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미디어 숏폼 애니메이션의 구성요소가 몰입과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 내용적 · 조형적 요소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 of Components of Social Media Short-form Animation on Flow and Understandabilit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ntent and Formative Elements

강정빈 2022년
논문상세정보
' 소셜 미디어 숏폼 애니메이션의 구성요소가 몰입과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 내용적 · 조형적 요소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 of Components of Social Media Short-form Animation on Flow and Understandabilit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ntent and Formative Element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몰입
  • 소셜 미디어
  • 숏폼 애니메이션
  • 숏폼 콘텐츠
  • 수용자 반응
  • 애니메이션 구성요소
  • 이해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04 0

0.0%

' 소셜 미디어 숏폼 애니메이션의 구성요소가 몰입과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 내용적 · 조형적 요소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 of Components of Social Media Short-form Animation on Flow and Understandabilit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ntent and Formative Elements' 의 참고문헌

  • 트렌드리포트: 중국과 미국의 짧은 동영상 콘텐츠 고품질화 시도
    양지훈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2018]
  •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노경섭 한빛아카데미 [2019]
  • 제대로 알고 쓰는 R 통계분석
    이윤환 한빛아카데미 [2016]
  • 이공계생을 위한 확률과 통계
    박기섭 안승철 이광연 한빛아카데 미 [2021]
  • 유튜브 트렌드 2020
    김경달 이은북 [2019]
  • 영상 몰입의 문법
    김용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 엔터테인먼트 산업론
    심상민 커뮤니케이션북스 [2021]
  • 애니클로피디아
    이남국 형설출판사 [2007]
  •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
    이상원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 애니매이션 워크북
    이상원 미술문화 [2009]
  • 속도의 예술 초미학: 비릴리오와 보드리야르의 현대예술론
    배영달 앨피 [2019]
  •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김양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 빅데이터 승리의 과학: 빅데이터는 당신이 무엇을 선택할지 알고 있다
    고한석 이지스퍼블리싱 [2013]
  • 미디어 심리학
    나은영 한나래 [2016]
  • 메타버스, 이미 시작된 미래
    이임복 천그루숲 [2021]
  • 만화애니메이션사전 (http://www.kcomics.net)
    김병수 김일태 설종훈 양세혁 윤기헌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08]
  • 디지털 시대와 문화 콘텐츠
    유승호 전자신문사 [2002]
  • 4.0시대 애니메이션 브랜드 전략
    박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 현대인의 속도에 대한 인식 변화와 게임 플레이의 변화: 국 내 스마트폰 게임의 ‘자동전투’를 중심으로
    곽이삭 콘텐츠문화, 8호, 137-161 [2016]
  • 허구서사 애니메이션의 관객 몰입 메커니즘 연구
    김기홍 만화애니 메이션 연구, 17권, 37-51 [2009]
  • 한국애니메이션의 발전과 다양화를 위한 독립/실험단편애니 메이션의 현황 및 대중화 연구
    손국환 애니메이션연구, 16권 1호, 7-25 [2020]
  • 한국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디자인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1960s-2000s 한국 만화영화 캐릭터를 중심으로
    김정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한국 극장용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유형 분류와 의미 해석에 관한 연구
    최재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플로우(Flow)적 관점에서 접근한 인터렉티브 애니메 이션 캐릭터의 몰입에 관한 연구
    김효용 신상기 한국애니메이션학회 학술대회지, 42-43 [2014]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디어 생태계의 향방
    노창희 방송문화, 421호, 89-106 [2020]
  • 패션 인플루언서 SNS의 콘텐츠 속성과 소비자의 사회적 지 원 지각
    박신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패션 매거진 화장품 광고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 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유경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케이팝(K-pop) 콘텐츠의 참여적 이 용에 관한 연구: 유튜브 콘텐츠 SNA를 중심으로
    김현진 숙명여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감정소구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지은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캐릭터의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김정대 기초조형학연구, 4권 2호, 198-208 [2003]
