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nton-like reaction 및 Biochar를 이용한 고농도 TPH 오염토양 복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mediation of High Concentration TPH Contaminated Soil Using Fenton-like reaction and Biochar

장두훈 2022년
논문상세정보
' Fenton-like reaction 및 Biochar를 이용한 고농도 TPH 오염토양 복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mediation of High Concentration TPH Contaminated Soil Using Fenton-like reaction and Biochar'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Fenton-like reaction
  • bio-char
  • tph
  • 토양특성 변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5 0

0.0%

' Fenton-like reaction 및 Biochar를 이용한 고농도 TPH 오염토양 복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mediation of High Concentration TPH Contaminated Soil Using Fenton-like reaction and Biochar' 의 참고문헌

  • 환경인자가 토양내 석유계탄화수소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
    황의영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5(1), pp. 85-96 [2000]
  • 화학적산화법을 이용한 철도부지 유류오염 정화효율 평가
    석소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현장별 정화공법 적용 현황(2006~2012)
    한국환경공단 [2013]
  • 하수슬러지와 우분 배합 Biochar의 토양개량제 활용성 연구
    김태흠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폐영가철 투수성반응벽체를 이용한 Modified Fenton 산화에 의한 MTBE 처리연구
    문소영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8]
  • 펜톤산화 및 생물학적 연속처리를 통한 유류오염 토양의 효율적 처리
    배재상 한국미생물학회, 47(4), pp. 356-363 [2011]
  • 펜톤 화학 반응의 이론적 이해
    임학규 한국공업화학회 16(1), pp. 9-14 [2005]
  • 펜톤 유사반응을 이용한 디젤 오염토양의 처리와 잔류 과산화수소가 생물학적 처리에 미치는 영향
    최석종 대한환경공학회, 26(3), pp. 334-349 [2004]
  • 펜턴 산화법에서 반응 조건이 폐수처리 효율에 미치는 영향
    오동규 대한환경공학회, 16(1), pp. 51-59 [1994]
  • 토양탄소격리를 위한 바이오차
    우승한 청정기술학회, 19(3), pp. 201-211 [2013]
  • 토양오염조사 표준품셈 및 토양정화업무 처리지침 마련 연구
    환경부 pp. 1-198 [2013]
  •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환경부 [2018]
  • 토양오염 현황과 대책
    정명채 한국방재학회, 3(1), pp. 31-40 [2003]
  • 토양세척 후의 유류 오염 Silty Clay 처리를 위한 유사펜톤 산화반응
    소명호 대한환경공학회, 31(1), pp. 1-8 [2009]
  • 토양 정화 방법에 따른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 변화
    이용민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7(4), pp. 36-43 [2012]
  • 토양 EC가 오이의 종자발아, 유묘의 생장, 자화착생 및 과실비대에 미치는 영향
    정희돈 한국원예학회 19(4), pp. 495-500 [2001]
  • 철광물을 촉매로 이용한 황산염 활성화 및 테트라 사이클린 분해에 대한 영향
    이덕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 중휘발성 유류 및 중금속 복합오염 토양의 복원 공정에의 초음파 기술 적용 평가
    임찬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중금속 흡착 및 고정화 향상을 위한 활성탄 기반 흡착제 및 바이오차의 적용
    이명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조경설계기준
    한국조경학회 [2013]
  • 제2차 토양보전 기본계획(2020 ~ 2029)
    환경부 pp. 1-123 [2020]
  • 전기저항가열을 이용한 토양증기추출에 의한 유류오염토 복원공정 연구
    윤여복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전기저항가열법을 이용한 휘발 및 준휘발성 유기화합물 오염토양 복원기술 실용화
    박기호 [2007]
  • 전기저항가열법에 의한 유류오염토양 고도 정화기술
    박기호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0(9), pp. 245-249 [2010]
  • 저투수성 토양내 유기 오염물의 산화제거를 위한 온도 영향
    한대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저온 열수가압탄화반응에 의한 하수슬러지의 Biochar 특성연구
    김혜원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인공음식물 혼합 폐기물 바이오차의 토양 중금속 흡착 가능성을 위한 특성 분석
    백예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1), pp. 1-7 [2014]
  • 음식폐기물 및 폐목재를 이용한 Bio-char의 특성평가
    백예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음식물 폐기물 Bio-char를 이용한 산성광산배수의 중 금속 흡착에 관한 연구
    정원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유류오염토양 현장 정화 시 토성에 따른 토양경작 및 화학적 산화효율 연구
