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군인의 전역과정에 나타난 학습경험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Occupational Military Personnel During the Discharge Process

김태영 2022년
논문상세정보
' 직업군인의 전역과정에 나타난 학습경험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Occupational Military Personnel During the Discharge Proces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
  • 내러티브
  • 전역
  • 전환학습
  • 직업군인
  • 평생교육
  • 학습경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623 0

0.0%

' 직업군인의 전역과정에 나타난 학습경험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Occupational Military Personnel During the Discharge Process' 의 참고문헌

  • 해군 함정근무 초임부사관의 일터 무형식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이성엽 정윤경 한국교육학연구 26권1호 95-123(29pages) [2020]
  • 한국판 일의 의미 척도(Working As Meaning Inventory; WAMI) 타당화
    김수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한국군의 평생교육 변천과정에 관한 평가분석 연구
    박효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 학습학과생의 痂에 나타난 학습과 배움의 비교 탐색
    김진한 Andragogy Today,15(1),171-190 [2012]
  • 학습학
    한준상 서울: 학지사 [2001]
  • 학습사회의 능동적 주체-학습노마드-
    김미령 최근정 2013 한국평생교 육학회 연차학술대회 [2013]
  • 학습사회를 위한 평생교육론(3판)
    한숭희 서울: 학지사 [2009]
  •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http://stdweb2.korean.go.kr [2017]
  •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본 노년기 성인의 학습경험 탐구방식
    김한별 노년교육연구, 5(2),41-56 [2019]
  • 평생교육론
    김한별 서울: 학지사 [2014]
  • 퇴직예정군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최성희 서 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개정판)
    김영석 김한별 유기웅 정종원 서울 : 박 영사 [2018]
  • 질적 연구방법으로 생애사연구의 성격과 의의
    김영천 한광웅 교육문화 연구, 18(3), 5-43 [2012]
  • 진로전환검사 타당화 연구
    김봉환 장계영 상담학연구, 10(1). 339-415 [2009]
  • 직업군인제 발전을 위한 정책대안 분석(육군 장교 인사 관리)
  • 직업군인의 퇴직태도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라이프스타일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재덕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직업군인의 삶의 질 연속성에 관한연구
    신동훈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2]
  • 중장년 학습자 대상 제2인생 준비교육의 구현방안 탐색
    노일경 이혜연 평생교육학연구, 20(3), 203-232 [2014]
  • 중년여성의 이혼경험을 통한 전환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
    박현옥 박사학위 논문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 중년여성들의 일상적 대화의 의미: 아줌마들의 ‘목욕탕 수다’에 대한문화기술지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정영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 중년남성의 공감적 대화 경험에 관한 연구.
    임미화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2019]
  • 제품광고의 사회적 메시지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감정이입과 조절적 동기의 역할
    조영석 황장선 소비자광고, 12(1). pp. 149-168 [2011]
  • 제대군인의 전직지원교육 변천과정연구
    정연숙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논문 [2019]
  • 제대군인의 전직 역량 및 교육훈련 내용 도출에 관한 연구
    김점석 박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5]
  • 제대군인의 사회복귀 지원 방안 연구 : 중 장기 복무자의 취업 정책을 중심으로
    김주신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제대군인 전직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남응우 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5]
  • 정체성 구성 활동으로서의 자전적 서사 쓰기
    최인자 현대소설연구, 11, 329-346 [1999]
  • 전환학습 연구의 동향과 과제. 평생교육
    김한별 허효인 HRD연구, 13(2),109-130 [2017]
  • 전직지원활동에 참여한 퇴직자의 특성과 전환학 습 수준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송영선 이은주 이희수 한국HRD연구, 6(4), 61-88.정현 [2011]
  • 전직지원서비스의 영향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 제대군인 의 학습몰입 및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재 한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전이학습 관점에서 바라본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앙코르 커리어 활동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재훈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대학원 [2017]
  • 전역예정군인의 전직교육 효과분석
    조광래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9]
  • 전역예정 군인의 삶의 질 관련 변인의 구조적 관계.
