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후반 조선과 러시아의 상호인식과 외교정책

한동훈 2021년
논문상세정보
' 19세기 후반 조선과 러시아의 상호인식과 외교정책'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伊犁분쟁
  • 朝露修好通商條約
  • 朝露密約
  • 朝露陸路通商章程
  • 朝鮮策略
  • 空曠地
  • 高宗
  • 거문도
  • 국경무역
  • 리-라디젠스키 구두협약
  • 묄렌도르프
  • 베베르
  • 보호국
  • 삼국간섭
  • 월경민
  • 이홍장
  • 조러 국경
  • 청일전쟁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28 0

0.0%

' 19세기 후반 조선과 러시아의 상호인식과 외교정책' 의 참고문헌

  • 러시아국립해군성문서Ⅰ(國史編纂委員會 篇 [2007]
  • 舊韓末의 條約(국회입법조사국 [1989]
  • 邑誌13: 咸鏡道(한국학문헌연구소 편 [1982]
  • 舊韓國外交文書 8: 淸案1(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소 [1967]
  • 舊韓國外交文書 17: 俄案1(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소 [1969]
  • 國譯 韓國誌(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 데니문서(國史編纂委員會 篇 [1981]
  • ① Архив внешней политики Российской нмперии(제정러시아 대외정책문 서보관소)
  • ② 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в Военно-Морского Флота(러시아 국립해군성 문서보관소)
  • ③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в Иркутской области(이르쿠츠크 국립 문서보관소)
  • ④ 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исторический архив(러시아 국립역사문 서보관소)
  • ⑤ 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исторический архив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극동러시아 국립역사문서보관소)
  • 1872년 지방도(함경도: 慶興지도)
  • 「李鴻章의 對朝政策 -英艦의 巨文島事件을 中心으로-」, 社會科學論叢 1-1
    박일근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1982]
  • 「李鴻章과 穆麟德의 在韓外交活動에 대한 小考」, 社會科學論叢 4-1
    박일근 부산대 학교 사회과학대학 [1982]
  • 「俄國輿地圖에 나타난 조선의 러시아 영역 인식과 국경 상황」
    이왕무 北方史論叢 5 [2005]
  • 「한중 국경획정의 과거와 현재 –유조변, 간도협약, 북중비밀국경조약 분석을 중심으로-」
    박선영 北方史論叢 4 [2005]
  • 「한말 러시아 상인의 한국기행 –서울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1885.12~1886.2)」
    김병린 빠벨 미하일로비치 데로트케비치 신동아 1980년 6월호, 1980 [1980]
  •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와 한국」
    이영석 독어교육 24 [2002]
  • 「쿠릴열도를 둘러싼 러시아와 일본의 영토갈등 쟁점과 함의」
    김종헌 중소 연구 37-4 [2014]
  • 「청일전쟁 이전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
    홍웅호 大東文化硏究 61 [2008]
  • 「중일전쟁 개전기 러시아의 극동정책」, 용과 사무라이의 결투 –중(청)일전쟁 의 국제정치와 군사전략(강성학 편)
    이웅현 리북 [2006]
  • 「중앙아시아의 러시아 편입과정과 현재적 의미」
    박태성 슬라브연구 24-1 [2008]
  • 「주한 러시아공사 쉬뻬이에르의 외교활동과 한국정책」
    김영수 역사학보 233 [2017]
  • 「조・러육로통상장정(1888) 체결을 둘러싼 조․청․러 삼국의 협상과정 연구」
    한동훈 역사와 현실 85 [2012]
  • 「조선후기 조선중화주의와 그 해석 문제」
    계승범 한국사연구 159 [2012]
  • 「조선후기 북관개시 연구」
    고승희 조선시대사학보 1 [1997]
  • 「조선의 조공체제 인식과 활용」
    정용화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7-2 [2006]
  • 「전통 동아시아 국제질서 개념으로서 조공체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영진 한국 정치외교사논총 38-1 [2016]
  • 「영・러위기(英露危機)와 거문도 1885~1887」, 19세기 후반의 한.영.러 관계 : 거문도사건
    김영정 세종대학교 출판부 [1987]
  • 「영국의 거문도 점령 과정에 대한 재검토 –갑신정변 직후 영국의 간섭정책을 중심으로-」
    한승훈 영국연구 36 [2016]
  • 「영국군의 거문도점령사건」
    元裕漢 軍史 7 [1983]
  • 「연해주를 둘러싼 한국과 러시아 영토문제 –1650년에서 년까지-」
    박명용 北方 史論叢 4, 2005 [1900]
  • 「슈페이예르와 러시아공사 베베르의 조선 내 외교활동 –1884~1894」, 수교와 교섭의 시기 한러관계
    김종헌 선인 [2008]
  • 「숙종대 몽고・러시아에 대한 知識・情報 분석 –청과 몽고・러시아간의 交戰 정 보를 중심으로-」
    김우진 인문학연구 37 [2018]
  • 「서구 학계 조공제도 이론의 중국 중심적 문화론 비판」
    윤영인 아세아연구 45-3 [2002]
  • 「비스마르크 동맹체제 연구 –유럽중심부 긴장요인의 세계 주변부 전환 외교 전략을 중심으로-」
    김석구 유라시아연구 17-2 [2020]
  • 「부들러(H. Budler)의 朝鮮中立化論」
    劉明喆 金麟坤 社會科學硏究 2, 경북대 사회 과학연구원 [1986]
  • 「묄렌도르프(Mollendorff)의 외교정책과 경제개발정책의 성격」
    김현숙 湖西史學 34 [2003]
  • 「러일전쟁 이전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
