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명응(徐命膺)의 악론(樂論) 연구 : 선천학적(先天學的) 악론에 의한 제례악(祭禮樂)의 재구성

주용성 2022년
논문상세정보
' 서명응(徐命膺)의 악론(樂論) 연구 : 선천학적(先天學的) 악론에 의한 제례악(祭禮樂)의 재구성'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先天學
  • 斗柄
  • 日躔
  • 樂論
  • 서명응
  • 제례악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8 0

0.0%

' 서명응(徐命膺)의 악론(樂論) 연구 : 선천학적(先天學的) 악론에 의한 제례악(祭禮樂)의 재구성' 의 참고문헌

  • 한국사32-조선후기의 정치
    국사편찬위원회 [2003]
  • 한국 아악사 연구
    송혜진 민속원 [2000]
  • 한⋅중 도량형제도사
    박흥수 성균관대출판부 [1999]
  • 종묘와 사직
    책과 함께 [2011]
  •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 조선초기 국가 제례 연구
    한형주 일조각 [2002]
  • 조선의 국가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 조선시대 악률론과 시악화성
    김수현 민속원 [2012]
  • 조선 세종대 조회아악 연구
    정화순 민속원 [2006]
  • 정조의 음악정책
    송지원 태학사 [2007]
  • 정조와 18세기
    푸른역사 [2013]
  • 정조대의 예술과 과학
    문헌과 해석 [2000]
  • 율려신서의 60調와 6變律연구
    남상숙 한국음악사학보 40집 [2008]
  • 왕실의 천지 제사
    돌베개 [2011]
  • 악학궤범 악론의 동양사상 2580
    김미영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8]
  • 악학궤범 악론 연구
    남상숙 민속원 [2009]
  • 시악화성의 악률론 연구
    김수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11]
  • 동양 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김일권 예문서원 [2007]
  • 도덕지귀를 통해서 본 서명응의 도덕경이해
    김경수 한국사상과 문화, 22집 [2003]
  • 국역 율려신서
    도서출판 문진 [2011]
  • 국역 시악화성
    국립국악원 [1996]
  • 국악개론
    김영운 음악세계 [2015]
  • 論語,
  • 詩樂和聲
  • 荀子
  • 禮記
  • 漢書
  • 樂學軌範
  • 朱子語類
  • 朝鮮王朝實錄
  • 書經
  • 律呂精義
  • 律呂新書
  • 弘齋全書,
  • 宋史
  • 增補文獻備考
  • 國語
  • 周禮
  • 呂氏春秋
  • 史記
  • 全宋文(上海: 上海辭書出版社; 合肥: 安徽敎育出版社, 2006)
  • 保晩齋年譜
  • 保晩齋四集
  • 保晩齋叢書
  • 保晩齋剩簡
  • 保晚齋集
  • 17, 18세기 중국과 조선의 서구 지리학 이해
    임종태 창비 [2012]
  • 화훼에 대한 서유구의 감수성과 그 의미
    김대중 한국실학연구, 11집 [2006]
  • 풍석 서유구의 의상경제책(擬上經界策)에 대한 일 고찰-그의 문예론과 치재관(治 財觀)의 한 면모
    조창록 한국실학연구, 11집 [2006]
  • 청대 전기 서학 수용의 형식과 외연
    안대옥 중국사연구, 65집 [2010]
  • 진양의 학문과 악관(樂觀)
    정화순 韓中哲學 2집 [1996]
  • 주희의 역사세계 상
    여영시 이원석 글항아리 [2015]
  • 주비산경과 서학중원설-명말 서학수용이후 주비산경의 독법의 변화를 중심으로
    안대옥  한국실학연구, 18집 [2009]
  • 조선후기 유가악론의 쟁점-서명응의 시악론과 일무론을 중심으로
    송지원 한국학연구30 집 [2009]
  • 조선조 풍안‧옹안‧흥안지아그이 아악성향 분석
    이종숙 한국무용사학, 12호 [2011]
  • 조선전기 아악 악현에 대한 연구
    김종수 한국음악연구16집 [1986]
  • 정조의 악서편찬과 그 의미
    송지원 한국음악사학보29집 [2002]
  • 정조대의 악장 정비:국조시악의 편찬을 중심으로