    김기호 박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8]
  • 전기학습의 관점에서 바라본 ‘이루지 못한 삶(unlived life)’의 구 현이 갖는 의미 탐색
    전주성 Andragogy Today, 15(4), 93-112 [2012]
  • 전기학습 관점에서의 초고령 학습자의 학습 경험이 갖는 의미
    김태종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대학원 [2014]
  • 장기복무 제대군인이 성공적으로 사회복귀를 위한 지원제도
    최석방 대 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퇴역 후 재취업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송태주 박사학위논문 위덕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자아 정체성 구성으로서의 글쓰기 교육 연구: 대학에서의 글쓰 기 프로그램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박현이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32, 107~ 139 [2006]
  • 자서전적 자기서사 글쓰기의 통합적 효과를 위한 방법 연구
    임지연 한 국비평문학회, 48, 313-345 [2013]
  • 자서전의 규약, 윤진 옮김
    Lejeune. Philppe 문학과지성사 [1998]
  • 자기 표현적 글쓰기(expressive writing)의 교육적 함의
    최숙기 작문연 구, 5, 205-239 [2007]
  • 원불교 수행자의 마음공부에 나타난 성찰경험 내러티브 탐구
    최은미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영어 관념의 유동성과 교사정체성의 다중성: 한 초등영어교과전 담교사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홍영숙 언어학연구, 19(2), 183-206 [2014]
  • 여성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경계 넘기’ 과정의 평생학습 경험 내 러티브 탐구
    송인애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 여성 건설기능인의 직업진로 탐색경험과 경력관리에 관한 내러 티브탐구.
    이승주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대학원 [2017]
  • 실직자의 새일 찾기 과정에 나타난 전환학습 경험 내러티브 탐 구
    고대장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실직자들의 성공적인 취업을 돕는 성취프로그램 의 효과 검증
    김명언 신현균 조성호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발표논문집, 126-127 [2000]
  • 실업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실증연구
    류수영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시조의 성찰적 사고 교육 연구
    최홍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08]
  • 성찰적 글쓰기를 활용한 도덕적 성찰학습 수업방안 연구
    이형주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성찰적 글쓰기를 통한 글쓰기 교육 효과 연구
    박해랑 문화와융합,39(5), 631-666 [2017]
  •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유형이 경험학습양식에 미치는 영향
    이영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성인학습자의 성찰학습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 자 특성 및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최미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 탐색: 전환학습이론을 기반으로
    강경리 교육문화연구, 23(5), pp. 169-197 [2017]
  • 성인학습인의 영성체험을 통한 영성리더십 개발 과정 탐색
    강찬석 최은수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7(2), 81-104 [2012]
  • 성인학습의 이해
    정민승 서울: 에피스테메 [2010]
  • 성인학습에서 성찰과 비판적 성찰의 이론적 계보 분석
    이희수 정미영 한국교육, 37(4), 121-148 [2010]
  • 성인학습 이론과 실천
  • 성인학습 및 상담
    권두승 조아미 서울: 교육과학사 [2002]
  • 성인의 전환기 학습활동(재미한인 사례연구)
    김신일 평생교육학연구 제 6권 제2호 187-211, 25p [2000]
  • 성인들의 배움에 관한 연구
    민선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 성인 블로거들의 자전적 글쓰기를 통한 성찰경험 현상학적 탐구.
    이한나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삶의 질, 행복요인, 마음 챙김 특성 간 관계; 인간관계와 간접효 과의 탐색
    한정균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 삶의 전환을 살아간다는 것: 초보 예술가들의 전환적 생애경험 을 중심으로
    양은아 교육인류학연구, 15(1), 121-162 [2012]
  • 삶을 주제로 한 자기 표현적 쓰기 경험이 이주 여성의 자아 정 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국어 쓰기 교육 사례 연구
    원진숙 작문연 구, 11, 137-164 [2010]
  • 산업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엄미란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사회과학 연구에서의 전기적 연구방법의 이해 와 활용(전주성, 임경미 역).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Merrill, B. West, L. (원저Using biographical methods in social research, 2009) [2018]
  • 북한이탈주민의 학습경험을 통한 의미관점 전환 연구
    노희숙 아주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2]
  • 발달장애인의 일(노동)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주관적 인식유형: Q방법의 적용
    최문경 장애와 고용, 25(40), 111-135 [2015]
  • 발달장애인의 일(노동)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주관적 인 식유형: Q방법의 적용
    정현태 최문경 장애와 고용, 25(40), 111-135 [2015]
  • 발달장애아 부모의 전기학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심미선 박사학위 논문 숭실 대학교 대학원 [2019]
  • 미디어교육을 통한 노인의 전환학습 이해
    김영석 박성관 한국교육성인 학회. Vol.18 No.1. 55-76 [2015]
  • 문학을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 수업 방안
    고명신 리터러시 연구, 21, 245-285 [2017]
  • 대화와 도덕교육
    고미숙 교육철학, 26, pp. 21-46 [2001]
  • 대학생의 저널쓰기를 통한 자아성찰 과정에서의 자아정 체감 형성 경험 분석
    김한별 박소연 교양교육연구, 6(1), 153-178 [2012]
  • 다시, 장인이다
    장원섭 서울: 영진미디어 [2018]
  • 노인의 텔레비전 시청에서의 일상학습적 탐구
    유기웅 Andragogy Today, 16(2), pp. 59-90 [2013]
  • 글쓰기의 치유과정에 관한 연구
    김준희 한말연구, 26, 66~73 [2010]
  • 글쓰기가 필요하지 않은 인생은 없다
    김애리 서울: 카시오페아 [2017]
  • 근거이론을 활용한 부사관의 전역 후 삶의 경험 연구.