    홍웅호 역사와 담론 56 [2010]
  • 「러시아 쿠릴열도에 관한 러・일 분쟁사 연구: 러・일이 체결한 영토조약을 중 심으로」
    박종효 軍史 80 [2011]
  • 「러시아 최초의 한인 마을 地新墟」
    반병률 한국근현대사연구 26 [2003]
  • 「러시아 자료로 본 1650년대 흑룡강원정(나선정벌)」
    계승범 열상고전연구 65 [2018]
  • 「러시아 외교관 베베르와 아관파천」
    김종헌 역사비평 86 [2009]
  • 「러시아 연흑룡총독 운떼르베르베르의 조선이주민 인식과 정책~1910)」
    이항준 역사와현실 64, 2007 [1905]
  • 「러시아 소볼 호 사건의 의미」
    황성우 슬라브학보 28 [2013]
  • 「동아시아의 개항: 난징조약에서 강화도조약까지」
    강진아 현대사광장 7 [2016]
  • 「독일 세창양행과 구한말 조선의 근대화 현실」
    李英官 韓國思想과文化 76 [2015]
  • 「대한제국을 바라보는 러시아 학계의 시각」
    김영수 역사와현실 63 [2007]
  • 「기존 개화파 용어에 대한 비판과 대안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73, 최덕규, 「러시아 해군상 쉐스타코프와 거문도 사건」
    주진오 한국서양문화사학회 37, 2015 [2005]
  • 「근대 조선과 러시아의 경제관계 형성」, 수교와 교섭의 시기 한러관계
    이재훈 선 인 [2008]
  • 「그레이트 게임(the Great Game)과 한러관계의 지정학 –거문도 사건과 李鴻章 -라디젠스키 협약(1886)을 중심하여-」
    김원수 서양사학연구 30 [2014]
  • 「고종의 서구 근대 국제법적 대외관계 수용 과정 분석」
    구선희 東北亞歷史論叢 3 2 [2011]
  • 「개항이후 일본의 조선정책」, 1894년 농민전쟁연구 3
    최덕수 역사비평사 [1993]
  • 「개항기 권력집단의 정세인식과 정책」, 1894년 농민전쟁연구 3
    연갑수 역사비평 사 [1993]
  • 「개항 초기의 조청관계」, 한국사 37
    송병기 국사편찬위원회 [2000]
  • 「갑오개혁 청일전쟁 100년 갑오개혁의 새로운 이해」
    주진오 역사비평 28 [1994]
  • 「韓露의 接近과 通商章程의 체결경위에 대하여」
    李陽子 東義史學 창간호 [1984]
  • 「韓末의 韓露關係 考察」
    신승권 軍史 8 [1984]
  • 「韓國과 러시아의 外交史的 考察」
    姜周鎭 대구사학 12‧13 [1977]
  • 「開港과 不平等條約체제의 確立」
    李炳天 경제사학 8 [1984]
  • 「開港 前後 朝鮮政府의 러시아인식 硏究」
    李彦姃 고려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 「開化期의 陸接關稅制度」, 경제논총 6
    최태호 국민대학교 경제 연구소 [1984]
  • 「舊韓末 韓露關係의 眺望; 協商過程을 중심으로」
    申基碩 국사관논총 4 [1989]
  • 「淸의 朝鮮政策(1876~1894)」, 1894년 농민전쟁연구 3
    김정기 역사비평사 [1993]
  • 「淸國의 宗主權强化와 韓露秘密協定事件始末」
    金景昌 政治學報 7 [1975]
  • 「李鴻章의 對朝政策 : 英艦 의 巨文島事件을 中心으로」
    박일근 中國問題硏究 論文 選 8 [1982]
  • 「朝・中商民水陸貿易章程에 대하여」
    金鍾圓 歷史學報 32 [1966]
  • 「朝鮮의 門戶開放 馬建忠의 역할」
    신승하 아세아연구 32 [1989]
  • 「朝鮮策略과 高宗정부의 북방정책: 러시아 레솝스키 함대의 극동원정 (1880-1881)을 중심으로」
    주진오 軍史 108 [2018]
  • 「朝鮮問題에 關한 露淸 外交關係-韓露密約事件을 中心으로-」
    申基碩 學術院論文集 1 [1959]
  • 「朝露 수교(1884) 전후 조선인의 러시아관」
    裵亢燮 歷史學報 194 [2007]
  • 「朝英條約(1883. 11)과 불평등조약체제의 재정립」
    한승훈 韓國史硏究 135 [2006]
  • 「巨文島外交史」
    渡邊勝美 普成學會論集, 普成專門學校硏究年報 [1935]
  • 「巨文島事件과 朝鮮의 中立化論」
    엄찬호 江原史學 17‧18 [2002]
  • 「對淸關係에서 본 鹿屯島의 歸屬問題 其四」
    유영박 영토문제연구 2 [1985]
  • 「安全保障과 韓末政局 -壬午軍亂-淸日戰爭」
    申基碩 국제법학회논총 11 [1965]
  • 「吳大澂과 1880년대 淸․러 동부국경감계」
    김형종 中國近現代史硏究 60 [2013]
  • 「使和記略 硏究(1882)」
    최덕수 史叢 50 [1999]
  • 「Mollendorff가 한국외교에 끼친 영향」
    노계현 비교문화연구 1 [1982]
  • 「19세기말 韓露交涉에 관한 一硏究-러시아의 한반도 침략과 獨立協會의 저항-」
    金淑子 한국학보 26 [1982]
  • 「19세기 후반기 제국주의와 동아시아」
    김기정 1894년 농민전쟁연구 3, 역사비평 사 [1993]
  • 「19세기 후반 함경도 六鎭과 만주지역 교역의 성격」
    고승희 조선시대사학보 25 [2003]
  • 「19세기 후반 함경도 주민들의 연해주 이주와 仁政 願望」
    裵亢燮 역사와 담론 53 [2009]
  • 「19세기 후반 함경도 변경지역과 연해주의 교역 활동」
    고승희 朝鮮時代史學報 28 [2004]
  • 「19세기 후반 조・러간 국교수립과정과 그 성격 -러시아의 조선 침략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씸비르쩨바 따찌아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7]
  • 「19세기 후반 조선인 북방 월경이주(越境移住)의 장기적 조건으로서의 인구요 소」
    양승조 中蘇硏究 42-3 [2018]
  • 「19세기 후반 제정 러시아의 극동 지역 식민정책」
    양승조 史叢 87 [2016]
  • 「19세기 후반 러시아의 대조선정책」
    민경현 대동문화연구 61 [2008]
  • 「19세기 중엽 러시아의 극동진출 배경에 관한 연구」
    민경현 史叢 49 [1999]
  • 「19세기 중반 영국의 대조선 문호개방정책 기원 –영・러 대결과 조・청 속방관 계와 관련하여」
    한승훈 인문논총 74-2 [2017]
  • 「19세기 조선의 러시아 인식과 문호개방론」
    원재연 韓國文化 23 [1999]
  • 「19세기 말 조・러 접경에 대한 조・청의 ‘空曠地’ 논리 대두와 의미」
    한동훈 대동문 화연구 97 [2017]
