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어 담화에서의 한국어 조사 기능에 대한 연구 : 일상대화에서의 이/가, 은/는, 무조사 쓰임을 중심으로

홍연정 2022년
논문상세정보
' 구어 담화에서의 한국어 조사 기능에 대한 연구 : 일상대화에서의 이/가, 은/는, 무조사 쓰임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은/는”
  • “이/가”
  • 담화
  • 대화 분석
  • 맥락
  • 무조사
  • 선택 문법
  • 조사의 기능
  • 한국어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95 0

0.0%

' 구어 담화에서의 한국어 조사 기능에 대한 연구 : 일상대화에서의 이/가, 은/는, 무조사 쓰임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국어 정보구조표지 '은/는'의 의미-대조 의미를 중심으로, 「언어 학」 85
    전영철 한국언어학회 [2019]
  • 한국어 어미의 의미
    박재연 집문당. [2019]
  • 高木智世・細田由利・森田笑(2016), 「会話分析の基礎」, ひつじ書房。
  • 金智賢(2016), 「日韓対照研究によるハとガと無助詞」, ひつじ書房。
  • 田中晴美(編集主幹)・樋口時弘・家村睦夫・五十嵐康男・倉又浩一・中村完・下宮忠雄・田 中幸子(編集・執筆)(1988/197)、「現代言語学辞書」、成美堂。
  • 林宅男(2008)、「談話分析のアプローチ」、研究社。
  • 串田秀也・平本毅・林誠(2017)、「会話分析入門」、勁草書房。
  • 「현대 한국어 조사의 계량적 연구」
    고석주 보고사 [2008]
  •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분석」
    임홍빈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 「한국어 학습자의 반복 현상 연구: 모어화자와 학습자의 담화에서」
    황은하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 「한국어 주제어와 임자말 연구」
    최규수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9]
  • 「한국어 조사의 연구: '-가'와 '-를'을 중심으로」
    고석주 연세대학교 박사학 위 논문 [2000]
  • 「한국어 정보구조에서의 화제와 초점」
    박철우 역락 [2003]
  • 「한국어 정보 구조 연구」
    최윤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 「한국어 의문문의 담화 기능 실현 양상 연구」
    박진철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 「한국어 담화표지의 기능 연구」
    심란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 「한국어 교육 문법-자료편」
  • 「양태조사의 통보기능에 대한 연구」
    유동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4]
  • 「대화의 기법: 이론과 실제」
    구현정 도서출판 경진문화사 [2001]
  • 「대화 텍스트의 구조」
    구현정 텍스트 분석의 실제, 역락 [2003]
  • 「담화와 문법」
    정희자 한국문화사 [2008]
  • 「국어의 조사 교육에 대한 연구-담화 문법을 중심으로」
    양세희 고려대학 교 박사학위 논문 [2014]
  • 「「있다」의 어휘 의미와 통사 구조 연구」
    신선경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8]
  • 「(담화 기능에 따른) 유사 문법 항목 연구」
  • 「'되다' 구문 연구」
    성연숙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 Spoken language and applied lingustics, Cambridge. (김지홍 뒤침,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교육: 담화 텍스트 화용 연 구, 2012
    McCarthy, M. 광명: 경진) [1999]
  • Politeness: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Brown, P. Levionson, S. C. Cambridge University Press.(田中典子 斉藤早智子 津留崎 毅 鶴田庸子 日野壽憲 山下早代子 옮김, ポライトネス: 言語使用にお けるある普遍現象, 2011, 研究社.) [1987]
  • Ono, T., Thompson, S. A. & Suzuki, R. (2000), The pragmatic nature of so-called subject marker ga in Japanese: evidence from conversation, Discourse Studied 2(1), 55-84.
    [2000]
  • Na Wonkyong, The function of the Korean direct object particle-(l)ul in rhetorical questions: Focusing on infoermal spoken Korean, 「언어사실과 관점」 37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65-89 [2016]
  • Larsen-Freeman, D.(2000), The grammar of Choice, Techniques and principles in language teach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 Kim M. S. (2021), Negatively valenced questions with the Korean subject particle Ka : interactional practies for managing discrepansies in knowledgem understanding, or expectations, Journal of Pragmatics 176, 163-185.
  • Kim M. S. & Kim S. H.(2014), Initiating repair with and without particles: Alternative formats of other-initiation of repair in Korean Conversation, Research on Language and Social Interaction 47:4, 331-352.
