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세대 시의 서울 표상 연구 : 김수영·신동엽·김종삼 시를 중심으로

공현진 2022년
' 전후 세대 시의 서울 표상 연구 : 김수영·신동엽·김종삼 시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Representation of Seoul
  • Writers from North Korea
  • diaspora
  • geographical place
  • kim soo-young
  • kimjongsam
  • metropolitan city
  • postwargeneration
  • shin dong-yeop
  • space production
  • 공간의 생산
  • 김수영
  • 김종삼
  • 대도시
  • 디아스포라
  • 서울 표상
  • 신동엽
  • 월남 작가
  • 전후세대
  • 지리적 장소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49 0

0.0%

' 전후 세대 시의 서울 표상 연구 : 김수영·신동엽·김종삼 시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희망의 공간, 최병두 이상율 박규택 이보영 옮김
    Harvey, D. 한울 [2001]
  • 현대한국소설사
    이재선 민음사 [1991]
  • 헤테로토피아, 이상길 옮김
    Foucault, M. 문학과지성사 [2014]
  • 한국현대문학사 2(1945-2000)
    권영민 민음사 [2002]
  • 한국사회와 다문화
  • 한국문학사
    김윤식 김현 민음사 [1996]
  • 한국 현대시의 시작방법 연구
    권혁웅 깊은샘 [2001]
  • 한국 현대시문학사: 년대1910~2010년대 수정증보판
    이승하 소명출판 [2019]
  • 한국 현대詩사
    오세영 민음사 [2007]
  • 한국 모더니즘 문학 연구
    서준섭 일지사 [1995]
  • 한국 도시 60년의 이야기 2
    손정목 한울 [2005]
  • 표상 공간의 근대, 박성관 옮김
    이효덕 소명출판 [2002]
  • 패러디 시학
    정끝별 문학세계사 [1997]
  • 토포필리아, 이옥진 옮김
    Tuan, Y. 에코리브르 [2011]
  • 탈식민의 미학
    하정일 소명출판 [2008]
  • 천상과 지상 사이의 형상-김종삼 시의 내재적 신성
    홍승진 모시는사람들 [2021]
  • 좋은 언어로-신동엽 평전
    김응교 소명출판 [2019]
  • 정조실록22권, 정조 10년 9월4일 갑술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아카이브 http://s illok.history.go.kr/id/kva_11009004_001)
  • 전후문학을 다시 읽는다
    한수영 소명출판 [2015]
  • 장소의 운명, 박성관 옮김
    Casey, E. 에코리브르 [2016]
  • 장소와 장소상실, 김덕현 김현주 심승희 옮김
    Relph, E. 논형 [2005]
  • 우리 문학 100년
  • 왕십리(1)-공간 경제 문화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09]
  • 아케이드 프로젝트 Ⅰ, 조형준 옮김
    Benjamin, W. 새물결 [2005]
  •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 정문영 옮김
    Agamben, G. 새물결 [2012]
  • 시민을 위한 서울역사 2000년
    노중국 서울역사편찬원 [2009]
  • 시각 저 끝 너머의 예술, 이정하 옮김
    Virilio, P. 열화당 [2008]
  • 세종실록30권, 세종7년 10월29일 갑오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아카이브 http:// sillok.history.go.kr/id/kda_10710029_00)
  • 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
    염복규 이데아 [2016]
  • 서울, 공간으로 본 역사
    장규식 혜안 [2004]
  • 서울 20세기 공간 변천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 상상력과 논리
    오세영 민음사 [1991]
  • 살아있는 김수영
    김명인 창비 [2005]
  •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반성완 옮김
    Benjamin, W. 민음사 [1983]
  • 발터 벤야민과 메트로 폴리스, 노명우 옮김
    Gilloch, G. 효형출판 [2005]
  • 미적 근대성과 순간의 시학-김수영‧김종삼 시의 시간의식
    남진우 소명출판 [2001]
  • 문화의 위치, 나병철 옮김
    Bhabha, H. 소명출판 [2012]
  • 리듬분석, 정기헌 옮김
    Lefebvre, H. 갈무리 [2013]
  • 디아스포라 기행, 김혜신 옮김
    서경식 돌베개 [2006]
  • 길 위의 김수영
    홍기원 도서출판 삼인 [2021]
  • 기억서사, 김병구 옮김
    오카 마리 소명출판 [2004]
  •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이진경 그린비 [2010]