  • 캐릭터의 스토리텔링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문종준 서구원 조형미디어학, 19권 3호, 139-148 [2016]
  • 캐릭터 스토리의 독창성과 캐릭터의 매력성 및 친근성이 캐 릭터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지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 학회 논문지, 11권 6호, 47-56 [2017]
  • 캐릭터 뿌까(Pucca)의 성공요인 분석
    손기영 디지털콘텐츠와 문화 정책, 2권, 77-96 [2007]
  • 카카오프렌즈 캐릭터를 활용한 브랜드 전략에 대한 연 구
    김승인 신준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8권 1호, 43-54 [2020]
  • 청소년을 위한 온라인 게임중독 예방 메시지: 신체-사회적 소구와 긍정-부정 소구를 중심으로
    박하늬 양웅 유현재 광고학연구, 25권 1호, 321-341 [2014]
  • 짧은 동영상 이용 동기가 동영상 유형별 이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세경 이유진 한국방송학보, 32권 4호, 65-102 [2018]
  • 증강현실 기반 e-Learning(AREL) 실습교육 프레임워크 구축 및 효과
    이기호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죄의식을 이용한 공포소구 이미지 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
    오석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잡지에 대한 신뢰도와 광고 메시지 이해도가 광고효과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성우 한국광고홍보학보, 10권 4호, 235-259 [2008]
  • 작품 <돼지의 왕>과 <사이비>의 분석을 통해 본 연상호 애 니메이션의 이미지
    최정윤 기초조형학연구, 18권 2호, 671-684 [2017]
  • 인스타그램 공익광고 효과 연구: 메시지 유형과 시간 적 거리감의 관계를 중심으로
    안홍민 유신양 사회과학연구, 27권 4호, 37-60 [2020]
  • 이용자의 충족에 따른 소셜미디어 시장 내 경 쟁관계에 관한 연구
    백헌 양창규 황운초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19권 2호, 105-117 [2014]
  • 이기적 유전자
    (홍영남 외, 역) Richard Dawkins. 을유문화사(원본 출판 1976) [2010]
  • 유튜브의 1인 미디어 콘텐츠 특성이 몰입과 만족도,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미경 서경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유튜브 브랜디드 콘텐츠의 결론유형과 제품관여도의 상호작용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강경호 김유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 권 3호, 10-17 [2020]
  • 유료 인터넷 콘텐츠 특성과 플로우, 만족 및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홍상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위협의 강도와 불안 수준에 따른 위협소구 광고의 효과 연구: 위협의 발생가능성과 대처반응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이시훈 홍창선 광고연구, 62호, 103-131 [2004]
  • 위협소구 강도에 따른 공익광고의 효과: 낙관적 편견 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도선재 이진희 광고학연구, 20권 1호, 243-257 [2009]
  • 위협 소구 광고의 프레이밍 효과: 인지욕구와 관여도 의 조절 역할
    김혜원 이호배 광고학연구, 11권 4호, 109-133 [2000]
  • 웹툰(Webtoon)의 흥행 결정요인 연구
    양지훈 이상우 이지영 한 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권 5호, 194-204 [2016]
  • 웹 애니메이션산업에서 1인 창작자와 MCN 애니메 이션 기업의 협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김광회 임학순 만화애니메이션 연 구, 54호, 33-69 [2019]
  • 온라인 식품 유통채널의 특성이 SNS몰입도에 따라 소비자태도 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플랫폼 유형을 중심으로
    김형수 경기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20]
  •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이용과 효과 연구 : 락앤락 써포터 즈를 대상으로
    서송이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영화의 콘텐츠(Contents) 차용 현황과 독창성(Originality)의 위기
    허은희 현대영화연구, 9권 2호, 31-59 [2013]
  • 영상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애니메이션 미학의 시각적 표현 연 구
    박소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애니메이션캐릭터에 대한 감정이입, 인지적, 감정적 반응의 매개적 역할에 관한 연구
    김운한 이현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15호, 179 –192 [2009]
  • 애니메이션의 매혹성에 대한 고찰
    이윤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15호, 13-27 [2009]
  •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기호학적 생성구조 연구
    김윤배 홍익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애니메이션 캐릭터 설정 요소 분석
    임운주 디지털융복합연구, 10 권 11호, 659-664 [2012]
  • 애니메이션 서사정보의 요소를 통한 불확실성과 흥미 분석
    김명삼 이상훈 조형미디어학, 18권 4호, 253-261 [2015]
  • 애니메이션 서사정보의 요소를 통한 불확실성과 흥미 분석
    이상훈 동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애니메이션 다시보기.
