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하는 자아에 대한 해체된 얼굴표현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constructed Facial Expression of the Floating Self - Based on My Works-

차선민 2022년
논문상세정보
' 유동하는 자아에 대한 해체된 얼굴표현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constructed Facial Expression of the Floating Self - Based on My Work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생성
  • 유동하는 자아
  • 잠재성
  • 카오스
  • 해체-재구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73 0

0.0%

' 유동하는 자아에 대한 해체된 얼굴표현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constructed Facial Expression of the Floating Self - Based on My Works-' 의 참고문헌

  • 홈즈, 나르시시즘, 유원기 역
    제레미 이제이북스 [2003]
  • 홀, 얼굴은 예술이 된다, 이정연 옮김
    제임스 시공사 [2018]
  • 현대미학 특강
    이주영 미술문화 [2019]
  • 현대미학 강의
    진중권 아트북스 [2003]
  • 현대미술의 전략
    최광진 아트북스 [2009]
  •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김재인 느티나무 책방 [2016]
  • 한국의 초상화 – 형(形)과 영(影)의 예술
    조선미 돌베개 [2009]
  • 한국의 미학
    최광진 미술문화 [2018]
  • 한국미술사연구
    안휘준 사회평론 [2012]
  • 프랑스 현대 철학의 사건 개념 - 베르그손, 들뢰즈, 리오타르 의 경우
    김조은 철학사상제70호,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2018]
  • 탈주체, 탈형이상학에 대한 이해와 반성 – 포스트모더니즘과 철학
    김해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7]
  • 철학 vs 철학 : 동서양 철학의 모든 것
    강신주 오월의 봄 [2021]
  • 채색화 기법
    조용진 미진사 [1991]
  • 질 들뢰즈의 예술철학을 바탕으로 한 권진규의 조형세계 해 석
    이원숙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철학이란 무엇인가, 이정임/ 윤정임 옮김
    현대미학사 [1999]
  •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천 개의 고원, 김재인 옮김
    새물결 [2003]
  • 질 들뢰즈/ 클레르 파르네, 디알로그, 허희정/ 전승화 옮김
    동문선 [2021]
  • 질 들뢰즈, 차이와 반복, 김상환 옮김
    민음사 [2004]
  • 질 들뢰즈, 감각의 논리, 하태환 옮김
    민음사 [2013]
  • 중국회화이론사
    갈로 강관식 옮김, 돌베개 [2016]
  • 중국화론선집
    장언원 김기주 옮김, 미술문화 [2012]
  • 조선시대 전신사조 작품 연구
    박준수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전통 바탕재로서 한지의 특성과 미술교육적 활용에 관 한 연구
    김선영 이주원 미술교육논총제29권 1호, 한국미술교육학회 [2015]
  • 전신의 개념을 활용한 현대 연물화 표현연구 – 본인의 작품 을 중심으로
    김태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장자, 나를 해체하고 세상을 해체하다
    정용선 ㈜빈빈책방 [2019]
  • 장자(莊子)지북유(知北遊)편에 나타난 체도론(體道 論)
    김성환 철학연구70권, 대한철학회 [1999]
  • 장자(莊子): 혼돈(渾沌)으로의 전환과 독유(獨遊)의 세 계
    김상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장자(莊子), 김학주 옮김
    장자 연암서가 [2010]
  • 자크 라캉의 ‘나르시시즘’ 개념을 통해 댄 그레이엄(Dan Graham) 의 작품 읽기
    손민경 미술사학(27), 한국미술사교육학 회 [2013]
  • 자크 라캉 세미나 11권 - 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개념
    라캉 자크 맹정현/ 이수련 옮김, 새물결 [2008]
  • 윌리엄스,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해설과 비판, 신지영 옮김
    제임스 라움 [2017]
  • 욕망하는 주체와 욕망하는 기계 – 라캉과 들뢰즈의 욕망이론
    김석 현상학과 현대철학29, 한국현상학회 [2006]
  • 욕망 개념을 통해서 본 들뢰즈 철학의 의미 - 탈주와 생성
    김명주 철학논총57, 새한철학회 [2009]
  • 예술과 해석 - 하이데거-고흐, 푸코-마그리트, 들뢰즈-베이 컨
    윤성우 철학연구65권, 철학연구회 [2004]
  • 영화와 얼굴 - 들뢰즈와 가타리의 흰 벽-검은 구멍의 체계를 중심으로
    김형래 현대영화연구30권,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8]
