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제주읍성 공간구조와 관덕정 광장의 성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atial Configu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Gwandeokjeong Plaza, Jeju-eupseong, during Joseon Dynasty Era

김태곤 2022년
논문상세정보
' 조선시대 제주읍성 공간구조와 관덕정 광장의 성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atial Configu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Gwandeokjeong Plaza, Jeju-eupseong, during Joseon Dynasty Er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공간
  • 광장
  • 마정
  • 읍성
  • 읍치
  • 제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14 0

0.0%

' 조선시대 제주읍성 공간구조와 관덕정 광장의 성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atial Configu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Gwandeokjeong Plaza, Jeju-eupseong, during Joseon Dynasty Era' 의 참고문헌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 http://yoksa
    aks.ac.kr
  • 한국의 지식콘텐츠 http://www
    krpia.co.kr
  • 한국고전번역원 : http://db
    itkc.or.kr
  • 조선왕조실록
  • 제주특별자치도, 『국역 증보탐라지』
    제이에스디자인 [2016]
  •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연사박물관, 『탐라장계초』
    제주콤 [2021]
  • 제주특별자치도
    『탐라사』Ⅰ, Ⅱ [2009]
  • 제주특별자치도
    「일제 강점기 문화유산 지적원 디지털화사업」2차 [2019]
  • 제주특별자치도
    「일제 강점기 문화유산 지적원 디지털화사업」1차 [2017]
  • 제주지도, <제주군읍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제주시문화유적관리사무소, 『도영절차 영해창수록』
    제주도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2007]
  • 제주삼현도, <해동지도>, 1750년경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제주목도성지도, <탐라십이경도>
    개인소장
  • 제주도, 『제주도지』제2권
    제주도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2006]
  • 제주도, 『제주도 제주마』
    제주도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2002]
  • 제주도, <제주양씨족보>
    제주김만덕기념관 소장
  • 제주교육박물관
    『탐라지초본』(상) [2007]
  • 제주, <여지도>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전주역사박물관 전라문화연구소, 『전라감영연구』
    도서출판 선명 [2008]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http://e-kyujanggak
    snu.ac.kr
  • 국사편찬위원회 : http://www
    history.go.kr
  • 고려사
  • 『탐라지초본』
  • 『탐라지』
  • 『탐라장계초』
  • 『탐라순력도 연구총론』
    제주시 세림원색인쇄사 [2000]
  • 『탐라방영총람』
  • 『탐라계록』
  • 『지영록』
  • 『증보탐라지』
    윤시동 1765, 일본 천리대학교 소장, 제주특별자치도 영인본 [2016]
  • 『제주원도심으로 떠나는 건축기행』
    김태일 도서출판 각 [2021]
  • 『제주에서 세계를 보다. 제주 고지도』
    제주대학교박물관 [2020]
  • 『제주시의 옛터』
    제주시 [1996]
  • 『제주성 총서』
    제주시 [2015]
  • 『정의현성성곽 여장복원연구』
    제주특별자치도 [2010]
  • 『승정원일기』
  • 『서재집』
  • 『사진으로 엮은 제주교육 100년』
    제주교육박물관 [2009]
  • 『사진으로 보는 제주역사』
    제주특별자치도 [2009]
  • 『도영절차』
  • 『남환박물』
  • 『그림에 담은 옛 제주의 기억 탐라순력도』
    국립제주박물관 [2020]
  • 『경상도 우리 정자』
    목심회 도서출판 집 [2021]
  • 「지형의 변화원리와 현상에 대한 풍수지리학적 연구」
    김주환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조선후기 홍주목 읍치의 도시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김회정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조선후기 충청도 관아건축의 배치체계」
    김기덕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조선후기 지방통치행정연구」
    이희권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 「조선후기 제주지역 토지매매 연구」
    김영란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조선전기 마목장 설치 연구」
    이홍두 『동북아역사논총』, 55호 [2017]
