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접경지역의 지속가능한 생태평화관광 : 근거이론에 기반한 파주·연천 사례 비교

박경만 2022년
논문상세정보
' DMZ 접경지역의 지속가능한 생태평화관광 : 근거이론에 기반한 파주·연천 사례 비교'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dmz
  • 근거 이론
  • 비무장지대
  • 생태평화관광
  • 연천군
  • 접경지역
  • 지속가능한 관광
  • 파주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14 0

0.0%

' DMZ 접경지역의 지속가능한 생태평화관광 : 근거이론에 기반한 파주·연천 사례 비교' 의 참고문헌

  • 한국관광공사 “남북 관광사업 재개 및 활성화방안” 중간보고서 [2018]
  • 경기연구원 『인경강 광역 연합을 접경지역 혁신의 발판으로』보고서 [2021]
  • 홈페이지 http://me
    환경부 go.kr
  • 행정안전부 홈페이지(https://www
    mois.go.kr
  • 행정안전부 디엠지기 홈페이지 https://www
    dmz.go.kr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홈페이지 https://www
    kcti.re.kr
  •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 http://www
    visitkorea.or.kr
  • 한겨레신문 홈페이지 https://www
    hani.co.kr
  • 파주시청 홈페이지 https://www
    paju.go.kr
  • 통일부 홈페이지 https://www.unikorea.go.kr/
    unikorea
  • 통일부 공식 블로그 https://blog
    naver.com/gounikorea
  • 통일뉴스 칼럼
    이장희 2021년 1월 18일자 [2021]
  • 지속가능발전포털 http://ncsd
    환경부 go.kr
  • 저탄소 녹색관광의 개념 및 의의- 근거이론 방법론을 중심으로
    장유현 『관광연구논 총』, 30(2), pp.3∼31 [2018]
  • 유엔세계관광기구 https://www
    unwto.org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https://www
    unesco.or.kr
  • 연합뉴스 홈페이지 https://www
    yna.co.kr
  • 연천군청 홈페이지 https://www
    yeoncheon.go.kr
  • 세계평화관광협회 홈페이지 https://www
    iipt.org
  • 발레리 쥴레쥬 “햇볕정책(1998∼2008)이 남북한 접경지역 변화에 미친 영향: 문화지리 학적 관점에서”
    『민족문화연구』, 63, pp.247∼278 [2014]
  •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 https://www
    mcst.go.kr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관광공사
    “DMZ 평화관광 안내 해설 가이드라인 교육”, pp.1∼47 [2019]
  • 문화체육관광부
    “2019년 기준 관광 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pp.273∼275 [2020]
  • 근거이론의 수행방법에 대한 이해: 실천적 가이드라인과 이론적 쟁점을 중심으로
    권향원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2), 181∼216 [2016]
  • 근거이론의 분기: Glaser와 Strauss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인숙 『사회복지연구』, 42(2), pp.351∼379 [2011]
  • 근거이론 연구방법의 이론과 실제
    김소선 『간호학탐구』, 12(1), pp.69∼81 [2003]
  • 국방부 홈페이지 https://www
    mnd.go.kr
  • 국립생태원 홈페이지 https://www
    nie.re.kr
  • 경기연구원 홈페이지 https://www
    gri.re.kr
  • 경기도청 홈페이지(https://www
    gg.go.kr
  • 경기관광공사 홈페이지 https://gto
    or.kr
  • 『한탄강 지질공원 문화 자원 발굴조사 연구보고서』
    연천군 경기문화재단 [2019]
  •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변경안)』
    행정안전부 [2019]
  • 『연천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 관리 기본계획 수립 용역보고서』
    연천군 [2020]
  •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구 지원방안』
    김석진 양문수 이석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
  • 『리얼파주』
    파주시 [2020]
