPTPP的规则, 影响及中国对策: 基于和TPP对比的分析, 国 际经济评论, 2019(1): 22-33.
    [2019]
  • 白当伟, 陈漓高, 2003, 区域贸易协定的非传统收益: 理论, 评述及其在东亚的应用, 世界经济研究, 6: 11-17.
  • 申东镇, , 韩国外向型经济研究, 东北财经大学
    석사학위논문 [2011]
  • 田雪, , 构建中日韩自由贸易的问题研究, 黑龙江大学
    석사학위논문 [2014]
  • 田浩国, 杨令, 柳婷, 2020, 中美贸易摩擦背景下推进中日韩自贸区建设的路径探 析, 湖北经济学院学报(人文社会科学版), 2020(5): 1-5.
  • 田中宏, 2008, 政策転換および締結交渉推移から見た日本のFTA政策, 国際開発 研究, 2008(3): 45-51.
    [2008]
  • 王震宇, 2017, 中国自贸区战略与亚太自贸区建设, 国际经济合作, 2017(7): 27-31.
  • 王霁平, 2014, 开创中国—东盟合作新局, .国际商报, 2014(11-18): A03.
    [2014]
  • 王跃生, 2018, 世界经济或将进入多趋势并存的时代: 表征, 成因与未来——兼论特 朗普的三零贸易秩序, 国际经济评论, 2018(6): 13-18.
  • 王蕊, 2016, 从TPP看中国自由贸易协定原产地规则的完善, 国际经济合作, 2016(10): 19-22.
    [2016]
  • 王芳, 2018, CPTPP投资规则对中国外资政策的启示, 区域与全球发展, 2018(2): 22-26.
    [2018]
  • 王皓, 许佳, 2016, 中日韩FTA建设与东北亚区域合作——基于中日韩三国自贸区 战略的分析, 亚太经济, 2016(4): 27-31.
    [2016]
  • 王琳, 2015, 全球自贸区发展新态势下中国自贸区的推进战略, 上海对外经贸大学 学报, 2015(1): 17-21.
  • 王琳, 2014, 韩国加入TPP和中国东亚自贸区战略选择, 亚太经济, 2014(3): 31-35.
    [2014]
  • 王泺., 2010, 日本EPA战略评估及对中国的影响, 国际贸易, 2010(2): 20-24.
    [2010]
  • 王杰, 2002, 国际机制论, 北京: 新华出版社.
  • 王成洋, 2014, 东亚一体化渐行渐近, 金融时报, 2014(11-15): 008.
  • 王希亮, 2009, 日本战争责任与历史认识问题研究, 哈尔滨: 黑龙江人民出版社.
  • 王学玉, 2001, 欧洲一体化: 一个进程多种理论, 欧洲, 2001(2): 19-22.
  • 王孝松, 武皖, 2018, CPTPP建立的影响及中国的应对策略探究, 区域与全球发展, 2018(3): 22-26.
    [2018]
  • 王子昌, 郭友新, 2001, 国家利益还是地区利益——东盟合作政治经济学, 北京: 世 界知识出版社.
  • 王子昌, 2004, 东亚区域合作的动力与机制, 北京: 中国社会科学出版社.
  • 王厚双, 齐朝顺, 2015, 中韩FTA的经济政治影响分析, 东北亚研究论丛, 2015(01): 6-11.
    [2015]
  • 王厚双, 2016, 日本FTA农业议题谈判模式研究, 日本学刊, 2016(1): 7-11.
    [2016]
  • 王卓字, 2010, 发展中日关系的新功能主义尝试, 陇东学院学报, 2010(1): 5-8.
  • 王凤玲, , 日本的区域经济一体化战略研究, 吉林大学
    박사학위논문 [2006]
  • 王光艳, 龚晓莺, 2013, 国际贸易理论与政策, 第2版, 北京: 经济管理岀版社.
  • 王俊岭, 2017, TPP何以陷入僵局, 人民日报海外版, 2017(04-25): 3.
    [2017]
  • 王丽萍, 李创, 2011, 国际贸易理论与实务, 北京: 清华大学岀版社.
  • 王丽琴, 朱美琳, 2018, 中国推动地区经济一体化的路径研究:从东亚自贸区到亚太 自贸区, 同济大学学报(社会科学版), 2018(6): 17-19.
  • 玄叶光一郎, 2011, TPPを奇貨にFTA交渉を加速化する, Voice, 2011(1): 19-27.
    [2011]
  • 牛海霞, 2014, 欧盟共同农业政策研究及启示, 世界农业, 2014(8): 13-15.
  • 焦佩, 陈旭, 和春红, 李玮玮, 2018, 中日韩合作面临的挑战及对策, 东亚评论, 2018(1): 39-43.
  • 澤内大輔, 2009, 自由貿易協定が日本の農業生産および農業環境に及ぼす影響広 関する経済分析, 北海道大学大学院農学研究院邦文紀要, 30
  • 潘忠岐, 2015, 国际政治学理论解析,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 潘忠岐, 2003, 新功能主义扩溢理论及其批判, 上海交通大学学报, 2003(3): 27-29.
  • 清水一史, 2014, RCEPと東アジア経済統合:東アジアのメが, 国際問題, 2014: 632.
    [2014]
  • 浦野起央, 2005, 日本历史认识问题的几个层次分析, 太平洋学报, 2005(7): 19-22.
  • 浦田秀次郎외, , 日本の通商戦略の課題と将来展望
    21世紀政策研究所, 2012(7): 14-22 [2012]
  • 浦田秀次郎, 2006, 日本のFTA戦略, 財務省財務総合政策研究所フィナンシャル· レビユー, 2006(4): 19-30.
    [2006]
  • 洪在华, 2017, 韩国在韩中日FTA谈判中应提出的诉求, Joseilbo, 2017-02-17.
    [2017]
  • 法布里斯 拉哈, , 欧洲一体化史(1945-2004)(彭姝祎, 陈志瑞역)
    北京: 中国 社会科学出版社 [2005]
  • 河浪武史, 2015, 特朗普: 准备好与TPP参加国进行多边谈判, 人民网日本频道, 2015-01—29.
    [2015]
  • 沈铭辉, 李天国, 2017, 韩国对外贸易战略与FTA政策的演变, 亚太经济, 2017(2): 27-33
    [2017]
  • 沈铭辉, 2015, 跨太平伙伴关系协定: 基于FTA战略视角的研究, 北京: 经济管理出 版社.
    [2015]
  • 沈铭辉, 2011, 中日韩自由贸易区的经济学分析, 国际经济合作, 2011(3): 24-27.