    유언재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유류오염지역 정화를 위한 토양경작법 설계 표준화 방안
    조장환 대한환경공학회, 36(9), pp. 659-666 [2014]
  • 유기성 폐기물을 활용한 토양 성분 변화 및 식물 생장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최지애 [2018]
  • 원위치 고도산화처리를 통한 유류오염 토양복원
    한경민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왕겨 Biochar의 토양 중금속 안정화, 간척지 토양 개량 및 상토 자재 활용
    김혁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오염토양 정화방법 가이드라인
    환경부 [2007]
  • 오염토양 정화공정에 의한 토양의 특성 변화 및 정화토의 회복기술
    이상우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53(4), pp. 441-447 [2020]
  • 열탈착법에 의한 경유오염토양의 정화 기초연구
    윤원길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열적처리에 의한 하수슬러지의 에너지화 방법론 분석 연구
    김재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열수탄화반응으로 제조한 배추의 바이오차를 이용한 납과 아연의 흡착
    배선영 한국환경분석학회지, 14(4), pp. 228-233 [2011]
  • 열수가압탄화반응에 의해 생성된 음식물폐기물 Biochar의 특성분석
    조우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석유상식, 석유의 정의, 특성, 분류
    한국석유공사 [2021]
  • 서울 한강이남 지역의 용도별 토양 중금속 및 불소 오염 평가
    오현정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8(4), pp. 68-73 [2003]
  • 산성토양 개량을 위한 바이오 숯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라정균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목탄을 이용한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악취 제거에 관한 연구
    박상진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17(3), pp. 243-251 [2000]
  • 목탄분말의 입자크기가 양파 생육과 토양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윤봉기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6(3), pp. 222-228 [2004]
  • 디젤오염 토양 및 지하수 정화를 위한 Air sparging 실험실 연구
    송정훈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디젤과 등유로 오염된 토양의 철광석으로 촉매화 된 과수를 이용한 처리에 관한 연구
    공성호 한국공업화학회, 10(1), pp. 24-29 [1999]
  • 돈사폐수의 BMP 향상을 위한 고도산화처리 연구
    박광수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도시생태복원을 위한 토양환경인자의 적정범위 설정에 관한연구
    박연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도로비탈면 녹화 시공의 설계 및 시공 지침
    국토교통부 [2009]
  • 대규모 유류오염부지에 적용된 토양경작법의 정화효 율 평가
    주원하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4(4), pp. 15-22 [2009]
  • 농업자원과 농업환경의 실태조사 및 평가기준
    농촌진흥청 [2017]
  • 납으로 오염된 철성분 함유토의 동전기 정화 특성에 세척제가 미치는 영향
    김수삼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9(1), pp. 54-62 [2003]
  • 근적외선 분광법에 의한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펜톤산화 -열수 처리 공정 모니터링 모델 개발 및 리그닌-탄수화물 복합체 구조 분석
    정소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국내 주유소 토양의 BTEX 오염에 관한 연구
    신정남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6), pp. 18-23 [2014]
  • 국내 정화토 발생현황과 정화토 재활용 가능성 평가
    한수호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 과산화수소와 과황산염을 이용한 저농도 유류오염토양의 분해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유재봉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오염토 복원 시 토양 중의 금속류 용출경향 및 가스발생에 관한 연구
    김정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5(1), pp. 15-22 [2008]
  • 과산화수소 및 황산제1철을 이용한 유류오염토양의 화학적 복원
    김해윤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공원녹지 토양건강성 지표로서 토양호흡의 가치와 활용가능성 연구
    어양준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 고온공기주입추출에 의한 디젤오염토양의 복원
    박민호 한국지반공학회, 19(8), pp. 25-29 [2003]
  • 고도산화 공법을 이용한 안트라센으로 오염된 토양 복원에 관한 연구 : 과황산 활성화/펜톤반응/오존산화를 중심으로
    라우진 안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경유로 오염된 모래토양의 화학적 복원
    김수곤 경상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3]
  • 가축분뇨의 저온열분해 기작을 이용한 Biochar의 생성 조건 최적화 및 활용