  • 공간의 생산, 양영란 옮김
    Lefebvre, H. 에코리브르 [2011]
  • 공간과 장소, 구동회 심승희 옮김
    Tuan, Y. 대윤 [1995]
  • 공간, 장소, 경계, 정인모 배정희 옮김
    Schroer, M. 에코리브르 [2010]
  • 감각의 박물학, 백영미 옮김
    Ackerman, D. 작가정신 [2004]
  • 知의 논리, 오상현 유진우 옮김
  • 1950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0]
  • 히라야마 야키치, 신동엽의 회상의 시학, 신동엽
    김응교 글누림출판사 [2011]
  • 홍승희, 홍승진, 이민호, 김재현편, 김종삼정집
    김종삼 북치는소년 [2018]
  • 혼종적 주체와 경계사유의 가능성-가족 찾기 서사와 이주 모티프를 중심으로,  이화어문논집제37권
    권혜린 이화어문학회 [2015]
  • 호텔과 제국주의-우리 안의 ‘반도호텔’들에 대해, 일본비평제6권
    윤상인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 현대시의 담화론적 연구-김수영 김춘수 김종삼의 시를 대상으로
    이민호 서강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00]
  • 현대시에 나타나는 도시 이미지의 반영 의식—1990년대 이후의 시와 그로테스크 시학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제67권
    김홍진 국어국문학회 [2018]
  • 현대도시 서울의 형성과 1960 ~70년대 소설의 문화지리학
    송은영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 해방기의 시년1945~1950년), 한국 현대詩사
    고형진 민음사 [2007]
  • 해방기 김수영 시의 문명 비평적 역사성, 한국근대문학연구제17권1호
    홍승진 한국근 대문학회 [2016]
  • 해방 직후 시의 전개 양상-1940년대 한국 시문학사, 한국 현대시문학사: 1910 년대~2010년대 수정증보판
    유성호 소명출판 [2019]
  • 한국어판 옮긴이 서문-아아, 이 세계를 완전히 분해해서 다시 조립할 수 있다면, 아케이드 프로젝트 1
    조형준 새물결 [2005]
  • 한국 현대시의 서울 체험 연구, 서울학연구제9권
    권오만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 소 [1998]
  • 한국 현대시의 미적 근대성-김수영 김종삼을 중심으로
    이성일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4]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죽음의식 연구-김종삼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김정배 원광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시인으로서의 자기 인식과 시쓰기 연구-김춘수 김수영 김 종삼을 중심으로
    송현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서울’의 문학지리학적 연구-식민지 시대를 중심으로, 어 문연구제59권
    이혜원 어문연구학회 [2009]
  • 한국 현대문학에 나타난 서울 형상 연구, 서울학연구제23권
    유성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4]
  • 한국 현대 도시시의 변화 양상 연구-1980년대 시를 중심으로
    유수지 명지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6]
  • 한국 현대 도시시 연구-1930년대와 1980년대 시를 중심으로
    임영선 중앙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8]
  • 한국 전후 시의 형성과 전개-195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한국 현대시문학사: 1910년대~2010년대 수정증보판
    남기혁 소명출판 [2019]
  •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미적 근대성 연구
    고봉준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한국 리얼리즘시에 나타난 강(江)의 역사성과 시적 주체의 민중성 연구, 국제어 문 제35권
    이민호 국제어문학회 [2005]
  • 한국 도시소설 연구-1960~7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오창은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도시 인식과 감각의 연구
    오세인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한국 근대문학과 도시성 문제
    이성욱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폴 비릴리오: 속도와 현대세계, 프랑스문화연구제20호
    배영달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0]
