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정약용 성기호설(性嗜好說)의 교육학적 해석 = An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 Dasan Jeong Yak-yong’s ‘Theory of Fundamental Orientation of Human Nature(性嗜好說)’

이대식 2022년
논문상세정보
' 다산 정약용 성기호설(性嗜好說)의 교육학적 해석 = An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 Dasan Jeong Yak-yong’s ‘Theory of Fundamental Orientation of Human Nature(性嗜好說)’'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권형
  • 다산 정약용
  • 상제
  • 성기호
  • 심통성정
  • 학습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91 0

0.0%

' 다산 정약용 성기호설(性嗜好說)의 교육학적 해석 = An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 Dasan Jeong Yak-yong’s ‘Theory of Fundamental Orientation of Human Nature(性嗜好說)’' 의 참고문헌

  • 李退溪의 哲學思想이 丁茶山의 經學思想形成에 미친 영향에 관한 고찰
    이광호 퇴계학보 제90집, 29-70 [1996]
  • 論語集註
  • 한국의 사상 가 10人다산 정약용
  • 한국사상사의 인식
    유초하 서울: 한길사 [1995]
  • 통합교과교육론
    김승호 유한구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콜링우드의 역사이론에 비추어 본 교과의 실제적 의의
    고영준 교육사 상연구, 30(1), 21-46 [2016]
  • 지식의 이론과 진리의 이론 전달의 이론과 매체의 이론
    이홍우 도덕교 육연구, 33(2), 179-208 [2021]
  • 증보 성리학의 교육이론
    이홍우 파주: 교육과학사 [2014]
  • 주희(朱熹): 중국철학의 중심
    조남호 파주: 태학사 [2012]
  • 주자의 독서론 : 격물치지 공부로서의 독서
    황금중 교육철학 제47집, 249-280 [2010]
  • 주자와 왕양명의 교육이론
    장성모 서울: 성경재 [1998]
  • 주자 朱子
    이동희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0]
  • 정약용의 철학
    백민정 서울: 이학사 [2008]
  • 정약용의 영체학(靈體學)과 맹자 심학(心學)의 재해석
    임부연 다산학 35호, 135-208 [2019]
  • 정약용의 문제들
    김영식 서울: 혜안 [2014]
  • 정약용의 격치육조론(格致六條論)
    민수연 도덕교육연구, 31(2), 13 [2019]
  • 정약용 철학의 특징
    유초하 민족문화 제19집, 42-54 [1996]
  • 장재와 이정 형제의 철학
    이현선 서울: 문사철 [2013]
  • 자연이라는 개념[The Idea of Nature]. (유원기 역). 서울: 이제이북스
    Collingwood, R. G. (원저는 1945 출판) [2006]
  • 인격
    진교훈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 이향만, 김선희, 이동희, 김신자,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편). 다산 사상과 서학
    송영배 서울: 경인문화사 [2013]
  • 윤리학과 교육(수정판)[Ethics and Education]. (이홍우 역). 서울: 교육과학사
    Peters, R. S. (원저는 1966 출판) [2003]
  • 위기지학(爲己之學): 성리학의 인성교육론
    차미란 도덕교육연구, 30(1), 1-23 [2018]
  • 오우크쇼트의 자유교육론에서 ‘자유’의 의미
    방진하 교육철학, 48, 91-112 [2010]
  • 오우크쇼트의 교육이론
    차미란 서울: 성경재 [2003]
  • 역주 매씨서평[梅氏書平]. (이지형 역). 서울: 문학과지성사
    정약용 (원 저는 1834 출판) [2002]
  • 심경밀험[心經密驗]. (이광호 외 역). 서울: 사암
    정약용 (원저는 1815 출판) [2016]
  • 실학과 서학
    금장태 서울: 지식과 교양 [2012]
  • 신수 교육과정이론
    이홍우 파주: 교육과학사 [2017]
  • 수업방법의 혁신에 대한 자유교육의 목소리: 오우크쇼트 인간 행위론을 중심으로
