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요약 쓰기 교육 연구 : 연결어미와 전성어미를 중심으로 = Academic Purpos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summary writing education study

최수현 2022년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요약 쓰기 교육 연구 : 연결어미와 전성어미를 중심으로 = Academic Purpos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summary writing education stud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문법 사용 능력
  • 문장 쓰기
  • 문장 확대
  • 복문
  • 복문 구성
  • 어미
  • 연결어미
  • 요약 쓰기 요약 교육
  • 응집성
  • 응집적 연결소
  • 전성 어미
  • 접속
  • 텍스트성
  • 학문 목적 학습자
  • 한국어 쓰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01 0

0.0%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요약 쓰기 교육 연구 : 연결어미와 전성어미를 중심으로 = Academic Purpos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summary writing education study' 의 참고문헌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강남욱 서울: 한 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1]
  • 단계별로 익히는 학술 글쓰기
    조하연 서울: 태학사 [2015]
  •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 방법을 활용한 연결어 미 '-느라고' 수업 효과 연구
    이미혜 정윤정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1권 2호, 295-320 [2014]
  • 형태 초점 접근법을 활용한 문법 교수가 한국어 통제 작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인문사회과학연 구』
    임진숙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9권, 131-159 [2018]
  •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 방법: 교수법적 특징과 영 어교육에의 적용방안
    민찬규 『Foreign Languages Education』, 9권 1호, 69-88 [2002]
  • 형태 초점 의사소통 교수법에서 교수모형과 학습자의 학습준비도가 목표문법학습에 미치는 영향
    조윤경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7(3), 227-250 [2010]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어학대학원 한국문화학당. 『외국인 유 학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경기: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의이해
    서울: 박이정 [2004]
  • 한국인과 중국인 대학생의 요약문 쓰기 양상 비교-총 체적 평가와 분석적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한국언어문화학 회
    이은경 한국언어문화, (47), 271-299 [2012]
  • 한국어교육에서의 어미 제시 순서에 대한 연구
    안주호 『배 달말』, (34), 271-296 [2004]
  •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사용 연구
    남수경 채숙희 『국제한 국어교육학회, 15권(1), 33-50 [2004]
  • 한국어 읽기․쓰기 교육을 위한 복문의 결속 구조 연구
    장미라 『한민족문화연구』, 64(64), 195-220 [2018]
  •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형태초점접근법을 적용하는 문 제
    우형식 『한어교육 한국어문학교육학회』, 26권, 99-128 [2012]
  •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연결어미의 사용 양상 연구
    임지아 동 남어문학회, 1권 34호, 45-75 [2021]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듣기-쓰기 요약 과제 수행 양상.『한국어 교육』
    이인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권 (4), 189-217 [2016]
  • 텍스트의 분절구조를 활용한 요약 전략과 적용. 『우 리어문연구
    김재봉 우리어문학회, 10권(1), 287-333 [1997]
  • 좋은 글과 문장의 연결
    박창원 『국어문화학교, 권(1), 11-32 [2001]
  •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유학생을 위한 대학한국어1 (읽 기 쓰기)』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 이야기 글 요약하기의 개념과 의미. 『초등교 과교육연구』
    이경화 이미영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4, 103-119 [2011]
  • 유학생의 학술적 요약 쓰기 지도 방안 연구
    김희경 『한성어 문학, 0권(34), 319-351 [2015]
  • 요약능력과 요약 규칙,『국어교육연구
    서혁 국어교육학회, 4 권, 113-142 [1994]
  • 외국인 학습자의 요약 과정 관찰 연구: 요약 표현 과 정을 중심으로
    최수현 『언어와 정보 사회』, 35권, 357-378 [2018]
  •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요약하기 교육의 효과 연구
    이유경 『어문논집, 79권, 231-259 [2017]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재편찬위원회. 『연세 한국어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13]
  • 설명문․논설문 쓰기 능력과 요약 능력의 상+A1:A53 관성 - 대학생 1학년을 중심으로
