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미디어 공간이 플로우(Flow)와 현전감(Presence)에 미치는 영향 평가 : 판타지경험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the Effect of New media space on Flow and Presence : Using Fantasy Experience as a medium effect

김리현 2022년
' 뉴 미디어 공간이 플로우(Flow)와 현전감(Presence)에 미치는 영향 평가 : 판타지경험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the Effect of New media space on Flow and Presence : Using Fantasy Experience as a medium effect'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Interior design
  • New media
  • Space
  • metaverse
  • virtual space
  • 가상공간
  • 가상적공간표현
  • 공간
  • 공간표현
  • 뉴 미디어
  • 메타버스
  • 실내공간
  • 판타지경험
  • 플로우(flow)
  • 현전감(Presence)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880 0

0.0%

' 뉴 미디어 공간이 플로우(Flow)와 현전감(Presence)에 미치는 영향 평가 : 판타지경험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the Effect of New media space on Flow and Presence : Using Fantasy Experience as a medium effect' 의 참고문헌

  • 현실과 가상의 조합에 의한 공간 연출방법의 유형화 제안-생태공간을 사례로-.
    양혜진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 현대패션에 표현된 환상성 연구-환상미술의 개념적 접근을 중심으로-.
    박월미 박사학위 전남 대학교 대학원 [2016]
  • 현대공간의 가상적 속성에 관한 연구: 현존(Presence)이론을 중심으로.
    권정호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 현대 형상 회화에서 공간의 혼성에 관한 연구-리얼리티 공간의 새 지평-.
    구성욱 박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7]
  •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표현 유형과 미적 특성: 문학적 환상성 이론을 중심으로.
    김장현 박사학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 해체주의와 그 이후
    이광래 열린 책들 [2007]
  • 프로젝션 매핑 영상미디어를 통한 실내공간의 장소성 연출에 관한 융합디자인 연구
    신동진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5 [2019]
  • 총체예술로서 나타나는 뉴미디어아트의 특성 연구.
    박한별 석사학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5]
  • 체험형 전시공간에서 프레즌스의 경험 증대를 위한 인터랙티브 디자인 연구
    김성진 한국HCI학회, vol.2010, no.1, 2010 [2010]
  • 청담드레스가든
    http://www.dressgarden.co.kr/home/index.html [2021]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전감(Presence), 학습몰입 (Flow),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계보경 박사학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 증강현실 광고의 프레즌스(presence)와 플로우(flow)가 광고 태도와 회상에 미치는 영향
    한광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vol.18, no.8 [2020]
  •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21
    노경섭 한빛아카데미 [2014]
  • 자크 라캉의 욕망이론과 뉴미디어아트의 관계 연구.
    배우리 석사학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 입체영상에서 지각공간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박진희 박사학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 인터렉티브 미디어 기술로 탄생한 ‘어썸볼링’ 기존 볼링장 업사이클로 이색적 공 간연출.
    황인영 https://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4930 [2021]
  • 음악적 판타지에 관한 소고
    박윤경 음악이론 연구, vol.18, no.- [2012]
  • 융복합 무용공연의 플로우(Flow)가 기술수용모델(TAM)의 공연태도와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지선 박사학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 오일환 역. 역사의 환상성
  • 엑스포 전시공간에서 유희의 표현 특성 연구
    최은신 한국기초조형학회, vol.14, no.3 [2019]
  • 아트 마케팅 공간의 비일상적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국내 백화점 공간 활용 사례 중심으 로-.
    박제현 석사학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 아리스토텔레스 ‘Topos’의 지리학적 해석
    홍서영 문화역사지리, vol.24, no.3 [2012]
  • 실험영상에서 색감과 형태에 따른 프레즌스 강화.
    진성신 박사학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 실뱅 쇼메의 작품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양현정 석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 실감가상현실을 활용한 경험학습 게임 콘텐츠의 개발 및 평가에 대한 연구.
    권종산 박사학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 시청각 데이터를 활용한 다감각적 공간에 관한 연구. 매개 현실 기반 뉴 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탈 물질화 공간.
    변수연 박사학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 시뮬라크르를 반영한 뉴 미디어아트 전시공간의 감각적 표현 특성 연구.
    최진경 석사학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20]
  • 스포츠 광고의 프레즌스, 플로우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2D와 3D 광고의 비교
    엄준필 한국체육학회, vol.56, no.4 [2017]
  • 스크린골프 이용고객의 프레즌스(presence)가 몰입, 이용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학 한국골프학회, vol.14, no.4 [2020]
  • 슐츠의 실존적 공간론을 기반으로 한 현대건축 실내공간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박형진 박사학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 상업공간에서 소비자 체험 마케팅을 위한 증강현실 활용사례 연구
    박정은 한국실내디 자인학회, vol.30, no.2 [2019]
  • 상업공간에 있어 디지털미디어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페르소나 기반 사용자 시나 리오 기법으로.
