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풍류에 관한 연구 : 회화를 중심으로

강옥희 2022년
논문상세정보
' 조선 후기 풍류에 관한 연구 : 회화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도가사상
  • 신선사상
  • 조선후기회화
  • 풍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1 0

0.0%

' 조선 후기 풍류에 관한 연구 : 회화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論語􋺸
    오세진 論語(서울: 홍익 [2021]
  • 􋺷論語集註􋺸
    성백효 論語集註(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9]
  • 􋺷한국철학사전􋺸(
    이기동 한국철학사전(서울: 동방의빛 [2013]
  • 􋺷진경문화􋺸
    한국민족미술연구소 진경문화(서울: 현암사 [2014]
  • 􋺷조선왕조실록􋺸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 􋺷왕필의 노자주􋺸
    노자주 왕필의 임채우 (파주: 한길사 [2016]
  • 􋺷역사문화사전􋺸
    김원중 역사문화사전(서울: 글항아리 [2014]
  • 􋺷실학의 철학􋺸
    한국사상사연구회 한국사상사연구회 실학의 철학(서울: 예문서원 [1997]
  • 􋺷당시감상대사전􋺸
    楊旭輝主編 당시감상대사전(북경: 중화서국 [2012]
  • 􋺷노자 도덕경과 왕필의주􋺸
    김학목 노자 도덕경과 왕필의주(서울: 홍익출판사 [2012]
  • 􋺷고사성어대사전􋺸
    임종욱 고사성어대사전(서울: 시대의창 [2004]
  • 􋺷간명한 중국철학사􋺸
    馮友蘭 정인재 간명한 중국철학사(서울: 마루비 [2018]
  • 􋺷莊子􋺸
    안동림 莊子(서울: 현암사 [2020]
  • 􋺷荀子􋺸
    이지한 이지한 이지한 이지한 荀子(서울: 자유문고 [2003]
  • 􋺷管子􋺸
    김필수 管子(서울: 소나무 [2006]
  • 􋺷禮記􋺸
    이상옥 禮記(서울: 명문당 [2003]
  • 􋺷神仙傳􋺸
    葛洪 葛洪 김장환 김장환 神仙傳(서울: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0]
  • 􋺷漢書藝文志􋺸
    班固 이한우 漢書藝文志(서울: 21세기북스 [2020]
  • 􋺷漢書列傳5􋺸
    班固 이한우 漢書列傳5(서울: 21세기북스 [2020]
  • 􋺷書經集傳􋺸
    성백효 書經集傳(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7]
  • 􋺷抱朴子􋺸
    葛洪 이준영 抱朴子(서울: 자유문고 [2014]
  • 􋺷孟子集註􋺸
    성백효 성백효 孟子集註(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20]
  • 􋺷天君實錄􋺸
    致球, 金光淳譯註 天君實錄(경북대학교출판부 [1989]
  • 􋺷大學ㆍ中庸集註􋺸
    성백효 大學ㆍ中庸集註(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8]
  • 􋺷周易傳義下􋺸
    성백효 周易傳義下(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14]
  • 􋺷史記􋺸
    박일봉 史記(서울: 육문사 [2004]
  • 􋺷史記列傳􋺸
    정범진 史記列傳(서울: 까치 [2014]
  • 李奎報漢詩의 內面意識硏究
    이희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한정록
    허균 허균 허균 (서울: 솔 [1997]
  • 한위육조시선
    기태완 한위육조시선(서울: 보고사 [2005]
  • 한국학 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
  • 한국창작춤에 내재된 풍류의 놀이성ㆍ종교성ㆍ예술성
    전경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한국의 풍속화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서울: 한길아트 [2000]
  • 한국의 음악사상
    한흥섭 한국의 음악사상(서울: 민속원 [2000]
  • 한국의 신선
    임채우 한국의 신선(서울: 소명출판 [2018]
  • 한국의 미학-서양, 중국, 일본과의 다름을 논하다