    박경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토양정밀조사 및 토양정화검증방법에 관한 세부지침마련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토양정밀조사 및 토양정화검증방법에 관한 세부지침마련 연구, pp. 1-136 [2015]
  • “토양·지하수 기술·산업·인력 통계 동향분석 및 DB구축”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토양 지하수 기술 산업 인력 통계 동향분석 및 DB구축, pp. 1-327 [2019]
  • “오염정화토양의 재활용 촉진 및 반출정화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오염정화토양의 재활용 촉진 및 반출정화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pp. 1-111 [2014]
  • Zhang, H., Yuan, J.H., Xu, R.K., 2011, “The forms of alkalis in the biochar produced from crop residues at different temperatures”, Bioresource Technology 102, pp. 3488-3497
    [2011]
  • Yuan, J.H., and R.K. Xu. 2011, “The amelioration effects of low temperature biochar generated from nine crop residues on an acidic Ultisol”. Soil Use and Management 27, pp. 110-115
    [2011]
  • Yeh, C.K.-J., Kao, Y.A., and Cheng, C.P., 2002, “Oxidation of Chlorophenols in soil at natural pH by Catalyzed Hydrogen peroxide: the effect of soil organic matter”, Chomosphere, 46(1), pp. 67-73
    [2002]
  • Xiaoyan Cao, Kyoung S Ro, Mark Chappell, Yuan Li, JingdongMao, 2010, “Chemical Structures of Swine-Manure Chars Producedunder Different Carbonization Conditions Investigated by AdvancedSolid-State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Energy & Fuels, Vol 25(1), pp. 388-397
    [2010]
  • Watts, R.J. and Dilly, S.E., 1996, “Evaluation of iron catalysts for the like-fenton remediation of diesel-contaminated soils”, J. of Hazardous Materials", Vol 51, pp. 209-224
    [1996]
  • Walling, C. and Kato, S., 1971, “The oxidation of alcohols by Fenton reagent. The effect of copper iron”, J. Am. Chem. Soc. 93(17), pp. 4275-4281
    [1971]
  • Uchimiya, M., Lima, I.M., Thomas Klasson, K., Chang, S., Wartelle, L.H. and Rodgers, J.E., 2010. “Immobilization of heavy metal ions (Cu2+, Cd2+, Ni2+, and Pb2+) by broiler litter-derived biochars in water and soil”,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8, pp. 5538-5544
    [2010]
  • Tyurin, I. V., 1931, “A new modification of the volumetric method of determining soil organic matter by means of chromic acid”. Pochvovedenie, 26, pp. 36-47
  • Tyler, G., and T. Olsson. 2001.,“Concentrations of 60 elements in the soil solution as related to the soil acidity”. Eur. J. Soil Sci. 52, pp. 151-165
  • Teel, A.L., Watts, R.J., 2002, “Degradation of carbon tetrachloride by modified Fenton's reagent",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94(2), pp. 179-189
    [2002]
  • Tang, W., Chen, R.Z., 1996, “Decolorization Kinetics and Mechanism of Commercial Dyes by H2O2/Iron Powder System”, Chemosphere. 32(5), pp. 947-958
    [1996]
  • Taiz, L. and Zeiger, E., 2003,“Plant physiology”, 3rd edn. academic press, annals of botany, Vol. 91(6), pp. 750-751
    [2003]
  • Rogovska, N.,D. Laird, R. Cruse, P. Fleming, T. Parkin, and D. Meek. 2011, “Impact of Biochar on Manure Carbon Stabiliza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Soil Sci. Soc. Am. J. 75, pp. 871-879
    [2011]
  • Ravikumar, J.X. and Gurol, M.D., 1994, “Chemical Oxidation of Chlorinated Organics by Hydrogen Peroxide in the Presence of Sand“, Environ. Sci. Technol., 28(3), pp. 394-400
    [1994]
  • Raven, K. P., and L. R. Hossner. 1993. “Phosphorus desorption quantity-intensity relationships in soils”, Soil Sci. Soc. Am. J. 57, pp. 1501-1508.