  • 『근거이론방법론』
    김미영 신경림 현문사 [2003]
  • 『권역별 관광벨트 조성 연구용역』
    파주시 [2020]
  • 『국방통계 연보』
    국방부 [2020]
  • 『DMZ가 말을 걸다』
    박은진 외 위즈덤하우스 경기도 [2013]
  • 『21세기 정치학대사전』
    정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2002]
  • “휴전의 상징, 비무장지대를 배경으로 한 한국 영화의 영화적 특징에 관한 연구: 공간의 의미와 사건재현의 방식, 시선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태수 『영화연구』, 57, pp.361∼ 386 [2013]
  • “한반도 통일과 DMZ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법 제도화”
    이효원 『통일전략』, 12(1), pp.45∼85 [2012]
  • “한반도 신경제구상과 접경지역 개발”
    임을출 경기도 ‘DMZ 포럼 2019’ 발표문 [2019]
  • “한반도 신경제 구상과 경기북부 접경지역 발전전략”
    이정훈 『경기연구원 정책연 구』, pp.1∼399 [2019]
  • “한반도 비무장지대 일원 정책과 연구의 변화와 시사점”
    박은진 여인애 『환경정책』, 26(2), pp.19∼45 [2018]
  • “한국전쟁 군사유적의 보호와 활용에 관한 연구”
    조태환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9]
  • “한국의 생태관광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이후석 『관광연구저널』, 33(2), pp.5∼ 20 [2019]
  • “한국의 람사르 습지 생태관광지의 지속가능성 연구: 평가지표와 측정변수 목록 화”
    이후석 『관광연구저널』, 32(2), pp.99∼117 [2018]
  • “한국의 독특한 관광 정체성 확립을 위한 DMZ 관광가치 연구”
    이웅규 장현종 『지역 산업연구』, 43(2), pp.3∼24 [2020]
  • “한국의 DMZ 일원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 및 보존을 위한 마스터 플 랜의 필요성과 기본 개념”
    남궁승필 황성한 『대한지리학회지』, 52(2), pp.211∼223 [2017]
  • “한국 접경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남북한 평화적 이용방안”
    김영봉 『접경지역통일연 구』, 1(1), pp.37∼76 [2017]
  • “평화의 존재론적 의미와 구축 전략: 한반도 ‘DMZ 평화’ 구상을 중심으로”
    장영권 『통일과평화』, 7(1), pp.18∼19 [2015]
  • “평화경제와 평화관광: 전망과 과제”
    임을출 『한국관광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집』, 86, pp.575∼584 [2019]
  • “평화경제와 관광특구 정책”
    김철원 『한국관광정책』, 76, pp.10∼17 [2019]
  • “판문점 및 주면 DMZ 지역의 스토리텔링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이동미 『지역과 문화』, 6(4), pp.23∼45 [2019]
  • “통일관광을 위한 비무장지대(DMZ)의 관광학적 가치에 대한 인식 변화 연구: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노희경 『관광레저연구』, 31(10), pp.59∼78 [2019]
  • “텍스트 분석기법을 활용한 DMZ 연구 동향 분석”
    박선일 배선학 『한국지역지리학회 지』, 24(3), pp.406∼417 [2018]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DMZ관광 이슈의 토픽 모델링 분석”
    박경열 안희자 『관광 레저연구』, 31(4), pp.143∼159 [2019]
  • “탈현대적 관광의 일반적 특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오정준 이후석 『관광연구저널』, 18(1), pp.117∼128 [2004]
  • “컨벤션센터 이미지 형성과정-근거이론을 중심으로”
    김철원 이성근 『관광학연구』, 5(2), pp.95∼117 [2011]
  • “커뮤니티 기반 생태관광의 연구: 멕시코 유카탄을 사례로”
    김희순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22(1), pp.93∼121 [2011]
  • “체류형 농촌관광 참여자의 일상 회복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문준호 이원석 한주형 『관광레저연구』, 32(1), pp.5∼25 [2020]
  • “질적 연구의 심화와 확장: 한국 정치학 연구에서의 근거이론 방법 적용 가능 성”
    박나라 『정치정보연구』, 23(2), pp.189∼234 [2020]
  • “지역발전의 원동력으로 관광의 연계 방안”
    김향자 『공공정책』, 170, pp.15∼17 [2019]
  • “지역관광 발전지수”