    최광진 일본과의 다름을 논하다(고양: 미술문화 [2018]
  • 한국문학과 도교사상
    박삼서 한국문학과 도교사상(서울: 국학자료원 [1998]
  • 한국고전번역원
    https://db.itkc.or.kr/
  • 한국 풍속화의 근대성과 국제적 보편성 , 동양예술 제52호
    강옥희 근세기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 한국 성리학의 발전과 심학적ㆍ실용적 변용
    최영진 최영진 한국 성리학의 발전과 심학적ㆍ실용적 변용(서울: 문사철 [2014]
  • 한국 그림의 전통
    안휘준 한국 그림의 전통(서울: 사회평론 [2012]
  • 풍속화에 내재된 풍류적 여가문화의 특징 연구
    신윤복 정혜윤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풍속화에 나타난 조선 후기 해학미에 관한 고찰
    이옥수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풍속화란 무엇인가
    이중희 이중희 이중희 풍속화란 무엇인가(서울: 눈빛 [2013]
  • 풍류와 풍물굿
    김익두 풍류와 풍물굿(서울: 민속원 [2017]
  • 풍류사상에 기초한 풍류음악의 의미 탐색
    김해철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풍류도와 신선사상 , 신라 문화재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5집
    도광순 신라문화선양회 [1984]
  • 풍류-동아시아 미학의 근원
    신은경 풍류-동아시아 미학의 근원(서울: 보고사 [1999]
  • 풍류 사상에 기초한 국악 교육의 방향 탐색
    박주만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표암 강세황 회화연구
    변영섭 회화연구(서울: 일지사 [1988]
  • 판소리의 사유체계와 동양미학적 기반 , 판소리연구 30호
    김현주 판소리학회 [2010]
  • 클릭, 한국 미술사
    강민기 한국 미술사(서울: 예경 [2011]
  • 천년의 화가 김홍도
    이충렬 천년의 화가 김홍도(서울: 메디치미디어 [2019]
  • 중국아집
    권석환 중국아집(서울: 박문사 [2015]
  • 중국미학사
    張法 신정근 역 중국미학사(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9]
  • 중국문학사
    이수웅 (파주, 다락원 [2014]
  • 중국도교사-신선을 꿈꾼 사람들의 이야기
    牟鐘鑒 이봉호 역 중국도교사-신선을 꿈꾼 사람들의 이야기(서울: 예문서원 [2015]
  • 중국 미학 범주인 ‘흥(興)’의 두 함의 , 인문과 예술제8호
    김현미 인문예술학회 [2020]
  • 죽림칠현과 위진 명사
    孔毅 孔毅 정용선 역 정용선 역 죽림칠현과 위진 명사(구리: 인간의 기쁨 [2014]
  • 조선후기풍속화를통해본한국전통예술문화의융합적특성, 동양예술 제40호
    강옥희 한국동양예술학회 [2018]
  • 조선후기 파초(芭蕉)그림 연구
    오혜윤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조선회화
    홍선표 조선회화(서울: 한국미술연구소CAS [2014]
  • 조선화론집성
    고유섭 조선화론집성(서울: 고고미술동인회 [1965]
  • 조선의 그림과 마음의 앙상블
    유종인 조선의 그림과 마음의 앙상블(파주: 나남 [2017]
  • 조선왕조실록
    sillok.history.go.kr
  • 조선시대의 삶, 풍속화로 만나다
    윤진영 윤진영 윤진영 윤진영 윤진영 풍속화로 만나다(서울: 다섯수레 [2015]
  • 조선시대 후반기 풍속화의 연구
    정병모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조선시대 음악풍속도 2
    국립국악원 조선시대 음악풍속도 2(서울: 민속원 [2004]
  • 조선시대 음악풍속도 1
    서인화 진준현 조선시대 음악풍속도 1(서울: 민속원 [2002]
  • 조선 후기의 연희
    윤광봉 조선 후기의 연희(서울: 박이정 [1998]
  • 조선 후기 풍속화의 발생과 근대성 , 한국근현대미술사학 제13호
    이중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04]
  • 조선 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민중 생활의 양상과 성격: 단원과 혜원의 그림을 중심으로