    [1993]
  • Qambrani, N.A., Rahmana, M.M., Won, S., Shim, S. and Ra, C., 2017. “Biochar properties and eco-friendly applications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waste management, and wastewater treatment: 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79, pp. 255-273
    [2017]
  • Photochemical Purification of Water and Air Thomas Oppenlander
    Braun , A.M. Vol 42 ( 42 ) , pp . 1433-7851 [2003]
  • Pereira, M., Oliveira, L., Murad, E., 2012. “Iron oxide catalysts: Fenton and Fentonlike reactions–a review”. Clay Minerals, 47(3), pp. 285-302
    [2012]
  • Nicole D Berge, Kyoung S Ro, Jingdong Mao, Joseph RV Flora, Mark A Chappell, Sunyoung Bae, 2011, “Hydrothermal carbonization of municipal waste streams”, Environmental science& technology, 45(13), pp. 5696-703
    [2011]
  • Mustafa K. Hossain, Vladimir Strezov, K. Yin Chan, Peter F.Nelson, 2010, “Agronomic properties of wastewater sludge biocharand bioavailability of metals in production of cherry tomato(lycopersicon esculentum)”, Chemosphere, 78(9), pp. 1167-1171
    [2010]
  • Modified Fenton Reaction과 Fenton-like Reaction을 이용한 화약류 오염 토양/지하수의 처리에 관한 연구
    허정욱 한국화학공학회, 43(1), pp. 153-160 [2005]
  • Miller, C.M., Valentine, R.L., M.E., and Alvarez, P.J.J., 1996, “Chemical and Mixrobiological Assessment of Pendimethalin -Contaminated soil after Treatment with Fenton’s Reagent”, Wat. Res., 30(11), pp. 2579-2586
    [1996]
  • Merz, J. H and Waters, W, A., 1949, “Come oxidation involving the free hydroxyl radical”, J.Chem. Soc. 93, pp. 2427-2433
    [1949]
  • Li, Y., J. Qin, N. S. Mattson, and Y. Ao. 2013. “Effect of potassium application on celery growth and cation uptake under different calcium and magnesium levels in substrate culture”, Sci. Hortic. 158, pp. 33-38
    [2013]
  • Lehmann Johannes, 2007b, “Bioenergy in the black”, Front. Ecol Environ, 5(7), pp. 381-387
  • Lehmann J., Joseph S., 2009, “Biochar for environmental management:Science and technology“. London ; Sterling, VA : Earthscan
    [2009]
  • LH 전문시방서 : 조경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2012]
  • Kong, S.H., Watts, R.J and Choi, J.H., 1998,“Treatment of petroleum-contaminated soils using iron mineral catalyzed hydrogen peroxide”, chemosphere. vol. 37(8), pp. 1473-1482
    [1998]
  • Hydrothermal carbonization(HTC)을 이용한 혼합 유기성폐기물 Bio-coal의 에너지 적용성 평가
    김형욱 서울시립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Hicks, B. M., Caplan, J. A., "Bioremediation: A natural solution", Pollution Engineering, 25(2), pp.30-33, 1993
    [1993]
  • Harron, W. R. A., G. R. Webster, and R. R. Cairns. 1983,“Relationship between exchangeable sodium and sodium adsorption ratio in a Solonetzic soil association”. Can. J. Soil Sci. 63, pp. 461-467
    [1983]
  • Haber, F., Weiss, J., 1934. “The catalytic decomposition of hydrogenperoxide by iron salt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A-Mathematical and Physical Sciences, 147(861), pp. 332-351.