    문화체육관광부 [2019]
  •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인지도: 파주시 접경지역을 대 상으로”
    김성혁 박용순 『관광학연구』, 25(3), pp.81∼98 [2001]
  • “지속가능한 관광 외”
    최영국 『국토』, 223, pp.53∼53 [2000]
  • “지속가능성 개념의 형성사-18세기 독일 산림학 이론과 실제에서의 의미 내용 을 중심으로”
    김화임 『인문논총』, 72(1), pp.453∼478 [2015]
  • “제주도의 지속가능한 관광에 관한 연구-생태관광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오정준 서울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 “접경지역의 도시 지정학: 경기도 파주시 대북 전단 살포 갈등을 사례로”
    이승욱 『대한 지리학회지』, 3(5), pp.625∼647 [2018]
  • “자연환경 최적 관리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
    김연미 오일찬 이수동 이승준 차은지 『국민체감 환경현안 정책연구』, 16(10),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보고서 [2020]
  • “인문학적 통일 패러다임의 사회적 적용: 하나의 사례로서 ‘DMZ 디지털 스토리텔링”
    박민철 박영균 『OUGHTOPIA』, 31(1), pp.129∼153 [2016]
  • “연천 무등리보루군의 가치와 활용방안”
    양시은 최종택 『고구려발해연구』, 62(0), pp.99∼124 [2018]
  • “안보관광 경쟁력 강화방안”
    전효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기본연구 28 [2016]
  • “스토리텔링을 통한 DMZ관광 상품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도영 『벤처창업연구』, 10(1), pp.83∼93 [2015]
  • “서재철의 DMZ 이야기”
    서재철 한겨레 2018년 7월 14일자 [2018]
  • “서부 DMZ 일원 경관 요소의 시공간적 변화와 생물다양성 보전 전략”
    김재현 서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1]
  • “생태평화벨트 비무장지대 보존과 활용 정책 방향 일고찰”
    이경선 『입법학연구』, 10(2), pp.61∼103 [2013]
  • “생태관광지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오정준 『대한지리학회지』, 38(4), pp.610∼ 629 [2003]
  •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DMZ 관광 활성화”
    전효재 『한국관광정책』, 73, pp.64∼ 69 [2018]
  • “사회 생태적 회복탄력성의 관점을 통해 본 DMZ 접경지역의 커뮤니티 기반 관 광”
    김지나 『국토연구』, 제98권, pp.113∼133 [2018]
  • “비무장지대의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관광의 평화적 가치 연구”
    박종찬 이웅규 『호텔관광연구』, 50, pp.109∼126 [2013]
  • “비무장지대의 생태 환경적 지속 가능한 관광개 발에 관한 연구”
    나정기 이경모 이장춘 이주형 차길수 『공공정책연구』, 10(2001), pp.135∼158 [2001]
  • “비무장지대(DMZ)의 생태적 가치와 국제 자연보호지역”
    조두순 『문화재』, 52(1), pp.272∼287 [2019]
  • “비무장지대(DMZ)의 남북평화관광 개발에 관한 연구”
    박종호 최병창 『관광서비스연 구』, 3(2), pp.153∼172 [2003]
  • “비무장지대(DMZ) 일원 관광객의 관광동기-관광목적지 간의 비교”
    김재호 『관광학 연구』, 35(4), pp.95∼112 [2011]
  • “비무장지대(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의 생태적 의 미와 보전 전략”
    김철구 박은진 여인애 주우영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68∼69 [2015]
  • “비무장지대(DMZ) 문화유적 현황과 보전방안”
    이재 『문화재』, 52(1), pp.216∼241 [2019]
  • “비무장지대 생태조사의 의의와 전망”
    문만용 『대동문화연구』, 제106호, pp.35∼64 [2019]
  • “분단 접경지역 문학 공간의 의미: 철원 배경의 소설을 중심으로”
    박덕규 이은주 『우 리문학연구』, 43, pp.387∼421 [2014]
  • “북해도에 대한 평화관광연구의 가능성,”
    Ishimori, S. 평화관광연구의 가능성 국제심포지움 [2017]
  • “보다 나은 질적 연구 방법 모색기: 근거이론 연구 수행의 실패와 갈등 경험을 중심으로”
    김은정 『문화와 사회』, 26(3), pp.273∼318 [2018]
  • “베트남 DMZ 관광의 사례와 한반도 DMZ 평화관광의 시사점”