  • 「1894년 농민전쟁기 열강세력의 동향」, 1894년 농민전쟁연구 5
    최덕수 역사비평 사 [1997]
  • 「1884년 한러조약, 언어와 해석의 차이」
    김영수 사림 38 [2011]
  • 「1880년대 영국외교관의 조선 북부 지역 여행에 담긴 함의 –영국의 경제적 확장과 관련하여」
    한승훈 史叢 90 [2017]
  • 「1860年 北京條約과 韓․露國境의 成立 -金景遂手本과 李錫永牒呈을 中心으로-」
    朴泰根 領土問題硏究 창간호 [1983]
  • 「17세기 중반 나선정벌의 추이와 그 동아시아적 의미」
    계승범 사학연구 110 [2013]
  • 金弘集
    金總理遺稿(고려대학교출판부 [1976]
  • 李文忠公(鴻章)全集7: 電稿 卷1-20(台北: 文海出版社, 1980)
  • 列强의 동아시아정책
    崔文衡 일조각 [1979]
  • 한중국경사 연구
    이화자 혜안 [2011]
  • 한반도에서 전개된 러일전쟁 연구
    심헌용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1]
  • 한반도 분단론의 기원과 러・일 전쟁
    박종효 선인 [2014]
  • 한러경제관계 20년
    박노벽 한울 [1994]
  • 한국의 식민지적 근대 성찰
    정태헌 선인 [2007]
  • 한국을 둘러싼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
    崔文衡 지식산업사 [2001]
  • 한국과 러시아 : 관계와 변화
    권희영 국학자료원 [1999]
  • 한국 근대국가의 형성과 갑오개혁
    왕현종 역사비평사 [2003]
  • 한국 근대 개화파와 통치기구 연구
    한철호 선인 [2009]
  • 한국 국제관계사 연구 1
    구대열 역사비평사 [1995]
  • 코자크와 우크라이나의 역사
  • 지정학으로 본 러시아제국의 對한반도정책(1884-1904) -팽창원인과 실패 과정을 중심으로-
    강정일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 중국의 서진 –청(淸)의 중앙유라시아 정복사-
    C. 퍼듀 도서출판 길 [2014]
  • 중국의 서진 –청(淸)의 중앙유라시아 정복사-
    피터 C. 퍼듀, 도서출판길 [2014]
  • 조선후기 함경도와 북방영토의식
    강석화 경세원 [2000]
  • 조선후기 함경도 상업연구
    고승희 국학연구원 [2003]
  • 조선후기 국토관과 천하관의 변화
    배우성 일지사 [1998]
  • 제정러시아의 한반도정책.1891~
    최덕규 경인문화사, 2008 [1907]
  • 제국주의시대의 열강과 한국
    崔文衡 민음사 [1990]
  • 제국주의 열강의 해군과 동아시아
    최덕규 동북아역사재단 [2018]
  • 전쟁과 인간 그리고 ‘평화’: 러일전쟁과 한국사회
    조재곤 선인 [2017]
  •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김용구 [2004]
  • 우크라이나의 역사
    편역 문예림 [2015]
  • 우크라이나 현대사 1914-2010
    허승철 고려대출판부 [2011]
  • 용과 사무라이의 결투 -중(청)일전쟁의 국제정치와 군사전략
    리북 [2006]
  • 신장의 역사 –유라시아의 교차로-
    제임스 A. 밀워드 지음 사계절, 김찬영・이광태 옮김 [2013]
  • 수교와 교섭의 시기 한러관계
    홍웅호 선인 [2008]
  • 세계외교사
    김용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 세계관 충돌과 한말외교사 1866~1882
    김용구 문학과 지성사 [2001]
  • 북방정책의 이상과 현실 –아관파천에서 신북방정책까지-
    장덕준 역사공간 [2021]
  • 미국의 동아시아 개입의 역사적 원형과 20세기 초 한미 관계연구
    김기정 서울: 문 학과 지성사 [2003]
  • 묄렌도르프 自傳(外)(묄렌도르프 지음/신복룡・김운경 역주
    집문당 [1999]
  • 명성황후시해와 아관파천
    이민원 국학자료원 [2002]
  • 러일전쟁과 한반도
    심헌용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3]
  •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병합
    崔文衡 지식산업사 [2004]
  • 러일전쟁 –기원과 개전-
    와다 하루키 이웅현 한길사 [2019]
  • 러시아의 지정학적 미래
    알렉산더 두긴 이원복 서울 :화랑대연구소 [2000]
  • 러시아의 조선 침략사
    송정환 범우사 [1990]
  • 러시아의 역사(8판) 상, 하
  • 러시아의 동북아 진출과 한반도 정책(1860~1905)
    송금영 국학자료원 [2004]
  • 러시아의 동북아 진출과 한반도 정책 1860-1905
    송금영 국학자료원 [2011]
  • 러시아의 남하와 일본의 한국침략
    崔文衡 지식산업사 [2007]
  • 러시아문서 번역집 1~34(동국대 대외교류연구원
    ~2018) [2008]
  • 러시아 외교관 베베르와 조선
  • 대한제국의 대외정책
    현광호 신서원 [2002]
  • 대한제국과 국제환경
    최덕수 선인 [2005]
  • 대원군집권기 부국강병정책연구
    연갑수 서울대출판부 [2003]
  • 근대한미관계사연구
    이민식 백산 [1998]
  • 근대 한국의 서양인 고문관들
    김현숙 한국연구원 [2008]
  • 근대 한국과 동아시아 변경연구
    최덕규 경인문화사 [2016]
  • 근대 중앙아시아의 혁명과 좌절
    김호동 사계절 [1999]
  • 고종의 美館播遷 시도와 한미관계(1894~1905)
    장경호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사학 과 박사학위논문 [2018]
  • 거문도와 블라디보스토크
    김용구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9]
  • 개화당의 기원과 비밀외교, 1879~1884
    김종학 일조각 [2017]
  • 개화당 연구
    이광린 일조각 [1973]
  • 개항기의 재한 외국공관 연구
    하원호 동북아역사재단 [2009]
  • 개항과 朝日관계 -상호인식과 정책-
    최덕수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 개방과 예속:대미 수교 관련 수신사 기록(1880)
    송병기 단국대 출판부 [2000]
  • 갑신정변연구
    박은숙 역사비평사 [2005]
