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태국어, 베트남어의 음절말 제약 대조 연구

이철재 2022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어, 태국어, 베트남어의 음절말 제약 대조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남아문학
  • 베트남어
  • 음절말 제약
  • 중화
  • 태국어
  • 활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7 0

0.0%

' 한국어, 태국어, 베트남어의 음절말 제약 대조 연구' 의 참고문헌

  • 李基文·金鎭宇·李相億(1984), 『國語音韻論』, 學硏社.
    [1984]
  • 한국어음운론
    강옥미 태학사 [2003]
  • 한국어와 영어 이중모음의 대조분석 -활음의 음의 길이를 중심으로
    윤은경 『국제 한국어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1]
  • 태국어 온라인 사전
    http://dictionary.sanook.com
  • 국어음운론
    김무림 김옥영 새문사 [2009]
  • 국어음운론
    최명옥 태학사 [2004]
  • 국어 음운론 강의
    이진호 삼경문화사 [2005]
  • 『한국어와 태국어의 음운현상 대조 연구』
    이철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2008]
  •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한자어의 대조 연구』
    Le Tuan Son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2009]
  •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론적 대조연구 : -베트남인 학습자의 음운 오류 양상을 기반으로-』
    박정태 중부대학교 박사학위 [2018]
  •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론적 대조 연구』
    쩌우티투튀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2011]
  • 『한국어 한자어와 일본어 한자어에 나타나는 자음간 지배관계 연구』
    심보 토모코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2007]
  • 『한국어 학습자들의 종성 발음 연구 -중국어, 태국어, 프랑스어, 일본어 화자를 중심으로-』
    윤영해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 [2016]
  • 『한국어 자음의 내적 구조와 음운현상 연구』
    新保朝子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 [2016]
  • 『한국어 자음 연쇄 발음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태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김보람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2016]
  • 『한국어 음절핵의 해석과 음운현상 연구』
    노채환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 [2015]
  • 『한국어 외래어 표기 오류 분석 및 활용 방안-한국어 태국어 외래어 표기법을 중심으로-』
    최정일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2014]
  • 『한국어 모음조화의 지배음운론적 연구』
    노채환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2007]
  • 『한국어 교육학 사전』
  • 『태국인과 캄보디아인의 한국어 폐쇄음 지각 범주 습득 연구』
    김영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2015]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분석 및 발음교육 방안 연구』
    민덕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2019]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교육 방안 연구』
    Sila-ek, Supsin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2012]
  •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 분석 연구 :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차리싸 까몬찌라누왓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2014]
  •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 종성 발음을 중심으로』
    껀나파 분마럿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2013]
  • 『차용어 음운론』
    이봉형 한국문화사 [2013]
  • 『이중모음』