    김창환 『한국사진지 리학회지』, 30(2), pp.27∼41 [2020]
  • “바람직한 생태관광의 모색과 방향”
    최영국 『환경과 조경』, 9, pp.148∼153 [1998]
  • “문화예술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본 문화예술 플랫폼으로서의 DMZ 연구-리얼 디엠지 프로젝트와 DMZ 피스플랫폼 사례를 중심으로”
    이은경 『인문과학연구』, 29, pp.157 ∼180 [2019]
  • “디엠지(DMZ) 관광객의 다크투어리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안희자 한양대학 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 “대성동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공공 커뮤니 티 서비스 디자인- 통일맞이 첫 마을 대성동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김서연 김성우 김유지 박영준 이경민 『기초조형 학연구』, 16(6), pp.113∼124 [2015]
  • “다크투어리즘 관광지의 스토리텔링을 통한 브랜드가치와 고객행동 연 구”
    김영규 노정연 『관광연구저널』, 29(6), 203∼212 [2015]
  • “남북한 한탄강 초국경 유네스코 세계지 질 공원화를 위한 제언”
    길영우 박정호 우경식 이한용 전호성 최동원 『지질학회지』, 57(5), pp.707∼716 [2021]
  • “남북접경 협력의 새로운 전략과 한강하구”
    강태호 경기연구원 ‘한반도 비핵 평화 전략 과 경기도의 과제’, 연구용역 보고서 [2021]
  • “남북접경 지역 교류 협력 발전방안 1 2”
  • “남북관광사업 재개 및 활성화방안”
    심상진 한국관광공사 토론회 발표자료 [2018]
  • “남북관광 교류협력과 경기도”
    신용석 워크숍 발표자료 [2019]
  • “남북 평화관광자원 개발전략: 남북한 접경 보호지역(TBPA) 관광자원 개발전 략을 중심으로”
    임상순 『기독교와 통일』, 9(2), pp.5∼38 [2018]
  • “남북 교류와 협력의 평화론적 해석”
    이찬수 『안보의 논리, 평화의 논리: 한반도와 세 계』, 『탈분단경계연구총서』, 04 [2021]
  • “남부 아프리카 초 국경평화공원의 지정학적 접근: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 성에 주는 시사점”
    문남철 『한국지역지리학회』, 23(2), pp.311∼324 [2017]
  • “금강산관광 사업의 성과, 한계 그리고 과제”
    백천호 『한국관광정책』, 74, pp.44∼51 [2018]
  • “근거이론을 통한 사회적기업의 지속발전 모형에 대한 연구: 서울지역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남승연 박성우 이영범 정무권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2(4), pp.355∼387 [2012]
  • “관광목적지로서 DMZ 브랜드 자산에 따른 장소애착이 관광 객의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DMZ 방문 외국인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김성혁 김용일 박병직 『관광학 연구』, 39(5), pp.101∼116 [2015]
  • “관광객의 환경 의식이 생태관광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봉 김용범 조진희 『한국환 경과학회지』, 13(1), pp.1∼9 [2004]
  •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 이전지 기념공간 설계”
    박노천 안승홍 『한국조경학회 지』, 40(4), pp.51∼61 [2012]
  • “경기도 DMZ 일원 발전종합계획(2021∼2025)”
    경기도 [2021]
  • “강원지역 ‘DMZ 평화의 길’에 대한 평화학적 의미”
    황수환 『접경지역통일연구』, 3(1), pp.173∼191 [2019]
  • “‘유엔사 규정’(UNC Reg.)과 유엔군사령부의비무장지대(DMZ) 관리”
    한모니까 『사회 와 역사』, 제125집, 한국사회사학회 [2020]
  • “Definitions of ecotourism and Australian experience”
    Nelson, S. 유네스 코 한국위원회(엮음), 한국의 생태관광 발전 전략 모색,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2002]
  • “DMZ의 평화적 경제적 이용방안”
    홍순직 『동향과 분석』, KDI 북한경제리뷰, 2월호 [2014]
  • “DMZ의 지속가능한 평화적 이용과 발전방안”
    이웅규 『접경지역통일연구』, 3(1), pp.107∼149 [2019]
  • “DMZ의 관광 이미지와 매력 속성에 다른 관광자원화방안에 관한 연 구”
    안영면 주현식 『관광레저연구』, 12(1), pp.125∼137 [2000]
  • “DMZ관광 선택속성 및 행동의도 연구: 관광객의 라이프 스타일 을 중심으로”