    조금랑 박사학위논문 협성대학 교 대학원 [2018]
  • 군 초급간부의 직무만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임파 워먼트의 매개효과
    김정은 한국군사회복지학, 9(1), 33 57 [2016]
  • 국방 전직지원 교육 만족도가 취업성취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종희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교육공학 관련 이론
    나일주 서울: 교육과학사 [2007]
  • 교양교육으로서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의 미: 공감과 치유의 효과를 중심으로
    정연희 어문논집, 69, 63~65 [2013]
  • 교사의 무형식 학습에서 사회적자본의 의미
    김한별 Andragogy Today, 12(3),27-45 [2009]
  • 공익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이입의 다차원반응 단계에 대한 실증연구
    국승민 이상현 광고학연구, 18(5), pp. 307-319 [2007]
  • 공동경험 구성과정에 나타난 경험학습의 특성에 관한 연구: 연 극단 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김경애 서울: 서울대학교 [2006]
  • 공감과 연민, 그리고 정동(affect): 저널리즘 분석과 비평의 외연 확장을 위한 시론
    정수영 커뮤니케이션이론, 11(4), pp. 38-76 [2015]
  • 공감 커뮤니케이션 모형
    김항중 남승규 광고학연구, 25(7), pp. 139-160 [2014]
  • 경험학습의 개념 및 이론과 발전방향
    김지자 정지웅 평생교육학 연구, 7(1), pp.1-15 [2001]
  • 경험학습을 통한 명의의 전문성 발달과정. 박사학위논문
    한상만 서울: 중 앙대학교 대학원 [2013]
  • 결정적 생애사건을 통한 전환학습 경험 연구. 두 평생교육학 교 수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권재경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7]
  • 生의 痂: 배움
    한준상 서울: 학지사 [2009]
  • 『서사교육론』
    우한용 동아시아 [2001]
  • 「내러티브의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이흔정 한국교육학연구, 10(1), 151-170 [2004]
  • 「경험의 서사화와 자전적 글쓰기 교육 연구」
    장유정 전남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3]
  • ‘자기 탐색’의 글쓰기의 효과와 의의-대학 신입생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희 작문연구, 11, 45-109 [2010]
  • ‘생활의 달인’의 생애에 나타난 직업성공 내러티브 탐구
    김신영 아주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6]
  • ‘늦깎이’성인학습자의 박사과정 학습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 구
    육혜숙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호모 엠파티쿠스(Homo empathicus)`를 찾다: 공감 담론 에 기초한 인성교육 시론
    이인경 교양교육연구, 8(1), pp. 311-342 [2014]
  • Webster, L., & Mertova, P. (2007). Using narrative inquiry as a research method. Oxon, Canada: Routledge.
    [2007]
  • Understanding and Promoting Transformative Learning : A
  • UNUSCO와 OECD의 평생교육전략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평생 여가교육의 가능성
    김성길 연세교육연구,17(1),55-71 [2004]
  •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Taylor , E. W. 119 , 5-15 [2008]
  • The brain and meaning of life. 김미선 역(2011). 뇌와 삶 의 의미
    Thagard, P. 서울: 필로소픽 [2010]
  • Tedder, M., & Biesta, G. (2009). Biography, transition and learning in the lifecourse. The role of narrative. In J. Field, J. Gallacher, & R. Ingram (Eds.), Researching transitions in lifelong learning(pp 86-100). Abingdon: Routledge.
    [2009]
  • Spirituality and emancipator adult education in woman adult educators for social change
    Tisdell , E . J. 50 ( 4 ) , 308-335 . [2000]
  • Schönn, D.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action. London: Temple Smith.