    정승철 정인호 태학사 [2010]
  • 『음운론의 원리』
    트루베츠코이, N. S. 한문희 옮김, 서울대학교출판 문화원 [2013]
  • 『음운론 이해』
    Carlos Gussenhoven Haike Jacobs 허용 김선정 역, 동인 [2005]
  • 『음운론 -SPE이후의 이론들-』
    김경란 한신문화사 [2001]
  • 『음성실험을 통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연구 : 베트남어 화자를 중심으로』
    김춘학 군산대학교 박사학위 [2016]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
    김선정 허용 박이정 [2006]
  • 『영어의 음운변화현상과 과다적용 불투명성』
    강민순 부산외국어 대학교 박사학위 [2013]
  • 『세계 주요 언어』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현상 발음 오류 분석 연구 : 초급, 중급,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임소정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2019]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 연구』
    김소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2013]
  •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음 교육 방안 연구』
    최진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2019]
  •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파열음 인지와 발화 :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김보람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2012]
  •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특성 연구 : 음운 현상을 중심으로』
    김정연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2018]
  •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따른 한국어 발음 특성 연구 –비음화, 유음화를 중심으로-』
    팜 티 휘엔 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2017]
  • 『베트남어 성조를 활용한 한국어 어두 평폐쇄음 발음 교육 방안 연구 : KFL 환경에서 북부 출신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응웬비타오짱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2021]
  • 『베트남 남부 방언을 쓰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수 학습 방안』
    도 옥 루이엔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2015]
  • 『대조언어학』
    김선정 허용 소통 [2013]
  • 『국어의 후두음 연구』
    조경하 지식산업사 [2012]
  • 『국어음운론 개설』
    배주채 신구문화사 [1996]
  • 『국어 음절구조의 최적성이론에 의한 분석』
    조성문 한양대학교 박사 [2000]
  • 『국어 음절 음운론』
    신승용 박이정 [2007]
  • 『국어 음절 구조 제약과 음운 현상』
    김영선 한국문화사 [2004]
  • 『국어 음운론의 해석』
    박종덕 경진문화 [2008]
  • 『국어 음운론 용어 사전』
    이진호 역락 [2017]
  • 『국어 음운 연구사 (1)』
    박창원 태학사 [2002]
  • 『국어 음성학』
    이호영 태학사 [2003]
  • 『구개성과 한국어 음운현상 연구-구성원소 이론(Element Theory)를 중심으로-』
    정진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 [2018]
  • 『音韻論의 理論과 分析』,
    Larry M.Hyman 高秉岩 譯, 翰信文化社 [1983]
  • 『自律分節音韻論』
    존 A. 골드스미스 이윤동 역, 한신문화사 [1990]
  • 『國語音韻論』
    崔明玉 共著 李秉根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7]
  • 『國語音韻史硏究』
    李基文 탑출판사 [1972]
  • 『國語 未破化의 通時的 考察』
    金永鎭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2000]
  • 『初分節音素論』
    金太相 金武植 한신문화사 [1991]
  • 『‘ㅎ’말음 용언 어간의 방언간 대응에 대한 연구』
    權時賢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2008]
  • 『The phonology of Consonants ? Harmony , Dissimilation , and Correspondence』
  • 『The Sounds of Language』