    안대희 유순호 채선영 『관광레저연구』, 32(5), pp.31∼52 [2020]
  • “DMZ 평화지대화 추진의 조건과 과제”
    박영민 『접경지역통일연구』, 3(1), pp.151∼ 172 [2019]
  • “DMZ 평화적 이용의 세계화 전략: 세계평화 공원화 국제자원화를 중심 으로”
    김정훈 김지동 『한국동북아논총』, 70, pp.261∼279 [2014]
  • “DMZ 평화적 이용을 위한 남북합의와 향후 과제”
    정대진 『국가전략』, 25(3), pp.97 ∼120 [2019]
  • “DMZ 평화관광 현황과 활성화방안”
    나효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남북 접경지역 협 력과 DMZ 평화관광 활성화방안 모색’ 토론회 [2020]
  • “DMZ 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공간디자인 정책방안”
    한정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 문집』, 8(3), pp.137∼145 [2013]
  • “DMZ 평화 창출을 위한 신기능주의적 접근”
    박형준 『동북아연구』, 33(2), pp.205∼ 235 [2018]
  • “DMZ 토지이용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연구방향”
    김오석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 원』 [2019]
  • “DMZ 총람-문화 관광 현황”
    문광춘 손기웅 최순미 코리아 DMZ 협의회 [2011]
  • “DMZ 지역 특성에 따른 관광객의 참여동기와 만족도 차이 분석: 철원, 연천과 양구, 고성지역을 대상으로”
    은성길 이강우 『여가관광연구』, 22, pp.5∼20 [2014]
  • “DMZ 접경지역의 진정성 재구성 과정: 지역자원 활용 공간을 중심으로”
    김지나 서 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9]
  • “DMZ 접경지역의 비전과 발전전략”, 『이슈&진 단』, 60
  • “DMZ 접경지역 평화관광을 통한 지역자원 활용의 특성 변화: 철원을 중심으로”
    김지나 조경진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2(3), pp.97∼117 [2019]
  • “DMZ 접경지역 도보 관광개발 방안 연구”
    전명숙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5(1), pp.145∼154 [2019]
  • “DMZ 일원지역에 대한 관광정책의 변동과 관광자원개발 분석: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정광균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1]
  • “DMZ 일원지역에 대한 관광정책 변동의 경로의존성 분석”
    김남조 정광균 『관광연 구논총』, 33(3), pp.157∼180 [2021]
  • “DMZ 이미지의 생산방식과 유통 매체에 관한 연구: 사진, 사진 전시, 온라인 전시 공간의 의미학”
    김상미 『비교한국학』, 25(1), pp.120∼160 [2017]
  • “DMZ 유네스코 생물권 지역 지정 방안”
    박은진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집, pp.211∼214 [2010]
  •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방향”
    김영봉 『접경지역통일연구』, 3(1), pp.79∼105 [2019]
  • “DMZ 및 접경지역 관광지 이미지 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근영 『호텔경 영학연구』, 29(7), pp.159∼170 [2020]
  • “DMZ 내 사라진 마을의 공간적 분포와 특성”
    김창환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1), 96∼105 [2009]
  • “DMZ 국제평화지대화를 통한 환경협력 방안: 생태 환경 보존을 중심으로”
    김태원 『통일문제연구』, 33(1), pp.119∼153 [2021]
  • “DMZ 관광시스템의 회복력 증진을 위한 정책모형 개발 연구”
    정대영 한석호 『경기 연구원 기본연구』, pp.1∼142 [2021]
  • “DMZ 관광 연구 트렌드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한주형 황지영 『관광 레저연구』, 32(7), pp.25∼47 [2020]
  • “1970년대 국가 프로젝트로서 땅굴과 전방의 냉전경관화”
    전원근 『문화와 사회』, 27(2), pp.7∼51 [2019]
  • World Tourism Organization(1996). “What Tourism Managers Need To Know: A Practical Guide to the Development and Use of Indicators of Sustainable Tourism”, WTO.