  • 鶱鶱錄
  • 高宗의 對外政策 硏究
    嚴燦鎬 강원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0]
  • 高宗實錄
  • 馬建忠の中國近代
    岡本隆司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7]
  • 韓露關係100年史
  • 韓英關係100年史
  • 韓英外交史關係資料集(東廣出版社, 1997)
  • 韓末外交史硏究 –淸韓從屬關係를 中心으로-
    신기석 一潮閣 [1967]
  • 韓國의 近代外交制度 硏究: 外交官署와 常駐使節을 중심으로
    金壽岩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00]
  • 韓國驛制史
    趙炳魯 경기도: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2002]
  • 韓國邊境史硏究
    양태진 法慶出版社 [1989]
  • 韓國史講座:近代篇
    李光麟 一潮閣 [1982]
  • 韓國史:最近世篇(震檀學會),
    李瑄根 乙酉文化社 [1961]
  • 韓中關係史硏究,
    全海宗 一潮閣 [1970]
  • 靑丘要覽
  • 開港 前後 朝鮮政府의 러시아인식 硏究
    李彦姃 고려대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 郭嵩燾目記(郭嵩燾 著,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81)
  • 近代韓美外交史
    朴日根 博友社 [1968]
  • 近代韓國外交文書 1~13권(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 편
    ~2018) [2009]
  • 近代韓國外交史年表
    金源模 단국대 출판부 [1984]
  • 近代韓中關係史硏究
    宋炳基 檀國大學校出版部 [1985]
  • 近代日鮮關係の硏究,
    田保橋潔 朝鮮總督府中樞院, (김종학 옮김, 근대 일선관 계의 연구 上,下 일조각, 2013, 2016) [1940]
  • 親美開化派硏究
    한철호 國學資料院 [1998]
  • 袁世凱與朝鮮
    林明德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 [1970]
  • 袁世凱全集 1~3(駱寶善, 劉路生 [共]主編・ 本卷主編, 河南大學出版社, 2013)
  • 與地圖(함경도: 慶興府
    古4790-68)
  • 純祖實錄
  • 籌辦夷務始末(臺北: 文海出版社, 民國69[1980])
  • 稗林 4: 憲宗記事全, 哲宗記事全(探求社, 1969)
  • 甲午更張硏究
    柳永益 一潮閣 [1990]
  • 淸末對朝鮮政策史硏究
    權錫奉 일조각 [1986]
  • 淸朝條約全集 1・2・3冊(黑龍江人民出版社, 1999)
  • 淸季外交史料(台北: 文海出版社, 1964)
  • 淸季中日韓關係史料(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 1972)
  • 淸季中俄東省界務文涉
    趙中孚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 [1970]
  • 淸光緖朝中日交涉史料(台北: 文海出版社, 1963)
  • 海東地圖(함경도: 慶興府
    古大4709-41)
  • 洋武運動文獻彙編[楊家駱 主編, 台北: 世界書局, 民國52(1963)]
  • 江左輿地記・俄國輿地圖 解題
    신승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 江北日記․江左輿地記․俄國輿地圖(韓國精神文化硏究院 編, 1994)
  • 東洋外交史
    金景昌 集文堂 [1982]
  • 朝鮮外交の近代―宗属関係から大韓帝国へ―
    森万佑子 名古屋大学出版会 [2017]
  • 朝日修好條規 체제의 성립과 운영 연구(1876~1894)
    박한민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 日省錄
  • 日本外交文書 卷16, 卷27(日本外務省, 1951, 1953)
  • 承政院日記
  • 廣輿圖(함경도: 慶興府
    古4790-58)
  • 哲宗實錄
  • 咸鏡監營啓錄(各司謄錄 42: 咸鏡道篇, 國史編纂委員會 篇, 1990)
  • 北關路程錄
    柳義養 최강현 일지사 [1976]
  • 保護國論
    有賀長雄 早稲田大学出版部, 明治39年 [1906]
  • 中國外交史 -1840~1911-
    王紹坊 韓仁熙 知永社 [1996]
  • 中俄伊犁交涉始末(罗惇曧 撰)
  • 19세기 후반 조선의 국제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유바다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 19세기 후반 개화 개혁론의 구조와 전개: 독립협회를 중심으로
    주진오 연세대학교 사학과 박사논문 [1995]
  • 19세기 후반 朝鮮의 對英정책 연구(1874-1895) -조선의 均勢政策과 영국의 干涉政策의 관계 정립과 균열
    한승훈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5]
  • 19세기 동북아4개국의 도서분쟁과 해양경계
    이근우 동북아역사재단 [2008]
  • 19世紀末 韓中關係史 硏究
    權赫秀 백산자료원 [2000]
  • 19世紀 列强과 韓半島
    禹澈九 법문사 [1999]
  • 1894년 농민전쟁연구 3
    한국역사연구회 편 역사비평사 [1993]
  • 1880년대 조선-청 공동감계와 국경회담의 연구
    김형종 서울대출판문화원 [2018]
  • 1876~1894년 淸의 朝鮮政策 硏究
    金正起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4]
  • (제2개정판)국제정치사
    이기택 일신사 [2003]
  • (咸鏡北道) 慶興郡誌
    慶興郡誌編纂委員會 서울: 慶興郡誌編纂委員會 [1988]
  • 횡단열차와 사무라이: 러일전쟁의 외교와 군사전략
    시베리아 서울: 고려대 학교 출판부 [1999]
  • 지음, 조약으로 본 한국 근대사
    최덕수 열린책들 [2010]
  • 지음, 계승범 옮김, 북정록
    신류 서해문집 [2018]
  • 역, 朝鮮策略
    원저 건국대출판부 [1997]
  • 시기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김영수 경인문화사 [2012]
  • 박은숙, 「김윤식과 원세개・이홍장・주복의 교류(1881~1887)」
    한국사학보 61 [2015]
  • 魚允中, 魚允中全集(韓國學文獻硏究所 , 1979)