  • 『The Segmental Phonology of Beijing Mandarin』 , 文鶴出版有限公司
  • 『The Phonology of Loanwords and Lexical Stratification in Korean』
    Lee, Juhee 한빛문화 [2003]
  • 『Patterns of Sounds』
  • 『Conditions on Phonological Government』
  • 『Autosegmental and Metrical Phonology』
  • 『An Introduction to Element Theory』
  • 『15世紀國語의 重母音硏究』
    崔世和 亞細亞文化史 [1976]
  •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 대조 분석을 통해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의 문제점 탐구 및 교육 방안”
    팜티튀린 『한국학연구 논문집』, 한국학 중앙 연구원 [2015]
  •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 베 음운 대조”
    김선정 2018 한국언어문화 교육학회 제 13 차 국제학술대회, pp. 5-13. 한국현대언어학회 [2018]
  • “한국어교육을 위한 중간언어 음운론 기초 연구: 지배음운론적 관점에 입각한 한국어 모음현상 분석”
    허용 『언어과학연구』,언어과학회 [2003]
  • “한국어 종성의 습득 연구를 위한 음성음운적 접근", 『동악어문학』61
    윤은경 동악어문학회 [2013]
  • “한국어 자음동화에 대한 지배음운론적 접근”
    허용 『언어와 언어학』, 한국외국어대학 언어연구소 [2004]
  • “한국어 어말 종성 발음의 유형적 특성”
    김선정 『한국학논집』78, 157-186,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0]
  • “하향적 이중모음에 대한 통시적 고찰", 『언어』28
    안상철 조성문 한국언어학회 [2003]
  • “통합적 승인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 음절말-음절초 연쇄의 음소배열적 제약에 대하여”
    이상직 『언어학』, 한국언어학회 [2008]
  • “태국어의 음운규칙에 관한 연구”
    정환승 『동남아 연구』, 외대 한국학종합연구센터 동남아 연구소 [1998]
  • “태국어 성조를 활용한 한국어 억양 교육 방안 연구”
    Kornnapha Boonmalerd 『한국언어문화』, 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 “최적성이론에 입각한 국어의 하향 이중모음체계에 관한 연구: 역사적 변천과정의 분석을 중심으로”
    이세창 『언어』, 한국언어학회 [2012]
  • “최적성 이론에 의한 중국인 학습자의 연음 오류 분석”
    심민희 『어문학 115』, 한국어문학회 [2012]
  • “차용어의 후두음 자질: 한국어와 태국어 대조 연구”
    안상철 이주희 『음성음운형태론연구』, 한국음운론학회 [2008]
  • “지배음운론에서 본 한국어의 음절구조”
    이상직 허용 『한글』, 한글학회 [1998]
  • “지배음운론에서 본 한국어 중화현상”
    김선정 『언어과학연구』, 언어과학회 [1999]
  • “지배음운론에서 본 ‘ㅡ’모음”
    허용 『말소리』, 대한음성학회 [1990]
  • “중세국어 이중모음체계의 변화와 최적성 이론”
    오정란 『음성음운형태론연구 11』83-103, 한국음운론학회 [2005]
  • “중간언어 음운론에서의 간섭현상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고찰”
    허용 『한국어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4]
  • “이중모음의 정의와 이중모음에서의 분절음 탈락 – ‘wi→i~u’, ‘ɨy→ ɨ~I’를 중심으로-“
    신승용 『배달말』, 배달말학회 [2010]
  • “음절말 자음 중화의 원인”
    양순임 『말소리』, 대한음성학회 [2001]
  • “음절구조제약의 조정현상에 대한 음운론적 유형 연구”
    허용 『이중언어학』, 二重言語學會 [2007]
  • “음운론적 지배와 음절 구조”
    석종환 『언어과학연구』, 언어과학회 [1996]
  • “운율 경계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 분석 - 연음 현상을 중심으로-”
    김수천 노채환 『외국어교육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 “외국어로서 베트남어와 영어 발음 교수법에 대한 연구 -베트남어 원어민과 영어 원어민의 학습을 중심으로-”
    쩐 투이 빈 이지선 『人文論叢』26집,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 “영어의 내향이중모음에 관하여”
    한은주 『인문논총 24』111-128, 서울여대 인문과학 연구소 [2010]
  • “영어 자음군 단순화: 어휘음운론과 최적성이론의 비교”
    강민순 『언어과학』19-2, 한국언어과학회 [2012]
  • “연음화를 통해서 본 언어보편적 음절구조 연구: 한국어와 일본어를 대상으로”
    허용 한국현대언어학회 [2011]
  • “엄밀 CV 이론의 재검토”
    이상직 『언어학』67 호, 한국언어학회 [2013]
  • “어간말 자음연쇄의 기저구조와 유음후 경음화 현상에 대한 연구”