    [1996]
  •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3rd)
    Creswell, J. 학지사 [2015]
  • Violence , Peace , and Peace Research
    Galtung , Johan 6 ( 3 ) , pp.167∼191 . [1969]
  • UNESCO, 2021, UNESCO Global Geoparks(2021), “UNESCO programme and meeting document, UNESDOC digital library”, p.1.
  • Tsaur Sheng-Hshiung, Lin Yu-Chiang, Lin Jo-Hui.(2006), “Evaluating ecotourism sustainability from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resource”, community and tourism, Tourism Management, 27(4), pp.640∼653.
    [2006]
  • The ‘ other ’ postmodern tourism : culture , travel and new middle classes , Theory
    Munt , I. 11 , pp.101∼123 [1994]
  • The Tourism and Peace Nexus
    Farmaki , A. 59 , pp.528∼540 . [2016]
  • The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 Sage Publications
  • Sustainability and rural tourism policy in Britain
    Bramwell , B. 16 ( 2 ) , pp.49∼51 . [1991]
  • Strauss, A. L. and J. Corbin(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LA: Sage.
    [1998]
  • Strauss, A. L. and J. Corbin(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1st). LA: Sage.
    [1990]
  • Strauss, A. L(1987).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 Re-grounding Grounded Theory
    Bryant , A 4 ( 1 ) , pp.25∼42 [2002]
  • Miles, M. B., & Huberman, A. M. (1984). Qualitative Data Analysis: A Sourcebook of New Methods: Sage Publications.
    [1984]
  • Kelle, U. (2007). “The Development of Categories: Different Approaches in Grounded Theory. In A. Bryant & K. Charmaz (Eds.)”, The Sage Handbook of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07]
  • John Neil, 『생태관광론』, 한올
    Stephen Wearing 채예병 김현지 역 [2017]
  • Introduction to Peace through Tourism
    Ian , K. [2006]
  • Holton, J. A. (2007). “The Coding Process and Its Challenge. In A. Bryant & K. Charmaz (Eds.)”, The Sage Handbook of Grounded Theory (pp.265∼290).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07]
  • Glaser, B. G., & Strauss, A. L.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Hawthorne, NY: Aldine de Gruyter.
    [1967]
  • Glaser, B. G., & Strauss, A. L. (1965). “Awareness of Dying. Chicago: Aldine Publishing Company”.
    [1965]
  • Glaser, B. G. (1998). “Doing Grounded Theory. Mill Valley, CA:” Sociology Press.
    [1998]
  • Galtung, Johan(2012). “A Theory of Peace: Building Direct Structural Cultural Peace”, Transcend University Press.
    [2012]
  • Eco-tourism Means Business
  • Corbin, J. & Strauss, A.(2015).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4th editio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15]
  • Charmaz, K.(2006).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ousand Oaks: Sage
    [2006]
  • Butler, R.(1998). “Sustainable tourism∼looking backwards in order to progress? in C. Michael Hall and Alan A. Lew (eds.)”, Sustainable tourism: A Geographical Perspective, Longman, London, pp.25∼34.
    [1998]
  • Bremner, C. & Dutton, S.(2021). “Top Countries for Sustainable Tourism: Embracing a Green Transformation for Travel Recovery, Euromonitor International”.
  • Blanchard, L. & Higgins∼Desbiolles (eds.), (2013). “Peace Through Tourism”, Routledge, London.
    [2013]
  • AHP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관광거버넌스 형성영향요 인 중요도 분석
    김문주 『관광연구논총』, 20(2), pp.135∼162 [2008]
  • A framework of approaches to sustainable tourism
    Clarke , J. 5 ( 3 ) , pp.224∼233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