    [2014]
  • Kim Kyu-hyun, Topic and subject in spoken Korean discourse: Focus-giving as interactional practice, 「사회언어학」 16(2)
    한국사회 언어학회, 51-80 [2008]
  • Key terms in discourse analysis, Bloomsbury.(澤田治美・澤田治・澤田淳 옮김, 2018, 談話分析キーターム辞 典
    Paul B. Sibonile, E. 開拓社) [2010]
  • Hayashi, M. & Kim, S. H.(2015), Turn formats for other-initiated repair and their relation to rouuble sources: Som observations from Japanese and Korean conversations, Journal of Pragmatics 87, 198-217.
    [2015]
  •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
    korean.go.kr/main/main.do
  • <연세 현대 한국어사전> https://ilis
    yonsei.ac.kr/dic/
  • "화제 표지 '은/는'의 담화적 기능과 교육 방안"
    서정숙 「어문론집」 66, 중 앙어문학회, 205-227 [2016]
  • "형용사의 경험주 논항 처리 방안: 심리형용사에서 성상형용사, 성상형용사에서 감각형용사로의 전용에 대하여"
    정연주 「한국사전학」 17, 한국사전학회, 209-238 [2011]
  • "형용사 구문의 주어에 대한 연구"
    유현경 「배달말」 37, 배달말학회, 177-210 [2005]
  • "현대국어 조사 '은/는'의 분포와 기능-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남윤진 「우리말 연구 서른아홉 마당1」, 태학사 [2005]
  • "현대 국어 조사 "가"의 구어에서의 비실현 양상 연구"
    박유현 「어문론총」 45, 한국문학언어학회, 211-260 [2006]
  • "한영 병렬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조사 '가'와 '는'의 선택 원리 연구"
    안예리 양수향 유현경 「언어와 정보」 11(1), 한국언어정보학회, 1-23 [2007]
  • "한국어의 대조초점"
    전영철 「언어학」 43, 한국언어학회, 215-237 [2005]
  • "한국어와 일본어의 주어 실현 양상에 대한 일고찰"
    김영민 「일본학」 49,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107-129 [2019]
  • "한국어교육을 위한 불평표현 문형연구-불평화행과 인용표현 의 관계를 중심으로"
    강현화 황미연 「한국어와 문학」 24, 한말연구학회, 5-31 [2009]
  • "한국어교육에서의 담화 기반 문법 연구-부정 표현의 맥락 문법을 활용하여-"
    강현화 「Foreign Languages Education」19(3), 한국외국어교육학 회, 395-414 [2012]
  • "한국어교육에서 대화 분석 방법론의 수용 양상과 발전 가능성"
    백승주 「어 문론집」, 61, 중앙어문학회, 57-88 [2015]
  • "한국어교육에서 "무엇"의 기술 방안"
    서희정 「새국어교육」 83권, 한국국어 교육학회, 261-283 [2009]
  • "한국어 형용사 구문의 주어"
    유현경 「형태론」 17, 형태론학회, 69-91 [2015]
  • "한국어 해라체 종결어미 '-다', '-ㄴ다'의 구어 사용 양상 연구"
    안주호 「한 국언어문학」 제96집, 한국언어문학회, 1-31 [2016]
  • "한국어 통사론에서의 융합의 길-조사와 어미의 신질서를 찾아서"
    목정수 「국어국문학」 179, 국어국문학회, 71-115 [2015]
  • "한국어 주어의 무조사 현상 연구"
    김지현 「우리어문연구」 28, 우리어문학 회, 7-31 [2007]
  • "한국어 종결어미 '-네'와 '-구나' 비교 연구"
    정순화 「한국어의미학」 71, 한국어의미학회, 25-46 [2021]
  • "한국어 조사 { 가 } , { 를 } , { 도 } , { 는 }의 의미체계"
    목정수 「언어 연구」 18, 서울대학교 언어연구회, 1-49 [1998]
  • "한국어 조사 '가'의 의미와 분포"
    최성호 「언어학」 79, 한국언어학회, 73-104 [2017]
  • "한국어 오류 분석 연구의 동향 분석 연구: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이훈호 「외국어교육연구」 29(2),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107-135 [2015]
  • "한국어 부사 연구에 있어서의 쟁점과 과제"
    한송화 「한국어의미학」 52, 한국어의미학회, 223-250 [2016]
  •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박지순 「언어와 문화」 9(1),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9-152 [2013]
  • "한국어 무조사 명사구의 통사와 의미"
    임홍빈 「국어학」 49, 국어학회, 69-108 [2007]
  • "한국어 대화구조와 문법:대화분석의 시각"
    김규현 「응용언어학」 24(3), 한국응용언어학회, 31-62 [2008]
  • "한국어 구어 문법의 정립-구어와 문어의 통합 문법을 지향하며"
    목정수 「우리말연구」 제28권, 우리말학회, 57-98 [2011]