    이상직 『언어학』58 호, 한국언어학회 [2010]
  • “어간말 자음/h/의 음운론적 행위에 대한 지배음운론적 접근”
    이상직 『언어학』61 호, 한국언어학회 [2011]
  • “어간말 ‘ㅎ’의 음운현상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
    이희두 『한국언어문학』, 한국언어문학회 [2008]
  • “승인제약조건과 한국어 모음체계”
    김선정 허용 『언어학』25, 한국언어학회 [1999]
  • “상태동사 파생접사 ‘ㅂ/브’에서의 모음교체에 대한 연구”
    허용 『언어학』, 한국언어학회 [1998]
  • “빈 음절핵의 음운 행위 유형 연구 –프랑스어, 타이어, 힌디어를 중심으로–”
    허용 『언어와 언어학』제 41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8]
  • “보편성에 따른 한국어와 태국어의 음운대조”,
    김선정 껀나파 분마럿 『비교문화연구』, 비교문화연구소 [2014]
  • “베트남어”
    김기태 『세계 주요 언어』,변광수 편, 역락 [2003]
  • “베트남어”
    응웬티후옹센 『한국어 교육학 사전』(서울대학교 국어연구소 편), 하우 [2014]
  • “반모음 ‘y’의 음절구조적 지위와 음절화에 의한 방언 분화”
    이상신 『관악어문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2]
  • “무성폐쇄음과 무성음화의 두 유형”
    이석재 『언어』, 한국언어학회 [2001]
  • “대조언어학을 위한 기초 연구”
    허용 『한국어문학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회 [2005]
  • “국어의 자음군 단순화 현상 – 최적성 이론을 중심으로-”
    문양수 『인문논총3 』, 신구문화사 [2001]
  • “국어 자음군 단순화 현상에 대한 상응 이론 설명”
    정명숙 『한국어학』, 한국어학회 [1998]
  • “국어 음절말음의 조음간극에 대한 제약과 중화현상”
    이석재 『언어』, 한국언어학회 [1995]
  • “국어 음절론”
    김진우 『한글』, 한글학회 [2008]
  • “국어 ㅎ 말음 어간의 음운론”
    이진호 『국어국문학』, 국어국문학회 [2003]
  • “‘ㅡ’모음의 기저구조와 음룬론적 해석에 대한 연구 – 어두와 어말에서의 분포를 중심으로-”
    허용 『언어과학연구』, 언어과학회 [2003]
  • “Korean and Other Languages – Contrasts and Concords”
    Kim, C. W. 『한국말교육』v.6,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95]
  • “Centring Diphthongs in Received Pronunciation”
    Han, Eunjoo 『언어과학』, 한국언어과학회 [2016]
  • “A Stratal-OT Approach to the Overapplication of Coda Neutralization and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in Korean”
    Han, Eunjoo 『언어과학』, 한국언어과학회 [2011]
  • “/ln/연쇄에 나타난 음운현상의 통시적 및 공시적 연구: 지배음운론 관점에서
    김성옥 이상직 한국현대언어학회 [2014]
  • เรืองเดช ปันเขือนขัติย์(2011), ภาษาศาสตร์ภาษาไทย, โรงพิมพ์มหาจุฬาลงกรณ ราชวิทยาลัย.
  • ศักด์ิเดชยนต์, นิสา and ส่งศิริ, ยุพา and บูรณะสมบัติ, ใจเอื้อ(2526(1982)),『ภาษา ศาสตร์สาหรับครู』, ห้าง หุ้นส่วนจากัด.
  • ราชบัณฑิตยสถาน(2528(1984)), 『คาที่เขียนทับศัพท์จากภาษาต่างประเทศ และ รายชื่อจังหวัดในประเทศไทย』, ราชบัณฑิตยสถานจัดพิมพ์.
  • บุญประเสริฐ, ฉลวย (2542(1998)),『ภาษาศาตร์พื้นฐาน』, ฝ่ายเอกสารตารา สถาบันราชภัฏธนบุรี.
  • นาคสกุล, กาญจนา(1980), 『ระบบเสียงภาษาไทย』, โรงพิมพ์จุฬาลงกรณ์ มหาวิทยลัย.
  • ทีมงานแพทย์วิศวะ(1998),『ภาษาไทย คา ยืม』, (PROBLEM'S SERIES), บริษัท สานักพิมพ์ พีบีซี จา กัด (PBC PUBLISHING).
  • Zsiga, Elizabeth C.(2013), 『The Sounds of Language』, Wiley-Blackwell.
    [2013]
  • Yoshida, Shohei(1996), 『Phonological Government in Japanes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96]
  • TIẾNG VIỆT - m ́y v ́n đ ̀ ngữ m ngữ ph ́p ngữ nghi a, NH XUẤT BẢN GI O DỤC. 역, 베트남어 – 몇 가지 문제 음성 문법 의미
    Cao xu n h ̣o 교육출판사 [2007]
  • San, Duanmu(2008), 『Syllable Stucture: The Limits of Variation』, Oxford.