    송지원 한국학보27집 [2001]
  •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통해 본 서유구의 이용후생학(利用厚生學)
    안대회 한국실학연 구, 11집 [2006]
  • 율려의 역학적 연구
    정해임 영남대학교대학원 철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 영조대 국가전례정책의 제양상
    송지원 공연문화연구, 17집 [2008]
  • 영․정조 학자 서명응의 음악이론서
    송지원 한국음악사학보, 19집 [1997]
  • 악학궤범의 문묘제례악에 관한 연구
    정화순 동양예술, 13호 [2008]
  • 악학궤범 권1에 나타난 중국음악 이론의 주체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김수현 유교사상연구, 47집 [2012]
  • 시악묘계를 통해 본 서명응의 시악학
    송지원 한국학보26집 [2000]
  • 송대 중화사상에 관한 일고찰
    임명희 한국철학논집, 제38집 [2013]
  • 세종조 율려신서의 유입과 아악정비에 미친 영향
    김세종 호남문화연구51집 [2012]
  • 세종대 용비어천가의 창제배경과 음악화 과정 연구
    김세종 고시가연구24집 [2009]
  • 세종대 아악의 정비와 진양의 樂書
    김종수 온지논총15집 [2006]
  • 세종대 신악제정 이전과 이후 연례악의 변화양상
    임미선 한국음악연구53집 [2013]
  • 세종 창제 신악은 어떤 음악인가?
    문숙희 공연문화연구 26집 [2013]
  • 서명응의 보만재사집의 편찬과정과 특징
    한민섭 한국실학연구17집 [2009]
  • 서명응의 음악관계 저술연구
    송지원 한국음악연구27집 [1999]
  • 서명응의 역학적 천문관
    박권수 서울대학교 철학과,석사학위논문 [1996]
  • 서명응의 시악학 연구
    송지원 민족문화42집 [2013]
  • 서명응의 선천학, 서양천문학의 이해의 논리-서호수, 홍대용과 비교를 중심으로
    이봉호  한국실학연구, 11집 [2006]
  • 서명응의 선천학 체계와 서학 해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이봉호 박사학 위논문 [2005]
  • 서명응의 선천사연에 관한 연구
    조희영 숭실대학교 철학과,박사학위논문 [2011]
  • 서명응의 생애와 규장각 활동
    김문식 한국학, 22집 [1999]
  • 서명응의 도덕지귀에 나타난 역리와 내단사상의 일치
    이봉호 한국사상과 문화, 22집 [2003]
  • 서명응, 서호수 부자의 과학활동과 사상-천문역산(天文曆算) 분야를 중심으로
    박권수 한 국실학연구, 11집 [2006]
  • 서명응 도덕지귀(道德指歸 1장에 관한 연구
    조민환 한국사상과 문화, 22집 [2003]
  • 서명응 저술의 종류와 특징
    김문식 한국의 경학과 한문학 [1996]
  • 서명응 일가의 박학(博學)과 총서․유서 편찬에 관한 연구,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한민섭 박사학위논문 [2010]
  • 보만재 서명응의 생애와 학문-학문적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장원목 한국사상과 문화, 22 집 [2003]
  • 보만재 서명응의 개인 총서 편찬과정과 특징
    한민섭 사대도협회지, 11집 [2010]
  • 범진악과 그 성립배경
    정화순 淸藝論叢, 16집 [1999]
  • 고려시대 아악의 변천과 지속
    송혜진 한국공연예술연구논문선집 [2001]
  • 洪大容, 湛軒書
  • 李瀷, 星湖全書
  • 徐瀅修, 明臯全集
  • 徐浩修, 私稿
  • 徐命膺의 參同攷와 易參同契詳釋
    김윤수 도교문화연구, 5집 [1991]
  • 徐命膺의 道家思想
    유성태 도교문화연구, 5집 [1991]
  • 徐命膺의 老子理解
    이강수 도교문화연구, 5집 [1991]
  • 18세기 서명응의 세계지리 인식
    김문식 한국실학연구, 11집 [2006]
  • 18-19세기 서학중원론의 전개와 함의-서학에 대한 조선학자들의 대응논리
    함영대 한문 고전연구, 40권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