  • 폴 비릴리오(Paul Virilio)의 전쟁론에서 로컬 공간 회복의 전망, 역사 와경계제75권
    신지은 장세룡 부산경남사학회 [2010]
  • 편집자 서문-정지 상태의 변증법, 아케이드 프로젝트Ⅰ, 조형준 옮김
    Tiedemann, R. 새물결 [2005]
  • 지정학적 공간에 관한 사유: 폴 비릴리오의 저작에서 전쟁, 속도, 시각의 공간성, 공간적 사유, 최병두 옮김
    Luke, T. O Tuathail G. 에코리브르 [2013]
  • 중구 문화관광 홈페이지-문화/역사:소공동지하도상가
    https://www.junggu.seoul.kr/tour/c ontent.do?cmsid=15006&contentId=4484
  • 제4판 서문: 앙리 르페브르와 공간의 사유, 공간의 생산, 양영란 옮김
    Hess, R. 에코 리브르 [2011]
  • 제3세계로서의 자기 정위(定位)와‘신성(神聖)’의 발견-1960년대 김수영 신동엽 시 에 나타난 정치적 상상력, 반교어문연구 제39권
    박지영 반교어문학회 [2015]
  • 정지용과 김수영의 시에 있어서 근대 도시의 표상성-지도와 유리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제39권
    박정선 우리어문학회 [2011]
  • 정지용 시에 나타난 현대문명과 도시성, 비평문학제12권
    김명옥 한국비평문학회 [1998]
  • 전후소설에 나타나 절망과 궁핍의 서울 풍경, 한국문예비평연구23
    최강민 한국현대 문예비평학회 [2007]
  • 전후세대의 문학과 언어적 정체성-전후세대의 이중언어적 상황을 중심으로, 대 동문화연구제12권58호
    한수영 대동문화연구원 [2007]
  • 전후세대의 ‘미적 체험’과 ‘자기번역’ 과정으로서의 시쓰기에 관한 일고찰, 한국 문학의 연구제60권
    한수영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 전차④ 기동차, 그리고 ‘왕십리 똥파리’
    이상락 한국농정신문, http://www.i k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6558 [2019]
  • 전쟁기와 전후의 시년1950~1961년), 한국 현대詩사
    김현자 민음사 [2007]
  • 장정일 시에 나타난 도시성 연구, 비평문학제69호
    김민지 한국비평문학회 [2018]
  • 잘 표현된 불행
    황현산 문예중앙 [2012]
  • 임화와 김수영 시에 나타난 ‘거리’와 ‘방’의 공간 표상, 어문론집제85집
    이경수 민족 어문학회 [2019]
  • 이영준편, 김수영전집2 산문
    김수영 민음사 [2018]
  • 이영준편, 김수영전집1 시
    김수영 민음사 [2018]
  • 월남문학의 세 유형-선우휘, 이호철, 최인훈의 소설을 중심으로, 통일과평화7 집2호
    방민호 통일평화연구원 [2015]
  • 오규원 시에 나타나는 도시 사물성과 유동의 시학-1970~80년대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제66권
    박래은 한국시학회 [2021]
  • 역자 서문, 희망의 공간, 최병두 이상율 박규택 이보영 옮김
    최병두 한울 [2001]
  • 앙리 르페브르와 공간의 생산-역사이론적 전유의 모색, 역사와 경계제58권
    장세룡 부산경남사학회 [2006]
  • 아침의 誘惑, 자유신문
    김수영 自由新聞社 [1949]
  • 실록에 나타나는 15세기 태평관 모화관 건축과 관련 인물연구, 건축역 사연구제25권4호
    김버들 조정식 한국건축역사학회 [2016]
  • 신동엽의 금강에 대하여, 민족시인 신동엽
    김우창 소명출판 [1999]
  • 신동엽의 새로운 혁명 ‘중립’, 국제어문 제63권
    김희정 국제어문학회 [2014]
  • 신동엽의 맹목 거부의 의미 - 눈(眼) 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제 195권
    이은홍 국어국문학회 [2021]
  • 신동엽과 쟝허의 ‘서사시’를 통한 ‘저항성’ 비교 연구, 동북아문화연구제1권 42 호
    이미옥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5]
  • 신동엽과 1960년대-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 문제를 중심으로, 비평문학 제65 권
    하상일 한국비평문학회 [2017]
  • 신동엽 연구, 민족시인 신동엽
    강은교 소명출판 [1999]
  • 신동엽 시의 서구 지배담론 거부와 대응, 상허학보 제14권
    김석영 상허학회 [2005]
  • 신동엽 시의 민주주의 미학 연구-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 한국시학연구 제 35권
    조강석 한국시학회 [2012]
  • 신동엽 시의 공간적 특성과 심상지리, 비평문학제39권
    이경수 한국비평문학회 [2011]
  • 신동엽 시에 나타난 탈식민적 장소와 다문화적 사유의 가능성, 어문론집제76 집
    공현진 중앙어문학회 [2018]
  • 신동엽 시에 나타난 ‘탈주’의 의미,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제36권 1호
    박정근 순천향 대학교 [2017]
  • 신동엽 시에 나타난 ‘생성’의 의미, 한민족문화연구 제58권
