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조각의 태동과 전개에 관한 연구

신은숙 2022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 근대조각의 태동과 전개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지리와 역사 와 보조 분야
  • 경복궁
  • 근정전
  • 김복진
  • 마애불상
  • 미술
  • 부룡
  • 서수상
  • 월대
  • 조선미술전람회
  • 천주교조각
  • 한국근대교육
  • 한국근대조각
  • 홍유릉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36 0

0.0%

' 한국 근대조각의 태동과 전개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조선왕릉 석물조각사 Ⅰ,Ⅱ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 석물조각사 Ⅰ,Ⅱ [2017]
  • 힘의 미학
    최 열, 재원 [1995]
  • 해치상의 변천에 관한 연구 광화문 앞 해치상의 탄생과 조성배경을 중심으로
    정성권 서울학연구 5l [2013]
  • 한국현대추상조각의 형성과 전개-그 보편성과 특수성을 중심으로-, 第18届中国雕塑论坛논문집
    신은숙 중국<雕塑> 잡지사 [2012]
  • 한국조각의 오늘
    최태만 한국미술연감사 [1995]
  • 한국미술 100년1
    김윤수 도서출판 한길사 [2006]
  • 한국근대 성모성화 연구
    이명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 문 [2015]
  • 한국 현대조각사 연구
    최태만 아트북스 [2007]
  • 한국 동상 조각의 근대이미지
    조은정 한국근현대미술사학 9 [2001]
  • 한국 근대조소 도입에 관한 연구: 조선미술전람회의 조소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류완하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한국 근대에 있어서 임화교육의 제도와 실황
    장동호 미술교육연구논총 2 3 [2008]
  • 한국 근대시기 1895-의 도화교과서 연구
    김아름 경북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945]
  • 한국 근대기 ‘미술’ 용어의 도입과 그 제도적 인식
    정호경 현대미술사연 구26 [2009]
  • 한국 근대 초등미술교육 변천사 연구
    심영옥 경희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 사학위논문 [2006]
  • 통감시대 어문교육과 교과서 침탈의 역사
    허재영 도서출판 경진 [2010]
  • 조선후기 왕릉 석물 조영에 사용된 척도에 관한 연구
    김환철 명지대학교 대 학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 조선왕릉의 풍수연구
    전원해 서경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학 박사학위논문 [2020]
  • 조선왕릉의 석수: 석양, 석호, 석마, 조선왕릉 석물조각사
    김은선 국립문 화재연구소 [2017]
  • 조선역사 그대로의 반영인 조선미술의 윤곽
    김복진 개벽 [1926]
  • 조선미전 설립과 그 결과
    이중희 한국근대미술사학 제15집 [2005]
  • 조선미술전람회의 조선향토색 비평 연구
    심영옥 동양예술48 [2020]
  • 조선미술전람회도록 1~19 전권
    景仁文化社 [1982]
  • 조선미술전람회 창설에 대해서
    이중희 한국근대미술사학 제3집 [1966]
  • 조선미술전람회 기사자료집
    한국미술연구소 시공사 [1999]
  • 제1회 김복진 미술제
    김복진미술제추진위원회 [1997]
  • 전쟁과 동원 이데올로기: 군국주의 일본의 전시 동원, 역사비평 6 2
    하 종, 역사비평사 [2003]
  • 일제강점기 시각매체와 조선미술전람회 연구
    안현정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 일제 말기 시국 미술 연구
    이정윤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1]
  • 연구
    김복진 윤범모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 아버지 팔봉 김기진과 나의 신앙
    김복희 정우사 [1995]
  • 소현세자 연구에 있어서의 몇 가지 문제, 한국교회사연구 제9집
    장정란 한국교회사연구소 [1994]