    조문가 석사학위 한밭대학교 대학원 [2016]
  • 상업공간에 있어 뉴 미디어 아트의 주름 공간 표현 특성 연구.
    최지은 석사학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 사회과학연구를 위한 SPSS AMOS 활용의 실제 2판
    김석우 학지사 [2015]
  • 반영 이미지의 환상성-레안드로 에를리치(Leandro Erlich)를 통해 바라본 거울과 창문 환상.
    이예린 박사학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 박물관의 몰입이론을 적용한 전시연출 환경 요건에 관한 연구 : 관람자 중심의 체험전시 위주로
    오선애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vol.11, no.3 [2011]
  • 미술관의 시지각적 공간시퀀스에 관한 연구-비일상적 공간경험을 중심으로-.
    정현정 석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 미술관 전시공간 내 뉴 미디어의 체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유단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vol.14, no.4 [2019]
  • 미디어아트 마술공연이 관객몰입 및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석근 석사학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 미디어 콘텐츠 이용 과정에 나타난 판타지 욕구와 플로우 경험.
    박신영 박사학위 경북대학교 대학 원 [2009]
  • 미디어 아트의 시뮬라크르에 대한 메타포리즘 해석학-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이이남 박사학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7]
  • 미디어 공간에서 인간과 예술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강재묵 한국공간디자인학회, vol.7, no.1 [2012]
  • 무용공연 콘텐츠에서의 프로젝션 맵핑 효용가치 연구
    박진영 한양대학교 우리춤 연구 소, vol.15, no.3 [2019]
  • 무대예술과 결합한 디지털 영상 표현의 재매개와 시공간 확장성에 관한 연구.
    손국봉 박사학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 몰입형 가상현실의 경험모델과 검증에 관한 연구.
    김우상 박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 몰입경험요소를 적용한 기업홍보관 실내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김효연 석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 매개 현실 기반 뉴 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탈물질화 공간.
    한윤정 박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스포츠플래그쉽 센터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김수민 석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 디지털미디어를 적용한 감성공간 표현에 관한 연구: 인지 과정의 체험 중심으로.
    정은하 석사학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 디지털 이미지의 가상과 실재 상호작용 표현연구.
    이승하 박사학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8]
  • 디지털 영상의 존재론적 특성.
    최원호 박사학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공간체험의 몰입구조에 관한 연구.
    하은경 박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공간체험의 몰입구조에 관한 연구.
    오승희 석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특성 연구 : 한 중 현대 미술관 사례 중 심으로.
    유 정 박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 디지털 미디어 퍼포먼스 공간에서의 프레즌스(presence)효과에 관한 연구 : 홀로그 래픽 미디어 활용사례를 중심으로
    백승주 백승주 기초조형학회, vol.12, no.4 [2011]
  • 디지털 미디어 아트에 표현된 가상공간에 관한 연구.
    장연이 박사학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극 공간디자인의 환영적 연출사례연구
    박정화 한국공간디자인학회, vol.14, no.6 [2019]
  • 디지털 공간의 실재감을 통한 사용자의 긍정적 경험 확장에 관한 연구.
    김세영 박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 디지털 공간 디자인의 확장성에 관한 연구: 첨단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 해외 사례를 중심 으로.
    최유식 박사학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 두산백과사전, 미디어(Media)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47711&cid=40942 [2021]
  • 데페이즈망 기법을 활용한 자연사 VR AR 프로젝션 맵핑 연구.
    박기덕 박사학위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1]
  • 뉴 미디어아트의 상호작용성을 기반으로 한 문화콘텐츠 확장 연구.
    이소영 박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 뉴 미디어를 통한 실내공간 확장에 관한 연구
    김리현 윤갑근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vol.-, no.68 [2019]
  • 뉴 미디어를 적용한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연구
    송인진 석사학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 뉴 미디어 하이퍼파사드 광고 디자인 요소에 따른 감정반응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 향.
    김수민 박사학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 뉴 미디어 표현 특성을 활용한 패션라이프스타일샵 실내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김소연 석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 뉴 미디어 패러다임에 따른 미디어 공간특성 연구.
    허성환 석사학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 뉴 미디어 아트에서의 공간양상에 관한 연구
    김병규 박사학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 뉴 미디어 아트에서 매체 역할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송은주 박사학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 뉴 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시각주체의 탈원근법적 해체성 연구.
    LIU KUN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2020]
  • 뉴 미디어 공간에서 재매개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박수연 석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 네이버 예약
    https://booking.naver.com/booking/5/bizes/552788 [2021]
  • 내부공간의 토포스조형에 관한 연구.
    이미숙 박사학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6]
  • 극 공간디자인에서 나타난 트랜스미디어 표현사례 연구
    박정화 한국공간디자인학회, vol.13, no.4 [2018]
  • 관람형 VR콘텐츠의 프레즌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영우 한국일러스트아 트학회, vol.23, no.1 [2020]
  • 과학관 전시에 있어서 몰입환경 최적화 연출방안에 관한 연구
    목진혁 한국공간디자인 학회, vol.13, no.6 [2018]
  • 공간콘텐츠 경험 확장을 위한 디지털미디어기술 연구.