  • 金允植, 雲養集(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편
    혜안)(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DB) [2013]
  • 金允植, 陰晴史(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고전DB) [1968]
  • 金允植, 續陰晴史(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고전DB) [1960]
  • 禹澈九, 「韓露外交關係硏究(其一)-淸國이 韓露接近過程에 끼친 영향을 中心으로-」
    韓 日關係硏究所紀要 3‧4 [1973]
  • 禹澈九, 「韓露 外交關係 硏究(其二)-修好通商條約 締結의 經緯와 條約內容을 中心으로-」
    嶺南大學校 論文輯 <社會科學篇> 7 [1973]
  • 梁泰鎭, 「韓露國境形成의 背景과 鹿屯島喪失」
    白山學報 26 [1981]
  • 梁泰鎭, 「豆滿江 下流沿岸의 新・舊土字碑와 北方三角地帶의 國境領土 問題에 관한 論 考」, 韓國史學論叢 下
    수촌박영석교수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2]
  • 李用熙, 「英國의 巨文島 占據」, 韓英修交 100年史
    韓國史硏究協議會 [1984]
  • 李用熙, 「巨文島 占領外交綜攷」, 李相佰博士回甲記念論叢, 想白李相佰博士回甲記念 論叢編輯委員, 1964
  • 朴泳孝, 使和記略(이재호 역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DB) [1977]
  • 朴泰根, 「러시아의 동방경략과 수교이전의 한러교섭(1861년 이전)」, 韓露關係100年史
    韓國史硏究協議會 [1984]
  • 朴宰永, 「舊韓末 독일인 Moellendorff의 朝鮮 認識」
    동학연구 21 [2006]
  • 姜萬吉, 고쳐 쓴 한국 근대사
    창작과 비평사 [1994]
  • 姜萬吉, 分斷時代의 歷史認識
    창작과비평사 [1979]
  • 具仙姬, 韓國近代 對淸政策史 硏究
    혜안 [1999]
  • 任桂淳, 「韓露秘密과 그 후의 韓露關係(1884~1894)」, 韓露關係100年史
    韓國史硏究協 議會 [1984]
  • Ф. Ф. Бусее, Переселение крестьян морем в Южно-Уссурийский край в 188 3-1893 годах, СПБ., Общественная Польза, 1896
  • Телеграммы Матюнина военному губернатору Приморской области[마 튜닌이 연해주 군무지사에게 보낸 전보], 1884. 4. 21/5. 25
    РГИА ДВ, ф. 1, оп.1, д.825, л.114~116
  • Телеграмма И. Ф. Фуругельма контр-адмиралу А. Е. Кроуну о расселен ии корейцев[푸르겔름이 크로운 해군소장에게 보내는 조선인 이주 관 련 전문], 1871. 11. 6, РГИА ДВ, ф.1, оп.1, д.325, л
    15~15об
  • Сообщение генерал-губернатора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Центральному Кор ейскому правительству о случае с лодкой Соболь[동시베리아 총 독이 조선 중앙정부에 보내는 ‘소볼’호 관련 통첩], 1870. 2
    РГИА ДВ, ф.1, оп.1, д.44, л.27~29
  • Секретные телеграммы Вебера из Сеула[1895년 6월 25, 26일 서울에서 베 베르가 보낸 비밀전문], 1895. 6. 25,26, АВПРИ, ф
    Канцелярия МИД. о п.470, д.99, л.12~13
  • Русско-китайские отношение 1689~1916-Официальные документы(М.: Издат ельство восточной литературы, 1958)
  • Россия и Корея. Некоторые страницы истории(конец века). К 120-летию ус тановления дипломатических отношений(М.,МГИМО(У) МИД Росси и, 2004)
  • Рапорт командующего 3-й ротой Линейного батальона Восточной Сиб ири поручика Резанова военному губернатору Приморской обл асти(동시베리아 상비대대 제3중대 지휘관 레자노프 중위가 연해주 군 무지사에게 보낸 보고서), 1863. 11.30
    ГАИО, ф.24, оп.11/3, д.24, л.2~3
  • Проект секретной телеграммы Статскому Советнику Веберу[베베르 총영 사에게 보내는 비밀전문], 1885. 10. 16, АВПРИ, ф
    Китайский Стол, о п.491, д.3, л.77
  • Проект секретной телеграммы Действительному Статскому Советнику Попову[포포프에게 보내는 비밀전문], 1885. 8. 10, АВПРИ, ф.Китайск ий Стол, оп.491, д.3, л
    75~75об
  • Представление Приморского област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генерал-губерна тору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по вопросу переселения корейцев[연해 주행정청이 동시베리아 총독에게 보내는 조선인 이주현안 관련 보고서], 1872. 2. 8
    РГИА ДВ, ф.1, оп.1, д.325, л.16~18
  • Предписание генерал-губернатора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Н. П. Синельник ова военному губернатору Приморской области о расселении к орейцев[동시베리아 총독 시넬리코프가 연해주 총독에게 보내는 조선인 이주 관련 명령서], 1871. 4. 13, РГИА ДВ, ф.1, оп.1, д.325, л
    12~12об