    김세훈 월간 디자인 3월호 [1999]
  • 애니메이션 광고에서 운동과 역학 요소가 수신자 반응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초롱이 CF를 중심으로
    김석준 기초조형학연구, 8권 1호, 61-69 [2007]
  • 애니메이션 Movement 연출에 따른 지각반응 연구
    이상원 홍익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시각화의 권력관계 분석: 정보성, 매개형식, 시점
    이진혁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시각적 흥미를 유발하는 그래픽 디자인
    조장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시각 저 끝 너머의 예술
    (이정하, 역) Virilio, P. 열화당(원본 출판 2005) [2008]
  • 스포츠 팬 서비스 이벤트의 소비자 인식과 행동에 관한 영향
    곽광철 서구원 조형미디어학, 23권 3호, 154-162 [2020]
  • 스톱모션애니메이션에서 실사 오브제의 활용에 관한 연구
    김경진 이종한 예술과 미디어, 10권 1호, 37-44 [2011]
  • 스마트툰의 특징에 대한 연구: <마주쳤다>를 중심으로
    전경란 애니메이션연구, 14권 2호, 176-194 [2018]
  • 스낵컬처 영상에 관한 연구
    정승은 씨네포럼, 24호, 75-99 [2016]
  • 스낵 영상의 영상 문법: 미니멀리즘과 시각 편의성을 기반으 로
    김현숙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숏폼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코로나19 관련 숏폼 애니메이션 ‘라바(Larva)’시리즈를 중심으로
    강정빈 이상원 기초조형학연 구, 22권 5호, 13-28 [2021]
  • 숏폼 콘텐츠 트렌드
    김현지 오세림 조수빈 마케팅, 54권 7호, 60-69 [2020]
  • 숏폼 콘텐츠 유형과 청소년의 이용 동기가 콘텐츠 소비에 미치는 영향
    유현중 정해원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7권 8호, 53-67 [2021]
  • 숏폼 영상의 경험적 특성이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조윤성  한국디자인리서치, 5권 4호, 284-293 [2020]
  • 숏폼 애니메이션의 특성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이선주 한제성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38호, 29-51 [2015]
  •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
    이진 인문콘텐츠, 58호, 121-139 [2020]
  • 숏폼 동영상 SNS플랫폼의 이용 동기가 지속 사용 의 도에 미치는 영향: 몰입의 매개 효과 검증
    김상진 최모세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KIPAD논문집), 64권, 43-56 [2021]
  • 속도와 정치: 공간의 정치학에서 시간의 정치학으로
    Virilio, P. 이재 원, 역 그린비(원본 출판 1977) [2004]
  • 소셜미디어의 상호작용적 특성에 기반한 미술교육의 확장 가 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연구
    김시내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따른 인게이지먼트와 광고 인게 이지먼트의 관계: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 비교를 중심으로
    변혜민 심성욱 광 고PR실학연구, 13권 2호, 58-90 [2020]
  •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의 차원 분석 과 마케팅 시사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방형 이성근 이성훈 한상린 마케팅연구, 28권 2호, 87-108 [2013]
  • 소셜 미디어의 확산과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수용자 인식연구
    최민재 한국언론정보학회 학술대회, 5-31 [2009]
  •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란 무엇인가?
    FKII 조사연구팀 정보통신 연구진흥원 학술정보 정보산업지, 2006권 6호, 52-55 [2006]
  • 소셜 미디어 플로우의 선행요인과 결과
    신강선 지성구 경영컨설팅 연구, 21권 3호, 239-250 [2021]
  • 소셜 미디어 광고 인게이지먼트 척도 개발 연구: 유튜브 광 고를 중심으로
    최익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특성이 고객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이점수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비영리조직의 광고 소구 유형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명애 한 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반려동물 문화 개선을 위한 문화콘텐츠와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 융합 연구 및 구현
    김규정 이서영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8권 3호, 207-219 [2020]
  • 민주주의와 교육.