    최중섭 안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조선 후기 풍류의 선가(仙家)적 지향에 대한 연구-청가묘무, 풍악, 풍월을 중심으로 , 한국학논집 제48집
    김영희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2]
  • 조선 후기 아회도 연구
    송희경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 조선 후기 선동취적도 연구
    박소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조선 후기 산수화의 은일적 삶에 표현된 유(儒) 도(道) 성향 연구
    고혜림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조선 후기 士人風俗畵와 餘暇文化, 美術史論壇 제24집
    장진성 미술사학회 [2007]
  • 조선 풍속사 1∼3
    강명관 강명관 조선 풍속사 1∼3(서울: 푸른역사 [2010]
  • 조선 사회 이렇게 본다
    조선사회연구회 조선사회연구회 조선사회연구회 조선 사회 이렇게 본다(파주: 지식산업사 [2010]
  • 전통미술 문화교육
    이성도 전통미술 문화교육(서울: 미진사 [2005]
  • 음악이 있는 옛 그림 강의
    손철주 음악이 있는 옛 그림 강의(서울: 김영사 [2018]
  • 유의경과 세설신어
    김장환 김장환 유의경과 세설신어(서울: 신서원 [2007]
  • 월간서예, , 신윤복의 ‘이부탐춘’
    신웅순 묵서재(blog.naver.com/sukya0517) [2019]
  • 움직임에 드러난 풍의 양상 연구
    김영희 전통춤의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우봉 조희룡
    이선옥 (서울: 돌베개 [2017]
  • 우리예술문화
    송혜나 최준식 우리예술문화(서울: 주류성 [2015]
  • 우리나라의 옛 그림
    이동주 이동주 이동주 이동주 우리나라의 옛 그림(서울: 학고재 [1995]
  • 우리고전다시읽기 42ㆍ조침문
    유씨부인 신원문화사 [2004]
  • 옛그림에도 사람이 살고있네
    이일수 옛그림에도 사람이 살고있네(서울: 시공사 [2014]
  • 옛그림 속 술의 맛과 멋
    정혜경 옛그림 속 술의 맛과 멋(서울: 세창미디어 [2017]
  •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1
    오주석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1(서울: 솔출판사 [1999]
  • 연구 : 풍유시와 한적시를 중심으로
    김태진 백거이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김정탁 莊子(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8]
  • 에로틱 조선
    박영규 박영규 박영규 박영규 박영규 에로틱 조선(파주: 웅진지식하우스 [2019]
  • 양성연명록
    陶弘景 김재두 양성연명록(서울: 학고방 [2013]
  • 안목과 안복
    공화랑 공화랑 [2009]
  • 신선사상과 도교
    도광순 도광순 도광순 도광순 신선사상과 도교(서울: 범우사 [1994]
  • 신분제도, 조선을 떠받치다
    손주현 이광희 조선을 떠받치다(서울: 푸른숲 [2020]
  • 신명문화와 21세기 새로운 도학
    김백현 김백현 신명문화와 21세기 새로운 도학(서울: 신명문화 [2018]
  • 송시선
    기태완 송시선(서울: 보고사 [2009]
  • 세설신어의 국내 유전장황과 연구개황 , 동방학지 제104집
    김장환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9]
  • 성호사설에 보이는 원류비평양상- 詩文門의 시작품을 중심으로- , 온지논총, 51권
    박종훈 온지학회 [2017]
  • 생명과 불사
    이용주 생명과 불사(서울: 이학사 [2020]
  • 사상으로 읽는 동아시아의 미술
    최경현 한정희 사상으로 읽는 동아시아의 미술(서울: 돌베개 [2018]
  • 사료로 본 한국문화사-조선 후기편
    이성무 한우근 사료로 본 한국문화사-조선 후기편(서울: 일지사 [1985]
  • 불사의 신화와 사상
    정재서 불사의 신화와 사상(서울: 민음사 [1995]
  • 민속예술을 통해 본 신명풀이의 존재양상과 성격 , 비교민속학 제22집