    허선익 『새국어교육』, 84, 249-274 [2010]
  • 설명문 요약의 특징이 설명문 요약글 평가 기준 설 정에 지니는 함의
    허선익 『국어교육학연구, 45권, 411-448 [2009]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4
    서울: 투판즈 [2013]
  •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서강 한국어4
    서울: 하우 [2004]
  • 서강대학교 교양국어 교재편찬위원회. 『읽기와 쓰기
    서울: 서 강대학교 출판부 [2011]
  • 사고 지도를 활용한 한국어 요약문 쓰기 수업 효과 연구
    남미정 이미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권(3), 371-394 [2013]
  • 덩잇글 구조가 설명문 요약에 미치는 영향
    허선익 『國語敎 育學硏究』. 37권. 499-521 [2010]
  • 대학에서 학문 활동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한 방안: 요약문 쓰기를 중심으로
    나은미 『한국어학, 44, 147-175 [2009]
  • 대학 학습자를 위한 요약문 쓰기 교수 방안
    김남미 『시학과 언어학, 22권, 45-70 [2012]
  • 대용 표현의 텍스트적 기능에 관한 연구
    이은희 국어교육학 연구, 5(0), 53-74 [1995]
  •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쓰기 수업이 영어 학습 자의 쓰기 능력, 상위인지전략,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
    김보영 안경자 『영어학, 20권, 307~334 [2020]
  • 국어교육과 디지털 리터러시 ; 문서 자동 요약 기술의 발전을 위한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과 과제
    서혁 『國語敎育學硏 究』, 39권, 31-63 [2010]
  • 교수자에 따른 영어쓰기 피드백의 유형과 효과에 관 한 학습자들의 인식 연구
    정양수 『현대영미어문학』, 35권 1호, 245-270 [2017]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4
    서울: 교보문고 [2010]
  • 『한국어 쓰기 교육의 이론과 적용』
    임진숙 광명 : 경진 출 판 [2021]
  • 『텍스트 요약 전략에 대한 국어교육학적 연구』
    김재봉 집 문당 [1999]
  •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글쓰 기. 대전: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 『외국어 교수 학습론의 이해』
    정양수 충남 : 충남대핚출 판문화원 [2017]
  • 『대학한국어2. 읽기와 쓰기
    김경훤 신영지 이금희 서울: 성 균관대학교 출판부 [2010]
  •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담화통합 쓰기 양상
    최은지 이중언 어학, 권(49), 381-410 [2012]
  • “한국어 학문 목적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장은경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한국어 담화통합 쓰기 전략 교육의 효과 연구”
    이아름 고려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학문 목적을 위한 학습자의 요약하여 쓰기 전략 지도 의 효과 연구”
    조미경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요약문 쓰기 과정에 대한 연구”
    이은경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텍스트구조 표지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이효인 전남대학 교 박사학위 논문 [2005]
  • “텍스트 종류에 따른 요약하기 전략 연구”
    김영주 조선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요약하기를 중심으로 하는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교사와 학습자 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이병희 이화여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1]
  • “요약 능력 신장을 위한 텍스트 구조 지도 전략 연 구”
    임은섭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설명문 쓰기의 담화종합 과정 연구”
    최승식 고려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5]
  • “독자의 목적에 따른 요약하기 체계화 연구”
    이수희 경인교 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대학 수학 목적의 쓰기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보고서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이준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 Long, M. (1998). Focus on Form in Task-based Language Teaching, University of Hawaii Working Papers in ESL, 16.2, 35-49.
    [1998]
  • Kintsch, W. & Van Dijk, T. A. 1978. Toward a model of text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Psychological Review, 85(5), 363-394.
    [1978]
  • Hossein Nassaji. 김은호, 성지연, 김서형(공역). 『제2언어 교 실에서의 문법 교육』
    서울 : 한국문화사 [2018]
  • Halliday, M.A.K & Hasan, R. 1976. Cohesion in English. London : Longmans.
    [1976]
  • Beaugrande, Dressler.(공저) 김태욱, 이현호(공역). Introduction to text linguistics(텍스트 언어학 입문)
    파주: 한신문화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