    [1983]
  • Schlossberg, N. K., Waters, E. B., & Goodman. J. (1995). Counseling adults in transition: Linking practive with theory (2nd ed). New York, NY: Spring.
    [1995]
  • Reported Behavior Changes after Job Loss
    Warr , P . B. 23 [1984]
  • Redeemed From Time : Learning Through Autobiography .
    Brady , E. M. 41 ( 1 ) , 43-52 . [1990]
  • Qualitative Research: 15 Approaches 질적 연구: 열다 섯 가지 접근
    김영천 이현철 아카데미프레스 [2017]
  • Polkinghome, D. M.(1988).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 Albany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8]
  • PhilosophicalFoundationsofAdultEducation. 성인교육의 철학적 기초. 기영화 역(2002)
    Merriam, S. B. 서울: 학지사 [1994]
  • Noddings의 배려를 위한 대화의 교육적 의미
    김수동 교육철학, 32, pp. 45-69 [2004]
  • Narrative inquiry :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소경희, 강현석, 조덕주, 박민정 역(2007). 내러티브 탐구
    Clandinin, D. J. Connelly, F. M. 파주 : 교육과학사 [2000]
  • Mezirow, J., & Associates. (1990). Fostering critical reflection in adulthood: A guide to transformative and emancipatory learning. San Francisco: 239 Jossey-bass.
    [1990]
  • Merrill, B., & West, L. (2003). Transformative learning as discourse. Journal of Transformative Education, 1(1), 58-63.
    [2003]
  • Merrill, B., & West, L. (2000). Learning to think like an adult :Core concepts of transformation theory. In J. Mezirow & Associates, Learning as transformation: Critical perspective on a theory in progress (pp.3-33). SF: Jossey-Bass
    [2000]
  • Merrill, B., & West, L. (1997).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to practice. New Directions for Adults and continuing Education, 74, 5-12.
    [1997]
  • Merrill, B., & West, L. (1991). Transformative dimensions in adult learning. San Francisco: Jossey-Bass.
    [1991]
  • Merriam․Laura L. Bierema(2013). Adult Learning: Linking Theory and Practice
    [2013]
  • Merriam, S. Caffarella, R. & Baumgartner, L. (2007). Learning in Adulthood. San Francisco: Jossey-Bass.
    [2007]
  • Merriam, S. B., & Tisdell, E. (2015).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4th ed.). San Francisco: Jossey-Bass.
    [2015]
  • Merriam, S. B. & Caffarella, R. S. (1999). Learning in adulthood (2n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1999]
  • McCracken, G. (1988). The long interview, Newbury Park, CA: Sage.
    [1988]
  • Maxwell, J. A. (2005).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age Publications Inc.
    [2005]
  • Lindeman의성인교육의 의미에 대한 비판이론적 탐 색
    안성신 최운실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Vol.16 No.10. 729-748 [2016]
  • Lindeman. (1926). The Meaning of Adult Education. New York: New Republic.
    [1926]
  • Life as narrative
    Bruner . J 54 , 11-32 . [1987]
  • Lichtman, M. (2010).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A user's guide. London: Sage publications.
    [2010]
  • Kosine, N. R., Steger, M. F., & Duncan, S.(2008). Putpose-centered career\ development: A strength-based approach to finding meaning and purpose in careers. American School Counselor Association, 12(2), 133-136.
    [2008]
  • Knowles, M. S., Holton Ⅲ, E. F. & Swanson, R. A. (1998). The adult learner. Texas: Gulf Publishing Company
    [1998]
  • Kegan, R. (2000). “What “Form” Transforms?” In Learning as Transformation, Ed. Jack Mezirow and Associates, San Francisco: Jossey-Bass
    [2000]
  • Kegan, R. (1994). In over our heads: The mental demands of modern lif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4]
  • Kegan, R. (1982). The Evolving Self: Problem and Process in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 Karpiak, I. E. (2000). Writing Our Life: Adult learning and Teaching Through Autobiography. Canadian Journal of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26(1), 31-50.
    [2000]
  • Jarvis, P. (2006). From adult education to the learning society. NY: Rout 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06]
  • Jarvis, P. (2001). Twentieth century thinkers in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London: Rout ledge.
    [2001]
  • Jarvis, P. (1987). Adult Learning in the Social context. London: Croom Helm.
    [1987]
  •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 Unmask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 Psychology Press . Guide for Educators of Adults
    Garrick , J [1998]
  • Illeris, K. (2007). How we learn: Learning and non-learning in school and beyond. New York: Routledge.