  • 汪波, 2004, 新功能主义: 对功能主义的重新审视, 武汉大学学报, 2004(3): 7-10.
  • 汪丽萍, 2007, 东亚区域合作与欧洲一体化的发展模式比较, 南京师大学报(社会科 学版), 2017(5): 14-17.
  • 汤欢欢, , 中日韩FTA的构建研究, 河北大学
    석사학위논문 [2014]
  • 江瑞平, 2004, 构建中的东亚共同体: 经济基础与政治障碍, 世界经济与政治, 2004(9): 47-51.
  • 江原規由, 2015, 中国のFTA戦略の中心〜一帯一路(シルクロード)FTA構想, 国 際貿易と投資, 2015(9): 11-20.
    [2015]
  • 毕莹, 2016, 中曰韩FTA之争与反倾销规则协调研究, 北京: 法律出版社.
    [2016]
  • 樋口篤志, 2005, FTAと日本の対応, Kobe International University review, 2005: 69.
    [2005]
  • 樊莹, 2005, 国际区域一体化的经济效应, 北京: 中国经济出版社.
  • 楊光洙, 2017, アメリ力のTPP協定離脱と日本のFTA戦略, 東アジア評論, 2017(9): 39-48.
    [2017]
  • 梅平, 2010, 东亚合作还是亚太合作: 亚太地区合作的机制与方向研究, 北京: 世界 知识出版社.
  • 案浦崇, 2002, アジア太平洋における日本のAPEC・FTA戦略. Shoin review, 2: 19-27.
    [2002]
  • 栗林史子, 2017, 日米二国間の貿易交渉に意欲米副大統領, 経済対話で, 朝日新 聞, 2017: 04-18.
  • 柘植一乃외, , 日本・EU間自由貿易協定の締結が農業由来の環境負荷に及 ぼす潜在的影響
    農林業問題研究, 2001(2): 46-59 [2001]
  • 林钰,, 2016, 区域自由贸易协定中负面清单的国际比较研究, 北京: 北京大学出 版社.
  • 林琳, 李怀琪, 2015, 中国-新加坡自由贸易区的经济效应研究, 经济问题探索, 2015(11): 25-28.
  • 林僖, 鲍晓华, 2018, 区域服务贸易协定如何影响服务贸易流量?——基于增加值贸 易的研究视角, 经济研究, 2018(1): 13-17.
  • 杨逢珉, 杨金超, 2013, 自贸区建设背景下中日韩农产品贸易研究, 中国市场, 2013(3): 7-14.
  • 杨言贵, 2005, 中日韩自由贸易区研究, 北京: 中国社会科学出版社.
  • 杨莉, 2015, 中日韩三国商品贸易与服务贸易的依存度和互补性, 浙江树人大学学 报(人文社会科学), 2015(1): 15-19.
  • 杨厚兰, 2014, 促进东亚共同体发展——解读李克强总理出席东亚合作领导人系列 会议成果, 光明日报, 2014(11-23): 008.
  • 杨勇, 2012, 亚太区域一体化新特征与中国的策略选择, 亚太经济, 2012(5): 39-44.
  • 杨伯江, 2016, 东北亚地区如何实现与历史的共生——从大历史维度思考中日 韩和解合作之道, 东北亚论坛, 2016(4): 11-17.
  • 杜威剑, 李梦洁, 2015, 中日韩自由贸易区建立的经济影响——基于局部均衡模型 的分析, 国际经贸探索, 2015(3): 17-23.
  • 李韶燕, 崔文, 2014, 关于中国和韩国已签订FTA原产地规则的比较研究, 现代经 济信息, 2014(3): 26-31.
    [2014]
  • 李雪威, 吴吴, 2013, 新贸易环境下中韩FTA促进战略评析, 东北亚论坛, 2013(3): -37.
    [2013]
  • 李荣林, 赵滨元, 2012, 中国当前FTA贸易效应分析与比较, 亚太经济, 2012(3): 4-7.
    [2012]
  • 李荣林, 2011, APEC内部FTA的发展及其对APEC的影响, 天津: 天津大学岀版社.
    [2011]
  • 李艳霞, , TPP投资法律关系研究, 黑龙江大学
    석사학위논문 [2018]
  • 李海莲, 张楚翘, 2017, 中韩, 中日工业制成品产业内贸易特征及影响要素的比较研 究, 东北亚经济研究, 2017(1): 29-35
  • 李欣, , 中日韩自贸区筹建背景下三国文化产业及文化贸易研究, 对外经济贸 易大学
    박사학위논문 [2015]
  • 李桀, , 东北亚经济合作的基础与条件——兼论中日韩自贸区的构建, 外交学 院
    석사학위논문 [2014]
  • 李杨, 冯伟杰, 黄艳希, 2015, 中韩自由贸易协定的影响效应研究, 东北亚论坛, 2015(6): 36-39.
  • 李木禾, 2016, TPP正式运行了中国如何应对——以中日韩自贸区经济效应分析为 例, 江苏商论, (2016(10): 25-28.
    [2016]
  • 李景治, 2003, 政党政治视角下的欧洲一体化, 北京: 法律出版社.
  • 李晓霞, , 协调博弈视角下的中日韩自贸区谈判问题研究, 吉林大学
    석사학위 논문 [2015]
  • 李春顶, 郭志芳, 何传添, 2018, 中国大型区域贸易协定谈判的潜在经济影响, 经济 研究, 2018(5): 47-50.
  • 李明艳, , 双边自由贸易区发展的成功关键因素研究, 东南大学
    석사학위논 문 [2006]
  • 李明权, 2015, 日本FTA进程落后于韩国的原因探析——基于农业保护的政治经济 学视角, 日本学刊, 2015(7): 31-35
    [2015]
  • 李明明, 2005, 论欧盟区域认同的社会建构, 南开学报(哲社版), 2005(5): 37-40.
  • 李政鸿, 曾怡仁, 2011, 马克思主义视角下的欧洲一体化, 世界经济与政治, 2011(11): 37-39.
  • 李志龙, 2014, 中日韩自由贸易区发展前景探析, 北方经贸, 2014(12): 31-35.
  • 李开盛, 2019, 对推进中日韩政治与安全合作的思考.现代国际关系, 2019(4). 37-40.
  • 李大伟, 金瑞庭, 2016, TPP对中国经济的影响及对策分析——基于亚太生产网络 的分析视角, 全球化, 2016(8): 11-16.
    [2016]
  • 李向阳, 2013, 中日韩自由贸易区面临的挑战, 北京: 社会科学文献出版社.