    [2008]
  • Rhee, Sang Jik(2002), 『Empty Nuclei in Korean』, Ph D Dissertation, Leiden University, Utrecht: LOT.
    [2002]
  • Post Obstruent Tensification in Korean
  • Optimization of Word-final Coronals in Korean Loanword Adaptation
  • Levi, Susannah V.(2004), 『The representation of underlying glides: a crosslinguistic study』, Doctor of Philosophy, Universityu of Washington.
    [2004]
  • Ladegoged, Peter and Maddieson, Ian(1996), 『The Sounds of the World’s Language』, Blackwell.
    [1996]
  • Ladefoged, Peter(2001), 『Vowels and Consonants: An introduction to the sounds of languages』, Blackwell.
    [2001]
  • Kim, Seon Jung(1996), 『The Representations of Korean Phonological Expressions and their Consequences』, Schools of Oriental &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Doctor of Philosophy.
    [1996]
  • Kenstowicz, M. and Suchato A.(2006), “Issues in loanword adaptation – A case study from Thai”, 『Lingua』116, 921-949.
    [2006]
  • Kaye, Jonathan(2001), “Working with licensing constraints”, 『Constraints and Preferences』251-268, edited by Katarzyna Dziubalska-Kolczyk, Mouton de Gruyter.
    [2001]
  • Kaye, J., Lowenstamm, J. & Vergnaud, J-R(1990), “Constituent structure and government in phonology”, 『Phonology 7-2』, pp. 193-231.
    [1990]
  • Kang, K.S.(1999),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Korean and Thai Obstruents』, Buffalo,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Doctor of Philosophy.
    [1999]
  • Jenkins, Jennifer(2009), 『The Phonology of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Oxford.
    [2009]
  • Hulst, Harry van der & Ritter, Nancy A.(1999), 『The Syllable : Views and Facts』, Mouton de Gruyter.
    [1999]
  • Heo, Yong(1994), 『EMPTY CATEGORIES AND KOREAN PHONOLOGY』, Schools of Oriental &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Doctor of Philosophy.
    [1994]
  • Headness in Element Theory : The case for multiple heads
    Backley , Philip 2 ( 1 ) . [2017]
  • Harris, John(1994), 『English Sound Structure』, Blackwell Publishers.
    [1994]
  • Greenberg, Joseph H.(1966), 『Universals of Language』, MIT.
    [1966]
  • Gandour, J. and Potisuk, S.(1994), “Tonal coarticulation in Thai”, 『Journal of Phonetics』, Academic Press Limited, 477-492.
    [1994]
  • Denwood, Margaret Ann(1997), 『The Role of the element I in Khalka Mongolian Phonology』, Doctor of Philosophy, SOAS.
    [1997]
  • Davis, Barbara L. and Zajdó, Krisztina (2008), 『The Syllable in speech Produc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Cambridge.
    [2008]
  • CƠ CẤU NGỮ M TIẾNG VIỆT, NH XUẤT BẢN GI O DỤC. 역, 베트남어 음성 구조
  • Cross-language perception of word-final stops in Thai and English
  • Coda licensing
  • Chomsky, Noam and Halle, Morris(1968),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MIT.
    [1968]
  • Caroline Féry and Ruben van de Vijver(2003), 『The Syllable in Opimality Theory』, Cambridge.
    [2003]
  • Carlos Gussenhoven and Haike Jacobs(1998), 『Understanding Phonology』, Oxford.
    [1998]
  • CV as the only syllable type
  • Brockhaus, Wiebke(1993), 『Skeleton and suprasegmental structure within Government Phonology』, University of Huddersfield.
    [1993]
  • "음운론적 지배와 저해음 중화”, 『현대 영미어문학』제16권
    석종환 현대영미어문학회 [1998]
  • "The reading of Thai tones"
    Lee, Chotiros Kovithvattanaphong 「한국외국어대학교논문집」v.13, 한국외국어대학교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