    [1934]
  • H2O2/Fe0 시스템을 이용한 유류오염 미세토양의 화학적 산화처리
    지원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6(3), pp. 13-20 [2001]
  • Gaskin, J.W., C. Steiner, K. Harris, K.C. Das, and B. Bibens. 2008, “Effect of low-temperature pyrolysis conditions on biochar for agricultural use”, Transactions of the ASABE. 51, pp. 2061-2069
    [2008]
  • Gallard, H., Laat, J. and Leugbe, B., 1999, “Spectrophotometric study of the formation of iron(Ⅲ)-hydroperoxy complexes in homogeneous aqueous solution”, Water Research 33(13), pp. 2929-2936
    [1999]
  • Feuerstein, W., Gillvert, E. and Eberle, S. H., 1981, “Model experiments to the oxidation of aromatic compounds by hydrogen peroxide in wastewater treatment”, Vom Wasser 56, pp. 35~54
    [1981]
  • Fenton, H., 1894. “Oxidation of Tartaric Acid in presence of Iron. Journalof the Chemical Society”, Transactions, 65, 889-910
  • Ensing, B., Buda, F., Baerends, E.J., 2003, “like-fenton Chemistry in Water; Oxidation Catalysis by Fe(Ⅲ) and H2O2”, J. Phys. Chem. A, 107(30), pp. 1089-5639
    [2003]
  • Elgh-Dalgren, K., A. Duker, Z. Arwidsson, T. von Kronhelm, and P. A. W. van Hees. 2011, “Re-cycling of remediated soil - Evaluation of leaching tests as tools for characterization”, Waste Manage. 31: pp. 215-224
    [2011]
  • Earthscan, Lehmann, J. et al., 2009, "Bio-char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 science and technology”
    [2009]
  • Dark and photoassisted Fe3+-catalyzed degradation of chlorophenoxy herbicides by hydrogen peroxide
    Pignatello , J. J. 26 ( 5 ) , pp . 944-951 [1992]
  • Classfication of Soil for Engineering Purposes :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ASTM Vol 04~08 , pp . 395-408 [1985]
  • Brady, N. C. and R. R. Weil. 2003. “Elements of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2nd ed.). Pearson, Prentice Hall, New Jersey, USA
    [2003]
  • Bourke, J., Manley-Harris, M., Fushimi, C., Dowaki, K., Nunoura, T. and Antal, M. J., 2007. “Do all carbonized charcoals have the same chemical structure 2. A model of the chemical structure of carbonized charcoal”,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46, pp. 5954-5967.
    [2007]
  • Biochar 시용이 배추 재배지 토양에 미치는 영향
    강세원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122 [2016]
  • Biller, P., Friedman, C., Ross,A.B., 2013, “Hydrothermal microwave processing of microalgae as a pre-treatment and extraction technique for bio-fuels and bio-products”, Elsevier Science B.V., Amsterdam. 136, pp. 188-195
    [2013]
  • Bell, M. J. and F. Worrall. 2011. “Charcoal addition to soils in NE England: A carbon sink with environmental co-benefits”, Sci. Total Envrion. 409, pp. 1704-1714
    [2011]
  • Barb, W., Baxendale, J., George, P., Hargrave, K., 1951. “Reactions offerrous and ferric ions with hydrogen peroxide. Part I.—Theferrous ion reaction”. Transactions of the Faraday Society, 47, pp. 462-500
    [1951]
  • Baclocchl R., Boni M. R., D’Aprile L., 2003, “Hydrogen peroxide lifetime as an indicator of theefficiency of 3-chlorophenol Fenton's and Fenton-like oxidation in soils”, J. Haz. Mat. 96, 305-329
    [2003]
  • An, B., Liang, Q., Zhao, D., 2011, “Removal of arsenic(V) from spent ion exchange brine using a new class of starch-bridged magnetite nanoparticles”, Vol. 45, Water Res. pp. 1961–1972.
    [2011]
  • Agarwal, A. and Joshi, H., 2010, “Environmental sciences application of nanotechnology in the remediation of contaminated groundwater: A short review”, Vol. 2, No. 6, Recent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y, 51-57.
    [2010]
  • Abd El-Azeem S.A., Ahmad. M., Usman. A.R., Kim K. R., Oh S.E., Lee S.S., Ok.Y.S, 2013, “Changes of biochemical properties and heavy metal bioavailability in soil treated with natural liming materials”. Environmental Earth Sci 70(7), 3411
    [2013]
  • A review of the concepts , recent advances and nicheapplications of the ( photo ) Fenton process , beyondwater/wastewater treatment : Surface functionalization , biomasstreatment , combatting cancer and other medical uses
    Giannakis , S. pp . 309-319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