  • 李剑荣, 2014, 中日韩农业保护政策比较研究, 国际研究, 2014(4): 17-19.
  • 李凡, 2013, 战后东北亚主要国家间领土纠纷与国际关系研究, 南京: 江苏人民出版 社.
  • 李光辉, 王芮, 2017, 我国自贸区建设的成就与今后重点发展方向, 国际贸易, 2017(7): 4-9.
  • 李俊久, 2009, 日本FTA战略论析, 当代亚太, 2009(2): 7-11.
    [2009]
  • 李东新, 2015, 中韩自贸区运行基础与产业发展影响研究, 北京: 社会科学文献出版 社
  • 李东新, 2014, 新功能主义理论与中日韩FTA建构模式, 北京: 社会科学文献出版 社.
    [2014]
  • 李世安, 刘丽云외, , 欧洲一体化史
    河北: 河北人民出版社 [2006]
  • 朴英爱, 金香兰, 2017, 美国退岀TPP对日本FTA战略的影响及其走势分析, 现代 日本经济, 2017(7): 36-41.
    [2017]
  • 朴英爱, 金香兰, 2014, 日本FTA政策变化及评价, 现代日本经济, 2014(9): 19-25
    [2014]
  • 朴英爱, 牟春野, 2006, 中日韩的FTA进程及其政策比较分析, 现代日本经济, 2006(4): 19-23.
    [2006]
  • 朴英爱, 刘志刚, 2015, 韩国自由贸易协定中的环境条款分析, 经济纵横, 2015(5): 26-33.
  • 朴昭姬, 2015, 朴槿惠政府新自由贸易协定(FTA)政策评析, 亚太经济, 2015(1): 37-42.
    [2015]
  • 木村浩一郎, 2013, FTAを用いたJavaブログラムェラーの解析に関する研究, 法 政大学大学院紀要, 2018(8): 67-71.
  • 曾霞, 2013, 参与TPP谈判对日本的冲击及其应对措施探析, 现代日本经济, 2013(6): 71-77.
    [2013]
  • 曾文革, 陈晓芳,2012, 构建中日韩自贸区农产品市场准入谈判分析, 东北亚论坛, 2012(1): 45-50.
  • 星野三喜夫, 2012, TPP参加总日本の優先順位の1っである, 新潟産業大学経済学 部紀要, 2012: 40.
    [2012]
  • 日本通商産業省, 2000, 平成12年版通商白書.
  • 日本通商産業省, 1999, 平成11年版通商白書.
  • 日本統計局, 2017, 第六十回日本統計年鑑平成23年.
  • 日本統計局, 2017, 第六十五回日本統計年鑑平成28年.
  • 日本統計局, 2017, 日本の長期統計系列(1963-2004年).
  • 日本経済産業省, 2107, 日本における原産地証明書の発給件数推移
  • 日本経済産業省, 2106, グローバル経済戦略.
  • 日本経済産業省, 2020, 通商白書2020 , 东京: 勝美印刷
  • 日本経済産業省, 2019, 通商白書2019, 东京: 勝美印刷
  • 日本経済産業省, 2018, 通商白書2018, 东京: 勝美印刷
  • 日本経済産業省, 2017, 通商白書2017, 东京: 勝美印刷
  • 日本経済産業省, 2016, 通商白書2016 , 东京: 勝美印刷
  • 日本経済産業省, 2015, 通商白書2015 , 东京: 勝美印刷
  • 日本経済産業省, 2014, 通商白書2014 , 东京: 勝美印刷
  • 日本経済産業省, 2,013, 通商白書2013, 东京: 勝美印刷
  • 日本経済団体連合会, 2000, 自由貿易協定の積極的な推進を望む, 20007-18
  • 日本経済団体連合会, 1999, 次期WTO交渉ヘの期待と今後のが国通商政策の課 題, 1999: 05-18.
    [1999]
  • 日本外務省, 2017, 経済連携協定(EPA)/自由貿易協定(FTA).
    [2017]
  • 日本外務省, 2017, 経済外交(WT0・FTA)に関する意識調査.
    [2017]
  • 日本外務省, 2017, 日EU経済連携協定(EPA)交渉概要.
    [2017]
  • 日本外務省, 2017, わが国のEPA(経済連携協定)戦略.
    [2017]
  • 日本外務省, 2016, 日本の経済連携協定(EPA).
    [2016]
  • 日本外務省, 2016, 日本のFTA戦略.
    [2016]
  • 日本内閣府大臣官房政府広報室, 2017, 2009年10月世論調査.
  • 日本内閣府, 2016, 経済財政白書(平成28年版), 东京: 日経印刷
  • 日本内閣府, 2016, 平成27年度国民経済計算年次推計-GDPの国際比較.
    [2016]
  • 日本内閣府, 2016, 2016年版高齢社会白書
  • 日本内閣府, 2015, 経済財政白書(平成27年版), 东京: 日経印刷,
  • 日本内閣府, 2014, 日本再興戦略改定2014., 06-24
  • 日本内閣府, 2013, 日本再興戦略.
  • 日本内閣府, 2012, 日本再生戦略.
  • 日本内閣府, 2010, 包括的経済連携に関する基本方針.
  • 日本内閣府, 2004, 経済連携促進関係閣議会議.今後の経済連携協定の推進につい ての基本方針.
  • 日本内閣官房, 2010, 包括的経済連携に関する検討状況.
  • 日本内閣官房, 2010, EPAに関する各種試算.
    [2010]
  • 日本内閣官房, 2010, APECにおける経済連携.
    [2010]
  • 施特恩堡, , 从俾斯麦到科尔: 德国政府首脑列传(许右军외 역)
    北京: 当代世 界岀版社 [1997]
  • 新华网, 2014, 习近平: 加快实施自由贸易区战略, 加快构建开放型经济新体制, 2014-12-06.
  • 新华网, 2012, 胡锦涛在中国共产党第十八次全国代表大会上的报告, 2012-11-17.
  • 房乐宪, 2009, 欧洲政治一体化: 理论与实践, 北京: 中国人民大学出版社.
  • 房乐宪, 2001, 新功能主义理论与欧洲一体化, 欧洲, 2001(1): 3-9.
  • 房乐宪, 2000, 欧洲一体化理论中的功能主义, 教学与研究, 2000(10): 21-23.
  • 成利沙, , 中国与新加坡双边贸易的发展及推进因素分析, 东北财经大学
    석사 학위논문 [2012]
  • 德里克, W 厄尔温, , 第二次世界大战后的西欧政治(章定昭역)
    北京: 中国 对外翻译出版公司 [1985]
  • 徐迅, 2005, 民族主义, 北京: 中国社会科学出版社.