    정의태 박사학위 안동대학교 대학원 [2020]
  • 공간이 만든 공간
    유현준 을유문화사 [2020]
  • 공간에 표현되는 뉴 미디어아트 특성을 반영한 컨셉스토어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예지 석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1]
  • 공간디자인 16강
    권영걸 국제 [2011]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의 상호작용 특성 : 피어스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박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5]
  • 가상현실 관광콘텐츠 사용자의 프레즌스 경험 및 프레즌스 효과에 관한 연구
    김영하 한국관광레저학회, vol.32, no.7 [2020]
  • 가상체(Virtual object)를 이용한 혼합현실공간(MRS)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문정준 석사학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2]
  • 『뉴 미디어 시대의 예술』
    오은경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8]
  • 『The Language of New Media
  • ‘가상적(virtual) 공간의 생산’에 대한 연구-라인 프렌즈 스토어를 중심으로-.
    강재혁 석사학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 Ÿ teamLab. 2021.09.10. https://youtu.be/mtT1zvBifcQ?list=TLGGZXy1ieFt7gIwODExMjAyMQ
  • Ÿ teamLab. 2021.09.10. https://www.teamlab.art/ko/w/teatree/
  • Ÿ teamLab. 2021.09.10. https://www.teamlab.art/ko/w/sketch_ocean/
  • Ÿ https://youtu.be/hfySKpqTI_s
  • Ÿ https://youtu.be/LVy9cPHL6zs
  • Ÿ https://youtu.be/GO8E1HpYbhw
  • Ÿ https://youtu.be/4sWosT3YwWE
  • Ÿ https://youtu.be/02eTHfv7szI
  • Ÿ https://www.youtube.com/watch?v=02eTHfv7szI
  • Ÿ https://postfiles.pstatic.net/MjAyMTA0MDFfNDMg/MDAxNjE3MjYwOTQyOTc3.1ahWBngY86hi gNUIRLEX8UAy6579ABmhQ7QeghVVCQsg.RhwtV-R9XKa9UQvFnjtqPoawkDZrhyZxTzvJi-ndCD Ag.PNG.kinos99/SE-5bef981c-8174-4ece-9661-7d4c7072fec2.png?type=w966
  • Ÿ https://images.adsttc.com/media/images/55e7/02dc/8450
  • Ÿ d’Strict. 2021.09.05. https://youtu.be/uwsEpyaeM8k
  • Ÿ Rosemary Jackson. Fantasy: The Literature of Subversion, New York: Routledge, 1981.
    [1981]
  • Ÿ Online Etymology Dictionary. “Presence”. 2021.10.11. https://www.etymonline.com/word/presence#etymonline_v_19
  • Ÿ Novak, Thomas P., and Donna L. Hoffman. “Measuring the Flow Experience Among Web User”.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vol.31 no.1, 1997.
    [1997]
  • Ÿ Mannel I, Roger C., Jiri Zuzanek, and Reed Larson. “Leisure States and ‘Flow’ Experiences: Testing Perceived Freedom and Intrinsic Motivation Hypothes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20 no.4, 1988.
    [1988]
  • Ÿ Kathryn Hume. Fantasy and Mimesis, New York: Methuen, 1984.
    [1984]
  • Ÿ Jawaid A. Ghani, Roberta Supnick & Pamela Rooney. The Experience of Flow in Computer-Mediated and Face-to-Face Groups. Proceedings of the Twel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New York, 1991.
    [1991]
  • Ÿ J. Websterm L. K. Trevino & L. Ryan. The Dimensionality and Correlates of Flow in Human Computer Interaction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9 no4, Winter, 1993.
    [1993]
  • Ÿ Gayle Privette & Charles M. Bundrick. “Measurement of Experience: Construct and Content Validity of the Experience Questionnaire”. Perceptual and Motor Skills vol.65, 1987.
    [1987]
  • Ÿ Barfield, et al., Barfield, W., Zeltzer, D., Sheridanm T., Slater M. “Presence and Porformance within Virtual Environments”. Virtual Environments and Advanced Interface Design, 1995.
    [1995]
  • VR공간에서의 비현실적 경험에 대한 플로우 형성 과정 : 판타지 인식과 현전 인식 을 매개로.
    박지원 박사학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 SPSS 20.0 매뉴얼
    이학식 임지훈 집현재 [2012]
  • HDTV프레젠스 미디어의 해석
    김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 2D 스테레오 VR 애니메이션의 현전감 강화를 위한 공간 연출 방안 연구.
    조수진 박사학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 21세기 디지털사회의 건축적 경험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황보성희 석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 "3D디지털 애니메이션에서 시각적촉각성이 수용자의 현전 감(Presence)에 미치는 영향"
    송미숙 박사학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