    (이홍우, 역) John Dewey. 교육과학사(원본 출판 1916) [1987]
  •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McLuhan, M. 박정규, 역 커뮤니케이 션북스(원본 출판 1986) [1999]
  • 미디어 콘텐츠의 수용
    안은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미디어 콘텐츠 이용자의 판타지 욕구가 콘텐츠 몰입에 미치 는 영향
    박신영 한국언론학보, 54권 2호, 232-254 [2010]
  •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
    이상원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7권 6호, 31-43 [2007]
  • 무빙툰의 성행에 따른 숏폼 애니메이션의 활성화 방향과 제 작기법에 관한 연구
    박성원 만화애니메이션연구, 53호, 25-58 [2018]
  • 몰입이론을 통한 UGC의 지속적 사용과 정보 공유에 관한 실증 연구: 중국 도우인(TikTok)을 대상으로
    곡민 윤민석 이효예 인터넷전 자상거래연구, 19권 6호, 19-40 [2019]
  • 모션그래픽에서 인접 분야를 통한 모션디자인의 기초 교육과정 연구
    박민주 최승원 애니메이션연구, 12권 3호, 244-260 [2016]
  • 모바일 미디어의 모션툰(Motion-toon)방식을 활용한 시사만평 제언
    정윤성 조동민 기초조형학연구, 14권 1호, 399-409 [2013]
  • 메시지 제시형태와 관여도에 따른 메시지 주목도와 이해도에 관한 연구
    정민이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5권 3호, 237-246 [2015]
  • 만화 그림체가 애니메이션에 미치는 영향
    김지홍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4권 2호, 223-226 [2006]
  • 딥페이크 앱 활용 윤리교육 융합 프로젝트의 개발 및 적용
    최은정 한정혜 황정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5권 2호, 405-412 [2021]
  • 디지털콘텐츠 특성의 이용자 지각과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윤지은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디지털콘텐츠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디지털콘텐츠 특성 에 관한 실증 연구
    오은해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몰입감 분석 연구
    김경수 김기범 한국과학예 술융합학회, 24권, 1-13 [2016]
  • 디지털 모션코믹스 연구
    김치용 이화자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학술대회, 203-204 [2012]
  • 디자인 크리에이티비티의 수용 과정과 공유에 관한 연구: 전 공자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포스터디자인의 실증조사를 중심으로
    이수진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디맨드: 세상의 수요를 미리 알아챈 사람들.
    Adrian J. Karl Weber Slywotzky 유정식, 역 다산북스(원본 출판 2011) [2012]
  •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이러닝 활성화 방안 연 구: 유튜브 러닝 콘텐츠 사례를 중심으로
    배재홍 신호영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 권 7호, 309-317 [2020]
  • 단편애니메이션의 실험적 영상연출 연구
    최돈일 만화애니메이션 연 구, 36호, 375-391 [2014]
  • 단편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은유적 상상력과 스토리텔링: <페이퍼맨>을 중심으로
    이동은 만화애니메이션연구, 45호, 435-450 [2016]
  • 뉴스의 제공 형태 차이에 따른 호감도 이해도 신뢰 도 만족도 지속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김종무 조윤성 디지털융복합연구, 15권 7 호, 383–391 [2017]
  • 그림책 캐릭터가 그림책 선호도와 파생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서송이 허정윤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5권 4호, 101-110 [2017]
  • 국내 애니메이션 기업들의 사례를 통해 본 애니메이 션 전문 투자조합 운영의 필요성
    김소영 김탁훈 애니메이션연구, 17권 1호, 42-56 [2021]
  • 국가브랜드의 인식(perception), 매력성(appeal)과 소비자행동 의도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소비자 태도를 매개변인으로
    강윤희 한 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교과서 시의 선정과 구성에 관한 연구