  • 徐菲, 2013, 中国与日韩构建自由贸易区的路径与策略研究, 硕士学位论文, 中国海 洋大学
  • 徐梅, 赵江林, 2008, 中日两国FTA战略的比较分析, 日本学刊, 2008(6): 44-48.
    [2008]
  • 徐梅, 张淑英, 赵树林, 2009, 中日建立自由贸易区研究.北京: 中国经济出版社.
  • 徐梅, 2012, 中日韩FTA的进展, 影响及前景探析, 日本学刊, 2012(5): 27-33.
    [2012]
  • 徐春祥, 2014, 推进中日韩自贸区建设是中国在亚洲唯一区域战略选择, 东北亚论 坛, 2014(3): 14-19.
  • 彼得 卡赞斯坦, , 地区构成的世界: 美国帝权中的亚洲和欧洲(秦亚青, 魏玲 역)
    北京: 北京大学出版社 [2007]
  • 彭述华, 2011, 东亚经济一体化主导问题研究, 北京: 人民出版社.
  • 彭支伟, 张伯伟, 2012, 中日韩自由贸易区的经济效应及推进路径——基于 SMART的模拟分析, 世界经济研究, 2012(12): 17-29.
    [2012]
  • 张虎, 2019, 中韩FTA与WTO争端解决机制管辖权的冲突及协调, 山东社会科学, 2019(12): 9-16.
    [2019]
  • 张蕴岭, 沈明辉等, 2010, 东亚, 亚太区域合作模式与利益博弈, 北京: 经济管理出 版社.
  • 张蕴岭, 周小兵, 2002, 东亚合作的进程与前景, 北京: 世界知识出版社.
  • 张蕴岭, 2015, 在理想与现实之间: 我对东亚合作的研究, 参与和思考, 北京: 中国 社会科学出版社.
  • 张茉楠, 2016, 失去美国, TPP是死亡还是重生?华夏时报, 2016-12-02.
    [2016]
  • 张波, 2015, 中日美韩在东亚区域合作中的博弈及中国的策略, 香港新世纪文化出 版社有限公司.
  • 张曙霄, 2003, 中国对外贸易结构论, 北京: 经济科学出版社.
  • 张文磊,, , CPTPP视角下投资者——国家争端解决机制的发展我国对策研究, 华东政法大学
    석사학위논문 [2019]
  • 张才圣, 2011, 德国与欧洲一体化, 北京: 人民出版社.
  • 张慧智, 2017, 特朗普新政下的东亚区域经济合作挑战与展望, 山西大学学报, 2017(5): 20-24.
  • 张婷玉, , 美国自由贸易区战略研究——基于政治经济视角, 辽宁大学
    석사학 위논문 [2014]
  • 张威, 崔卫杰, 叶欣, 2018, 中国自贸试验区发展成就与政策建议, 国际经济合作, 2018(1): 17-22.
  • 张天桂, 2013, 开放战略升级和金融危机后中国FTA战略的深入实施, 亚太经济, 2013(1): 7-14.
    [2013]
  • 张司晨, 2020, 依托中日韩FTA新进展推动东北亚区域合作实现新突破, 东北亚经 济研究, 2020(1): 19-24.
    [2020]
  • 张双, , 中国一韩国自由贸易协定中的服务贸易规则研究, 吉林大学
    석사 학위논문 [2017]
  • 张云燕, 2005, 从功能主义到建构主义——国际区域经济合作研究的三种范式, 世 界经济与政治, 2015(4): 19-26.
  • 廖战海, 曹亮, 张亮, 2016, 中韩FTA对两国贸易结构的影响研究, 宏观经济研究, 2016(08): 35-38.
    [2016]
  • 廖小健, 廖新年, 2005, 韩国的FTA战略, 外交评论, 2005(10): 16-21.
    [2005]
  • 康永信, 2016, 亚太经济一体化发展动态与中国FTA战略, 未来与发展, 2016(12): 35-38.
    [2016]
  • 康拉德·阿登纳, 1976, 阿登纳回忆录,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76]
  • 庞中鹏, 2018, 中日韩合作机制特点, 机遇与挑战及其走向的分析, 东北亚学刊, 2018(5): 11-14.
  • 平力群, 2014, 日本调整FTA战略的动因——基于保护与支持产业发展的视角, 现 代日本经济, 2014(3): 22-26.
    [2014]
  • 常烨, 2007, 油价持续高位徘徊, 能源争夺战方兴未艾, 人民网, 2007-10-02.
  • 布鲁斯 拉西特, 哈维 斯塔尔, , 世界政治(第五版)(王玉珍외 역)
    北京: 华夏 出版社 [2001]
  • 巴里 布赞, 理查德 利特尔, , 世界历史中的国际体系——国际关系研究的再构 建(刘德斌외 역)
    北京: 高等教育出版社 [2004]
  • 川崎研一, 2017, 台頭する地域統合の不確実性——代替的な地域貿易協定シナリ 才の経済効果, GRIPS Discussion papers16-27, 2017(1): 9-20.
    [2017]
  • 川崎研一, 2011, EPAの優先順位: 経済効果の大きい貿易相手は, 2011: 05-31.
    [2011]
  • 崔兑旭, 2006, 韩国自由贸易协定(FTA)的推进战略, 当代韩国, 2006(3): 35-40.
    [2006]
  • 岩田伸人, 2016, 日本·モンゴルEPAの課題, 経営行動研究年報, 2016: 25.
    [2016]
  • 岩田伸人, 2016, 先進国のメがFTA七途上国の関税同盟: WTO体制下の地域統 合, 貿易と関税, 2016(2): 37-46.
    [2016]
  • 山澤逸平외, , 通商政策の潮流と日本-FTA戦略とTPP
    日本: 勁草書房 [2012]
  • 小约瑟夫 奈, , 理解国际冲突: 理论与历史, 第七版(张小明역)
    上海: 上海 人民出版社 [2009]
  • 宫少朋, 朱立群, 周启朋, 1999, 冷战后国际关系, 北京: 世界知识出版社.
  • 宫占奎, 曾霞, 2013, 亚太地区FTA整合问题研究, 南开学报, 2013(4): 18-22.
    [2013]
  • 宫占奎, 2011, 中日韩自由贸易区发展进程分析, 创新, 2011(6): 24-27.
  • 宋秀琚, 2006, 国际合作论: 批判与建构, 北京: 世界知识出版社.