  • Предписание военного губернатора Приморской области контрадмира ла Казакевича начальнику поста в заливе Новгородском(연해 주 군무지사 카자케비치 해군소장이 노브고로드만 책임자에게 보낸 명 령), 1864. 4
    ГАИО, ф.24, оп.11/3, д.24, л.4~5
  • По предположениям его о мерах к устройству вверенного ему края, сообразно политическому оного значению[정치적 중요성에 따라 부여된 담당 지역의 배치 조치에 대한 목적), 1846. 3. 19, АВПРИ] ф.Гл авный архив, 1-9, 1846-1871, гг, д.9, л
    5~5об
  • Письмо директора Азиатского департамента МИД Стремоухова генера л-губернатору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Карсакову[외무성 아시아국장 스 트레모우호프가 동시베리아 총독 카르사코프에게 보낸 서한], 1870. 3. 9, АВПРИ, ф.СПБ
    Главный апхив, 1-9, оп.8, д.25, л.15
  • Письмо М. С. Карсакова военному губернатору Приморской области о происшествии с лодкой <<Соболь>>[카르사코프가 연해주 군무지사 에게 보낸 ‘소볼’호 사건 관련 서한], 1869. 6. 20
    РГИА ДВ, ф.1, оп.1, д.44, л.19~20
  • Отчет чиновника Приморского областного правления Ф. Ф. Буссе о п ереселении корейцев[연해주행정청 관리 부세가 보낸 조선인 이주 현 황 보고서], 1867. 3. 6
    РГИА ДВ, ф.87, оп.1, д.278, л.61~70
  • Отношения к Корее[조선과의 관계], 1883. 7. 6, АВПРИ, ф.Китайский Стол, оп.491, 1883 г, д.1, л
    73об-74об
  • Отношение Приморского Областного правления начальнику Новогоро дского поста(노브고로드 책임자에 대한 연해주 행정부의 입장), 1867. 11. 28
    ГАИО, ф.24, оп.11/3, д.43, л.120
  • Обязательство начальника Кёнхынского округа провинции Хамгён[함 경도지역 경흥책임자와의 약정], 1870. 12, АВПРИ, ф.Чиновник по ди пломатической части при Приамурском генерал-губернаторе, о п.579
    1869-1888 гг. д.307, л.33
  • Красный архив Т.1-2 (50-51), Т.3(52)
  • Корея Глазами Россиян(1895-1945)(Б.Д.Пак, Ю.В.Ванин, М., 2008)
  • Копия с секретного донесения консула в Тяньцзине[천진영사 비밀보고 사본], 1882. 8. 14, АВПРИ, ф.Чиновник по дипломатической част и при Приамурском генерал-губернаторе, оп.379
    1880-1884 гг, д. 311, л.193~204
  • Копия с предписания генерал-губернатора и командующего войсками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состоящему при штабе войск Восточной Сиб ири Генерального штаба штабс-капитану Гельмерсену[총독 겸 동시베리아 군사령관이 총참모본부 동시베리아군 참모부 겔메르센 2등 대위에게 보낸 포시예트항 파견 명령서], 1865. 6. 11
    РГИА ДВ, ф.87, о п.1, д.1767, л.2~3
  • Копия с инструкции, данной российско-императорским в Китае Вебер у[중국주재 제정러시아신민 베베르에게 주어진 지침 사본], 1884. 3. 24, АВПРИ, ф
    Посольство в токио, 1883 г, д.595. л.33~34
  • Копия с депеши Посланника в Токио[동경러시아공사의 급보 사본], 1889. 2. 14, АВПРИ, ф.Японский Стол, оп.493, 1888-1891 гг, д.2, л
    214~215 об
  • Копия с депеши Кол. Сзв. Барона Розена[6등관 로젠 남작 발신 전문 사 본], 1882. 11. 1, РГАВМФ, ф.410, оп.2, д.4122, л
    168~171об
  • Копия с весьма секретной депеши Министра Иностранных Дел Повер енному в Делах и Генеральному Консулу в Сеуле[외무장관이 서 울총영사에게 보낸 비밀문서 사본], 1888. 7. 26, АВПРИ, ф.Японский С тол, оп.493, 1888-1891гг, д.2, л
    93~97об
  • Записка управляющего МИД Вестмана генерал-губернатору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Синельникому(동시베리아 총독 시넬리코프에게 보낸 러시아 외무성 베스트만의 보고서), 1871. 8. 12
    ГАИО, ф.24, оп.10, д.202, К.210 7, л.204~205
  • Записка о корейцах, желаюших принять подданство России(러시아국적 을 받기 원하는 조선인들에 관한 기록), 1865. 5. 22
    ГАИО, ф.24, оп.11/ 3, д.24, л.27~29
  • Донесение российского посланника в Токио А. П. Давыдова министру иностранных дел Н. К. Гирсу[동경주재 러시아공사 다비도프가 외무 장관 기르스에게 보낸 보고], 1883. 12. 10, АВПРИ, ф
    Посольство в То кио, 1883 г, д.495, л.12~13, 37