    한양명 비교민속학회 [2002]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Arnord Hauser Arnord Hauser 염무웅 외 역 염무웅 외 역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3(파주: 창비 [2014]
  • 문심조룡
  • 목민심서
    정약용 목민심서(파주: 창비 [2021]
  • 두보와 이백 시선
    최병국 시선(서울: 한솜미디어 [2015]
  • 동양의 명화 한국Ⅱ
    정양모 최순우 동양의 명화 한국Ⅱ(서울: 삼성출판사 [1985]
  • 동양의 광기와 예술 (동아시아 문인들의 자유와 창조의 미학)
    조민환 동양의 광기와 예술 (동아시아 문인들의 자유와 창조의 미학)(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0]
  • 동양 예술미학 산책
    조민환 동양 예술미학 산책(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1]
  • 동아시아 예술과 미학의 여정
    신정근 동아시아 예술과 미학의 여정(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8]
  • 동아시아 미의 문화사
  • 동아시아 문화와 한국인의 미의식
    민주식 동아시아 문화와 한국인의 미의식(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 도연명
    陶淵明 陶淵明 김학주 김학주 도연명(서울: 명문당 [2013]
  • 당시선 上
    기태완 下(서울: 보고사 [2008]
  • 단원 김홍도- 대중적 오해와 역사적 진실
    장진성 단원 김홍도- 대중적 오해와 역사적 진실(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2020]
  • 다시쓰는 중국풍류문학사
    최병규 다시쓰는 중국풍류문학사(파주: 한국학술정보 [2018]
  • 녹파잡기
    안대희 한재락 녹파잡기(서울: 휴머니스트 [2017]
  • 네이버 지식백과
    인명사전(서울: 인명사전편찬위원회 [2002]
  • 난랑비서의 풍류도에 대한 하나의 해석 , 한국민족문화 제26호
    한흥섭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5]
  • 근대일본의 태동과 에도시대 회화로 본 일본의 근대성 , 동양예술 제43호
    강옥희 한국동양예술학회 [2019]
  • 국악개론
    김영운 국악개론(파주: 음악세계 [2020]
  • 국악, 그림에 스며들다
    송혜나 최준식 그림에 스며들다(파주: 한울엠플러스 [2018]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ict.korean.go.kr
  • 고운 최치원의 철학사상
    최영성 고운 최치원의 철학사상(서울: 문사철 [2012]
  • 고문진보 시편
    黃堅, 최인욱 고문진보 시편(서울: 을유문화사 [1987]
  • 고문진보 문편
    黃堅, 박일봉 역 고문진보 문편(서울: 육문사 [2002]
  • 韓國仙道思想에 관한 硏究
    이승호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道敎史
    卿希泰 唐大潮, (南京: 江西人民出版社, ) [2019]
  • 述異記
    祖沖之 김장환 述異記(서울: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4]
  • 說文解字注
    段玉裁注 段玉裁注 許愼 許愼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 [2011]
  • 詩經集傳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2009]
  • 詩經註析
    蔣見元外 (北京: 中華書局, ) [2018]
  • 詩品
    鐘嶸 임동석 역 詩品(서울: 동서문화사 [2011]
  • 莊子今注今譯
    陳鼓應 (北京: 中華書局, ) [2018]
  • 茶經
    陸羽 (北京, 中華書局, ) [2015]
  • 美的歷程
    李澤厚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 [1984]
  • 神仙傳
    葛洪 임동석 神仙傳(서울: 고즈윈 [2006]
  • 白居易
  • 王陽明與明末儒學
    岡田武彦 (重慶: 重慶出版社, ) [2016]
  • 浮生六記