    박주병 도덕교육연구, 31(3), 65-87 [2019]
  • 성리학이란 무엇인가
    안유경 서울: 새문사 [2016]
  • 성리학의 심신론: ‘상징’으로서의 몸
    신춘호 도덕교육연구, 32(1), 23-41 [2020]
  • 사랑의 역사로서의 인격함양
    임병덕 도덕교육연구, 32(4), 205-224 [2020]
  • 목민심서[牧民心書]. (다산연구회 역). 파주: 창비
    정약용 (원저는 1818 출판) [2018]
  • 맹자요의[孟子要義]. (다산학술문화재단 맹자요의강독회 역). 서 울: 사암
    정약용 (원저는 1814 출판) [2020]
  • 마테오 리치와 주희 그리고 정약용
    김선희 서울: 심산 [2012]
  • 마음과 철학 (유학편)
    금장태 성태용 손영식 신정근 이규성 장원태 조남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 리뷰: 하버드에서의 다산학 국제학술대회
    한형조 다산학 제5호, 283-331 [2004]
  • 도덕철학과 도덕교육
  • 다산의 소사학
    이대근 세종: 대전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19]
  • 다산사상 속의 서학적 지평
    김승혜 서울: 서강대학교출판부 [2004]
  • 다산과 문산의 인성논쟁[與李汝弘]. (실시학사경학연구 회 역). 서울: 한길사
    이재의 정약용 (원저는 1814 출판) [1997]
  • 다산경학연구
    이지형 서울: 태학사 [1996]
  •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 (이지형 역). 서울: 사암
    정약용 (원저는 1813 출판) [2010]
  • 교육학적 관점에서 본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론
    최은순 도덕교육연 구, 25(1), 165-188 [2013]
  • 교육이론으로서의 칸트 철학
    신춘호 파주 : 교육과학사 [2010]
  • 교육의 본질 을 찾아서
  • 교육과정이론
    유한구 이홍우 장성모 서울: 교육과학사 [2003]
  • 격물치지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김인 도덕교육연구, 22(2), 64 [2011]
  • 격몽요결[擊蒙要訣]. (고산 역). 서울: 동서문화사
    이이 (원저는 1577 출판) [2008]
  • 馮友蘭 중국철학사 하[中國哲學史]. (박성규 역). 서울: 까치
    (원저는 1948 출판) [2002]
  • 陳來 주희의 철학[朱熹哲學硏究]. (이종란 외 역). 서울: 예문서원
    (원 저는 1987 출판) [2002]
  • 陳來 송명 성리학[宋明理學]. (안재호 역). 서울: 예문서원
    (원저는 1992 출판) [2000]
  • 金玉姬 한국천주교사상사Ⅱ
    전북: 순교의 맥 [1997]
  • 金榮一 丁若鏞의 上帝思想
    서울: 景仁文化社 [2003]
  • 蒙培元 성리학의 개념들[理學範疇系統]. (홍원식 외 역). 서울: 예문서 원
    (원저는 1989 출판) [2008]
  • 茶山倫理思想硏究
    장승희 서울: 景仁文化社 [2006]
  • 茶山의 經學世界[十三經策外]. (실시학사경학연구회 역). 서울: 한길사
    정약용 (원저는 1790 출판) [2002]
  • 茶山의 天思想과 敎育人間學的意義
    전도웅 용인대학교논문집 vol.6, 59-96 [1990]
  • 茶山論叢. (李翼成역)
    정약용 서울: 乙酉文化社 [1972]
  • 茶山學의 理解
    이을호 서울: 玄岩社 [1979]
  • 茶山丁若鏞의 西學思想
    금장태 김옥희 박동옥 최석우 서울: 다섯수 레 [1997]
  • 編譯 인류의 대화에서 교육의 목소리
    김안중 박주병 서울: 강현출판사 [2015]
  • 涵養과 窮理: 교육이론의 성격
    신춘호 도덕교육연구, 20(2), 73-93 [2009]
  • 朴秉濠, 姜在彦, 愼鏞厦, 姜萬吉, 小川晴久, 蔡茂松, 鄭允炯. 茶山學의 探究
    서울: 民音社 [1990]
  • 朱熹, 黎靖德편 朱子語類1-13卷[朱子語類大全]. (이주행, 조원식, 정갑 임, 김우형, 박현주 역). 서울: 소나무
    (원저는 1270 출판) [2001]
  • 朱熹 근사록[近思錄]. (박일봉 역). 서울: 육문사
    (원저는 1175 출판) [1993]
  • 朱子의 敎育論과 聖人의 敎育的意味
    고대혁 동양고전연구, Vol.4(1) [1995]
  • 朝鮮後期儒敎와 天主敎의 대립[Confucianism Confronts Catholicism in the Late Choson Dynasty]. (金世潤역)
    Baker, D. 서울: 一潮閣 [1997]