  • 宋亚平, , 建立国际投资争端解决上诉机制问题的研究., 华东政法大学
    석사 학위논문 [2019]
  • 安特耶 维纳, 托马斯 迪兹, , 欧洲一体化理论(朱立群외 역)
    北京: 世界知识 岀版社 [2009]
  • 安德鲁 莫劳夫奇克, 欧洲的抉择——社会目标和政府权力: 从墨西拿到马斯 特里赫特(赵晨, 陈志瑞역)
    北京: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8]
  • 孟莹., , 中日韩自贸区建立对我国吸引FDI的影响模拟分析, 辽宁大学
    석사학 위논문 [2014]
  • 孙钰斐, 2015, 中日韩自贸区谈判阻力分析, 现代经济信息, 2015(1): 29-33.
  • 孙蕊, 齐俊妍, 2017, 《中韩自贸协定》中方服务贸易减让表评估——基于五级分 类频度法和STRI指数方法, 中国经济问题, 2017(3): 6-13.
    [2017]
  • 孙玉红, 2010, 日本企业未能充分利用EPA优惠的原因和对策, 日本学刊, 2010(4): 18-22
    [2010]
  • 孙玉红, , 全球FTA网络化发展研究, 东北财经大学
    석사학위논문 [2007]
  • 孙晓郁,2006, 中日韩可能建立的自由贸易区, 北京: 商务出版社.
  • 孙宇., , 中国区域经济一体化战略构建研究——基于亚洲生产网络视角, , 首 都经济贸易大学
    박사학위논문 [2013]
  • 孔华润, 沃伦・科恩, , 剑桥美国对外关系史(下), 第四卷, 苏联强权时期的美 国(1945—1991)(王琛역)
    北京: 新华出版社 [2004]
  • 姬艳洁, 董秘刚, 2016, 基于巴拉萨模型的中国新西兰FTA贸易效应研究, 亚太经 济, 2016(6): 37-42.
    [2016]
  • 姜跃春, 2014, 美国介入TPP的战略考虑与中日韩合作, 中国朝鲜史研究会, 朝鲜, 韩国历史研究, 第十六辑, 中国朝鲜史研究会.
    [2014]
  • 姜跃春, 2013, 亚太区域合作的新变化与中日韩合作, 东北亚论坛, 2013(2): 1-4.
  • 姜文卿, 2017, 论中韩FTA上贸易救济制度, 法制与社会, 26: 1-3.
    [2017]
  • 大越匡洋, 2014, 中日韩FTA第5轮谈判开始目标一揽子计划, 人民网日本频道, 2014-09—02.
    [2014]
  • 夏尔·戴高乐2005, 希望回忆录, 北京: 中国人民大学出版社.
    [2005]
  • 埃德加·莫兰, 雅克·德洛尔, 阿尔弗雷德·贝纳-维加, 2008, 反思欧洲认同: 历史, 现状与未来, 欧洲研究.
    [2008]
  • 国家发展改革委, 外交部, 商务部, 2015, 推动共建丝绸之路经济带和21世纪海上丝 绸之路的愿景与行动, 2015-03-28.
  • 国务院, 2015, 国务院关于加快实施自由贸易区战略的若干意见, 2015-12-17.
  • 国务院, 2013, 中共中央关于全面深化改革若干重大问题的决定, 2013-11-15.
  • 国务院, 2005, 中华人民共和国主席令第十五号, 2005-06-27.
  • 商务部, 2016, 中美中欧投资协定谈判取得新进展, 2016-3-21.
  • 商务部, 2013, 中日韩自贸区第二轮谈判在上海举行, 2013-07-30.
  • 商务部, 2013, 中日韩自贸区第三轮谈判在日本东京举行, 2013-12-17.
  • 商务部, 2012, 中日韩启动三国自贸区谈判, 2012-11-20.
  • 商务部, 2012, 中日韩三国正式签署投资协定, 2012-05-13.
  • 商务部, 2008, 商务部海关总署关于规范自由贸易区表述的函, 2008-05-09.
  • 商务部, 2007, 将继续扩大中国对外投资规模并提升水平, 2007-09-08.
  • 唐奇芳, 2012, 中日韩自贸区: 开局良好, 任重道远, 中国经济导报, 2012(02-02): B03.
    [2012]
  • 唐国强, 王震宇, 2015, 亚太自由贸易区: 路线图与优先任务, 国际问题研究, 2015(1): 21-24.
  • 周曙东, 肖宵, 杨军, 2016, 中韩自贸区建立对两国主要产业的经济影响分析——基 于中韩自由贸易协定的关税减让方案, 国际贸易问题, 2016(5): 27-40.
  • 周建平, 2002, 欧洲一体化政治经济学, 上海: 复旦大学出版社.
  • 周升起, 付华, 2014, 贸易便利化与中国出口贸易:基于改进引力模型的分析, 商 业研究, 2014(11): 19-32.
  • 吴旭, 2015, 中韩FTA终过韩国内大考”政府着急国会纠结, 中国新闻网, 2015-12-01.
    [2015]
  • 吴志成, 李敏, 2004, 欧洲一体化观照下的亚洲地区主义.南开学报(哲学社会科学 版), 2004(4): 9-11.
  • 吴友法, 2009, 德国问题与早期欧洲一体化——第二次世界大战后欧洲为什么走 上联合道路, 武汉大学学报(人文科学版), 2009(4): 17-20.
  • 吕耀东, 2014, 试析中日两国冲突与纷争中的历史问题因素, 东北亚论坛, 2014(3): 26-29.
  • 吕波, , 中韩FTA建立的经济效应和结构影响分析——基于GTAP模型的研究, 东北财经大学
    석사학위논문 [2016]
  • 吉斯卡尔·德斯坦, 1991, 德斯坦回忆录——政权与人生, 北京: 世界知识出版社.
    [1991]
  • 卢新华, 2007, 欧洲一体化的经验对东亚经济一体化的启示, 改革与战略, 2007(6): 33-37.
  • 卡洛・M 奇波拉, , 欧洲经济史, 第五卷, 下册, 二十世纪(林尔蔚역)
    北京: 商务印书馆 [1988]
  • 卡尔·多伊奇, 1992, 国际关系分析, 北京: 世界知识出版社.
    [1992]
  • 华晓红, 汪霞, 郑学党, 2014, 中国在周边区域经济一体化安排中的FTA利用率研 究, 亚太经济, 2014(11): 47-49.
    [2014]
  • 华晓红, 汪霞, 2014, CAFTA, CEPA, ECFA利用率浅析——以货物贸易为例, 国 际贸易, 2014(12): 13-22.