    김현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조병량 한양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 광고유형 및 성별에 따른 광고효과와 정서반 응 패턴: 스토리텔링, 이미지, 정보전달 광고를 중심으로
    손영우 정은경 최지은 감성과학, 15권 4호, 489-502 [2012]
  • 공익연계 마케팅(CRM) 메시지 제시 여부가 제품평 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고소구유형과 제품유형의 조절효과 를 중심으로
    최윤식 최자영 소비자학연구 22권 3호, 115-138 [2011]
  • 공익광고에 나타난 문화적 가치와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권중록  광고연구, 56호, 127-159 [2002]
  • 공공기관의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SNS홍보 특성과 공공기관 이미지, 몰입, 행동의도와의 관계연구
    김근오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7]
  • 공공 서비스 커뮤니케이션의 소셜 미디어 콘텐츠 소구 유형 에 따른 효과
    서송이 조형미디어학, 24권 2호, 148-155 [2021]
  • 고객의 정서적 몰입에 대한 웹사이트의 매력성과 플로우의 매개적 영향: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구매행동을 중심으로
    강성주 세종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가상현실(VR)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숏폼 동영상 콘 텐츠 적용 연구
    김성훈 유남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7권 1호, 261-270 [2021]
  • 「인플루언서의 특성과 소비자 욕구 충족성이 인플루언서에 대한 애착, 콘텐츠 몰입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곽지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Ÿ 흔한남매 공식 홈페이지 http://www
    hhnm.kr
  • Ÿ 핑크퐁 유튜브 https://youtu
    be/vTCqoh8oc9U
  • Ÿ 카카오프렌즈 유튜브 [PeachFiv] https://youtu
    be/v6WSZXYmcS0?list=PLDqQh9OEq5unpDJ0SVEROftk YOfF2NpPV
  • Ÿ 카카오프렌즈 유튜브 [Dance] https://youtu
    be/W3HrNhVjTXU
  • Ÿ 조선일보 [논설실의 뉴스 읽기] ‘서울 출생
    나이는 영원히 22세… 가상인간 로지의 탄생비화’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08/06/7FEG4V TKYFBTZPT3VEYFZPWKCA/ [2021]
  • Ÿ 읏맨 유튜브 https://youtu
    be/nCyxUjHoY7M?list=PLRSueeH9HosY_B261a3hmR7Td 0uyGQOsc
  • Ÿ 써리의 영상툰 https://youtu
    be/f0A8L8R51os
  • Ÿ 신비아파트 유튜브 https://youtu
    be/7Oo64VVGLdw
  • Ÿ 뽀로로 유튜브 https://youtu
    be/dMsoa67_EgY
  • Ÿ 빙그레TV 유튜브 https://youtu
    be/RII-T8HNOAw
  • Ÿ 브레드이발소 유튜브 https://youtu
    be/zZHl7M7OjCs
  • Ÿ 로보카폴리 TV https://youtu
    be/-2FWHSwI3Tk
  • Ÿ 도미노피자 유튜브 https://youtu
    be/U2neXTMX4R0
  • Ÿ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유튜브 https://youtu
    be/z4V-svP6yY8
  • Ÿ 네이버 웹툰 유튜브 https://youtu
    be/CC7LUpIew3w
  • Ÿ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terms.naver.com/list
    naver?searchId=au723
  • Ÿ lilmiquela 인스타그램 https://www
    instagram.com/lilmiquela/
  • Ÿ Youtube https://www.youtube.com/index
  • Ÿ ROLLIN’ SAFARI https://youtu.be/BOOljk_LOcs
  • Ÿ PUCCA Official 유튜브 https://youtu
    be/pQPtgrxllKU
  • Ÿ KOBACO공익광고협의회 유튜브 https://youtu
    be/Ki6c_h0gHMI
  • Ÿ EverythingDolls https://youtu.be/TJwmEAqf7PE
  • Ÿ BANGTANTV 유튜브 https://www
    youtube.com/user/BANGTANTV
  • Z세대가 선호하는 방송콘텐츠에 관한 연구: 20대 Z세대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정은이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58호, 141-181 [2020]
  • W. Tatarkiewicz. (1980). A History of Six Ideas: An Essay in Aesthetics. Springer.