  • Донесение военного губернатора Приморской области П. В. Казакевич а председательствующему в Совете ГУВС о переселении корей цев[연해주 군무지사가 병참총국 협의회 의장에게 보낸 조선인 이주 보 고서], 1865. 1. 14, РГИА ДВ, ф.87, оп.1, д.278, л
    15~16об
  • Донесение Поверенного в Корее Вебера статс-секретарю Гирсу[조선대 리공사 베베르가 외무장관 기르스에게 보낸 보고서], 1885. 10. 21, АВПР И, ф
    Китайский Стол, оп.491, д.3, л.78~82
  • Докладная записка исправляющего должность инспектора линейных батальонов Восточной Сибири, расположенных в Приморской области, полковника Ольденбурга[연해주에 배치된 동시베리아 국 경경비대대 검열관의 보고서], 1864. 9. 25, РГИА ДВ, ф.87, оп.1, д.278, л
    9~10об
  • Граф Н, Н, Муравьев-Амурский по его письмам, официальным документа м, рассказам современников и печатным источникам(материалы д ля биографии)(Иван Барсуков, М., 1891)
  • Выписка из отчета Генерального штаба капитана Гельмерсена о поез дке в гавань Посьеиа в 1865 г.[총참모본부 겔메르센 대위의 1865년 도 포시예트항 출장 보고서], РГИА ДВ, ф.87, оп.1, д.278, л
    54~55об
  • Всеподданнейшая записка министра иностранных дел[외무장관 기르스 가 차르 알렉산드르 3세에게 올린 상주문], 1885. 12. 17, АВПРИ, ф
    Кит айский Стол, оп.491, д.3, л.83~85
  • Б. Д. Пак, РОСИЯ И КОРЕЯ, ИВ РАН, (제2판)(민경현 옮김, 러시아와 한국
    동북아역사재단, 2010) [2004]
  • Б. Б. Пак, Российский Дипломат -К. И. Вебер и Корея, Институт востокове дения РАН, (박 벨라 보리소브나 지음/최덕규, 김종헌 옮김, 러시아 외교관 베베르와 조선
    동북아역사재단, 2020) [2013]
  • Б. Б. Пак, Российская дипломатия и Корея(1860~1888), книга первая, Москв а-Иркутск, 1998
  • Б. А. Романов, Россия в Маньчжурии(1892-1906): Очерки по истории внешне й политики самодержавия в эпоху империализма. Л.: Изд. Восточ ного института, 1928(山下義雄譯, 滿洲に於ける露國の利權外交史, 鴨右 堂書房, 1934)
  • Б. А. Романов, Очерки дипломатической истории руссуо-японской войны(1 895-1907), М, 1955
  • [해군장관 쉐스타코프가 크로운 소장에게 지시한 명령], 1884. 12. 20
    РГАВМФ, ф.410, оп.2, д.4122, л.111
  • [함경도지방 관찰사 정기회 보고서], 1886. 5. 26
    РГАВМФ, ф.417, оп.1, д.206, л. 69~75
  • [함경감사 정기회의 보고서], 1886. 5. 23, РГАВМФ, ф.417, оп.1, д.206, л
    66~68об
  • [프리아무르 총독 겸 두홉스코이 육군중장이 하바롭스크에서 육군성에 보낸 전문 사본], 1895. 7. 8, АВПРИ, ф
    Японский Стол, оп.493, д.78, л.3
  • [태평양함대 사령관 알렉세예프가 해군장관 티르토프에게 보고한 보고서], 1895. 7. 15, РГАВМФ, ф.650, оп.1, д.134, л
    1~10об
  • [크로운 소장의 조선 파견 연기에 관한 극비문서], 1884. 12. 22
    РГАВМФ, ф.410, оп.2, д.4122, л.112~113
  • [청국공사 포포프가 외무성에 보낸 보고서], 1882. 3, АВПРИ, ф
    Японский Сто л, оп.493, д.18, л.15~18
  • [차르 알렉산드르 3세가 재가한 5등관 베베르에게 하달된 비밀훈령 사본], 1885. 4. 25, АВПРИ, ф.Японский Стол, оп.493, д.214, л
    27~52об
  • [조선국왕이 발송한 서신 번역본 사본], 1895. 6. 3, АВПРИ, ф.Японский Стол, оп.493, д.49, л
    166~166об
  • [육군중장 두홉스코이의 비밀전문], 1895. 7. 19, АВПРИ, ф.Японский Стол, оп. 493, д.78, л
    11-11об
  • [외무장관 외무장관가 해군장관 쉐스타코프에게 보낸 공문], 1882. 5. 24
    РГАВМ Ф, ф.410, оп.2, д.4122, л.11~12
  • [외무장관 기르스가 해군장관 쉐스타코프에게 보낸 비밀급보], 1885. 3. 31, РГАВ МФ, ф.410, оп.2, д.4158, л
    10-10об
  • [외무장관 기르스가 해군장관 쉐스타코프에게 보낸 보고], 1887. 1. 8
    РГАВМФ, ф.417, оп.1, д.312, л.1~5
  • [외무장관 기르스가 해군장관 쉐스타코프에게 보낸 보고], 1884. 12. 5, РГАВМФ, ф.410, оп.2, д.4122, л
    99~102об
  • [외무장관 기르스가 해군장관 쉐스타코프에게 보낸 보고], 1884. 12. 19, РГАВМФ, ф.410, оп.2, д.4122, л
    109~110об
  • [외무장관 기르스가 해군장관 쉐스타코프에게 보낸 보고], 1884. 12. 16
    РГАВМФ, ф.410, оп.2, д.4122, л.104~105a
  • [외무장관 기르스가 차르 알렉산드르 3세에게 올린 상주문], 1885. 1. 8, АВПРИ, ф.Китайский Стол, оп.491, д.3, л
    4~6об