    [2014]
  • 匡增杰, , 中日韩自贸区的贸易效应研究, 上海社会科学院
    박사학위논문 [2014]
  • 包蕴涵, 2014, 东亚系列峰会推动区域一体化建设, 中国经济报, 2014(3): 11-15.
  • 加藤宏一, 2014, 中日韩FTA或难在年末达成协议, 环球时报, 2014-03—10.
    [2014]
  • 刘鹏春, 辛欢, 陈成, 2015, TPP对中日韩自由贸易区的可行性及建设路径的影响研 究——基于GTAP模型的分析, 国际贸易问题, 2015(1): 23-31.
    [2015]
  • 刘险得, 2006, 欧洲一体化理论:新旧功能主义分析, 华中师范大学研究生学报, 2006(12): 14-17
  • 刘重力, 盛玮, 2008, 中日韩FTA战略比较研究, 东北亚论坛, 2008(1): 16-19.
    [2008]
  • 刘重力, 王小洁, 2014, 东亚区域合作主导权之争的政治经济学分析, 南开学报, 2014(4): 25-27.
  • 刘茵, , 中国推进区域经济一体化的FTA战略性研究, 东北财经大学
    석사학 위논문 [2015]
  • 刘红, 2006, 东亚区域合作与中日民间交流, 日本研究, 2006(1): 16-20
  • 刘璐, , 中日韩自贸区服务贸易发展策略研究, 东华大学
    석사학위논문 [2016]
  • 刘清才, 高科, 2007, 东北亚地缘政治与中国地缘战略, 天津: 天津人民出版社.
  • 刘深诣, , 中日韩区域合作的进程及前景分析, 吉林大学
    석사학위논문 [2014]
  • 刘洪铎, 李文宇, 陈和, 2016, 文化交融如何影响中国与一带一路沿线国家的双边 贸易往来——基于1995-2013年微观贸易数据的实证检验, 国际贸易问题, 2016(2): 27-31.
  • 刘梦琳, , 中国-新加坡自由贸易区贸易效应研究, 首都经济贸易大学
    석사학 위논문 [2017]
  • 刘朋春, 2015, 双边FTA是否会成为中日韩自由贸易区的“垫脚石”?——中日韩自 由贸易区建设路径的GTAP模拟分析, 现代日本经济, 2015(1): 17-26.
    [2015]
  • 刘昌黎,, 2011, 日本参加TPP谈判的动因, 制约因素与政策措施, 日本学刊, 2011(1): 13-18.
    [2011]
  • 刘昌黎, 2009, 日本FTA/EPA的新进展, 问题及其对策, 日本学刊, 2009(4): 7-11.
    [2009]
  • 刘斌, 庞超然, 2016, 中韩自贸区的经济效应研究与对策分析——基于GTAP模型 的模拟, 经济评论, 2016(5): 22-29
    [2016]
  • 刘斌, 2018, 逆全球化背景下中国FTA发展趋势与战略选择, 国际贸易, 2018(11): 9-13.
    [2018]
  • 刘均胜, 2018, 特朗普贸易保护主义背景下的中日韩自贸区, 太平洋学报, 2018(12): 12-14.
  • 刘东旭, , 亚太自由贸易区实现路径研究, 上海社会科学院
    박사학위논문 [2016]
  • 刁莉, 史欣欣, 罗培, 2016, 中俄蒙经济的发展与自由贸易区的推进一基于SMART 模型的实证分析, 清华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版), 2016(6): 47-51.
    [2016]
  • 刁呈亮, , 中日韩区域经济一体化经济效应研究, 中国海洋大学
    석사학위논 문 [2015]
  • 冯军, 陈深, 2015, 亚太自由贸易区的由来及影响, 亚太经济, 2015(3): 33-35.
  • 兹比格纽 布热津斯基, , 大棋局: 美国的首要地位及其地缘战略(中国国际问题 研究所역)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98]
  • 具天书, 2014, 东北亚共同体建设: 阻碍性因素及其超越——韩国的视角, 北京: 北 京大学出版社.
  • 具天书, 2012, 东亚共同体建设的障碍与出路: 韩国的视角, 当代亚太, 2012(1): 7-11.
  • 全毅, 2011, 十字路口的东亚区域合作: 东亚经济合作新思维, 北京: 经济科学出版 社.
  • 保罗 肯尼迪, , 大国的兴衰(蒋葆英외 역)
    北京: 中国经济出版社 [1989]
  • 余梅, 2017, 东亚区域经济一体化与中国FTA战略选择, 改革与战略, 2012(2): 18-26.
    [2017]
  • 何志工, 安小平, 2008, 东北亚区域合作: 桐乡东亚共同体之路, 北京: 时事出版社.
  • 何军明, 2009, 东亚FTA原产地规则的成本与特惠利用率, 南京财经大学学报, 2009(1): 23-25.
    [2009]
  • 伏军, 2016, 中国与TPP有多远?——中国FTA协定与TPP比较分析, 暨南学报(哲 学社会科学版), 2016(9): 14-16.
    [2016]
  • 任明, 任熙男, 2007, 日本FTA政策的动向, 特征及展望, 现代日本经济, 2007(5): 6-9.
    [2007]
  • 付碧莲, 2015, 中日韩自贸区还缺什么.国际金融时报, 2015-11-02.
  • 人民网, 2007, 胡锦涛在党的十七大上的报告, 2007-10-24.
  • 亚历山大 温特, , 国际政治的社会理论(秦亚青역)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2008]
  • 井上清等, , 战后日本(张廷铮역)
    北京: 世界知识出版社 [1995]
  • 五百旗头真, , 战后日本外交史(1945-2005)(吴万虹역)
    北京: 世界知识出版 社 [2007]
  • 习近平, 2020, 团结合作是国际社会战胜疫情最有力武器, 求是, 2020(8): 1-9.
  • 久野新, 2016, 日中韓FTA交渉の戦略的重要性に関する再検討, 国際貿易と投資, 2016: 106.
    [2016]
  • 中田一良, 2013, 日本のEPA戦略のあり方-韓国との比較を通じた検討, 三菱UFJ りサーチ&ュンサルティング', 2013(2): 46-51
    [2013]
  • 中島朋義, 2017, 中国のFTA政策とTPPの影響, 日中経協ジャーナル, 2017: 78.
    [2017]
  • 中島朋義, 2007, 韓国のFTA政策-との概括と経済効果分析, ERINA discussion paper, 2007(10): 27-35.
    [2007]
  • 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2017, 报告称区域贸易协定是实现亚太贸易自由化最佳路 径, 2017-03-09.
  • 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2014, 亚太自贸区的外部挑战如何处理与TPP和RCEP的 关系, 2014-11-12.