  • "한국어 구어 교육을 위한 조사 '이/가'의 실현 및 비실현에 관한 연 구"
    오선영 「한국어 의미학」 제61집, 한국어 의미학, 133-167 [2018]
  • "한국어 교재의 '좋다'류 형용사 구문 기술 양상 연구"
    홍정현 「언어와 정보 사회」 36,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335-373 [2019]
  • "한국어 교육의 오류분석 연구 동향 분석"
    김상수 송향근 「이중언어학」 31, 이중언어학회, 1-33 [2006]
  • "한국어 교육에서 주어와 주제 구분에 대하여"
    이창덕 「문법교육」 21권, 한 국문법교육학회, 239-268 [2014]
  •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의 담화 기능 연구-코퍼스를 통한 귀납적 분 석을 중심으로-"
    강현화 「언어와 문화」13(2),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7-52 [2017]
  • "한국어 격조사와 특수조사의 지위와 그 의미"
    목정수 「언어학」 23, 한국 언어학회, 47-78 [1998]
  • "한국어 감정용언에 대한 연구"
    유현경 「한국사전학」 32, 한국사전학회, 35-60 [2018]
  • "한국어 '-은/는'과 '-이/가', 무엇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김일규 「외국 어로서의 한국어교육」45집,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83-117 [2016]
  • "특수조사 "는"에 대한 통합적 분석"
    홍용철 「생성문법연구」 15(3), 한국생성문법학회, 397-413 [2005]
  • "초점과 주제의 음성학적 관련성"
    김용범 「언어와 정보」 8(1), 한국언어정보 학회, 27-52 [2004]
  • "집합과 관련된 '있다' 구문의 한 유형"
    이성우 「국어학」 92, 국어학회, 283-317 [2019]
  • "중 고급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가'와 '는' 선택 요인 연구"
    강현화 김미경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7권,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5-52 [2017]
  • "주제어와 주어"
    남기심 「어문학」 26, 한국어문학회, 128-131 [1972]
  • "주어와 주제"
    남기심 「국어생활」 3, 국어연구소, 92-103 [1985]
  • "주어 자리에서의 '나∅'의 담화 기능에 대한 연구-'나∅'의 발화 상황 분석을 중심으로"
    홍연정 「문법교육」 28, 한국문법교육학회, 287-317 [2016]
  • "주격중출문의 문법과 의미-한국어 교육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박지순 「반교어문연구」 52,반교어문학회, 317-346.  [2019]
  • "주격조사 '이/가'에 대한 의미 비교"
    박창원 「경기어문학」 3, 수원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07-138 [1988]
  • "조사의 의미론적 연구"
    최호철 「국어의 격과 조사」, 월인 [1999]
  • "조사와 재귀대명사에 관한 담화기능적 분석"
    안동환 정연창 「언어과학」 4, 한국언어과학회, 297-328 [1997]
  • "조사 '이/가'와 '은/는'의 중간언어 습득 양상 연구: 중국어권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원미진 「국제어문」 68, 국제어문학회, 261-281 [2016]
  • "조사 '이/가'와 '은/는'의 대치오류 분석"
    김지은 「언어과학연구」 48(1), 언어과학회, 1-40 [2009]
  • "조사 '이/가'와 '은/는'의 기본 전제와 기능 분석"
    김미형 「담화와 인지」 18(3), 담화 인지언어학회_23-64 [2011]
  • "조사 '은/는'의 정체성-문법서와 교재에서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
    김미형 「한말연구」 38, 한말연구학회, 55-95 [2015]
  • "조사 '은/는'과 '이/가'의 의미"
    최석재 「우리말연구」 35, 우리말학회, 82-111 [2013]
  • "조사 '는'의 의미"
    채완 「국어학」 4, 국어학회, 93-113 [1976]
  • "조사 '가/이'의 의미 분석"
    이필영 「관악어문연구」 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 학과, 417-431 [1982]
  • "조사 '-가'의 의미와 '주제'"
    김선희 「연세어문학」16, 연세대학교 국어국문 학과, 28-41 [1983]
  • "조사 '-가'의 의미"
    고석주 「국어학」 40권, 국어학회, 221-247 [2002]
  • "제효 이용주 교수 정년퇴임 기념 특징: 주격조사 '-가'의 의미"
    성기철 「선 청어문」,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77-302 [1994]
  • "이중주어문의 네 가지 유형"
    양정석 「사림어문연구」 6, 사림어문연구, 83-117 [1989]
  • "이/가 주제설에 대하여"
    전영철 「담화와 인지」 16(3), 담화인지언어학회, 217-238 [2009]
  • "의존 명사 '수'와 '줄'의 의미 연구", 「어문론집」 52