  • 엮음, 들뢰즈 사상의 분화
    소운서원 그린비 [2007]
  •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민길홍 안휘준 학고재 [2010]
  • 역대명화기下
    장언원 조송식 옮김, 시공아트 [2013]
  • 역대명화기上
    장언원 조송식 옮김, 시공아트 [2013]
  • 얼굴을 그리다
    정중원 민음사 [2020]
  • 아르 브뤼 회화에 나타난 얼굴 해체 연구 - 질 들뢰즈의 ‘얼 굴성’ 개념을 중심으로
    강주형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시선의 가역성에 대한 이미지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 심으로
    차선민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스티븐 파딩/ 제오프 다이어,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명화 1001점, 하 지은/ 한성경 옮김
    마로니에북스 [2007]
  • 숀 호머, 라깡읽기, 김서영 역
    은행나무 [2017]
  • 소멸하는 얼굴의 표현, 들뢰즈의 ‘동물-되기’와 ‘지각 불가능하 게-되기’
    한의정 현대미술사연구41권, 현대미술사학회 [2017]
  • 사유하는 도덕경
    김형효 소나무 [2004]
  • 사무엘 베케트의 연극글쓰기와 현대 서사의 리좀적 구조
    이영성 세계문학비교연구제49집, 세계문학비교학회 [2014]
  • 빌라니/ 로베르 싸소 책임 편집, 들뢰즈 개념어 사전, 신지영 옮김
    아르노 갈무리 [2013]
  • 비평이론학회, 들뢰즈와 그 적들
    우물이 있는 집 [2001]
  • 보고 듣고 만지는 현대사상
    박영욱 바다출판사 [2021]
  •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 - 하이데거에서 랑시에르까지, 현대철 학자들의 미술론
    맹정현 문학과 지성사 [2017]
  • 루이지 피카치, 프랜시스 베이컨, 양영란 옮김
    마로니에북스 [2020]
  • 라캉과 미술
    조선령 경성대학교출판부 [2011]
  • 라캉 미술관의 유령들 - 그림으로 읽는 욕망의 윤리학
    백상현 책 세상 [2017]
  • 라깡의 정치학 – 세미나 11 강해
    백상현 에디투스 [2020]
  • 라깡의 루브르
    백상현 위고 [2016]
  • 라깡예술론에서의 응시와 이미지 - 사이먼 후지와라
    주경란 한국 라캉과 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16]
  • 들뢰즈의 회화 존재론 - 철학자 들뢰즈, 화가 베이컨을 말하 다
    박정태 이학사 [2020]
  • 들뢰즈의 예술론에 관한 연구
    김영희 동서철학연구제36호, 한국동서철학회 [2005]
  • 들뢰즈의 미학
    성기현 그린비 [2019]
  •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에 관한 연구 : 햅틱Haptique 개념을 중심으로
    진기행 철학연구145, 대한철학회 [2018]
  •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에 관한 연구 - 형상개념을 중심으로
    진기행 철학연구141, 대한철학회 [2017]
  • 들뢰즈, 괴물의 사유
    이찬웅 이학사 [2020]
  • 들뢰즈(Deleuze, Gilles)의 존재론 – 베르그송(Bergson, Henry), 니체(Nietzsche, Friedrich) 그리고 노장사상의 상대주의 적 관점
    이영철 비교문학제45집, 한국비교문학회 [2008]
  • 들뢰즈 사유에서 본 장자의 언어철학
    사공일 동북아문화연구 38,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 데이비드 실베스터, 나는 왜 정육점의 고기가 아닌가?, 주은정 옮김
    디자인하우스 [2015]
  • 눈과 손, 그리고 햅틱
    박정자 기파랑 [2015]
  • 노장사상의 해체적 독법
    김형효 청계 [1999]
  • 노자의 해체주의적 사유와 윤리설의 특징
    김상래 동양고전연구 42호, 동양고전학회 [2011]
  •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최진석 소나무 [2019]
  • 노마디즘 2
    이진경 휴머니스트 [2006]
  • 노마디즘 1
    이진경 휴머니스트 [2006]
  • 나르시스의 꿈 – 서양 정신의 극복을 위한 연습
    김상봉 한길 사 [2002]
  • 권진규 조각에 표현된 변형과 들뢰즈의 ‘되기’ 이론
    이원숙 동양 예술26권,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 감각의 논리: 철학자 들뢰즈가 화가 베이컨에게 배운 것
    김영철 아시아교육연구20권 4호, 서울대학교 교육 연구소 [2019]
  • 莊子의 사상적 전회 – 자기 보존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죽음 의 긍정으로
    김경희 도교문화연구27, 한국도교문화학회 [2007]
  • (張岱年), 중국철학대강(中國哲學大綱) 下, 김백희 옮김
    장백년 까치 글방 [1998]
  • (張岱年), 중국철학대강(中國哲學大綱) 上, 김백희 옮김
    장백년 까치 글방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