  •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월간미술 [2018]
  • 서울 창신동 <安養庵磨崖觀音菩薩坐像> 硏究
    최 엽, 최 엽, 최 엽, 최 엽, 불교미술 20 [2009]
  • 서울 鶴到庵 磨崖觀音菩薩坐像 硏究
    이경화 미술사연구 16 [2002]
  • 사료와 함께 새로 보는 경복궁
    허 균 허 균 허 균 한림미디어 [2005]
  • 비너스, 아그리파. 줄리앙, 미술사학 26
    이혜원 209쪽 참조 [2012]
  • 대한제국 황제릉
    김이순 소와당 [2010]
  • 대한민국 조소예술의 계승과 창신
    신은숙 중국 장춘 국제조소대회 논문집, 중국 장춘출판사 [2008]
  • 대구 현대 조소의 전개와 특성
    홍원기 한국학논집 제49집 [2012]
  • 능상에 핀 돌꽃, 보보담
    소재구 겨울호 통권 27호 [2017]
  • 년 금산사 미륵불조성 입찰: 사찰 불사를 둘러싼 전통과 근대의 경합
    김영희 동악미술사학 제24호, 2018 [1935]
  • 김복진의 조각에 있어서 근대성의 문제, 김복진의 예술세계
    최태만 얼과 알 [2001]
  • 김복진의 <소년>과 손기정, 계간조각 summer
    신은숙 한국조각가협회, 20 08
  • 김복진의 <소년>과 그 제작 배경
    신은숙 동국사학 43 [2007]
  • 김복진 전집
  • 금용 일섭-1975) : 근대 부처를 만들다
    김영희 광주박물관, 2018 [1900]
  • 근현대 화승 일섭 불화의 신도상과 표현기법, 동악미술사학 22
    최 엽, 최 엽, 동 악미술사학회 [2017]
  • 근정전 보수공사 및 실측보고서 上
  • 근대적‘미술’개념의 형성과 미술 인식 : 1890년경부터 년대까 지를 중심으로
    윤세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 00 [1910]
  • 근대미술 형성기의 예술의식, 가나아트
    김진송 11․12월호 [1992]
  • 근대를 보는 눈-조소
    국립현대미술관 삶과 꿈 [1999]
  • 근대 교육기(1895- ‘도화(圖畫)’와 ‘수공(手工)’ 교과의 성격 연구
    박명선 기초조형학연구 15-6, 2014 [1910]
  • 국역 경복궁영건일기2
    서울역사편찬원 서울책방, (2) [2019]
  • 국역 경복궁영건일기1
    서울역사편찬원 서울책방, (1) [2019]
  • 고 김복진 반생기, 김팔봉 문학전집 (2)
    김기진 문학과 지성사 [1988]
  • 경복궁영건일기로 본 경복궁 중건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고려문화사, 202 1
  • 경복궁 인수형 서수상의 제작시기와 별간역(別看役) 연구
    김민규 文化財 제47권 제1호 [2014]
  • 경복궁 석조조형물 전수조사-인문학적 연구 및 실측조사 (2)
  • 경복궁 석조조형물 전수조사 목록표 Ⅰ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청 [2013]
  • 가톨릭 연구강좌
    1권 2호
  • 가슴의 일장기를 지우다
    남승룡 손기정 최연진 신수문화사 [2006]
  • 洪陵과 裕陵의 석물조각
    김이순 미술사연구 21 [2007]
  • 朝鮮美術展覽會 制度에 관한 硏究
    정호진 미술사학연구205 [1995]
  • 朝鮮總督府官報
  • 朝鮮總督府令
  • 朝士視察團關係資料集, 제1권
    허동현 국학자료원 [2000]
  • 景福宮營建日記
  • 景福宮 勤政殿 月臺 欄干石柱像 硏究
    이성준 미술사학연구 271 272 [2011]
  • 日本國內務省職掌事務全附農商務省
  • 國朝五禮儀
  • 井觀 김복진 서거 55주기 기념 조각전에 대해
    김복진기념사업회 [1995]
  • 『文宗實錄』,
  • 『承政院日記』
  • ‘美術’개념의 형성과 리얼리즘의 傳位, 미술사논 단 2
    北澤憲昭, 이원혜(번역) 한국미술연구소 [1995]
  • ‘7’과 ‘七爪龍’의 문화적 함의
    박헌영 한국불교학 제65집 [2013]
  • <소년> 조각상과 손기정, 손기정 탄생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한국 체육사학회
    신은숙 도서출판 레인보우북스 [2012]
  • 1895-년에 있어서 초등회화의 변천
    장동호 미술교육연구논총 Vol. 52, 2018 [1945]
  • 1890년대∼년대 言論에 나타난 美術記事 分析
    손영옥 명지대학교 문 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910]
  • ,경복궁-경복궁 석조조형물 학술연구 및 보존관리방안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청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