    박정근 한민족문화학회 [2017]
  • 신동엽 문학의 탈식민성 연구, 한민족어문학 제65권
    여상임 한민족어문학회 [2013]
  • 시의 몫, 몸의 몫, 살아있는 김수영
    황현산 창비 [2005]
  • 시 往十里의 상호텍스트성 연구-金素月, 朴木月, 金宗三의 시를 중심으로, 어 문학제76호
    손진은 한국어문학회 [2002]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청량리: 일탈과 일상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2]
  • 서울 근대도시경관 읽기, 서울 20세기 공간 변천사
    이규목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 서울 20세기 교통의 발달, 서울 20세기 공간 변천사
    이혜은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 살아있는 신동엽, 민족시인 신동엽
    백낙청 소명출판 [1999]
  • 산업화시대 시의 모색과 발전-197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한국 현대시문학사: 1910년대~2010년대 수정증보판
    이승하 소명출판 [2019]
  • 산업화 시대의 시년1972~1979년), 한국 현대詩사
    이숭원 민음사 [2007]
  • 불/가능성과 타자 윤리: 조르조 아감벤과 아즈마 히로키의 논의를 중심으 로, 문화와 사회제9권 1호
    이하림 한송희 한국문화사회학회 [2021]
  • 변영로 시에 나타난 ‘거리’와 ‘길’의 표상 대비 연구, 한국시학연구제39권
    오세인 한 국시학회 [2014]
  • 박인환의 도시시와 1950년대 모더니즘, 한중인문학연구제22권
    박몽구 한중인문학회 [2007]
  • 민주화의 열망과 좌절년1961~1972년). 한국 현대詩사
    송기한 민음사 [2007]
  • 미명(微明)의 목록[창안], 최성희‧김지영‧박혜정 옮김, 정 동 이론
    Gregg, M. Seigworth, G. 갈무리 [2015]
  • 문화관광 홈페이지-지명유래 참고
    성동구 https://www.sd.go.kr/tour/contents.do?key=1 926
  • 문화 혼종성의 이론적 고찰-호미 바바를 중심으로, 인문학논총제39호
    박민수 경성대 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 문명의 배에서 침몰한 토끼, 김종삼 전집
    강석경 청하 [1988]
  • 모더니즘과 1930년대의 서울-역사적 모더니즘의 재평가를 위한 문학사회학적 연구1, 한국학보제12권4호
    서준섭 일지사 [1986]
  • 마리서사・유명옥・국립도서관-김수영 시의 장소에 대한 연구: 김수영 연구(7), 외국문학연구제73집
    김응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9]
  • 르페브르의 일상생활 비판과 도시 공간적 소외, 대한지리학회지제53권2호
    최병두 대 한지리학회 [2018]
  • 르페브르의 변증법적 공간 이론과 공간정치-공간의 생산을 중심으로, 도시인 문학연구제6권1호
    신승원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 동위성 이론을 통해 본 김수영의 시작품(풀, 여름아침) 분석, 기호학연구 제63권
    홍정표 한국기호학회 [2020]
  • 도시화의 흐름과 전망-한국 도시의 과거, 현재, 미래, 경제와사회60
    조명래 비판사회 학회 [2003]
  • 도시와 시적 모더니티 : 김수영의 시적 산문정신과 서울-보들레르와의 비교를 경 유하여, 서강인문논총제26권
    정의진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 도시생태의 시적 수용과 전망―이하석, 최승호, 이문재 시를 중심으로, 문학과환 경제7권2호
    이혜원 문학과환경학회 [2008]
  • 도시공간과 빈민의 시-김기림의 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8권2호
    조해옥 한국문학 이론과비평학회 [2004]
  • 난민과 탈북자의 윤리적 문제-아감벤과 레비나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기독교사 회윤리제34집
    이종원 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6]
  • 김종삼편, 김종삼전집
    권명옥 나남출판 [2005]
  • 김종삼의 시적 상상력과 텍스트성
    이민호 보고사 [2004]
  • 김종삼의 시를 찾아서
    이숭원 태학사 [2015]
  • 김종삼 시의 원전 비평의 과제-등단작에 대한 재검토와 발굴작 책 파는 소녀를 중심으로, 국제어문제60집
    신철규 국제어문학회 [2014]
  • 김종삼 시의 심미적 인식과 증언의 윤리
    신철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김종삼 시의 공간성 연구, 중앙대 석사학위논문
    공현진 중앙대학교 [2015]
  • 김종삼 시의 공간과 장소, 아시아문화연구제30권
    심재휘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 김종삼 시에 나타난 ‘산책자(Fl neur)’ 연구