    [2007]
  • Ich und Du. 표재명 역(1995). 나와 너
    Buber, M. 서울: 문예출판사 [1923]
  • How critical reflection triggers transformative learning
    Merriam , S . B. 1 ( 20 ) , 1-6 [1990]
  • Habermas, J. (1971). Knowledge of human interests. Boston: Beacon Press.
    [1971]
  • Glaser, B. G., & Strauss, A. L.(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Piscataway, NJ: Transaction Publishers.
    [1967]
  • Freire, P. (1970). Pedagogy of the oppressed. New York: Seabury Press.
    [1970]
  • Fostering transformative learning in the adult education classroom
    Taylor , E. W. 14 , 1-28 [2000]
  • Florida, R.(2009). Who’s your city?: How the creative economy is making where to live the most important decision of your life. New York: Basic Books.
    [2009]
  • Facilitating transformative learning a framework for practice
    Apte , J 49 ( 1 ) , 169-189 . [2009]
  • Ezzy, D. (2002). Qualitative analysis: Practice and innovation. London: Routledge.
    [2002]
  • Experiential learning and social transformation for a post-apartheid learning
  • Experiential learning :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Kolb , D. A [1984]
  • Experience and nature. New York : Macmillan Publishing Co., Inc. 생각하는 방법. 임한영 역(1979)
    Dewey, J. 서울 : 법문사 [1938]
  • Erkenntnis und Interesse, Knowledge and Human Interests. 강영계 역(1989), 인식과 관심
    Habermas, J. 서울: 고려원 [1968]
  • Dewey, J, J. F. (1976). Ophiolite. Tectonophysics, 31(1-2), 93-120.
  • 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이홍우 역(2008), 민주주의와 교육
    Dewey, J. 서울: 교 육과학사 [1916]
  • Daloz, L. A.(1999). Mentor : Guiding the journey of adult learner . San Francisco, CA : Jossey-Bass.
    [1999]
  • Cranton, P. (2006). Understanding and promoting transformative learning: A guide for educators of adults. San Fransisco: Jossey-Bass.
    [2006]
  • Connelly, F. M., Clandinin, D. J.(1988). Teachers as curriculum planners : Narratives of experience.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1988]
  • Brookfiled, S. D.(2000). Transformative learning as ideology critique. In J.Mezirow & Associates, (Eds), Learning as transform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Cranton, P.(1994). Understanding and promoting transformative learning: A guide for educators of adults. San Francisco: Jossey-Bass.
  • Bourdieu, P. (1984).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London: Rout ledge.
    [1984]
  • Bogdan, R. C., & Biklen, S. K. (1982).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Boston: Allyn & Bacon.
    [1982]
  • Autobiography and Transformative Learning : Narrative in Search of Self
    Johnson , R. R. 2 ( 1 ) , 227-244 . [2003]
  • Alheit, P.,& Dausien, B. (2007). Lifelong learning and biography: A competitive dynamic between the macro-and the micro level of education. In L. West, P. Alheit, A. S. Andersen, & Merrill, B(Eds.), Using biographical and life history approaches in the study adult and lifelong learning: European perspectives(pp.57-70). Frankfurt: Peter
  • Alheit, P., & Dausien, B. (2002). The double face of lifelong learning: Two analytical perspectives on a ‘silent revolution’. Studies in the Education of Adults, 34(1), 3-22.
    [2002]
  • Alheit, P. (1995). Biographical learning: Theoretical outline, challenges and contradictions of a new approach in adult education. In Alheit, P., Bron-Wojciechowska, A., Brugger, E. & Dominicé, P. (Eds.), The biographical approach in European adult education (pp. 57-74). Wien: Verband Wiener Volksbildung.
    [1995]
  • Adult life Transition : Opportunities for Learning and Development . Wolf . M. , & Leahy . M . ( ed. ) . Adults in Transition
    Merriam , S. B 8-18 [1998]
  • 21세기 대비 군 평생교육체계 연구(연구보고서 인 96-1189)
    이종인 서울:한국국방연구원 [1997]
  • 2021년 전역간부 안내서
    국방부 [2021]
  • 2020년 국방백서
    국방부 서울 : 국방부 [2020]
  • 2016년 전직지원 통계자료집
    국방부 대한민국 국방부 [2017]
  • 2016년 국방백서
    국방부 서울 : 국방부 [2016]
  •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기영화, 김선주, 조윤정 역(2009). (성인학습을 위한)비판이론: 성인의 삶과 학습에 대한 희망의 담론
    Brookfiled, S. D. 서울: 학지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