    안정아 부산외국어대학 교, 121-145 [2005]
  • "의존 명사 "수" 구성의 통사, 의미적 특성"
    강규영 「관악어문연구」 40권,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5-223 [2015]
  • "유형론의 시각에서 본 한국어 격의 몇 가지 논점"
    송경안 이은하 「언어학」 28(2), 대한언어학회, 15-28 [2020]
  • "영어권 중 고급 학습자를 위한 조사 '가'와 '는'의 교수 방안 연구-한영 병렬 말뭉치를 이용하여-"
    안예리 양수향 유현경 「이중언어학」 35, 이중언어학회, 271-298 [2007]
  • "언어와 의식"
    이기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6권, 연세대학교 언어연 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9-50 [1981]
  • "아니다의 패턴 연구", 「어문론총」 44권
    남길임 한국문학언어학회, 1-33 [2006]
  • "소유와 소재"
    박양규 「국어학」 3, 국어학회, 93-117 [1975]
  • "소설 텍스트에서의 주어의 실현 양상-박완서의 소설 “그 가 을의 사흘 동안”을 중심으로-"
    김수정 최동주 「한민족어문학」64, 한민족어문학회, 37-69 [2013]
  • "선행명사구의 유정성과 조사 「에게/에」의 선택"
    김형정 「언어사실과 관점 」 26,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141-195 [2010]
  • "비대조 '은/는'의 실현 기제와 담화적 기능-구어 담화를 중심으로 -"
    서정숙 「한국학연구」 58,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331-353 [2020]
  • "본용언 '있다' 구성을 통한 주어 및 화제 논의"
    김천학 「국어학」 97, 113-145 [2021]
  • "복합형어미 '-다니까'의 의미와 통사적 특성"
    목지선 「어문학」 150, 한국어문학회, 31-62 [2020]
  • "보조조사 '는'의 의미 정보"
    최규수 「우리말연구」 44, 우리말학회, 27-55 [2016]
  • "보조사의 기능과 정보구조"
    박철우 「국어학」 73권, 국어학회, 269-307 [2015]
  • "보어의 문장성분론"
    유현경 「형태론」 21, 형태론학회, 108-134 [2019]
  • "무조사구의 주어-목적어 비대칭 분포와 의미: 형태적 실현성"
    홍정하 「언 어정보」 제11호,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115-136 [2010]
  •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에서의 '은/는'과 '이/가' 의 분포와 조사 선택 요인 분석"
    원미진 한송화 「언어사실과 관점」 41, 연세대학교 언 어정보연 구원, 49-83 [2017]
  • "대화구조의 화행연속모형에 관한 소고"
    구자은 「현대영미문학」 7, 현대영미어문학회, 113-148 [1990]
  • "대화 구조의 기본 체계"
    이두헌 「프랑스학 연구」 20, 프랑스학회, 119-142 [2001]
  • "대격 조사 생략의 화용적 분석"
    이성범 「담화와 인지」 13(3), 담화인지언어 학회, 69-89 [2006]
  •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일상 대화를 중심으로"
    오은화 「새국어교육」 125, 한국국어교육학회, 237-266 [2020]
  • "담화 표지 '-는'/'-가'와 화자 시점: 코퍼스 언어학적 접근"
    홍정화 「한국어 의미학」 34, 한국어 의미학회, 451-477 [2011]
  • "담화 차원의 문법 교육 내용 연구"
    김호정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 언어학회, 145-177 [2006]
  • "논문: 기술문법의 관점에서 본 "이다"의 결합 양상", 「한말연구」 38
    남길임 한말연구학회, 77-103 [2015]
  • "기능적 측면에서 본 '-가', '-는'의 의미"
    최순영 「문창어문논집」 23, 문창 어문학회, 281-293 [1986]
  • "국어의 주제-설명 구조"
    김일웅 「언어연구」 3, 부산대학교 어학연구소, 95-118 [1980]
  • "국어의 부정격과 격표시"
    이남순 「홍대논집」 19(1), 홍익대학교, 145-166 [1987]
  • "국어의 문장 제시어에 대하여"
    이선웅 「어문연구」 33(1), 한국어문교육연구 회, 59-84 [2005]
  • "국어에서 주어가 조사 없이 나타나는 환경에 대하여"
    김지은 「한글」 제 212호, 한글학회, 69-88 [1991]
  • "국어 형용사의 유형에 대한 연구"
    유현경 「국어학」 36, 국어학회, 221-258 [2000]
  • "국어 조사의 격표지 기능에 관한 소고"
    오충연 「숭실어문」 13, 숭실어문학 회, 285-304 [1997]
  • "국어 조사에 대한 화용론적 연구"
    민현식 「관악어문연구」 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87-102 [1982]
  • "국어 조사 [는]에 대한 연구"
    류구상 「한글」 제170호, 한글학회, 541-586 [1980]
  • "국어 의문사 '무슨'의 담화표지 기능"
    김명희 「담화와 인지」 13(2), 담화 인지언어학회, 21-42 [2006]
  • "국어 문법에서 격(자리)은 어떻게 정의되어 왔는가?"