    이은란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 김종삼 시 연구: 시간과 공간 인식을 중심으로
    김성조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김종삼 시 돌의 발굴과 의의, 근대서지제15호
    홍승진 근대서지학회 [2017]
  • 김수영의 초기시에 나타난 우울의 양상, 한국시학연구38
    박군석 한국시학회 [2013]
  • 김수영의 시와 현대성의 탈식민적 경험, 한국현대문학연구제9집
    곽명숙 한국현대문학 회 [2001]
  • 김수영의 시와 언어
    여태천 도서출판 월인 [2005]
  • 김수영의 시와 속도의 정치학
    여태천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25권 1호 [2017]
  • 김수영의 문학비평, 살아있는 김수영
    유성호 창비 [2005]
  • 김수영시에 나타난 시각적 경험의 발현 양상, 한국근대문학연구제13권
    주영중 한국 근대문학회 [2006]
  • 김수영과 한국 전쟁, 한국시학연구제67권
    이영준 한국시학회 [2021]
  • 김수영과 신동엽: 1950~60년대 한국 현대시의 현실지향성
    이승규 소명출판 [2008]
  • 김수영과 신동엽 시의 모더니티 연구
    남기택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김수영과 신동엽 비교 연구―현실 참여관을 중심으로
    이홍래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김수영과 시각(視覺)의 문제, 현대문학의 연구제22권
    조강석 한국문학연구학회 [2004]
  • 김수영과 김춘수의 시 비교 연구
    전병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김수영과 김지하 시의 탈식민주의 전략 비교 연구, 한국시학연구제25집
    고현철 한국 시학회 [2009]
  • 김수영과 ‘시선’의 재발견-자코메티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Compa rative Korean Studies27권3호
    이혜원 국제비교한국학회 [2019]
  • 김수영 평전
    최하림 실천문학사 [2018]
  • 김수영 신동엽 시의 신화적 상상력 연구
    차창용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김수영 시집 달나라의 장난 연구-~1956년 시편을 대상으로, 한국문학 이론과 비평제77집
    김종훈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7 [1953]
  • 김수영 시의 자유와 설움의 상관성 연구-탈식민주의 관점으로, 한민족문화연구 제34권
    방인석 한민족문화학회 [2010]
  • 김수영 시의 시간의식, 살아있는 김수영
    남진우 창비 [2005]
  • 김수영 시의 시각성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제20권
    임지연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6]
  • 김수영 시의 바로 보기와 비애 : 시작 태도와 방법, 현대문학이론연구제15 권
    오성호 현대문학이론학회 [2001]
  • 김수영 시에 대한 ‘시선/시각성’ 연구 재론, 한국문예비평연구제52권
    고봉준 한국현대 문예비평학회 [2016]
  • 김수영 시에 나타난 자연인식과 미학적 변주, 문학과환경9권1호
    최호영 문학과환경 학회 [2010]
  • 김수영 시에 나타난 자연과 몸에 관한 사유, 민족문학사연구제20권
    박지영 민족 문학사연구소 [2002]
  • 김수영 시에 나타난 시선의 정치학, 한국문학이론과 비평15권3호
    이광호 한국문학이 론과비평학회 [2011]
  • 김수영 시에 나타난 속도의 의미, 국어국문학제131권
    노용무 국어국문학회 [2002]
  • 김수영 시에 나타난 도시적 시선의 문제, 어문논집제60권
    이광호 민족어문학회 [2009]
  • 김수영 시에 나타난 도시의 시간과 공간 인식, 수행인문학제35권
    권경아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연구소 [2005]
  • 김수영 시에 나타난 ‘탈식민적 언어’의 양가성, 국어교육제121집
    배개화 한국어교육 학회 [2006]
  • 김수영 시에 나타난 ‘시선의 기술’의 전개 양상-근대적 ‘피로/우울’, ‘휴식’과의 상 관성을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제11권2호
    김수이 한국문예창작학회 [2012]
  • 김수영 시론의 원점으로서의 포로체험, 한국시학연구제60권
    윤 숙 한국시학회 [2019]
  • 김수영 문학에서 ‘이중언어’의 문제와 ‘자코메티적 발견’의 중요성, 한국근대문 학연구제27집
    강계숙 한국근대문학회 [2013]
  • 기계비평적 관점에서 본 김종삼의 사운드스케이프, 김종삼 시인 탄생 100주년 심포지엄-한국문학의 새로운 영토, 김종삼 시의 현대성과 세계성: 전쟁과 음악과 평화 와 발표집
    오영진 종삼포럼 [2021]
  • 국립국어원, ‘진열창’
    표준국어대사전 참조.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 esult.do