    [1980]
  • Vitesse et Politique : Essai de Dromologie
  • Unger, L.S. & J.M. Stearns. (1983). The use of fear and guilt messages in television advertising: Issues and evidence.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Educators’ Proceedings Eds. P.E. Murphy & G.R. Laczniak. Chicago: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983]
  • Thomas, Frank & Johnston, Ollie. (1995). The Illusion Of Life: Disney Animation. Disney Editions; Illustrated edition
    [1995]
  • The impact of verbal anchoring on consumer response to image ads
    Phillips , B. J 29 ( 1 ) , 15-24 . [2000]
  • TV 애니메이션 광고의 리얼리티 연구: 실사와 비실사 이미 지의 관계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최인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SNS에서 캐릭터 중심 브랜디드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연구: 서사 구조 및 소비자 반응 분석을 중심으로
    윤설화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21]
  • SNS 속도문화와 창조적 저항
    강진숙 한국언론정보학보, 58호, 31-54 [2012]
  • Richard Dawkins. (2016). The Selfish Ge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 Puto, C.P. and Wells, W.D. (1984) Informational and transformational advertis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im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 638-643.
    [1984]
  • Mihaly Csikszentmihalyi. (1998).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HARPER.
    [1998]
  • McLuhan, M. (1986).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Routledge.
    [1986]
  • Marketing management
  • Marc Prensky. (2001). Digital native, digital immigrants. MCB University Press, 9(5), 1-6.
    [2001]
  • MCN 사업의 현황과 과제
    김치호 인문콘텐츠, 40호, 167-187 [2016]
  • L'art a perte de vue
  • Kim, Spiller, & Hettche. (2015). Analyzing media types and content orientations in Facebook for global brands. Journal of research in interactive marketing, 9(1), 4-30.
    [2015]
  • Kahneman & Tversky. (1979).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Econometrica, 47(2), 263-292.
    [1979]
  • Hovland, C. I., Janis, I. L., & Kelley, H. H. (1953).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Psychological Studies of Opinion Change. Yale University Press.
    [1953]
  • Hoffman, D. and Novak, T. (1996).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conceptual foundations. Journal of Marketing, 60, 50-68.
    [1996]
  • Giannakos, M. N., Chorianopoulos, K., Jaccheri, L., & Chrisochoides, N., (2012). This game is girly! perceived enjoyment and student acceptance of edutainment.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7516, 89–98.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arning and Games. Springer.
    [2012]
  • Field, A. (2009).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SPSS. 3rd Edition, Sage Publications Ltd.,
    [2009]
  • Feeley, Marhsall, & Reinhart. (2006). Reactions to narrative and statistical written messages promoting organ donation. Communication Reports, 19(2), 89–100.
    [2006]
  • E. Ozcelik, I. Arslan-Ari, & K. Cagiltay. (2010). Why Does Signaling Enhance Multimedia Learning? Evidence from Eye Movem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6(1), 110-117.
    [2010]
  • Democracy and Education
    John Dewey [1916]
  • D. Bo, A. Pichard, & M. Guevel. (2010). Branded Content & Luxury Communications. QualiQuanti.
    [2010]
  • Albers-Miller & Stafford. (1999). An international analysis of emotional and rational appeals in services vs goods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6(1), 42-57.
    [1999]
  • Adrian J. Slywotzky & Karl Weber. (2011). Demand: Cracking the Code of What People Really Desire. Business Plus.
    [2011]
  • AR 사용자 캐릭터의 표현에 있어 현실성 반영의 척도가 미 치는 선호도 연구
    장순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67권, 238-247 [2019]
  • ANIMATION: 애니메이션 제작의 이론과 실제
    김대중. 초록배매 직스 [1999]
  • <뿌까> 캐릭터의 형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교봉 인문과학연구, 17호, 1-31 [2012]
  • 3D 캐릭터 애니메이션의 특성과 접근방식에 관한 연구
    이영헌 애 니메이션연구, 10권 2호, 177-193 [2014]
  • 2020 애니메이션 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 2020 만화 애니 캐릭터 음악 이용자 실태조사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 2019 애니메이션 이용자 실태조사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콘텐츠 진흥원 [2020]
  • "디지털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사실적 표현에 대한 연구"
    서채환 중앙 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