  • 「조선전기 경상도의 목장 연구」
    이종봉 『지역과 역사』, 제24호 [2009]
  • 「조선시대후기 경상도읍치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이재환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조선시대 충청지방 읍치구성의 수체계에 관한 연구」
    강인애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조선시대 지방도시 읍치의 성립과 계획원리에 관한 연구」
    김헌규 『건축역사연구』,제16권 2호 통권51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7]
  • 「조선시대 제주읍성 관덕정 광장의 성격」
    김태곤 홍승재 『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Vol.30 No.5 [2021]
  • 「조선시대 제주도 관영목장의 범위와 경관」
    강만익 송성대 『문화역사지리』, 제2호 [2001]
  • 「조선시대 제주도 관방시설의 연구」
    김명철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조선시대 읍성 배치계획에 관한 연구」
    문영식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조선시대 도시에 관한 연구」
    손정목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6]
  • 「제주향교 대성전 문화재 정밀발굴조사 보고서」
    제주문화유산연구원 [2020]
  • 「제주읍성의 변천에 관한 역사고고학적 연구」
    변성훈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제주시 구도심 역사문화경관 기록화 사업」
    제주특별자치도 [2015]
  • 「제주성읍마을 관아2차 문화재발굴조사보고서」
    제주문화유산연구원 [2011]
  • 「제주목관아 영주관객사터 1 2차 문화재발굴조사보고서」
    제주고고학연구소 [2017]
  • 「제주 정의읍성의 풍수지리적 해석」
    김동섭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제주 용담동유적(2621-10번지)문화재 발굴조사보고서」
    제주문화유산연구원 [2014]
  • 「제주 옛길 조성 및 관리지원 종합계획」
    제주특별자치도 [2020]
  • 「제주 목마관련 잣성유적 실태조사(서부지역)」
    제주특별자치도 [2018]
  • 「제주 목마관련 잣성유적 실태조사(동부지역)」
    제주특별자치도 [2019]
  • 「제주 목관아지 복원계획」
    제주도 [1998]
  • 「전한시대(前漢時代) 전례론(典禮論) 연구」
    김용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4]
  • 「전통지리사상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읍성 연구」
    김상태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전주지역 비포풍수에 관한 연구」
    김곤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읍성의 공간구조 및 건축물 변천에 관한 연구」
    강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운주당터 정비 복원계획」
    제주특별자치도 [2019]
  • 「목장지도에 나타난 17세기 국마 목장의 분포와 변화」
    김기혁 『지역과 역사』제24호 [2007]
  • 「동래지역 읍 영 진성의 공간구조와 관아시설에 관한 연구」
    송혜영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대정읍성 학술조사 보고서」
    제주문화예술재단 [2006]
  • 「남해 흥선목장의 공간구조와 기능에 관한 연구」
    강영수 김재영 홍성우 『야외고고학』, 제17 호 [2013]
  • 「구한말 제주읍성의 도로체계에 관한 연구」
    양상호 『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제20권 6호 통권 79호 [2011]
  • 「관덕정 실측조사보고서」
    제주시 [1995]
  • 「관덕정 실측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7]
  • 「고려말 탐라목장의 운영과 영향」
    강만익 『탐라문화』, 제52호 [2016]
  • 「경복궁 복원기본계획」
    제주특별자치도 [2009]
  • 「19세기 전라도 진도목장의 운영 실태」
    김경옥 『남도문화연구』, 제32집 [2009]
  • <탐라지도병서>, 1709
    이규성 국립제주박물관 소장
  • <탐라순력도>, 1702
    이형상 제주특별자치도 소장
  • <지승>
    제주목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제주자혜의원재래평먼도> 6, 7
    국가기록원 소장
  • <제주자혜의원 평면도와 입면도>
    국가기록원 소장
  • <제주삼읍전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 <제주삼읍도총지도>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연사박물관 소장
  • <제주도측후소청사기타신축배치도>
    국가기록원 소장
  • <제주도측후소 무선전시주 신설 기타공사 배치도>
    국가기록원 소장
  • <제주도청증축 및 경찰서 이축 배치도>
    국가기록원 소장
  • <제주도청사증축부지 성토 기타설계도>
    국가기록원 소장
  • <제주경찰서 이축 공사 설계도>
    국가기록원 소장
  • <광주지방법원 제주지청사 기타 신축공사 설계도/배치도>
    국가기록원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