  • [외무장관 기르스가 차르 알렉산드르 3세에게 올린 상주문], 1883. 10. 11, АВПР И, ф
    Китайский Стол, оп.491, 1883 г, д.1, л.104~106
  • [외무장관 기르스가 서울총영사 베베르에게 보낸 훈령], 1885. 12. 23, АВПРИ, ф
    Китайский Стол, оп.491, д.3, л.87~88
  • [영국의 거문도 점령에 대한 해군성의 입장], 1885. 4. 3, РГАВМФ, ф.410, оп.2, д.4158, л
    11~11об
  • [영국군의 상륙을 대비하기 위한 긴급 예산 요청], 1885. 4. 9, РГИА, ф.565. оп.1, д.822, л
    50~50об
  • [연해주행정청에서 동시베리아 총독에게 보내는 조선문제 관련 보고서], 1867. 11. 28, РГИА ДВ, ф.1, оп.1, д.44, л
    8~9об
  • [연해주 군무지사 직무대행이 프리아무르 총독에게 보내는 조선인 이주 방법과 절차에 관한 보고], 1888. 8. 16
    РГИА ДВ, ф.702, оп.1, д.94, л.4~17
  • [아프가니스탄에서 영국과의 충돌을 대비한 군대 이동 명령], 1885. 4. 1
    РГИА, ф.565. оп.1, д.822, л.33~40
  • [아무르 군관구 식량 구매 예산 요청], 1885. 4. 5, РГИА, ф.565. оп.1, д.822, л
    3 0~30об
  • [서울주재 러시아총영사 겸 대리공사가 아시아국장에게 보낸 문서 사본], 1886. 7. 23
    РГАВМФ, ф.417, оп.1, д.206, л.62~63
  • [블란갈리가 외무장관에게 보낸 보고서], 1884. 5. 4, РГАВМФ, ф.410, оп.2, д.412 2, л
    47~48об
  • [블라디보스토크 군비 증강을 위한 예산 요청], 1885. 4. 5, РГИА, ф.565. оп.1, д. 822, л
    28~28об
  • [뷰초프가 고르차코프에게 보낸 ‘소볼’호 사건에 대한 보고서], 1869. 5. 10
    РГАВ МФ, ф.410, оп.2, д.3088, л.4~7
  • [묄렌도르프가 베베르에게 보낸 서한], 1884. 2. 11, АВПРИ, ф.СПБ
    Главный ар хив 1-9, оп.9, 1881 г, д.18. л.79~82
  • [리하체프가 해군대장에게 보낸 연해주 지역에 대한 보고서], 1860. 5. 21
    РГАВМ Ф, ф.410, оп.2, д.2385, л.1~6
  • [러시아전함 ‘크레이세르’호의 한반도 북부 해안 탐사에 관한 보고서], 1886. 10. 1 6, РГАВМФ, ф.417, оп.1, д.206, л
    61~61об
  • [러시아전함 ‘크레이세르’ 호의 한반도 북부 해안 탐사에 관한 보고서], 1886. 3, РГАВМФ, ф.417, оп.1, д.206, л
    15~15об
  • [동시베리아 총독 아누친이 외무성에 보낸 비밀전보], 1884. 4. 27, АВПРИ, ф.СП Б
    Главный архив 1-9, оп.8, 1881 г, д.18. л.84~86
  • [군비증강 예산 배정 지시], 1885. 4. 27
    РГИА, ф.565. оп.1, д.822, л.57
  • [국경설정 작업완료까지 우수리스크 국경위원회의 활동에 관한 보고서], АВПРИ, ф.Чиновник по дипломатической части при Приамурком генер ал-губернаторе, оп.379
    1882~1884 гг, д.319, л.313
  • [‘시부츠’호 함장이 태평양분함대 사령관 대리에게 보고한 보고서], 1887. 8. 28, Р ГАВМФ, ф.417, оп.1, д.257, л
    94~126об
  • [‘시부츠’호 함장의 탐사보고서], 1886. 8. 29, РГАВМФ, ф.417, оп.1, д.206, л
    64a~ 64об
  • [‘소볼’호 사건 관련 우소프 대위의 보고서], 1869. 7. 15, РГАВМФ, ф.410, оп.2, д.3088, л
    1~2об
  • [‘리-라디젠스키’ 구두협약 중국문건 번역]
    РГАВМФ, ф.417, оп.1, д.312, л.6
  • [6등 문관 코얀데르의 보고서], 1881. 3. 24, РГАВМФ, ф.410, оп.2, д.4122, л.4-4об [북경주재 대리공사 수신의 외무성 행정관의 비밀전문 사본], 1881. 6. 15
    РГАВМ Ф, ф.410, оп.2, д.4122, л.5
  • [4등 문관 스트루베의 비밀 전문 사본], 1881. 4. 7
    РГАВМФ, ф.410, оп.2, д.4122, л.2~3
  • [1884년 12월 16일자 외무장관 기르스의 보고서에 대한 해군장관 쉐스타코프의 회신], 연도불명
    РГАВМФ, ф.410, оп.2, д.4122, л.107~108
  • [1861년 조선 해안 항해일지 일부], 1861, РГАВМФ, ф.16, оп.1, д.229, л.1~3об Дневник адмирала Шестакова[쉐스타코프 제독의 일기], 1886. 6. 21, РГАВМ Ф, ф.26, оп.1, д.4, л
    53об~55
  • The great game : the struggle for empire in central Asia
    Hopkirk, Peter New York: Ko dansha International, 1994 (정영목 옴김, 그레이트 게임: 중앙아시아를 둘러싼 숨겨진 전쟁, 사계절 [2008]
  • Politisches Archiv des Ausw rtigen Amts(독일연방 외무성 정치문서보관소, 고려대학교 독일어권문화연구소 편, 독일외교문서 한국편
    보고사 [2019]
  • Far Eastern Policy 1881-1904: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Caus es of the Russo-Japanese War
    Andrew Malozemoff. Berkely Calif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8(A. 말로제모프 지음/석화정 옮김,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 지식산업사 [2002]
  • Corea The Hermit Nation,
    William E. Griffis New York : Charles Scribner's Son, 1882 (신복룡 역, 隱者의 나라 韓國 서울 : 探求堂 [1976]