    沈復 지영재 역 浮生六記(서울: 을유문화사 [2017]
  • 檀園金弘道의 畵中有樂연구 , 동양예술제36집
    조동원 한국동양예술학회 [2017]
  • 檀園金弘道繪畵의 心學的眞境美學硏究
    조동원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楚辭
    宋玉 屈原 권용호 楚辭(서울: 글항아리 [2018]
  • 朝鮮時代중ㆍ후기 西園雅集圖의 도입과 변천에 대한 硏究
    이희영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朝鮮時代遊覽文化硏究
    이상균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朝鮮時代繪畵의 道敎的理想鄕硏究
    정동화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朝鮮時代繪畵에 나타난 飮酒像연구
    유옥경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朝鮮時代圍棋圖硏究
    유주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朝鮮後期경직도의 風俗表現硏究
    박수경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朝鮮後期茶畵를 통해 본 茶生活硏究
    이은정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朝鮮後期春畵의 展開와 特徵
    윤지영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朝鮮後期文藝思潮의 雅俗兼備的審美意識硏究
    박진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曾點의 ‘浴沂詠歸’에 대한 조선조 儒學者들의 見解와 收用, 동양예술 제47호
    조민환 한국동양예술학회 [2020]
  • 春秋左氏傳
    문선규 (서울: 명문당 [2009]
  • 文人畵의 개념과 韓國의 文人畵, 미술사논단 제4호
    한정희 한국미술연구소 [1997]
  • 愼言
    王廷相 권오향 역 愼言(서울: 학고방 [2019]
  • 意境-동아시아미학의 거울
    蒲震元 신정근 意境-동아시아미학의 거울(서울: 성균관대학출판부 [2013]
  • 唐才子傳
    辛文房 辛文房 임동석 역 임동석 역 唐才子傳(서울: 동서문화사 [2010]
  • 唐代이후 미학에서 나타난 형상 너머의 ‘感興’ 문제 , 철학연구제121집
    이난수 대한철학회 [2012]
  • 古代漢語辭典
    古代漢語詞典編寫組, (北京: 商務印書館, ) [2005]
  • 列子
    列禦寇 列禦寇 임동석 임동석 列子(서울: 동서문화사 [2009]
  • 中國歷代人名大辭典
    張撝之外,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 [1999]
  • 中國實學思想史
    榮晉 (北京: 首都師範大學出版社, ) [1994]
  • 世說新語
    안길환 劉義慶 世說新語(서울: 명문당 [2012]
  • 世說新語
    임동석 역 劉義慶 世說新語(서울: 동서문화사 [2011]
  • 三曹與中國詩史
    孫明君, 孫明君, 孫明君, (北京: 高籍印書館, ) [2013]
  • 『조선후기 아회도』
    송희경 조선 후기 아회도(서울: 다할미디어 [2008]
  • 『옛그림을 보는 법』
    허균 옛그림을 보는법(경기도 파주: 돌베개 [2013]
  • 『단원 김홍도』
    오주석 단원 김홍도(서울: 솔 [2006]
  • 《세설신어》에 표현된 위진 명사의 풍류- 自然을 추구한 삶의 諸樣相및 意義 탐색을 중심으로 , 중국어문학 33집
    김민나 영남중국어문학회 [1999]
  • 《世說新語》의 국내 수용과 영향에 관한 연구
    심지연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기로세련계도〉와‘풍속화’적표현의의미, 미술사와시각문화 24권
    김홍도필 조규희 미술사와시각문화학회 [2019]
  • 18~19세기 정통파 화풍을 통해 본 동아시아의 회화교류 , 미술사연구 제22호
    한정희 미술사연구회 [2008]
  • 18~19세기 동아시아 삼국의 서양화법 도입과 전개 , 동양예술 제48호
    강옥희 한국동양예술학회 [2020]
  • , 음악과감정의관계- 嵇康의聲無哀樂論을중심으로, 남도문화연구제31권
    이주은 이주은 순천대학교남도문화연구소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