    남기심 애산학보 5, 애산학회, 57-71 [1987]
  • "구어에 나타난 주격조사 연구"
    유혜원 「한국어의미학」 28, 한국어의미학회, 14-169 [2009]
  • "구어 텍스트에서의 목적격 조사의 비실현 양상"
    이은경 「우리말글」 64, 우 리말글학회, 57-86 [2015]
  • "구어 자료의 전사 관행"
    김규현 「언어사실과 관점」 23, 연세대학교 언어정 보연구원, 77-102 [2017]
  • "구어 언어자료에 나타난 장형부정과 단형부정의 사용과 부정의 담화 기능-단순부정을 중심으로-"
    한송화 「어문총론」 60, 한국문학언어학회, 115-142 [2014]
  • "구어 담화에서 보조사 '은/는'의 의미와 담화 기능"
    한송화 「한국어의미학」 55, 한국어의미학회, 81-111 [2017]
  • "교육 문법에서 조사의 담화 문법적 탐색"
    이관규 「문법 교육」 20, 한국문 법교육학회, 249-269 [2014]
  • "과연 한국어의 격조사는 초점 표지인가"
    최윤지 「형태론」 22, 형태론학회, 334-371 [2020]
  • "격조사의 기능에 관한 인지의미론적 연구"
    김재욱 「언어과학연구」, 언어과학회, 45-70 [2003]
  • "「있다」의 소유 구문에 대한 소고"
    신선경 「울산어문논집」 제11집,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회, 165-191 [1996]
  • "'적어도'의 의미수식 및 그 척도", 「중국조선어문」 2
    리광화 오려화 길림 성민족 사무위원회, 17-22 [2018]
  • "'이다' 구문의 화용적 용법에 관한 소고-'나는 짜장면이다'류의 해석 을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41
    김진웅 반교어문학회, 263-283 [2015]
  • "'이/가, 을/를'의 비전형적인 분포와 기능"
    신서인 「국어학」 69, 국어학회, 69-103 [2019]
  • "'이/가'와 '은/는'의 사용 맥락 분석 및 교수학습 내용 연구-한국어 교재 대화문을 중심으로-"
    정미진 조형일 「언어와 문화」 15(1),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337-360 [2019]
  • "'이'-'의' 교체 현상에 대한 연구"
    유혜원 「우리어문연구」 47권, 우리어문학회, 211-240 [2013]
  • "'은/는'과 종횡의 의미 관계"
    임동훈 「국어학」 64권, 국어학회, 217-269 [2012]
  • "'은/는'과 '이/가'의 출현 양상"
    최동주 「인문연구」 65, 영남대학교 인문과 학연구소, 25-58 [2012]
  • "'아니다'의 사용패턴과 부정의 의미", 「한국어 의미학」 33
    남길임 한국어 의미학회, 41-65 [2010]
  • "'맞아'형 받는 말의 갈래와 특성 연구"
    강우원 「우리말연구」 36집, 우리말 학회, 91-112 [2014]
  • "'대조' 의미의 언어학적 성격"
    박철우 「한국어 의미학」 45, 한국어의미학 회, 129-157 [2014]
  • "'NP이 있다' 구성의 대칭성과 비대칭성"
    이성우 「한국어의미학」 70, 한국어의미학회, 101-125 [2020]
  • "'-을 수 {있다/없다}' 구문의 통사 의미론"
    김건희 시정곤 「국어학」 56, 국 어학회, 131-159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