  • 국립국어원, ‘지대’
    표준국어대사전 참조.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 w.do
  • 국가를 통해 본 김수영과 신동엽의 시, 한국근대문학연구제6권1호
    이경수 한국근대 문학회 [2005]
  • 국가, 개인, 설움, 속도-1950년대 시를 중심으로, 살아있는 김수영
    박수연 창비 [2005]
  • 강형철편, 민족시인 신동엽
    구중서 소명출판 [1999]
  • 강형철, 김윤태 편, 신동엽 시전집
    신동엽 창비 [2013]
  • 迎恩門, 慕華館의 건립과 獨立門, 獨立館으로의 변천, 서울과 역사제82권
    김세민 서 울역사편찬원 [2012]
  • ‘위대의 소재(所在)’와 사랑의 발견, 살아있는 김수영
    강연호 창비 [2005]
  • ‘어느날 고궁을 나오면서’에 나타난 탈식민성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제10권 2-1호
    노용무 한민족문화학회 [2010]
  • ‘도시에 대한 권리’ 개념 및 관련 실천 운동의 흐름, 공간과 사회제32권
    강현수 한국 공간환경학회 [2009]
  • Virilio, P. Pure War, Los Angeles: Semiotext(e), 2007.
    [2007]
  • Lefebvre, H. The Urban Revolutio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3.
    [2003]
  • 6 25전쟁 전후 서울지역 교통환경의 변화와 電車의 한계, 도시연구:역사‧사회‧문 화제14권
    최인영 도시사학회 [2015]
  • 4‧19혁명 이후 우리 시의 유형과 특징-196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한국 현대 시문학사: 1910년대~2010년대 수정증보판
    문혜원 소명출판 [2019]
  • 21세기 이미지 시론 연구, 구보학보 제26권
    정끝별 구보학회 [2020]
  • 20세기 서울의 도시성장-전 근대 도시에서 글로발 도시로, 서울 20세기 공간 변천사
    이기석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 1980년대 여성시의 주체와 정동―최승자‧김혜순‧허수경의 시를 중심으로, 여성문 학연구제43호
    이경수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 1960년대 한국시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의 형상과 시적 이념 : 김수영 김춘수 신 동엽의 시를 중심으로
    강계숙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1960년대 시의 언술 주체와 미적 부정성 연구-김수영 김종삼 전봉건 시를 중심으 로
    김지율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1960년대 미국의 한국 근대화 기획과 추진 : 주한미공보원의 심리활동과 영화, 한국문학연구제35권
    허 은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8]
  • 1950년대 시의 코스모폴리탄적 감각과 세계사적 개인주체, 한국시학연구제34 권
    임지연 한국시학회 [2012]
  • 1950년대 서울의 도로 교량 재건과 시민의 역할
    김아람 6 25전쟁과 1950년대 서울의 사회변동, 서울역사편찬원 [2018]
  • 1950년 이후 도시소설에 투영된 수도권의 도시화에 의한 공간변 화, 국토지리학회지제42권4호
    김희순 이은숙 정희선 국토지리학회 [2008]
  • 1930년대의 도시소설, 문학사상 1988년 8월호 별책부록
    이재선 문학사상사 [1988]
  • 1930년대 한국시의 도시 체험과 향수, 국어국문학131권
    전봉관 국어국문학회 [2002]
  • 1930년대 한국 도시적 서정시 연구
    전봉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1930년대 모더니즘 시에 나타난 도시체험과 멜랑콜리적 주체-김기림과 이상 시 를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제56권
    신진숙 한국문학회 [2010]
  • 1930년대 도시소설 연구
    강혜경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 1930년대 도시소설 연구
    박연걸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1930년대 경성과 이상(李箱)의 모더니즘-백화점과 새로운 시각체제의 등장, 문 화과학45호
    고봉준 문화과학사 [2006]
  • 1920년대 초 ‘거리’의 시적 표상화 양상 연구-김억, 김소월, 박종화의 시를 중심 으로, 비평문학제45권
    오세인 한국비평문학회 [2012]
  • 1920~1930년대 신문과 잡지에 나타난 공간 표상의 변화 과정 연구-‘거리(街)’를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제46권
    오세인 한국시학회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