    [2014]
  • 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2012, 中日韩自由贸易区可行性联合研究报告, 2012-03-30.
  • 中国网, 2005, 走向东亚共同体, 2005-12-31.
  • 严卫京, 2012, 中国自由贸易区建设现状与对策, 国际经济合作, 2012(4)37-39.
  • 东艳等, 2009, 深度一体化: 中国自由贸易区战略的新趋势, 当代亚太, 2009(4): 51-54.
  • “한국 통상정책의 변화와 FTA.”
    이승주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9(1): 103-134 [2007]
  • “한․중․일 FTA 전략적 대응방안과 한계점에 관한 연구.”
    이도형 국제통 상 연구, 24(3): 81-100 [2019]
  • “한 중 일 FTA의 경제적 효과와 산업부문별 전략적 선택에 관한 연구.”
    박형래 장유식 무역학회지. 35(5): 129-157 [2010]
  • Yinan He, 2004, Overcoming Shadows of the Past: Post-Conflict Interstate Reconciliation in East Asia and Europe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04]
  • Williamson,O.E, 1985, The Economic Institution of Capitalism.New York: Free Press.
    [1985]
  • WTO, 2020, WTO: Trade set to plunge as COVID-19 pandemic upends global economy, 2020(8): 33.
    [2020]
  • Viner,J, 1950, The Customs Union Issue. Oxford University Press.
    [1950]
  • Trade and Investment in a Hub-and-Spoke System Versus a Free Trade Area
    Wonnacott , R.J 19 ( 3 ) : 221-233 [1996]
  • Toda, Takashi, , 한일FTA 협상 중단 요인 분석: Putnam의 양면게임이 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Gravity Equation.American Economic Review
    Anderson , James E , A 69 ( 1 ) : 21-33 [1979]
  • The Theory of Customs Unions : Trade Diversion and Welfare
    Lipsey , R. G 1957 ( 2 ) : 26-32 [1957]
  • The Rise of China and the Future of East Asian Integration.Asia-Pacific Review
    Byung-joon Ahn 2004 ( 2 ) : 31-43 [2004]
  • The Macro and Sectoral Significance of an FTAAP.Esri Discussion Paper
    Kawasaki , K 14 : 33-40 . [2010]
  • The Institutional Determinants of Bilateral Trade Patterns
    Henri L.F.De Groot . & et al 57 ( 1 ) : 44-50 [2004]
  • The Functional Theory of Politics.London Schooland Political Science
    David Mitrany 1975 : 124-127. [1975]
  • The Causes of Regionalism
    Baldwin , Richard E. , u 20 ( 7 ) ) : 51-53 . [1997]
  • The ASEAN peace process : a category mistake
    Michael Leifer 12 ( 1 ) : 22-32 . [1999]
  • Teija Tiilikainen, 1998, Europe and Finland: Defining the Political Identity of Finland in Western Europe. Ashgate Press LTD.
    [1998]
  • Structural Cause and Regime Consequences
    Stephen D. Krasner 36 : 121-133 [1982]
  • Scitovsky T, 1958, Economic Theory and Western European Integration.London: George Allen and Unwin.
    [1958]
  • Returns to Regionalism : An Analysis of Nontraditional Gains from Regional Trade Agreements .
    Fernandez , R . & Poters , J 12 ( 2 ) : 22-34 [1998]
  • Recent Developments in Customs Union Theory : An Interpretive Survey
    Krauss , M.B 10 ( 2 ) : 25-36 [1972]
  • R J Harrison, 1990, Neo—functionalism.London: Pinter publishers.
    [1990]
  • Pierre Pestieau, 2006, The welfare State in the European Union: Economic and Social Perspectiv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 Patrick McCarthy, 2001, France-Germany, in the Twenty-first Century, New York: Palarave.
    [2001]
  • Patrick Mc Carthy, 1993, France-Germany,1983-1993:The Struggle to Cooperate, Hampshine: Mac Millan.
    [1993]
  • Patrick Hein, 2010, Patterns of War Reconciliation in Japan and Germany, A Comparison. East Asia, 2010: 27.
    [2010]
  • Park, In-Won, 2003, A CGE Analysis of a Korea-China-Japan Free Trade Area, Korea: Bank of Korea.
    [2003]
  • North, D. Institutions, 1990,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 Norman D. Palmer, 1991, The new regionalism in Asia and the Pacific , Lexington Books.
    [1991]
  • Moravcsik, A, 1998, The Choice for Europe: Social Purpose and State Power from Messina to Maastricht,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98]
  • McCain, , 게임이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전략분석(3판)
    Roger A.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7]
  • Leon Lindberg, 1963, The political dynamics of European economic integration.Stanford University Press.
    [1963]
  • Lee Changian, 2005, Rationale for a China-Japan—Korea FTA and Its Impact on the Korean Economy, NRCS Joint Research Series on FTA Issues.
    [2005]
  • Krugman,P, 1992, Is Bilateralism Bad in International Trade and Trade Policy? .Helpman and Razin, eds, , Cambridge, UK: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 Kotra해외시장뉴스 홈페이지
    http://new s.kotra.or.kr/
  • Japan 's Approach Toward Asia Regional Security : From Hub-and-Spoke Bilateralism to Multi-Tiered .The Pacific Review
    Ashizawa , Kuniko 16 ( 3 ) : 121-133 [2003]
  • Industrial structure , regional trade bias , and China 's FTA with Korea and Japan
    Taegi Kim , Jun- Heng Zhan 19 : 41-48 [2006]
  • Ian Bache, Stephen George & Simon Bulmer, 2011, Politics in the European Un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 Hyungdo Ahn, 2005, Economic effects of China-Japan-Korea FTA. Korea: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2005]
  • Hanrieder & Graeme P. Auton, , 西德、法国和英国的外交政 策(徐宗士외 역)
    Wolfram F. 北京: 商务印书馆 [1989]
  • Haig Simonian, 1985, The Privileged Partnership:Franco-German Relations in the Europea Communith,1969-1984.Clarenden Press.
    [1985]
  • Hafeez Malik, 1993, Dilemmas of National Security and Cooperation in India and Pakistan.St. Martin. Press.
    [1993]
  • Gravity with Gravitas : A Solution to the Border Puzzle.American Economic Review
  • Flemming D.F, 1960, The Cold War and Its Origin.New York.