  • 方立天 중국철학과 인성의 문제[中國古代哲學問題發展史]. (박경환 역). 서울: 예문서원
    (원저는 1990 출판) [2004]
  • 性理學의 心性論과 道德敎育
    장성모 도덕교육연구, 22(2), 31-51 [2010]
  • 心과 性, 다산의 맹자해석
    금장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張立文 리의 철학[理]. (안유경 역). 서울: 예문서원
    (원저는 1991 출 판) [2004]
  • 定本與猶堂全書1-37
  • 孟子集註
  • 孟子要義. (전주대학교호남학연구소 역). 서울: 여강출판사
    정약용 (원 저는 1814 출판) [1986]
  • 天人關係論에서 본 茶山의 人間觀硏究
    오수록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 大賓皓 범주로 보는 주자학[朱子の哲學]. (이형성 역). 서울: 예문서원
    (원저는 1983 출판) [1999]
  • 大學公議 中庸自箴. (전주대학교호남학연구소 역). 서울: 여강출 판사
    정약용 (원저는 1814 출판) [1986]
  • 大學․中庸集註
  • 勞思光 中國哲學史(古代篇)[中國哲學史]. (鄭仁在역)
    서울: 探求堂 [1997]
  • 丁若鏞의 宇宙觀
    유초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利瑪竇〕. 천주실의[天主實義]. (송영배 외 역). 서울: 서울대 학교 출판문화원
    Ricci, M. (원저는 1607 출판) [2012]
  • 〔利瑪竇〕. 교우론․스물다섯 마디 잠언․기인십편[交友論․ 二十五言․畸人十篇]. (송영배 외 역).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Ricci, M. (원저는 1595 출판) [2000]
  • 『교육의 개념』
    이홍우 서울: 문음사 [2009]
  • ‘格物致知論의 교육학적 함의’. 이홍우 유한구(편)(2000). 교육 의 동양적 전통Ⅰ-敎育과 實在-
    박정원 서울: 성경재 [2000]
  • de Bary, W. T. 중국의 ‘자유’ 전통[The Liberal Tradition in China]. (표정훈 역). 서울: 이산
    (원저는 1983 출판) [2004]
  • Tu Wei-ming. 뚜 웨이밍의 유학 강의[The Confucianism Lectures of Tu Wei-ming]. (정용환 역). 화성: 청계
    (원저는 1979 출판) [2001]
  • T. Fuller(ed.). 오우크쇼트의 교육론: 학습의 장(상․ 하)[A Place of Learning, in The Voice of Liberal Learning]. (차미란 역). 서울: 교육진흥
    Oakeshott, M. (원저는 1975 출판) [1992]
  • T. Fuller(ed.). 교육: 영위와 그 좌절[Education: the Engagement and its Frustration, in The voice of liberal learning]. (차미란 역). 서울: 교육진흥
    Oakeshott, M. (원저는 1972 출판) [1993]
  • T. Fuller(ed.). 學習과 敎授[Learning and Teaching, in The Voice of Liberal Learning]. (김안중 역). 미간행 원고
    Oakeshott, M. (원저는 1965 출판) [1989]
  • Oakeshott, M.(2001). T. Fuller(ed.). The Voice of Liberal Learning. Indiana: Liberty Fund.
    [2001]
  • Max M ller의 철학적 인간학(Ⅱ) -인격 형이상학을 중심으 로-
    정달용 현대가톨릭사상, Vol-No 7 [1999]
  • Julia Ching. 儒敎와 基督敎[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변선환 역). 칠곡: 분도출판사
    (원저는 1977 출판) [1994]
  • Carlo Laudaz. 신학적 인간학[Temi Fondamentali di Antropologia Teologica]. (윤주현 역). 서울: 가톨릭대학교출판부
    (원저는 1996 출 판) [2004]
  • Aristoteles. 형이상학[Aristotelis Metaphysica]. (조대호 역. Werner Jaeger, Trans.). 서울: 길
    (원저는 1957 출판) [2021]
  • Alfred Forke. 중국근대철학사[Geschichte der Neueren Chinesischen Philosophie]. (최해숙 역). 서울: 예문서원
    (원저는 1938 출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