    [1960]
  • FTA의 확산과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중층화
    이승주 한국정치외교사논 총, 32(1): 133-164 [2010]
  • FTA의 경제적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이한철 한중일 창원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2]
  • FTA시대에 어떻게 대처할것인가
    정인교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원 [2001]
  • FTA를 수출 투자확대의 전기로 적극 활용
    정대진 서울: 한국개발연구원나라 경제
  • FTA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개선방향
    문한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 1-27 [2014]
  • FTA, 일본의 추격이 거세진다
    명진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3]
  • FTA 효과 극대화를 위한 국내대책 및 구조조정정책 방향
    최낙균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
  • FTA 이행체계전환에 따른 대응방안연구
    진병진 서울: 한국동북아논총 [2016]
  • FTA 원산지증빙서류 심사기준의 해석에 관한 법적 기준과 검 증사례에 관한 연구
    권순국 무역보험연구, 18(2): 47-70 [2017]
  • FTA 비교분석과동북아역내국간 FTA 추진방 안
    국의 최낙균 한중일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 European Integration : Problems and Issues
    Bela Balassa 53 ( 2 ) : 61-65 [1963]
  • Ernst Haas, 1964, Beyond the Nation—State: Functionalism and lnternational Organizations.Stanford University Press.
    [1964]
  • Ernst Haas, 1961, International Integration: The European and the Universal Process.International Organization.
    [1961]
  • Economies of Scale and Customs Union Theroy
    Corden , W 80 ( 3 ) : 111-133 [1972]
  • Economies of Scale , Competition , and European Integration
    Scitovsky , T 46 ( 1 ) : 61-73 . [1956]
  • Economic Cooperation and Integration in East Asia.Asia-PacificReview
    Chia Siow yue 1 ) : 31-53 [2004]
  • EU와 한-EU FTA에 대한 대학생 인식과 상관성에 대한 실 증연구
    이재득 무역학회지, 41(5): 255-283 [2016]
  • EU경제학: 유럽 경제통합의 이론과 현실
    김세원 서울: 박영사 [2004]
  • EU 확대의 의미와 평가-동유럽권 확대를 중심으로
    박홍규 서울: 외교 안보연구원 [2003]
  • EC의 경제통합체계
    김세원 경제논집, 37(2): 213-241 [1998]
  • E.B.Hass, 1968, The Uniting Of Europe, 2nd.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8]
  • E.B.Hass, 1964, Beyond The Tation State.Stanford: Standford University Press.
    [1964]
  • Dunning,J.H, 2014, International Production and the Multinational Enterprise.International Business.
    [2014]
  • Douglas Webber, 1999, The Franco-German Relationship in the Eurpean Union.New York:Routledge.
    [1999]
  • Desmond Dinan, 2004, Europe Recast: A History of European Union.Boulder: Lynne Rienner Publishers.
    [2004]
  • Desmond Dinan, 1999, Ever Closer Union? An Introduction to the European Community (Second Edition). Boulder: Lynne Rienner Publishers, Inc.
    [1999]
  • Derek W. Urwin, 1995, The Community of Europe: A History of European Integration since 1945 (Second Edition) . London and New York: Longman.
    [1995]
  • David P. Calleo & Eric R. Staal (eds.), 1998, Europe's Franco-German Engine.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998]
  • Colette Mazzucelli, 1997, France and Germany at Maastricht: politics and negotiations to create the European Union. New York & London: Garland Publishing Co.
    [1997]
  • China 's Free Trade Agreements with Asean , Japan and Korea : A Comparatigve Analysis
  • Carine Germond & Henning TÜrk, 2008, A History of Franco-German Relations in Europe: from “hereditary enemies“”to partners.Palgrave Macmillan.
    [2008]
  • Ben Rosamond, 2000, Theories of European Integration.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00]
  • Bela Balassa, 1967, The Theoiy of Economic Integration. London: Allen and Unwin.
    [1967]
  • Baldwin, Richard, 1994, Towards an Integrated Europe.London: CERP.
    [1994]
  • A・W 德波特, , 欧洲与超级大国(唐雪葆외 역)
    北京: 中国社会科学出版 社 [1986]
  • Antje Wiener & Thomas Diez, 2009, European Integration Theo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 An Elementary Proposition Concerning the Formation of Customs Unions.Journal of International Ecnonmics
    Kemp , M.C. , H.Y.Wan 6 ) : 23-30 [1976]
  •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China-Korea FTA with the Consideration of FTA Sequence and FTA Hub Gains.Asian Economic Papers
    Cheong , 15 ( 3 ) : 61-73 . [2016]
  • Amitav Achaya, 2001, Constructing a Security Community in Southeast Asia: ASEAN and the Problemof regional Order.London: Routledge.
    [2001]
  • Alistair Cole, 2001, Franco-German Relations. London: Longman.
    [2001]
  • Alexander Wendt, 1995,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International Organization.
    [1995]
  • Alain Guyomarch, Howard Machin & Ella Ritchie, 1998, France in the European Union. London: Macmillan Press Ltd..
    [1998]
  • Akira Iriye. 1992, Across the Pacific: an inner history of American East Asian relations.Chicago: Imprint Publ.
    [1992]
  • Akira Iriye, 1992, China and Japan in the global settings. Cambridge: Harvard Univ. Press.
    [1992]
  • Abenomics and Japan 's Trade Policy in a New Era .Asian Economic Policy Review
    Mireya SOLIS and Shujiro URATA 13 : 106-123 . [2018]
  • A.J. R. Groom and Paul Tatlor, 1990, Framework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London:Pinter Publishers.
    [1990]
  • A Tentative Model forthe Volume of Trade between Countries
    Poyhonen Pentti 90 [1963]
  • A Revised Theory of Regional Integration
    Philippe C Schmitter 24 ( 4 ) : 21-31 [1970]
  • 2단계 게임이론에 의한 우리나라의 한 중FTA 협상 성공전략
    박승락 통상정보연구, 13(2): 511-541 [2011]
  • 21세기를 향한 한 중 일 경제협력의 새로운 모색
    하토리 타미오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8]
  • 21세기 일본의 국가안보전략,
    한의석 국제정치논총, 57(3): 495-520 [2017]
  • 21世紀中ㆍ日關係와 東아시아 安保
    이홍표 서울: 한국해양전략연 구소 [2006]
  • 1990년대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한일관계
    김기석 사회과학연구, 46(1): 1-29 [2007]
  • (중국의 FTA협상기본전략과) 한 중 FTA
    김진열 서울: 높이깊이 [2010]
  • (비교방법론적 분석을 통해서 본) 동북아 경제통합
    김흥종 손병해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
  • (게임이론의 관점에서 본) 협상과 전략
    김기홍 서울: 율곡 [2012]
  • (21세기) 한국의 외교정책
    유재건 서울: 나남출판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